코스모스 1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모스 1호는 1964년 8월 18일 최초 발사되어 1965년 12월 28일까지 총 8회 발사된 로켓이다.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으며, 코스모스-3M, 나로호와 관련이 있다. 코스모스 1호는 1960년대 소련의 위성 발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되었고, 스트렐라 위성을 탑재하여 발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우주 개발 - 새턴 I
새턴 I은 아폴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NASA에서 개발한 2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10회의 성공적인 발사를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입증하고 새턴 IB 및 새턴 V 로켓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 1964년 우주 개발 - 블라디미르 코마로프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코마로프는 소련의 우주 비행사, 시험 비행사, 항공 엔지니어로, 보스호트 1호에 탑승해 첫 우주 비행을 했고 소유스 1호 탑승 중 사고로 사망하여 비행 중 사망한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과 달의 크레이터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로코트
SS-19 ICBM을 재활용하여 개발된 러시아의 3단 액체 연료 로켓인 로코트는 1990년대부터 상업 발사 서비스에 활용되었으나, 우크라이나산 제어 시스템 공급 중단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완전한 러시아산 모델인 로콧-M이 개발 중이다. - 소련의 우주발사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65년 우주 개발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 1965년 우주 개발 - 프랭크 보먼
프랭크 보먼은 미국의 우주비행사, 공군 조종사, 사업가로, 제미니 7호와 아폴로 8호의 사령관을 역임하고 동부항공 CEO를 지냈으며 2023년에 사망했다.
코스모스 1호 | |
---|---|
개요 | |
명칭 | 코스모스-1 |
원어 명칭 | Kosmos-1 |
종류 | 궤도 운반 로켓 |
제작 정보 | |
제조사 | 미하일 얀겔 |
원산지 | 소비에트 연방 |
로켓 정보 | |
높이 | 26.3m |
지름 | 2.4m |
질량 | 107500kg |
단수 | 2단 |
성능 | |
저궤도 (LEO) 수송 능력 | 1400kg |
상태 및 발사 정보 | |
상태 | 퇴역 |
발사장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41/15 발사대 |
최초 발사 | 1964년 8월 18일 |
마지막 발사 | 1965년 12월 28일 |
총 발사 횟수 | 8회 |
성공 횟수 | 7회 |
실패 횟수 | 1회 |
1단 정보 | |
종류 | 1단 |
명칭 | R-14 |
엔진 | 1x RD-216 |
추력 | 1740kN |
비추력 | 292초 |
연소 시간 | 130초 |
연료 | 적연질산/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
2단 정보 | |
종류 | 2단 |
명칭 | S3 |
엔진 | 1x 11D49 |
추력 | 156kN |
비추력 | 303초 |
연소 시간 | 375초 |
연료 | 적연질산/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
2. 역사
코스모스 1호는 1964년 8월 18일 최초로 발사되어 1965년 12월 28일까지 총 8회 발사된 후 퇴역했다. 모든 발사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이루어졌다.[2]
코스모스-3M은 코스모스 1호와 1단, 2단의 추력이 같은 최신 버전이다. 러시아는 코스모스-3M을 퇴역시키고 안가라 1.1을 대신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소련 붕괴로 인한 개발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전 세계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지만 모두 거부당했고, 한국이 공동 개발에 합의하여 안가라 1.1을 나로호라고 부르게 되었다.
코스모스 로켓 개발은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과 폴료트 기계국에서 이루어졌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친미 노선을 발표하면서 유즈노예와 폴료트는 결별했고, 폴료트 기계국은 현재 흐루니체프의 계열사가 되었다.
북한은 코스모스 1호와 거의 비슷한 은하 로켓을 여러 차례 발사했고, 한국은 흐루니체프에서 나로호를, 유즈노예에서 누리호 기술을 이전받았다.
