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나드 3세 막 두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나드 3세 막 두브는 1005년 사망한 스코틀랜드의 왕이다. 13세기부터 14세기 초에 작성된 연대기에 그의 생애와 치세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맥더프 씨족의 조상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는 몬지바드 전투에서 말콤 2세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손녀 그루오흐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부인의 모델이 되었다. 키나드 3세의 사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지속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말콤 2세의 후손들과 갈등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66년 출생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 북가의 전성기를 이끌며 셋칸 정치의 중심인물로서, 딸들을 천황의 후궁으로 들여 막강한 외척 권력을 누리고 세 천황의 치세에 걸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966년 출생 - 후지와라노 긴토
    후지와라노 긴토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이자 시인, 음악가로서, 와카, 한시, 관현에 뛰어났으며, 시가집 편찬, 36가선 정립 등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사납언으로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며, 만년에는 섭관 정치 시대 조정의 의식과 연중행사에 대한 자료를 남겼다.
  • 1005년 사망 - 레호안
    레호안은 10세기 후반 베트남의 장군이자 전 레 왕조의 창건자로, 딘 왕조의 혼란을 틈타 황제가 되어 왕조를 개창하고 송나라의 침입을 격퇴했으며, 군정 실시, 법치 강화, 참파 정벌, 불교 장려 등 정치적,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 1005년 사망 - 아베노 세이메이
    아베노 세이메이는 헤이안 시대의 음양사로 천문과 점술에 능통하여 조정과 귀족의 신임을 받았고 사후에는 신비로운 전설과 민담의 주인공이 되었으며 현대 대중문화 속 인물로 자리 잡았다.
  • 10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두브 막 밀 콜룸
  • 10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말 콜룸 1세 막 돔날
    말 콜룸 1세 막 돔날은 897년 출생하여 943년 콘스탄틴 2세 퇴위 후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고 잉글랜드 약탈, 스트래스클라이드 위임, 모레이 진군 등의 활동을 하다 954년 사망했으며 케네스 2세와 두브를 아들로 두었다.
키나드 3세 막 두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왕위알바의 왕
통치 기간997년 – 기원후 1005년 3월 25일경
이전 통치자카우산틴 3세
후임 통치자말 콜룸 2세
왕가알핀 가
아버지두브, 알바의 왕
출생일기원후 966년경
사망일기원후 1005년 3월 25일경
사망 장소몬지에바드
매장 장소아이오나
별칭(갈색왕)
자녀
자녀보이테 막 키나다?

2. 치세와 후손

케네스 3세의 생애와 치세에 관한 주요 자료는 13세기 초에서 14세기 초에 작성된 연대기들이다. 이 기록들은 윌리엄 포브스 스킨의 ''픽트족과 스코트족 연대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존 오브 포던의 연대기(14세기)는 케네스 3세를 "그림(Grim)" 또는 "그라임(Gryme)"이라고 칭하며, 말콤 2세에게 살해되었다고 기록한다.

케네스 3세는 이전 자료에 등장하지 않아 존재 자체가 의심받기도 한다. 존 배너먼은 케네스 3세의 게일어 부칭인 ''mac Duib''가 ''더프''(Duff)와 ''맥더프''(MacDuff)라는 성씨로 발전했으며, 케네스 3세가 11세기부터 14세기 중반까지 파이프 백작을 배출한 맥더프 씨족의 직계 조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케네스 3세의 치세에 기록된 유일한 사건은 999년 사대 거장의 연대기에 기록된 질레 코엠게인 막 키네다에 의한 둥갈 막 키네다 살해 사건이다. 이 사건이 스코틀랜드와 관련된 것인지, 관련자들이 케네스 3세, 케네스 2세 또는 다른 인물의 아들인지는 불분명하다.[7][8] 1035년 얼스터 연대기에는 질라 카엠게인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손녀와 그녀의 남편 카탈(아말가이드의 아들)이 켈라흐(둔카드의 아들)에게 살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카탈은 서부 레이긴의 왕이었으며, 레인스터 왕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정황은 불분명하지만, 이 질레 코엠게인은 케네스 3세와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9]

2. 1. 몬지바드 전투와 죽음

1005년 3월 25일경, 케네스 3세는 스트래선의 몬지바드 전투에서 말콤 2세(Máel Coluim mac Cináeda)에게 패배하여 살해되었다.[10][11]

