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반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반봉은 슬로바키아 타트라 산맥에 위치한 산으로, "굽은"을 의미하는 슬로바키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15세기부터 광부들의 탐사가 이루어졌으며, 1773년 최초 등반 기록이 존재한다. 19세기 슬로바키아 민족 부흥 운동의 주요 상징이 되었으며, 슬로바키아의 유로 동전 이미지로 선정될 정도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타트리산맥 - 비소케타트리
슬로바키아 고타트라 산맥의 주요 관광 도시인 비소케타트리는 여러 정착지가 타트라 철도로 연결된 복합 도시로, 수도 다음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1947년 여러 지역 통합 후 복잡한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 고타트리산맥 - 게를라호프스키봉
게를라호프스키봉은 슬로바키아 타트라 산맥에 위치한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과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현재는 UIAA 클럽 회원만 단독 등반이 가능하고, 고산 기후를 보인다. - 슬로바키아의 산 - 게를라호프스키봉
게를라호프스키봉은 슬로바키아 타트라 산맥에 위치한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과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현재는 UIAA 클럽 회원만 단독 등반이 가능하고, 고산 기후를 보인다. - 슬로바키아의 산 - 리시산
리시산은 '배 고개'라는 고려 시대 이름과 "긁힌 자국"을 뜻하는 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 이름에서 유래한 폴란드 최고봉으로, 1840년 최초 등반 이후 지질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슬로바키아 측 등반로는 특정 기간 폐쇄된다.
크리반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이름 | 크리반봉 |
어원 | 각진 |
위치 | 포프라트/리프토우스키미쿨라시, 프레쇼우/질리나, 슬로바키아 |
산맥 | 높은 타트라산맥 |
높이 | 2495미터 |
융기 높이 | 410미터 |
종류 | 화강암 |
가장 쉬운 등반 경로 | 슈트르프스케플레소에서 하이킹 |
첫 등반 | 안드레아스 요나스 치르베스, 1772년 / 1773년 |
![]() |
2. 명칭
크리반이라는 이름은 1639년에 'Kriwan'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굽은" 또는 "구부러진"을 뜻하는 어근 'kriv-'에서 유래되었다. 서쪽과 남쪽에서 바라볼 때 산의 굽은 모습을 반영하여 1639년 작품에서는 "소꼬리"(cauda bubulala)로 묘사되었다.[1] 슬로바키아어 이름은 타트라 산맥 근처의 포드할레 지역을 제외한 폴란드어를 포함하여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된다.[9]
말라 파트라 산맥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벨키 파트란스키 크리반(Veľký Fatranský Kriváň)과 말리 파트란스키 크리반(Malý Fatranský Kriváň) 두 봉우리가 있으며, 슬로바키아 남쪽 크리반 마을도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2. 1. 유래
크리반(슬로바키아어: Kriváň)이라는 이름은 1639년에 ''Kriwan''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굽은" 또는 "구부러진"을 뜻하는 어근 ''kriv-''에서 유래되었다. 서쪽과 남쪽에서 바라볼 때 산의 굽은 모습을 반영하며, 1639년 작품에서는 "소꼬리"(cauda bubulala)로 묘사되었다.[1] 슬로바키아어 이름은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되며, 폴란드어화된 버전(''Krzywań'') 대신 타트라 산맥 근처 포드할레 지역을 제외한 폴란드어에서도 사용된다.[9]2. 2. 다른 언어에서의 사용
슬로바키아어 이름은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되며, 폴란드어에서도 잠재적인 폴란드어화된 버전(''Krzywań'') 대신 사용된다. 다만, 타트라 산맥 근처의 포드할레 지역은 예외이다.[9]2. 3.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지명
말라 파트라 산맥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두 개의 인접한 봉우리, 벨키 파트란스키 크리반(Veľký Fatranský Kriváň)과 말리 파트란스키 크리반(Malý Fatranský Kriváň)이 있으며, 슬로바키아 남쪽에 위치한 크리반 마을도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3. 역사
15세기 전반부터 크리반 산괴에서 광부들이 탐사를 진행했고, 16세기 금 채굴 붐과 함께 활동이 활발해졌다. 일부 광부들은 크리반 정상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해발 약 2000m 높이의 프리에히바 능선 아래에서 그들의 오두막 잔해가 발견되었고,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테레지아 샤프트는 정상에서 불과 약 60m 아래에 있다.[1] 상업적 채굴은 18세기에 중단되었다.[1]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출신의 루터교 목사 안드레아스 요나스 치르베스는 1773년 8월 4일에 크리반에 처음으로 등반한 기록을 남겼다.[1] 1793년에 크리반에 오른 스코틀랜드 의사 타운슨은 바제츠 출신의 안내인이 이전에 여러 번 정상에 갔었다고 언급했고, 등산객들이 행운을 빌기 위해 남겨두는 작은 동전을 정상 돌 아래에서 수집하는 것을 보았다고 기록하여, 크리반이 18세기 후반에 이미 관광객들이 찾는 목적지였음을 보여준다.[1]