날짜 및 시간(GMT)[2] | 일련 번호 | 탑재체[1] | 코스모스 지정[3] | 결과 |
---|---|---|---|---|
1964년 8월 18일, 09:15 | 02L | 3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38 코스모스 39 코스모스 40 | 성공 |
1964년 10월 23일 | 01L | 3 x 스트렐라-1 | 실패 (원인 불명) | |
1965년 2월 21일, 11:00 | 03L | 3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54 코스모스 55 코스모스 56 | 성공 |
1965년 3월 15일, 11:00 | 04L | 3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61 코스모스 62 코스모스 63 | 성공 |
1965년 7월 16일, 03:31 | 05L | 5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71 코스모스 72 코스모스 73 코스모스 74 코스모스 75 | 성공 |
1965년 9월 3일, 14:00 | 07LS | 5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80 코스모스 81 코스모스 82 코스모스 83 코스모스 84 | 성공 |
1965년 9월 18일, 07:59 | 08LS | 5 x 스트렐라-1 | 코스모스 86 코스모스 87 코스모스 88 코스모스 89 코스모스 90 | 성공 |
1965년 12월 28일, 12:30 | 09LP | 1 x 스트렐라-2 | 코스모스 103[4] | 성공 |
2. 1. 개발 배경
코스모스 1호는 1964년 8월 18일 최초로 발사되어 1965년 12월 28일까지 총 8회 발사된 후 퇴역했다. 발사는 모두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이루어졌다.[1]코스모스-3M은 코스모스 1호와 1단, 2단의 추력이 같은 최신 버전이며, 2010년 마지막 발사 후 퇴역했다. 러시아는 코스모스-3M을 대체하기 위해 안가라 1.1 개발을 계획했으나, 소련 붕괴로 인한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전 세계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고, 한국이 공동 개발에 합의하여 안가라 1.1을 나로호로 부르게 되었다. 따라서 코스모스 1호=코스모스-3M=나로호라고 할 수 있다.[1]
러시아가 1.5톤에 집착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스푸트니크 로켓, 폴료트, 코스모스 1호, 코스모스 2호, 코스모스 3호, 코스모스-3M 등 세계 최초의 우주 로켓들은 모두 1.3-1.5톤의 지구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를 위해 개발되었다.[1]
코스모스 로켓은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과 폴료트 기계국에서 개발되었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친미 노선을 발표하면서 유즈노예와 폴료트는 결별했고, 폴료트 기계국은 현재 흐루니체프의 계열사가 되었다.[1]
북한은 코스모스 1호와 유사한 은하 로켓을 여러 차례 발사했고, 한국은 흐루니체프에서 나로호 기술을 이전받았으며, 유즈노예에서 누리호 기술을 이전받았다. 즉, 남북한 모두 러시아로부터 코스모스 1호 관련 기술을 도입한 셈이다.[1]
나로호는 안가라 로켓 계열의 안가라 1.1이며, 2톤의 지구 저궤도 인공위성 발사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는 코스모스 계열과 매우 유사한 1.3-2톤의 위성 발사 능력이다. 러시아는 코스모스-3M,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를 안가라 1.1, 안가라 1.2로 대체할 계획이다. 러시아는 코스모스 1호를 북한의 은하 로켓으로, 코스모스 최신형인 안가라 1.1을 한국의 나로호로 판매한 것이다.[1]
소련 미사일들의 탄두 중량은 보통 1-2톤 정도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1]
미사일 | 탄두 중량 |
---|---|
R-1 | 1000kg |
R-2 | 1500kg |
R-5 | 1350kg |
R-11 | 600kg |
R-7 | 3700kg |
R-9 | 1650kg |
R-12 | 1630kg |
R-14 | 2100kg |
R-16 | 1475kg |
2. 2. 한국과의 관계
러시아는 코스모스-3M를 퇴역시키고 안가라 1.1을 대신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소련 붕괴로 개발 예산이 부족해졌다. 전 세계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지만 모두 거부당했고, 한국이 공동 개발에 합의하여 안가라 1.1을 나로호라고 부르게 되었다. 즉, 코스모스 1호=코스모스-3M=나로호이다.[1]북한은 코스모스 1호와 거의 비슷한 은하 로켓을 여러 차례 발사했고, 한국은 흐루니체프에서 나로호를, 유즈노예에서 누리호 기술을 이전받았다. 남북한이 동시에 코스모스 1호 기술을 러시아 쪽에서 도입한 것이다.[1]
나로호는 원래 안가라 로켓 계열의 안가라 1.1인데, 1.3~2톤의 위성 발사 능력을 목표로 개발되어 코스모스 계열과 매우 유사하다. 러시아는 코스모스-3M,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를 안가라 1.1, 안가라 1.2로 대체할 계획이며, 코스모스 1호를 북한의 은하 로켓으로, 코스모스 최신형인 안가라 1.1을 한국의 나로호로 판매한 것이다.[1]
2. 3. 북한과의 관계
북한은 코스모스 1호와 거의 비슷한 은하 로켓을 여러 차례 발사했고, 한국은 흐루니체프에서 나로호를 기술이전 받았으며, 유즈노예에서 누리호를 기술이전 받았다. 한마디로 남북한이 동시에 코스모스 1호를 러시아쪽에서 기술도입했다.[1]러시아는 코스모스-3M,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를 안가라 1.1, 안가라 1.2로 대체할 계획인데, 코스모스 1호를 북한의 은하 로켓으로, 코스모스 최신형인 안가라 1.1을 한국의 나로호로 판매한 것이다.[1]
북한은 은하 로켓을 여러번 발사했는데, 비록 명칭에 차이는 있지만, 은하 로켓은 코스모스 로켓과 매우 유사하다.[1]
최근 화성 15호는 1단 추력이 은하로켓과 동일한 150-170톤으로, 은하 로켓은 코스모스 1호처럼 1단 노즐이 4개인데, 화성 15호는 노즐이 2개이다. 화성 15형의 노즐 1개는 한국 누리호 1단 노즐 1개와 추력이 같으며, 두 로켓 모두 러시아쪽에서 기술을 도입했다.[1]
3. 제원
코스모스 로켓은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과 폴료트 기계국에서 개발했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친미 노선을 발표하면서 유즈노예와 폴료트는 결별했고, 폴료트 기계국은 현재 흐루니체프의 계열사이다.