2. 2. 보이트와 그루오흐

보이트 막 키네다(Boite mac Cináeda)는 키나드 3세의 아들인지 케네스 2세의 아들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부분 키나드 3세의 아들로 추정된다.[12] 보이트의 아들이나 손자는 1032년 얼스터 연대기에 말콤 2세에게 살해되었다고 기록되었다.[12]

케네스 3세의 손녀 그루오흐(Gruoch ingen Boite meic Cináeda)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부인의 모델로 알려져 있다.[14] 그녀는 처음에는 모레이의 모르마에르 질레 코엠게인과 결혼했고, 이후 스코틀랜드의 왕 맥베스와 결혼했다.[14] 질레 코엠게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룰라크(Lulach mac Gille Coemgáin)는 맥베스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다.[14]

메이크 윌리엄(Meic Uilleim), 즉 윌리엄 피츠 덩컨의 후손들은 케네스 3세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으며, 클랜 맥 아오이 또는 클랜 매케이는 룰라크의 딸을 통해 케네스 3세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4]

2. 3. 맥더프 씨족과의 관계

맥더프 씨족이 케네스 3세의 후손이라는 이론은 그들이 왕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는 점에 기반한다.[6] 앤드루 오브 윈턴은 말콤 3세 (1058–1093년 재위)가 "파이프의 세습 영주 맥더프"에게 즉위식에서 왕을 즉위시키는 특권을 부여했다고 보고했다.[6] 존 오브 포던은 말콤 3세가 이 익명의 맥더프에게 왕국에서 첫 번째 인물이며 왕 다음이라고 약속했다고 전한다.[6] 이 익명의 맥더프는 말콤 3세의 왕위 등극과 관련된 이야기에 자주 등장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등장인물 맥더프로 묘사되었다.[6]

맥더프 씨족의 역대 수장이 "수석 즉위 담당자"였다는 지위는 알렉산더 2세 (1214–1249년 재위)와 알렉산더 3세 (1249–1286년 재위)의 즉위식 기록으로 확인된다.[6] 이 가문의 이전 수장들은 다른 귀족들보다 "왕실 문서를 훨씬 더 자주 증명"했으며, 그들의 이름은 종종 토착 스코틀랜드 귀족과 앵글로-노르만 귀족보다 먼저 평신도 증인들 사이에 나열되었다.[6] 12세기 초의 여러 가문 수장들은 스코티아의 치안 판사로 봉사했다.[6] 그들의 지도자들은 둔칸 (덩컨), 말콤), 콘스탄틴)과 같이 왕가와 이름이 같아서 당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이 높다.[6]

존 배너먼은 맥더프 씨족이 스코틀랜드 왕위에 대한 합법적인 주장을 가지고 있었지만, 말콤 3세와 그의 후손들로부터 특권으로 보상받았기에 이를 추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6]

3. 왕위 계승 분쟁

10세기 스코틀랜드에서는 카우산틴 막 키나다(콘스탄틴 1세)와 그의 형제 아에드 막 키나다(아에드)의 후손들 사이에 왕위 계승 다툼이 벌어졌다. 존 오브 포던은 케네스 2세가 왕위를 자신의 후손에게만 제한하는 새로운 규칙을 만들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한다. 콘스탄틴 3세가 왕위에 올랐지만, 그는 아에드의 마지막 알려진 후손이었다. 그의 죽음 이후 왕위 다툼은 카우산틴의 후손에서 갈라져 나온 말콤 2세(케네스 2세의 후손)와 두브의 후손(케네스 3세) 간의 경쟁으로 이어졌다.[15]

콘스탄틴 3세와 케네스 3세는 컴브리아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지 못했는데, 컴브리아는 말콤 2세의 거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말콤 2세는 케네스 2세의 왕위 계승 규칙에 따라 합법적인 상속자였다. 말콤 2세가 케네스 3세를 죽임으로써 자신의 계열이 승리하게 되었다. 그는 1034년까지 통치하며 자신의 후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15]

