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월주 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월주 찬가는 콘월의 애국심과 저항 정신을 담은 노래로, 1688년 런던탑에 투옥된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 또는 1628년 투옥된 존 트렐로니 1세 경을 구출하려는 콘월인들의 의지를 표현한다. 로버트 스티븐 호커가 후렴구를 제외한 가사를 썼고, 루이자 T. 클레어가 곡을 붙여 1861년에 완성되었다. 이 노래는 콘월의 국가로 여겨지며, 콘월 럭비 경기 및 지역 행사에서 불리고 있으며, 콘월어 번역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역성 노래 - 바이에른 찬가
바이에른 찬가는 막스 쿤츠가 작곡하고 미하엘 옥스너가 가사를 붙여 바이에른의 국가로 여겨지는 곡으로, 바이에른의 땅과 국민에 대한 신의 축복 기원, 역사와 문화 반영, 그리고 바이에른 사람들의 정체성과 자긍심 고취를 내용으로 담고 있다. - 지역성 노래 -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는 알타이어와 러시아어로 된 가사로 구성된 알타이 공화국의 공식 국가이다.
콘월주 찬가 | |
---|---|
노래 정보 | |
제목 | 트렐로니 |
영어 제목 | 서부 사람들의 노래 |
국가 | 콘월 (비공식 국가) |
작사가 | 로버트 스티븐 호커 |
작사 연도 | 1826년 |
작곡가 | 루이자 T. 클레어 |
작곡 연도 | 1861년 |
![]() |
2. 역사적 배경
이 노래의 가사는 교회 목사인 로버트 스티븐 호커(Robert Stephen Hawker)가 후렴구를 제외하고 창작했다고 알려져 있다.[2] 호커는 가사의 '트렐로니'가 1688년 제임스 2세에 의해 런던탑에 투옥된 브리스톨 주교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이라고 생각했으나, 실제로는 그의 할아버지인 존 트렐로니 1세 경(1628년 투옥)을 가리킬 가능성도 제기된다.[3][4] 노래의 내용과 달리 콘월 사람들이 실제로 트렐로니를 구출하기 위해 행진하지는 않았으며, 언급된 인물들은 재판 후 무죄로 풀려났다.[3][4]
콘월의 역사가 로버트 모튼 난스는 이 노래가 1807년경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위협 시기에 만들어진 '오라, 너희 즐거운 주석 광부들아(Come, All Ye Jolly Tinner Boys)'라는 더 오래된 노래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노래에는 "왜 4만 명의 콘월 소년들이 그 이유를 알게 될까(Why forty thousand Cornish lads shall know the reason why)"라는 유사한 구절이 있다.[7]
호커가 쓴 시는 1861년 루이자 T. 클레어(Louisa T. Clare)에 의해 곡이 붙여졌으며,[5] 호커는 이 곡에 매우 만족했다고 전해진다.[6] 1881년 트루로 대성당 초석 봉헌식에서 하비 주교는 이 노래를 "...우리 사랑하는 콘월의 국가"라고 칭하기도 했다.[8]
2. 1. 존 트렐로니 1세 경
"콘월주 찬가"의 가사에 등장하는 트렐로니는 브리스톨 주교였던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1688년 제임스 2세에 의해 런던탑에 투옥됨)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2] 실제로는 그의 할아버지인 존 트렐로니 1세 경을 가리킬 가능성이 더 높다. 존 트렐로니 1세 경은 콘월의 왕당파 지도자였으며, 1628년 의회에 의해 투옥되었다. 노래의 내용과는 달리 콘월 사람들이 실제로 그를 구출하기 위해 행진하지는 않았다. 그는 런던탑에 3주 동안 투옥된 후 재판을 받고 무죄를 선고받았다.[3][4]2. 2.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
교회 목사인 호커는 노래 가사에 언급된 트렐로니가 1688년 제임스 2세에 의해 런던탑에 투옥된 브리스톨 주교인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이라고 추정했다.[2] 그러나 실제로는 그의 할아버지인 존 트렐로니 1세 경을 가리킬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기도 한다. 존 트렐로니 1세 경은 1628년 의회에 의해 투옥된 콘월 왕당파 지도자였다.노래의 내용과는 달리 콘월 사람들이 실제로 트렐로니를 구출하기 위해 행진하지는 않았다.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은 런던탑에 3주 동안 투옥되었다가 재판을 받고 무죄를 선고받았다.[3][4]
2. 3. 트렐로니 투옥 사건과 콘월인들의 반응
