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신호 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신호 화재는 1956년 1월 12일 새벽, 삼천포 앞바다에 정박 중이던 조선기선 소속 여객선 태신호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이다. 이 화재로 승객 147명 중 66명이 사망하고 8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고 원인은 선원의 부주의로 밝혀졌으며, 정원 초과, 선장의 부적절한 대처, 객실 내 선원실 배치 등 안전 규정 위반이 피해를 키웠다. 사고 이후 국회 진상조사위원회 구성, 희생자 위로 및 보상, 선박여객보험제도 도입 논의 등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박 화재 - 충주호 유람선 화재
    1994년 충주호에서 발생한 유람선 충주 5호 화재는 미흡한 초동 대처와 안전 불감증 속에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키며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고이다.
  • 선박 화재 - 포트 시카고 참사
  • 대한민국의 화재 - 은성탄광 화재
  • 대한민국의 화재 -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는 2018년 10월 7일에 발생하여 휘발유 탱크 폭발 및 화재로 약 43억 5천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으며, 유독 가스로 인해 수도권 일대에 대기 오염을 유발했다.
태신호 화재
사고 개요
사고 명칭태신호 화재 사고
발생 위치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 태신호
발생 날짜1999년 7월 2일
시간오전 10시 50분
원인불명 (담뱃불로 추정)
유형화재
피해 상황
사망자4명
부상자13명
소실 면적4,260m²
소실 건물17채
건물 종류목조 아파트 밀집 지역
배경
지역 특징목조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으로 화재에 취약했음.
도로 사정도로 폭이 좁아 소방차 진입이 어려웠음.
사고 후
교훈목조 아파트 밀집 지역의 화재 예방 및 초기 진화의 중요성이 강조됨.
법률 개정특정 방화 대상물에 대한 소방 계획 작성 의무화.

2. 사고 경위

1956년 1월 12일 새벽 3시 30분, 부산여수행 조선기선 소속 135톤급 여객선 태신호가 삼천포 앞바다에 정박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3시간 만에 진화되었으나, 잠자던 승객과 선원 147명 중 66명이 사망하고, 경상자와 중상자를 합쳐 8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5]

태신호는 1955년 12월에도 통영시 앞바다에서 태풍호와 충돌하여 5명이 실종되는 사고를 낸 적이 있었다.[17][16]

2. 1. 화재 발생

1956년 1월 12일 새벽 3시 30분, 부산여수행 여객선 태신호가 삼천포 앞바다에 정박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15] 조선기선 주식회사 소속 135톤급 선박인 태신호에서 발생한 불은 3시간 만에 진화되었으나, 잠자던 승객 147명 중 66명이 사망하고 경상자와 중상자를 합쳐 8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5]

2. 2. 피해 상황

1956년 1월 12일 새벽 3시 30분, 부산발 여수행 여객선으로 삼천포항에 기항 중이던 조선기선 주식회사 소속 135톤급 태신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불은 3시간 만에 진화되었고, 잠자던 승객 147명 중 66명이 사망하였다. 경상자와 중상자를 합하여 사상자는 88명이었다.[15][2]

태신호는 1955년 12월에도 통영시 앞바다에서 태풍호와 충돌하여 5명이 실종되는 사고를 일으켰다.[17][16][3][4]

3. 원인 분석 및 논란

화재 원인은 선원의 부주의로 밝혀졌다.[10] 치안국은 선박 내 소방 시설과 정원은 위반 사항이 없다고 밝혔다.[11] 그러나 현지 경찰 조사 결과, 선장이 배의 멸실을 막기 위해 3등 선실의 유일한 출입구를 봉쇄하여 질식으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2] 또한, 1953년 1월 22일 경찰 확인 결과 태신호는 정원(승객 122명, 선원 11명)을 초과한 147명이 승선했고, 객실 내 선원실 배치도 사고 확대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13]

