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갑은 상나라의 왕으로,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외병과 중임의 뒤를 이어 네 번째 왕이 되었다. 즉위 후 폭정을 일삼다 재상 이윤에 의해 유배되었으나, 뉘우치고 복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전해진다. 반면 『죽서기년』에는 이윤이 왕위를 찬탈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존재한다. 갑골문에는 태갑이 상나라의 세 번째 왕으로, 아버지 대정의 뒤를 이었고, 형제 복병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무르실리 1세
히타이트 왕국의 왕인 무르실리 1세는 영토 확장과 바빌론 약탈 등의 원정으로 명성을 떨쳤으나, 귀환 중 암살당해 히타이트 왕국에 혼란을 초래했다.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하투실리 1세
하투실리 1세는 기원전 16세기경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수도를 네사에서 하투사로 옮기고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통치는 "하투실리 연대기"를 통해 상세히 알려져 있고 말년에는 손자인 무르실리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 상나라의 왕 - 태경
태경은 문서 분석 및 통합을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분석된 문서 목록, 기존 목차 분석, 통합 목차, 주요 주제 및 세부 주제 등을 포함한다. - 상나라의 왕 - 태무
태무는 고려 시대에 성벽 파괴나 적 공격에 사용된 투석기이자,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한 영양 공급원이기도 하다.
태갑 | |
---|---|
기본 정보 | |
성 | 자 (子) |
씨 | 미상 |
휘 | 지 (至) |
칭호 | 왕 |
대수 | 제4대 |
묘호 | 태종 (太宗) |
시호 | 태갑 (太甲) |
재위 기간 | 기원전 1623년–기원전 1611년 |
도읍 | 박 (亳) |
부친 | 태정 |
생애 | |
즉위 전 | 탕왕의 손자이자 태정의 아들 |
초기 통치 | 폭정으로 이윤에 의해 3년간 동궐에 유폐 |
복위 후 | 이윤의 훈도를 받아 백성을 다스림 |
기타 | |
관련 인물 | 이윤 |
2. 생애
태갑은 상나라의 왕으로, 기록에 따라 상이한 생애를 보낸 것으로 전해진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태갑은 외병과 중임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폭정을 일삼아 재상 이윤에 의해 유배되었다. 3년 후, 이윤은 태갑이 뉘우쳤다고 판단하여 복위시켰고, 이후 태갑은 백성을 잘 다스렸다고 한다.[1][2][3]
그러나 『죽서기년』에서는 이윤이 왕위를 찬탈했다가 태갑에게 살해당했다는 다른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윤은 사후 수백 년 동안 상나라 백성들에게 숭배를 받았기 때문에 전자의 기록(사마천의 『사기』)이 더 신뢰할 만하다고 여겨진다.[1][2][3]
갑골문 기록에는 태갑이 상나라의 세 번째 왕으로, 아버지 대정(大丁)의 뒤를 이었고, 대갑(大甲)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형제 복병(卜丙)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문헌 기록과 차이를 보인다.[2][3]
2. 1. 즉위와 폭정
태갑은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외병과 중임의 뒤를 이어 상나라의 네 번째 왕이 되었다. 기원전 1535년에 즉위하여 이윤을 재상으로 삼고, 보(亳)를 수도로 삼았다.[1]그는 백성을 가혹하게 다루고 자신의 법을 어기는 독재자였다. 즉위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 조정에 내분이 일어났다. 재상 이윤은 태갑에게 태도를 바꾸라고 충고했지만, 왕은 이를 듣지 않았다. 결국 이윤은 태갑을 탕(唐)의 묘가 있는 허난성 옌스 현 남서부의 퉁궁(桐宮, 오동나무 궁전)으로 유배하여 뉘우치게 하였다.[1]
2. 2. 유배와 복위
이윤은 태갑을 퉁궁(桐宮)으로 유배 보내 뉘우치게 하였다. 『사기』에서는 이윤이 3년간 섭정으로 통치하다가 태갑이 뉘우치자 복위시켰다고 전한다.[1][2][3] 그러나 『죽서기년』에서는 이윤이 왕위를 찬탈하고 태갑에게 살해당했다고 전하는 등 상반된 기록이 존재한다.[1] 갑골문 기록에는 태갑이 상나라의 세 번째 왕으로, 아버지 대정(大丁)의 뒤를 이었고, 형제 복병(卜丙)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사기』의 기록과는 차이를 보인다.[2][3]2. 3. 사망과 후계
태갑은 기록에 따라 12년 이상 통치하다 사망했다. 시호는 태갑(太甲)이다.[1][2][3] 《사기》와 《죽서기년》의 기록에는 아들 옥정(沃丁)이 뒤를 이었다고 나와있다.[1][2][3] 반면,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에는 그의 형제 복병(卜丙)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3]3. 이윤과의 관계
『사기』에서는 이윤이 태갑을 퉁궁(桐宮)으로 유배 보내 뉘우치게 하고, 3년 동안 섭정으로 국정을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태갑이 충분히 변했다고 느낀 이윤은 그를 복위시켰고, 태갑은 이후 백성을 잘 다스렸다고 한다. 이윤은 태갑 재위 10년째에 은퇴했으며, 태갑은 이윤이 사망한 후 중종(中宗)이라는 시호를 내렸다.[1]
반면 『죽서기년』에서는 이윤이 왕위를 찬탈하여 7년간 왕으로 군림하다가, 몰래 궁궐로 돌아온 태갑에게 살해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태갑은 이윤의 아들들인 이척과 이분에게 이윤의 토지와 성을 하사했다.
갑골문 기록에서는 이윤이 사후 수백 년 동안 상나라 백성들에게 숭배를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사기』의 기록이 더 신뢰할 만하다고 여겨진다.[1][2][3]
참조
[1]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Foreign Language Press
[2]
웹사이트
The Shang Dynasty Rulers
http://chinaknowledg[...]
China Knowledge
2007-08-07
[3]
웹사이트
Shang Kingship and Shang Kinship
http://www.indiana.e[...]
Indiana University
200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