1835년, 립토프스키 미쿨라시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귀족이자 출판인인 Gašpar Fejérpataky-Belopotocký|가슈파르 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sk와 그의 여섯 친구들이 크리반봉 정상에 올랐고, 그는 1837년 문학 저널 ''Hronka''에 이 등반을 묘사했다.[6] 크리반봉 등반을 시도한 첫 번째 유명 인사는 1806년 30세의 합스부르크 요제프 대공이었지만, 악천후로 인해 계획이 중단되었다.[4] 실제로 정상에 오른 첫 번째 주요 인물은 1840년 작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였다.
슬로바키아 문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등반은 1841년, 당시 브라티슬라바 루터교 ''리체움''(예비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 슬로바키아어 강사였던 25세의 류도비트 슈투르가 이끌었다. 슈투르와 그 지역 주민들(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 포함)은 8월 16일에 크리반봉 정상까지 하이킹을 했는데, 이는 여성들이 포함된 최초의 기록된 등반이었다.[7]
타트라스에서 사용되는 파란색 등산로 표지판
19세기 중반부터 "국민 등산"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다.[8] 1955년부터 매년 8월 말에 1944년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크리반 국민 등반(Národný výstup na Kriváň)"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8] 1981년에는 480명이 참가하기도 했다.[9] 현재는 슬로바키아 관광 클럽, 마티차 슬로벤스카, 비소케 타트리, 립토프스키미쿨라시가 공동 주최하는 연례 행사로 8월 셋째 주말에 열리며, 행사 기간 동안 매일 300명으로 등반 인원이 제한된다.[10]
3. 1. 초기 역사
15세기 전반부터 크리반 산괴에서 광부들의 탐사가 이루어졌다. 16세기 금 채굴 붐 동안 광부들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일부 광부들이 크리반 정상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해발 약 2000m 높이의 프리에히바(Priehyba) 능선 아래에서 그들의 오두막 잔해가 발견되었고,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테레지아 샤프트(Terézia Shaft)는 정상에서 불과 약 60m 아래에 있다.[1] 상업적 채굴은 18세기에 중단되었다.[1]1773년 8월 4일,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Spišská Nová Ves) 출신의 루터교 목사 안드레아스 요나스 치르베스(Andreas Jonas Czirbes)가 크리반에 처음으로 등반한 기록이 있다.[1] 1793년에 크리반에 오른 스코틀랜드 의사 타운슨(Townson)은 바제츠(Važec) 출신의 안내인이 이전에 여러 번 정상에 갔었다고 언급했고, 등산객들이 행운을 빌기 위해 남겨두는 작은 동전을 정상 돌 아래에서 수집하는 것을 보았다고 기록하여, 크리반이 18세기 후반에 이미 관광객들이 찾는 목적지였음을 보여준다.[1]
3. 2. 최초 등반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출신의 루터교 목사 안드레아스 요나스 치르베스(Andreas Jonas Czirbes)가 1773년 8월 4일에 최초로 크리반 등반을 기록했다.[1]3. 3. 18세기 후반의 인식
1793년, 스코틀랜드 의사 로버트 타운슨(Robert Townson)은 크리반이 이미 관광객들이 가끔 찾는 목적지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는 몇 가지 증거를 제시했다. 바제츠(Važec) 출신의 그의 안내인은 전에 여러 번 정상에 갔었고, 타운슨은 등산객들이 행운을 빌기 위해 남겨두는 작은 동전을 정상 돌 아래에서 그가 수집하는 것을 보았다. 크리반의 첫 번째 기록된 등반은 1773년 8월 4일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Spišská Nová Ves) 출신의 루터교 목사 안드레아스 요나스 치르베스(Andreas Jonas Czirbes)에 의해 이루어졌다.3. 4. 19세기 이후의 등반
1835년, 립토프스키 미쿨라시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영향력 있는 출판인이자 하위 귀족인 Gašpar Fejérpataky-Belopotocký|가슈파르 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sk와 그의 여섯 친구들이 크리반봉 정상에 올랐다. 그는 1837년 문학 저널 ''Hronka''에 이 등반을 묘사했다.[6]크리반봉 등반을 시도한 첫 번째 유명 인사는 1806년 30세의 합스부르크 요제프 대공이었지만, 악천후로 인해 계획이 중단되었다.[4] 실제로 정상에 오른 첫 번째 VIP는 1840년 작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였다.
