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허는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안양시에 위치해 있다. 판경이 수도를 북몽으로 옮기고 은으로 개명한 후 무정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주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1899년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역사적 실체가 확인되었고, 1928년부터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시작되어 궁전, 사당, 무덤, 공방 등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다. 특히 무정의 부인 부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을 보여준다. 은허는 200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공원 - 대명궁
대명궁은 당나라 수도 장안에 위치했던 궁궐로, 당 고종 때 완공되어 당나라 정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주요 전각과 호수를 갖추고 안사의 난 이후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낙양 천도와 함께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명궁 국가유적공원으로 조성되어 실크로드의 일부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중국의 공원 - 칠성공원
칠성공원은 대규모 석회암 동굴인 칠성동굴을 포함하며 다양한 종유석과 석순, 지하 호수를 갖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관광 명소이자 자연 교육의 장이다. - 중국의 폐허 - 회령부
회령부는 금나라 건국 초 수도로서 현재 중국 하얼빈시 아청구에 위치하며, 상경회령부로 개칭되어 38년간 금나라의 중심지였으나 수도 이전 후 폐지되었다가 재설치되어 현재 금나라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중국의 폐허 - 자오허 고성
자오허 고성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분지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다가 14세기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은허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은허 |
한자 표기 | 殷墟 |
로마자 표기 | Yīnxū |
위치 | 중국 허난성 안양 시 인두 구 |
좌표 | 36°07′36″N 114°18′50″E |
설명 |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 유적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046년) |
세계 유산 정보 | |
공식 명칭 | 은허 |
ID | 1114 |
등재 연도 | 2006년 |
등재 기준 | 문화: ii, iii, iv, vi |
면적 | 414 헥타르 |
완충 구역 | 720 헥타르 |
역사 | |
시대 | 상나라 |
수도 시기 |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046년 (추정) |
수도 이전 시기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046년 (추정) |
마지막 수도 시기 | 기원전 1250년 ~ 기원전 1046년 (추정) |
발굴 | |
발굴자 | 이제 동작빈 |
기타 | |
일본어 표기 | 殷墟 (いんきょ) |
프랑스어 표기 | Yin xu |
2. 역사적 배경
은허는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로, 반경(盤庚)이 수도를 옮긴 후 멸망할 때까지 정치,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전해 내려오는 기록에 따르면, 상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은 폭정과 향락으로 백성들의 원망을 샀다. 그의 독재적인 법령은 귀족들을 소외시켰고, 결국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반란을 일으켜 상나라를 멸망시켰다.
주나라는 수도를 봉호(豐鎬)에 세웠고, 은은 버려져 폐허가 되었다. 이 유적은 사마천의 『사기』에서 언급되었고, 이도원의 『수경주』에서 상세히 묘사되었다. 그 후, 은은 전설 속으로 사라졌다가 청나라 말기에 재발견되었다.
1899년 이곳에서 갑골문 발견을 계기로 1928년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이곳이 은나라 수도 유적(은허)임이 확인되었다. 1961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2006년 7월에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1년에는 중국의 5A급 관광지로 인정되었다.[19]
2. 1. 은나라의 수도 변천
판경(盤庚)은 상나라의 수도를 염(奄, 현재 산둥성 곡부(曲阜))에서 북몽(北蒙)이라는 곳으로 옮긴 후, 그곳을 은(殷)으로 개명했다.[3][4][5] 무정(武丁) 시대에 은은 상나라의 수도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으며, 무정은 이곳을 기반으로 주변 부족들에 대한 군사 원정을 통해 상나라의 지배력을 강화했다.일각에서는 사마천의 『사기』를 근거로, 판경이 수도를 황하 북쪽에서 탕(湯)의 수도였던 박(亳)으로 옮겼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은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6]