이 노래의 가사는 콘월 사람들의 강한 저항 정신과 연대 의식을 보여준다. 특히 후렴구인 "And shall Trelawny die? /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 Will know the reason why!" (트렐로니가 죽어야 하는가? /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 그 이유를 알 것이다!)는 트렐로니라는 인물이 처한 위협에 맞서 콘월 공동체가 결집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2]교회 목사인 로버트 스티븐 호커는 이 후렴구를 제외한 나머지 가사를 자신이 창작했다고 주장했다.[2] 그는 가사에 등장하는 트렐로니가 1688년 제임스 2세 국왕에 의해 런던탑에 투옥되었던 브리스톨 주교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그보다 앞선 인물인 그의 할아버지, 즉 1628년 의회에 의해 투옥되었던 콘월 왕당파 지도자 존 트렐로니 1세 경을 가리킬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기도 한다.[3][4]
노래 가사에는 'We'll cross the Tamar, land to land' (우리는 타마 강을 건너 육지로 갈 것이다), 'And when we come to London Wall' (그리고 우리가 런던 성벽에 도착했을 때) 와 같이 콘월 사람들이 트렐로니를 구출하기 위해 실제로 런던까지 행진할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콘월 사람들이 트렐로니를 구하기 위해 실제로 행진했다는 기록은 없다.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의 경우, 그는 런던탑에 약 3주간 투옥되었다가 재판을 받고 무죄로 풀려났다.[3][4]
따라서 이 노래는 실제 역사적 사건을 그대로 반영하기보다는, 제임스 2세와 같은 권력에 대한 저항 의지나 위기에 처한 동료를 구하려는 콘월인들의 강한 공동체 의식과 지역적 자부심을 극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라는 구절은 이러한 단결된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3. 노래의 기원과 작자 논쟁
"콘월주 찬가"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노래 가사의 저작권과 관련해서는 로버트 스티븐 호커 목사가 후렴구를 제외한 부분을 자신이 작성했다고 주장했다.[2] 또한 가사에 등장하는 '트렐로니'라는 인물이 1688년 투옥되었던 브리스톨 주교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인지, 혹은 그의 할아버지이자 1628년 투옥된 왕당파 지도자 존 트렐로니 1세 경인지에 대한 논쟁도 있다.[3][4]
현재 널리 알려진 곡조는 1861년 루이자 T. 클레어(Louisa T. Clare)가 호커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5] 호커 자신도 클레어의 곡에 만족감을 표했다고 전해진다.[6] 한편, 콘월의 역사가 로버트 모튼 난스는 이 노래가 19세기 초 이전에 존재했던 "오라, 너희 즐거운 주석 광부들아"라는 노래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7]
3. 1. 로버트 스티븐 호커의 역할
교회 목사였던 로버트 스티븐 호커는 후렴구를 제외한 가사를 자신이 썼다고 주장했다.[2] 그는 가사에 나오는 '트렐로니'가 1688년 제임스 2세에 의해 런던탑에 갇혔던 브리스톨 주교 조나단 트렐로니 3세 경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의 할아버지인 존 트렐로니 1세 경을 가리킬 가능성이 더 높다. 존 트렐로니 1세 경은 1628년 의회에 의해 투옥되었던 콘월의 왕당파 지도자였다. 노래 가사와는 달리, 콘월 사람들이 실제로 트렐로니를 구하기 위해 행진하지는 않았다. 그는 런던탑에 3주 동안 갇혀 있다가 재판을 받고 무죄로 풀려났다.[3][4]호커가 쓴 시는 1861년에 루이자 T. 클레어(Louisa T. Clare)가 곡을 붙였다.[5] 호커는 클레어가 만든 곡에 매우 만족했고, 성공을 기대하며 그녀에게 또 다른 시를 보내기도 했다.[6]
3. 2. 루이자 T. 클레어의 작곡
호커의 시는 1861년 루이자 T. 클레어에 의해 곡으로 만들어졌다.[5] 호커는 클레어의 곡에 매우 만족하여 그녀에게 또 다른 시를 보내 성공을 기대했다.[6]3. 3. "오라, 너희 즐거운 주석 광부들아"와의 연관성
콘월의 역사가 로버트 모튼 난스는 "서부인의 노래"가 1807년경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폴란드 침공으로 콘월 무역에 위협을 가했을 때보다 10년 이상 앞서 쓰인 "오라, 너희 즐거운 주석 광부들아"라는 노래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 난스는 "즐거운 주석 광부들아"에 나오는 "왜 4만 명의 콘월 소년들이 그 이유를 알게 될까"라는 구절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7]4. 가사 분석
노래는 총 3개의 절과 각 절 뒤에 반복되는 후렴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절은 트렐로니 주교를 구출하기 위한 콘월인들의 여정과 결의를 단계적으로 보여준다.