슬로바키아 문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등반은 1841년, 당시 브라티슬라바 루터교 ''리체움''(예비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 슬로바키아어 강사였던 25세의 류도비트 슈투르가 이끌었다. 슈투르와 그 지역 주민들(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 포함)은 8월 16일에 크리반봉 정상까지 하이킹을 했는데, 이는 여성들이 포함된 최초의 기록된 등반이었다.[7]
3. 5. 국민 등반
19세기 중반부터 "국민 등산"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다.[8] 1835년 9월 24일, 립토프스키미쿨라시의 출판인 Gašpar Fejérpataky-Belopotocký|가슈파르 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sk와 그의 여섯 친구들이 크리반봉 정상에 올랐고, 그는 1837년 문학 저널 ''Hronka''에 이를 묘사했다.[6] 1841년에는 류도비트 슈투르가 지역 주민들과 함께 크리반봉을 등반했는데, 이는 여성들이 포함된 최초의 기록된 등반이었다.[7] 이후 비슷한 등반이 이어졌고, "국민 등산"이라고 불렸다.[8]1955년부터 매년 8월 말에 1944년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크리반 국민 등반(Národný výstup na Kriváň)"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8] 1981년에는 480명이 참가하기도 했다.[9] 현재는 슬로바키아 관광 클럽, 마티차 슬로벤스카, 비소케 타트리, 립토프스키미쿨라시가 공동 주최하는 연례 행사로 8월 셋째 주말에 열리며, 행사 기간 동안 매일 300명으로 등반 인원이 제한된다.[10]
4. 지리 및 등반
크리반봉은 코프로바 계곡이나 트리 스투드니치키 바닥에서 최대 1400m까지 솟아올라 있어 타트라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중 하나로 여겨진다.
크리반봉으로 향하는 세 개의 등산로는 약 2145m 고도에서 만나 정상까지 마지막 약 350m의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오르막길을 오르게 된다. 이 구간은 균형을 잡기 위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각 등산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색깔 | 시작 지점 | 고도 상승 | 비고 |
---|---|---|---|
파란색 | Štrbské Pleso와 Pribylina 사이 도로 | 약 1300m | 정상까지 같은 색으로 표시 |
녹색 | Pribylina에 더 가까운 트리 스투드니치키(Tri Studničky) | 약 1360m | 정상 아래에서 파란색 등산로와 연결 |
빨간색 | Štrbské Pleso | 약 1150m | Podbanské 방향으로 가다가 Jamské pleso에서 파란색 등산로와 합류 |
과거 광부들이 사용했던 역사적인 도로는 녹색 등산로와 파란색 등산로 사이에 있으며, Priehyba 능선 아래의 수목 한계선 위에서 녹색 등산로와 연결된다.[12] 이 도로는 슬로바키아 타트라 국립공원 관리 당국에 의해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크리반봉은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꾸준히 평가받고 있으며,[13] 정상에서는 360도 파노라마 전망을 볼 수 있다. 리프토프, 스피슈, 포드할레의 먼 지역부터 험준한 북쪽 경사면, 타트라 산맥의 여러 주요 봉우리들을 조망할 수 있다.
4. 1. 높이
크리반봉의 정확한 높이는 2494.7m이다.[3] 코프로바 계곡이나 트리 스투드니치키 바닥에서 최대 1400m까지 솟아올라 있어, 타트라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여겨진다.4. 2. 등반 경로
크리반봉으로 향하는 세 개의 등산로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시작하지만, 약 2145m 고도에서 만나 정상까지 마지막 약 350m의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오르막길을 오르게 된다. 이 구간은 균형을 잡기 위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 파란색 등산로: Štrbské Pleso와 Pribylina 사이 도로에서 시작하며, 정상까지 같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고도 상승은 약 1300m이다.