3. 1. 분쟁의 지속

케네스 3세가 사망한 후에도 두 왕실 분파 간의 경쟁은 계속되었다. 1033년, 말콤 2세는 케네스 3세의 후손을 살해했다.[15] 그루오흐는 케네스 3세의 또 다른 후손으로, 맥베스 (재위 1040–1057)의 배우자였다. 맥베스는 말콤 2세의 손자이자 상속자인 던컨 1세 (재위 1034–1040)의 경쟁자였으며, 이들은 이전 세기부터 이어져 온 격렬한 불화를 이어갔다.[15]

스트래스클라이드의 왕들도 이 분쟁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들이 스코틀랜드 왕위 경쟁 계열과 어떤 왕조적 관계를 맺었는지는 불확실하다. 스트래스클라이드의 오와인 1세 (937년 사망)가 도날드 2세 (재위 889–900)의 아들이라는 설에 기반하여, 스트래스클라이드 왕들이 도날드 2세의 또 다른 후손 계열을 대표한다는 이론이 제기되기도 했다.[15][16]

4. 대중문화 속 케네스 3세

루이스 그래식 기번의 소설 《클라우드 하우》에 케네스 3세의 죽음이 언급되어 있다.

케네스 3세는 그렉 와이즈먼이 쓴 가고일에 등장했다.

참조

[1] 문서 Cináed mac Duib
[2] 문서 The former is probable because later English-speaking sources called him "Grim"; Old Irish donn has similar meaning to Old English greimm, which means "power" or "authority"; see Skene, Chronicles, p. 98; Hudson, Celtic Kings, p. 105.
[3] 문서 Duncan, p. 22
[4] 문서 Smyth, pp. 220–221, 225; also ESSH, p. 522 note 4.
[5] 서적 Bannerman, MacDuff of Fife, p. 25–26 https://books.google[...]
[6] 서적 Bannerman, MacDuff of Fife, p. 22–26, 38 https://books.google[...]
[7] 문서 "ESSH, p. 520 note 5; Smyth, pp. 221–222, makes Gille Coemgáin the son of this Kenneth following ESSH, p. 580."
[8] 웹사이트 Annals of the Four Masters, online translation. Entry 998.14 http://www.ucc.ie/ce[...]
[9] 웹사이트 Annals of Ulster, online translation. Entry U1035.2 http://www.ucc.ie/ce[...]
[10] 문서 Annals of Ulster and Chronicon Scotorum, s.a. 1005; the various versions of the Chronicle of the Kings of Alba and The Prophecy of Berchán agree on the site of the battle; ESSH, pp 522–524. Duncan, p. 22, suggests that the killer's name should be read as Giric mac Cináeda, "Giric son of Kenneth", a brother of Malcolm. If not, this Giric was presumably also killed at about this time.
[11] 서적 Scottish Kings: A Revised Chronology of Scottish History, 1005–1625, with Notices of the Principal Events, Tables of Regnal Years, Pedigrees, Tables, Calendars, Etc https://archive.org/[...] D. Douglas 1906
[12] 문서 This Cináed and Boite's son, Smyth, pp. 220–221; Duncan, p. 32. See also ESSH, p. 571 note 7.
[13] 웹사이트 Annals of Ulster, online translation. Entry U1033.7 http://www.ucc.ie/ce[...]
[14] 문서 Duncan, pp. 102–103.
[15] 서적 Smyth, Warlords and Holy Men: Scotland AD 80–1000, pp. 224–227 https://books.google[...]
[16] 서적 Smyth, Warlords and Holy Men: Scotland AD 80–1000, p. 220 https://books.google[...]
[17] 문서 Duncan, p. 22
[18] 문서 Smyth, pp. 220–221 and 225; also ESSH, p.522, note 4.
[19] 서적 Bannerman, MacDuff of Fife, p. 25-26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Cawley, 2011 http://fmg.ac/Projec[...]
[21] 문서 "ESSH, p.520, note 5; Smyth, pp. 221–222, makes Gille Coemgáin the son of this Kenneth following ESSH, p. 580."
[22] 웹사이트 Annals of the Four Masters, online translation. Entry 998.14 http://www.ucc.ie/ce[...]
[23] 웹사이트 Annals of Ulster, online translation. Entry U1035.2 http://www.ucc.ie/ce[...]
[24] 문서 This Cináed and Boite's son, Smyth, pp. 220–221; Duncan, p. 32. See also ESSH, p. 571, note 7.
[25] 웹사이트 Annals of Ulster, online translation. Entry U1033.7 http://www.ucc.ie/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