'''1절'''
:A good sword and a trusty hand!
:A faithful heart and true!
:King James's men shall understand
:What Cornish lads can do!
:And have they fixed the where and when?
:And shall Trelawny die?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Will know the reason why!
:좋은 검과 믿음직한 손!
:즐거운 마음과 진실함!
:제임스 왕의 군사들은 알아야 할 것이다
:콘월 청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그들이 언제 어디서 할지 정했는가?
:그리고 트렐로니는 죽는가?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그 이유를 알 것이다!
'''후렴'''
:And shall Trelawny live?
:And shall Trelawny die?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Will know the reason why!
:그리고 트렐로니는 살 것인가?
:아니면 트렐로니는 죽는가?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그 이유를 알 것이다!
'''2절'''
:Out spake their Captain brave and bold:
:A merry wight was he:
:Though London Tower were Michael's hold,
:We'll set Trelawny free!
:'We'll cross the Tamar, land to land:
:The Severn is no stay:
:With "one and all," and hand in hand;
:And who shall bid us nay?
:그들의 용감하고 담대한 대장이 말했다:
:그는 유쾌한 사람이었다:
:런던 타워가 마이클의 요새라 할지라도,
:우리는 트렐로니를 해방시킬 것이다!
:타마 강을 건너 육지로 갈 것이다:
:세번 강은 우리를 막지 못한다:
:"모두 하나로" 손에 손을 잡고;
:누가 우리를 막을 수 있겠는가?
'''후렴'''
:And shall Trelawny live?
:And shall Trelawny die?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Will know the reason why!
:그리고 트렐로니는 살 것인가?
:아니면 트렐로니는 죽는가?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그 이유를 알 것이다!
'''3절'''
:And when we come to London Wall,
:A pleasant sight to view,
:Come forth! come forth! ye cowards all:
:Here's men as good as you.
:'Trelawny he's in keep and hold;
:Trelawny he may die: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bold
:Will know the reason why
:그리고 우리가 런던 성벽에 도착했을 때,
:보기 좋은 광경이 펼쳐질 것이다,
:나오라! 나오라! 너희 겁쟁이들아:
:여기 너희만큼 훌륭한 사람들이 있다.
:트렐로니는 감금되어 갇혀 있다;
:트렐로니는 죽을지도 모른다:
:여기 2만 명의 용감한 콘월 사람들이 있다
:그 이유를 알 것이다
'''후렴'''
:And shall Trelawny live?
:And shall Trelawny die?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Will know the reason why!
:그리고 트렐로니는 살 것인가?
:아니면 트렐로니는 죽는가?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그 이유를 알 것이다!
4. 1. 콘월인들의 저항 정신
콘월주 찬가의 핵심은 콘월인들의 강한 저항 정신과 자부심을 표현하는 데 있다. 이는 특히 후렴구를 통해 강력하게 드러난다.찬가는 부당한 권력에 의해 위협받는 트렐로니 주교의 운명을 묻고, 이에 대해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 그 이유를 알 것이다!"(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 Will know the reason why!영어)라고 답하며 콘월인들의 결연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 후렴구는 곡 전체에 걸쳐 반복되며, 트렐로니를 구출하고 제임스 왕의 압제에 맞서 싸우겠다는 콘월 공동체의 단결된 목소리를 강조한다.
가사는 콘월 청년들의 용기와 힘을 과시하며 시작한다("좋은 검과 믿음직한 손! / 즐거운 마음과 진실함! / 제임스 왕의 군사들은 알아야 할 것이다 / 콘월 청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한, 런던 타워에 갇힌 트렐로니를 구출하기 위해 지리적 장애물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콘월과 잉글랜드를 가르는 타마 강을 건너고 세번 강도 그들을 막지 못할 것이며, "모두 하나로" 손을 잡고 나아가겠다고 선언한다.