3. 1. 선원의 부주의

화재 원인은 선원의 부주의로 인한 것으로 알려졌다.[15] 치안국은 선박 내 소방 시설과 정원은 위반 사항이 없다고 밝혔다.[22] 현지 경찰은 조사 결과, 선장이 화재가 발생한 배의 소실을 막기 위해 3등 선실의 유일한 출입구를 봉쇄하여,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질식사했다고 치안국에 보고했다.[23] 1953년 1월 22일, 경찰 확인 결과 태신호의 정원은 승객 122명, 선원 11명이었으며, 사고 당일에는 147명이 승선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객실 안에 선원실을 배치한 것도 사고 확대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24]

3. 2. 선장의 부적절한 대처

현지 경찰은 조사 결과, 선장이 화재가 발생한 배의 소실을 막기 위해 3등 선실의 유일한 출입구를 봉쇄했고, 그로 인해 질식으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치안국에 보고했다.[23]

3. 3. 안전 규정 위반

화재 원인은 선원의 부주의로 알려졌다.[15] 치안국은 선박 내 소방 시설과 정원에 위반 사항이 없다고 발표했다.[22] 그러나 1월 22일 경찰 확인 결과, 태신호의 정원은 승객 122명, 선원 11명이었으나 사고 당일 147명이 승선해 정원을 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24] 또한 객실 안에 선원실을 배치한 것도 사고 확대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24]

4. 사후 처리 및 여파

태신호 화재 사고는 선박 여객 보험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9]

4. 1. 국회 진상조사위원회 구성

대한민국 국회는 1953년 1월 13일 태신호 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하였다.[17][5]

4. 2. 희생자 위로 및 보상

사고 희생자를 위로하기 위해 각지에서 위문품이 모여들었다.[18] 태신호 조난사건대책본부에서는 유족들에게 사망자 1인당 100000KRW을 지급하였다. 조선기선에서는 장례비로 1인당 30000KRW, 위자료로 100000KRW을 지불하기로 하였다.[19][20] 이 사고를 계기로, 선박여객보험제도를 제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다.[21]

4. 3. 선박여객보험제도 도입 논의

태신호 화재 사고를 계기로, 선박 여객 보험 제도 제정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9]

참조

[1] 뉴스 航海中의旅客船에火災 동아일보 1956-01-13
[2] 뉴스 生地獄이된旅客船 경향신문 1956-01-13
[3] 뉴스 太信號事件調査 國會서決議 동아일보 1956-01-14
[4] 뉴스 乘客五名行方不明 동아일보 1955-12-08
[5] 뉴스 太信號事件調査 國會서決議 동아일보 1956-01-14
[6] 뉴스 49柱의遺骸身元判明 各界서吊慰金品 경향신문 1956-01-17
[7] 뉴스 一人當 慰藉料 十萬圜씩 支拂 경향신문 1956-01-18
[8] 뉴스 慰藉料十萬圜 遺族에支拂決定 동아일보 1956-01-18
[9] 뉴스 船舶旅客保險制度만들라「太信號」事故에輿論 경향신문 1956-01-20
[10] 뉴스 生地獄이된旅客船 경향신문 1956-01-13
[11] 뉴스 職員現地派遣 治安局서 동아일보 1956-01-14
[12] 뉴스 船長이 三等室出入口를封鎻 동아일보 1956-01-15
[13] 뉴스 定員超過等 새事實綻露 太信號事件 동아일보 1956-01-24
[14] 뉴스 航海中의旅客船에火災 동아일보 1956-01-13
[15] 뉴스 生地獄이된旅客船 경향신문 1956-01-13
[16] 뉴스 乘客五名行方不明 동아일보 1955-12-08
[17] 뉴스 太信號事件調査 國會서決議 동아일보 1956-01-14
[18] 뉴스 49柱의遺骸身元判明 各界서吊慰金品 경향신문 1956-01-17
[19] 뉴스 一人當 慰藉料 十萬圜씩 支拂 경향신문 1956-01-18
[20] 뉴스 慰藉料十萬圜 遺族에支拂決定 동아일보 1956-01-18
[21] 뉴스 船舶旅客保險制度만들라「太信號」事故에輿論 경향신문 1956-01-20
[22] 뉴스 職員現地派遣 治安局서 동아일보 1956-01-14
[23] 뉴스 船長이 三等室出入口를封鎻 동아일보 1956-01-15
[24] 뉴스 定員超過等 새事實綻露 太信號事件 동아일보 1956-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