북한은 코스모스 1호와 매우 비슷한 은하 로켓을 여러 차례 발사했다. 한국은 흐루니체프에서 나로호를, 유즈노예에서 누리호 기술을 이전받았다. 남북한이 동시에 러시아로부터 코스모스 1호 기술을 도입한 셈이다.
나로호는 안가라 로켓 계열의 안가라 1.1로, 2톤의 지구 저궤도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는 코스모스 계열과 비슷한 1.3-2톤의 위성발사능력을 목표로 하는 최신 로켓이다. 러시아는 코스모스-3M,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를 안가라 1.1, 안가라 1.2로 대체할 계획이다. 러시아는 코스모스 1호를 북한에 은하 로켓으로, 최신형인 안가라 1.1을 한국에 나로호로 판매한 것이다.
최근 북한은 화성 15호를 발사했는데, 1단 추력이 은하로켓과 동일한 150-170톤이다. 은하 로켓은 코스모스 1호처럼 1단 노즐이 4개인데, 화성 15호는 노즐이 2개이다. 화성 15형의 노즐 1개는 한국 누리호 1단 노즐 1개와 추력이 같으며, 둘 다 러시아 기술을 도입한 것이다.
3. 1. 탄두 중량
세계 최초의 우주 로켓인 스푸트니크 로켓, 폴료트, 코스모스 1호, 코스모스 2호, 코스모스 3호, 코스모스-3M 등은 모두 1.3-1.5톤의 지구 저궤도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러시아가 왜 1.5톤에 집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소련 미사일들의 탄두 중량은 보통 1-2톤 정도이며, 아래 표와 같다.
미사일 | 탄두 중량 |
---|---|
R-1 | 1000kg |
R-2 | 1500kg |
R-5 | 1350kg |
R-11 | 600kg |
R-7 | 3700kg |
R-9 | 1650kg |
R-12 | 1630kg |
R-14 | 2100kg |
R-16 | 1475kg |
4. 발사 기록
코스모스 1호는 1964년 8월 18일 최초 발사되어 1965년 12월 28일까지 총 8회 발사된 후 퇴역했다.[2] 모든 발사는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이루어졌다.
날짜 및 시간 (GMT)[2] | 일련 번호 | 탑재체[1] | 코스모스 지정[3] | 결과 |
---|---|---|---|---|
1964년 8월 18일, 09:15 | 02L | 스트렐라-1 3기 | 코스모스 38, 코스모스 39, 코스모스 40 | 성공 |
1964년 10월 23일 | 01L | 스트렐라-1 3기 | N/A | 실패 (원인 불명) |
1965년 2월 21일, 11:00 | 03L | 스트렐라-1 3기 | 코스모스 54, 코스모스 55, 코스모스 56 | 성공 |
1965년 3월 15일, 11:00 | 04L | 스트렐라-1 3기 | 코스모스 61, 코스모스 62, 코스모스 63 | 성공 |
1965년 7월 16일, 03:31 | 05L | 스트렐라-1 5기 | 코스모스 71, 코스모스 72, 코스모스 73, 코스모스 74, 코스모스 75 | 성공 |
1965년 9월 3일, 14:00 | 07LS | 스트렐라-1 5기 | 코스모스 80, 코스모스 81, 코스모스 82, 코스모스 83, 코스모스 84 | 성공 |
1965년 9월 18일, 07:59 | 08LS | 스트렐라-1 5기 | 코스모스 86, 코스모스 87, 코스모스 88, 코스모스 89, 코스모스 90 | 성공 |
1965년 12월 28일, 12:30 | 09LP | 스트렐라-2 1기 | 코스모스 103[4] | 성공 |
참조
[1]
웹사이트
Kosmos-1 (65S3)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8-10-24
[2]
웹사이트
Kosmos 3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3]
웹사이트
Strela 1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4]
웹사이트
Strela 2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5]
웹사이트
Kosmos-1 (65S3)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8-10-24
[6]
웹사이트
Kosmos 3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7]
웹사이트
Strela 1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8]
웹사이트
Strela 2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