나아가 런던 성벽에 도달했을 때, 그들은 숨어있는 이들에게 당당히 맞설 것을 예고한다("나오라! 나오라! 너희 겁쟁이들아: / 여기 너희만큼 훌륭한 사람들이 있다."). 이는 단순히 트렐로니 개인을 구출하는 것을 넘어, 콘월인들의 명예와 권리를 지키기 위한 투쟁임을 보여준다. 비록 트렐로니가 죽을 위기에 처해있을지라도, 2만 명의 용감한 콘월인들이 그 부당함에 맞서 싸울 준비가 되어 있음을 거듭 강조하며 곡은 마무리된다.
이처럼 콘월주 찬가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외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자신들의 정체성과 공동체를 지키려는 콘월인들의 강인한 정신과 자부심을 상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4. 2. 런던을 향한 행진
찬가의 2절과 3절은 트렐로니 주교를 구출하기 위해 콘월 사람들이 런던으로 행진하는 과정을 묘사한다.용감하고 유쾌한 성격으로 묘사되는 콘월인들의 지휘관은 런던 타워가 난공불락의 요새(Michael's holdeng)라 할지라도 트렐로니를 반드시 구출하겠다는 의지를 밝힌다. 그는 콘월과 잉글랜드를 가르는 타마 강을 건너고, 세번 강 역시 그들의 행진을 막지 못할 것이라고 선언한다. 콘월의 모토인 "One and all"(모두 하나로)을 외치며 손을 맞잡고 나아가는 콘월인들의 단결된 모습을 보여주며, 누구도 감히 그들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마침내 런던 성벽에 다다른 콘월인들은 그곳에서 마주할 광경을 기대하며, 성 안의 사람들을 향해 "겁쟁이들(cowards alleng)"이라 외치며 당당히 나오라고 요구한다. 이는 자신들이 그들 못지않게 용맹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트렐로니가 여전히 감금되어 있고 죽을 수도 있는 위태로운 상황이지만, 2만 명의 용감한 콘월인들은 그 부당함의 이유를 알기 위해, 즉 트렐로니를 구출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런던까지 왔음을 다시 한번 천명한다.
각 절 뒤에 반복되는 후렴구 And shall Trelawny live? / And shall Trelawny die? / Here's twenty thousand Cornish men / Will know the reason why!|그리고 트렐로니는 살 것인가? / 아니면 트렐로니는 죽는가? / 여기 2만 명의 콘월 사람들이 있다 / 그 이유를 알 것이다!eng는 트렐로니의 운명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부당함에 맞서 싸우겠다는 콘월인들의 강력한 결의를 계속해서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4. 3. 타마 강과 세번 강
The Severn is no stay:
With "one and all," and hand in hand;
And who shall bid us nay?
'타마 강을 건너 육지로 갈 것이다:
세번 강은 우리를 막지 못한다:
"모두 하나로" 손에 손을 잡고;
누가 우리를 막을 수 있겠는가?
타마 강은 콘월의 동쪽 경계를 이루는 대표적인 강이며, 세번 강은 더 나아가 잉글랜드 내부로 진입하는 경로상에 있다. 이 구절은 단순히 지리적인 이동을 넘어, 외부의 압력이나 장애물에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려는 콘월인들의 단결된 용기와 저항 정신을 보여준다. "세번 강은 우리를 막지 못한다"(The Severn is no stayeng)는 표현은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강조한다.
5. 콘월어 번역본
이 노래는 콘월어로 번역된 버전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1905년에 헨리 제너가 번역한 버전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른 버전이 전해진다.
5. 1. 헨리 제너의 번역
마음은 기쁘고 진실하다!
제임스 왕은 깨달을 것이다
콘월 사람들이 무엇을 할 것인지!
죽음의 때와 장소가 정해졌는가?
'위대한 트렐로니여?'
그러나 콘월의 2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의 모든 것을 알 것이다.
:'위대한 트렐로니여?
:'위대한 트렐로니여?
:그러나 콘월의 2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의 모든 것을 알 것이다.
그들의 용감하고 굳센 선장은 말했다.
그는 기쁜 사람이었다.
"런던 타워가 록이라고 해도,
우리는 그곳에서 그를 데려갈 것이다."
"우리는 타마르를 건너, 땅에서 땅으로,
깊은 겨울에도,
모두 하나가 되어 현명한 사람에게;
두려움이 우리를 막을 것이다."
:'위대한 트렐로니여?
:'위대한 트렐로니여?
:그러나 콘월의 2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의 모든 것을 알 것이다.
"우리가 런던 성벽에 올 때,
우리는 기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두려워하는 자들아, 모두 나와라
우리보다 더 나은 사람들이여!"