- 녹색 등산로: Pribylina에 더 가까운 트리 스투드니치키(Tri Studničky)에서 시작하며, 정상 아래에서 파란색 등산로와 연결된다. 고도 상승은 약 1360m이다.
- 빨간색 등산로: Štrbské Pleso에서 출발하여 Podbanské 방향으로 가다가 Jamské pleso에서 파란색 등산로와 합류하여 정상까지 이어진다. 고도 상승은 약 1150m이다.[11]
과거 광부들이 사용했던 역사적인 도로는 녹색 등산로와 파란색 등산로 사이에 있으며, Priehyba 능선 아래의 수목 한계선 위에서 녹색 등산로와 연결된다.[12] 이 도로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며, 슬로바키아 타트라 국립공원 관리 당국에 의해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4. 3. 전망
크리반봉은 미적, 역사적 매력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과 정상에서 전망을 찾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곳이다. 일반 자연 애호가와 감정가들의 설문 조사에서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꾸준히 평가받았다.[13] 정상에서는 360도 파노라마 전망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슬로바키아 최고 중 하나로 꼽힌다. 리프토프, 스피슈의 인구 밀집 지역과 포드할레의 먼 지역부터 험준한 북쪽 경사면, 타트라 산맥의 여러 주요 봉우리들(자코파네 너머의 Giewont, Rysy, Lomnický štít, Gerlach,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까지 조망할 수 있다. 파노라마는 서 타트라스와 낮은 타트라스, 그리고 시야가 좋은 날에는 그 너머의 산맥으로까지 이어진다.[14]5. 문화적 상징성
크리반봉은 슬로바키아에서 중요한 문화적 상징으로,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부터 슬로바키아 민족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가슈파르 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의 크리반봉 등반기(1835년)와 카롤 쿠즈마니의 소설 ''라디슬라프''(1838)는 크리반봉을 슬라브족 간의 형제애를 상징하는 장소로 묘사했다.[16] 류도비트 슈투르를 비롯한 낭만주의 시인들은 크리반봉을 슬로바키아 조국의 상징으로 칭송하며 시를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했다.[17]
사무엘 토마식의 시 "오, 크리반봉 아래"와 카지미에시 프제르와-테트마예르의 시 "크리반봉, 높은 크리반봉!"은 민요로 불릴 정도로 널리 알려졌고, 후자는 1972년 록 버전으로 발표되기도 했다.[19][20]
크리반봉은 1947년 단편 영화 ''크리반 북벽 등반''과 1954년 영화 ''고향''을 비롯한 여러 영화와 그림의 소재로 사용되었다.[21] 2005년에는 슬로바키아 유로 동전 이미지 중 하나로 선정되어 문화적 중요성이 강조되었다.[22]
5. 1. 낭만주의 시대의 상징
귀족 가슈파르 페예르파타키 벨로포토츠키(1794–1874)가 1835년 크리반봉 등반기를 문학 저널 ''흐론카''에 1837년에 게재한 후, 편집장 카롤 쿠즈마니(1806–1866)는 소설 ''라디슬라프''(1838)를 썼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이탈리아에서 독일과 폴란드 포드할레를 거쳐 집으로 가는 긴 여정에서 크리반봉 정상까지 하이킹을 하며 친구들과 함께 슬라브족 간의 형제애에 대해 이야기하고, 흥을 돋우는 노래를 부르고, 토카이 와인을 마신다.[16] 1841년 류도비트 슈투르와 그의 친구들의 크리반봉 하이킹은 이 두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으며, 슈투르는 1842년에 출판된 두 편의 시를 쓰게 되었다.[16] 낭만주의 시인들은 곧 눈길을 끄는 이 산을 열렬히 숭배하게 되었다. 유겐 V. 슈파르넨시스(1827-1853 이후)는 크리반봉을 자신의 조국의 상징이라고 불렀고, 얀코 크랄에게 슬로바키아인들은 "크리반봉의 아이들"이었으며, 사모 찰루프카의 시는 이 산을 민족들 사이에서 그들의 위치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17]5. 2. 대중문화 속의 크리반