3. 발굴 과정
1899년 국자감(國子監) 원장이었던 왕이룽(王懿榮)이 갑골을 처음 발견하면서 은허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9] 왕이룽은 말라리아를 앓고 있었는데, 한약방에서 처방받은 용골(龍骨)에서 고대 문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고대 중국 문자의 일종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갑골 발견 소식은 골동품 수집가들 사이에서 갑골에 대한 수요를 만들어 냈고, 그 결과 수십 년에 걸쳐 수만 점의 갑골이 무단으로 발굴되었다. "용골"의 출처는 결국 샤오툰(小屯)으로 밝혀졌다.[9] 1910년, 학자 뤄전위(羅振玉)는 이 지역이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 유적지임을 확인했다. 제임스 멘지스도 1910년 안양을 수도로 확인했다.[10] 1917년, 왕궈웨이(王国维)는 갑골 문자를 해독하여 상나라 왕들의 족보를 만들었다. 이것은 사마천의 ''사기''에 있는 족보와 거의 일치하여 전설적인 상나라의 역사적 진실성과 은허의 고고학적 중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9]
1928년부터 1937년까지 리지 고고학자가 역사철학연구소(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sophy)에서 최초의 공식적인 고고학 발굴을 이끌었다.[11] 이들은 왕궁 유적, 여러 왕릉, 그리고 10만 개가 넘는 갑골을 발굴하여 상나라가 잘 정비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12]
1950년 이후,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는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후강(後岡) 유적지의 지층, 궁궐과 사원 유적, 왕릉, 갑골 문자, 청동기와 뼈 공방, 그리고 환베이(洹北) 유적지의 발견 등의 증거를 찾아냈다.[11]
1976년에는 궁전 및 종묘 지구에서 부호(婦好)묘가 발굴되어 최고 수준의 청동기 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부호는 은나라 왕 무정(武丁)의 비(妃)로서 중국 역사상 최초로 언급되는 여장군이며, 그의 아들들은 무정 사후 은나라 왕위를 이었다. 이 무덤은 축조 연대가 확실하며, 피장자의 이름 역시 명확하여 은나라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토기 유형을 기반으로 유적지는 네 시기로 구분되며, 둥주오빈(董作賓)이 지정한 갑골 시대, 하상주 단대 연대 프로젝트가 지정한 왕조와 연대는 다음과 같다.[13][14]
지층 | 갑골 시대 | 왕 | 대략적인 연대 | ||||||||||||
---|---|---|---|---|---|---|---|---|---|---|---|---|---|---|---|
은허 I | 기원전 1300–1250년 | ||||||||||||||
I | 무정(武丁) | 기원전 1250–1192년 | |||||||||||||
은허 II | |||||||||||||||
II | 4. 은허의 규모 및 유적
殷墟중국어는 동서 6km, 남북 4km에 달하는 광대한 지역으로, 총면적은 240000m2에 이른다. 환수를 사이에 두고 북쪽과 남쪽으로 나뉘며, 남쪽에는 소둔촌(및 안양시) 등이, 북쪽에는 무관촌(武官村) 등이 위치한다. 4. 1. 부호묘 발굴1976년 궁전 및 종묘 지구에서 부호(婦好)묘가 발굴되어 최고 수준의 청동기 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었다.[20] 부호는 은나라 임금 무정의 왕비이자 중국 역사상 최초로 언급되는 여장군으로 유명하며, 그의 아들들은 무정 사후 은의 왕위를 이었다.[20] 이 무덤은 축조 연대가 확실하며, 피장자의 이름 역시 명확하여 은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20]부호묘는 도굴되지 않은 채 발견되었으며, 수습된 유물은 1,928점에 달한다. 주요 부장품으로는 청동기 468점, 옥기 755점, 골기 564점, 석기류 등이 있다.[20] 또한 16구의 순장 인골과 6마리의 개 유골이 발견되었으며, 무덤 위에서는 제사용 건물인 향당의 흔적이 발굴되었다.[20] 4. 2. 환북상성 유적무관촌 동쪽 화원장촌(花園莊村)에서는 은허 직전 시기인 은 중기의 도읍 유적인 환북상성(洹北商城)이 발견되었다. 양갑(陽甲), 반경(盤庚), 소신(小辛)이 이곳에 수도를 정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문자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5. 유물의 특징 및 중요성
은허에서 발굴된 약 15만 점의 갑골문은 초기 한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상나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5] 왕이룽(王懿榮)이 갑골을 처음 발견한 이후, 뤄전위(羅振玉), 왕궈웨이(王国维) 등의 학자들이 갑골문을 연구하여 상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밝혀냈다.[9] 리지(李济)가 이끈 1928년-1937년의 발굴에서는 10만 개가 넘는 갑골이 발굴되어 상나라의 문자 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었음을 보여주었다.[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