"죽음을 위해 감옥에 갇힌
위대한 트렐로니를 보아라!
그러나 콘월의 2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의 모든 것을 알 것이다."
:'위대한 트렐로니여?
:'위대한 트렐로니여?
:그러나 콘월의 2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의 모든 것을 알 것이다.
5. 2. 콘월어 번역본의 의의
이 노래는 콘월어로 번역된 버전이 존재한다. 그중 첫 번째 번역은 1905년에 헨리 제너가 작성하였다. 소스에 제시된 콘월어 가사는 다음과 같다.버전 1 (헨리 제너, 1905) | 버전 2 |
---|---|
valign="top" | | valign="top" | |
6. 콘월 문화에서의 상징성
"콘월주 찬가"(The Song of the Western Men|더 송 오브 더 웨스턴 멘eng)는 콘월 사람들에게 단순한 노래를 넘어, 그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비록 공식적인 국가는 아니지만, 콘월의 비공식적인 국가처럼 여겨지며[8] 지역 사회의 다양한 행사와 모임에서 널리 불린다. 특히 콘월 럭비 경기나 세인트 피란의 날과 같은 주요 행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노래로,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학교 교육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도 꾸준히 전승되고 있으며, "트렐로니 샤우트"(Trelawny Shout|트렐로니 샤우트eng)와 같은 현대적인 행사를 통해 그 의미와 중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9] 이처럼 "콘월주 찬가"는 과거의 역사를 기리는 것을 넘어, 오늘날 콘월 문화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살아있는 상징이라 할 수 있다.
6. 1. 콘월의 국가(國歌)
1881년 트루로 대성당의 초석을 놓는 행사에서 하비 주교는 이 노래를 "...우리 사랑하는 콘월의 국가"라고 언급했다.[8] 이 노래는 오늘날에도 콘월 럭비 경기나 다른 콘월 지역 모임에서 자주 불리는 인기 있는 곡이다. 콘월의 일부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노래의 첫 번째 연과 후렴구를 가르치며, 머독 데이나 세인트 피란의 날 (3월 5일)과 같은 행사에서 부르도록 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세인트 피란의 날에 "트렐로니 샤우트(Trelawny Shout영어)"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이는 자선 기금을 모으기 위해 콘월 전역의 펍에서 다 함께 이 노래를 부르는 행사이다.[9]6. 2. 현대 콘월에서의 노래
1881년 트루로 대성당의 초석을 놓을 때, 하비 주교는 이 노래를 "...우리 사랑하는 콘월의 국가"라고 묘사했다.[8] 이 노래는 콘월 럭비 경기 및 기타 콘월 지역의 모임에서 자주 불리는 애창곡이다. 콘월의 일부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첫 번째 연과 후렴구를 가르치며, 머독 데이 및 세인트 피란의 날 (3월 5일)과 같은 행사에서 부르게 한다. 특히 2016년부터 세인트 피란의 날에는 "트렐로니 샤우트"(Trelawny Shouteng)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이는 자선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콘월 전역의 펍에서 이 노래를 함께 부르는 행사이다.[9]6. 3. 트렐로니 샤우트
2016년부터 세인트 피란의 날 (3월 5일)에는 "트렐로니 샤우트"(Trelawny Shouteng)가 열린다. 이는 자선 행사를 위해 콘월 전역의 펍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행사이다.[9]참조
[1]
서적
A Bookman's Catalogue Vol. 1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
[2]
웹사이트
Trelawny
http://www.robertste[...]
2011-08-27
[3]
웹사이트
Robert Stephen Hawker: Trelawny
http://www.robertste[...]
Hawker Society, Angela Williams
2011-08-27
[4]
서적
Hawker Of Morwenstow: Portrait of an Eccentric Victorian
Random House
2011
[5]
서적
Cornish Ballads and Other Poems
https://books.google[...]
John Lane
1908
[6]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R.S. Hawker
https://books.google[...]
John Lane
1904
[7]
웹사이트
CORNISH-L Archives
http://archiver.root[...]
[8]
뉴스
Trelawny (A Lecture Give at Nine Cornish Towns by Canon Harvey, of Truro)
1881-02-24
[9]
웹사이트
Sir Jonathan Trelawny – Anglican 'Trelawnebishop
https://www.cornwall[...]
2016-03-02
[10]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R. S. Hawker (Sometime Vicar of Morwenstow)
John La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