지식인들이 크리반봉과 그 이미지에 부여하기 시작한 중요성은 점차 대중문화에 수용되었다. 초기 사례는 사무엘 토마식(1813–1887)의 시 "오, 크리반봉 아래"(''Hej, pod Kriváňom''; 원래 제목: ''Hej, pod Muráňom'')로, 익명의 민요로 간주되었으며[18] 민속 앨범에 종종 수록되었다. 마찬가지로, 폴란드 시인 카지미에시 프제르와-테트마예르의 "크리반봉, 높은 크리반봉!"(''Krywaniu, Krywaniu wysoki!'')[19]은 민요로 표기되었고, 스칼도비가 1972년에 발표한 록 버전에서는 작가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다.[20]5. 3. 예술 작품 속의 크리반
카롤 스크르십스키가 감독하고 시몬 유로브스키가 작곡한 음악과 함께 크리반 북벽의 최초 겨울 등반을 기록한 단편 영화 ''크리반 북벽 등반''(''Severnou stenou na Kriváň'', 1947)은 산괴의 남쪽 사면과 달리 기술적인 등반을 필요로 한다.[21] 이 산은 요제프 마흐 감독의 ''고향''(''Rodná zem'', 1954)을 포함한 여러 영화에서 매력적인 배경으로 등장했다. 또한 얀 할라(1946), 밀로시 알렉산데르 바조프스키(1956), 안드레이 도보시(1967), 라디슬라프 체미츠키(1979) 등 많은 화가들의 그림에 등장했다.[21] 2005년 전국 투표에서 슬로바키아의 유로 동전 이미지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크리반이 대중의 인식과 고급 문화에서 갖는 역할이 강조되었다.[22]5. 4. 슬로바키아 유로 동전
2005년 전국 투표에서 크리반이 슬로바키아의 유로 동전 이미지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크리반이 대중의 인식과 고급 문화에서 갖는 역할이 강조되었다.[22] 이는 크리반이 슬로바키아 국민에게 가지는 중요성을 보여준다.참조
[1]
서적
Medulla Geographiae Practicae, Peregrinantium inprimis usui, deinde Historiarum & rerum hoc tempore bellicosissimo gestarum...
1639
[2]
서적
Travels in Hungary, with a short account of Vienna in the year 1793.
1797
[3]
간행물
Mení sa výška štítov?
http://www.lesytanap[...]
[4]
서적
Osudy Vysokých Tatier; dejinný náčrtok so zvláštnym zreteľom na Kriváň.
1936
[5]
서적
Szögescipők nyomai a Kárpátok bércein.
1937
[6]
서적
Hornoliptovský panteón: Na 650. výročie prvej písomnej zmienky o hrádockom hrade z roku 1341.
1993
[7]
서적
Knížka o životě Ľudovíta Štúra.
2005
[8]
간행물
Krywań, narodowa góra Słowaków.
1956
[9]
서적
Wielka Encyklopedia Tatrzańska.
2004
[10]
웹사이트
Vyhodnotenie Národného výstupu na Kriváň
http://www.kst.sk/in[...]
2014-03-13
[11]
서적
Tatranské vrcholy: Vysokohorský sprievodca.
1973
[12]
웹사이트
Kriváň, mapa.
http://www.vysoke-ta[...]
[13]
간행물
Prvenstvo patrí Kriváňu
http://krasy-slovens[...]
[14]
서적
Slovensko: 69 vyhliadkových vrcholov.
1981
[15]
서적
The Collected Tales
Alfred A. Knopf
[16]
서적
Modele estetyczne liryki słowackiej romantycznego przełomu.
1975
[17]
서적
Dejiny slovenskej literatúry 2: Novšia slovenská literatúra, 1780-1918.
1984
[18]
뉴스
Profil: Slovenský predštúrovský básnik Samuel Tomášik sa narodil pred 195 rokmi.
TASR
2008-02-07
[19]
서적
Jak Jasiek z Ustupu, Hanusia od Królów i Marta Uherczykówna z Liptowa śpiewali w jedno słoneczne rano ku sobie.
1903
[20]
서적
Muzyka i Tatry.
1992
[21]
서적
Tatry v umení; Tatras in Arts.
2006
[22]
뉴스
Public chooses national symbol
http://www.spectator[...]
2005-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