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수염금눈돔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턱수염금눈돔과는 턱수염금눈돔속을 유일하게 포함하며, 현존하는 10종의 어류가 알려져 있다. 턱수염금눈돔과는 턱수염금눈돔목에 속하며, 이 목에는 멸종된 여러 속과 과도 포함된다. 턱수염금눈돔목은 신진골어류의 계통 분류에서 측극기류에 속하며, 백악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분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턱수염금눈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Polymixiidae |
명명자 | Bleeker, 1859 |
속 분류 | 과 |
속 | †Boreiohydriidae Murray & Cumbaa 2013 †Dalmatichthyidae Radovčić 1975 †Digoriidae Bannikov 1985 †Dinopterygidae Jordan, 1923 Polymixiidae Gill 1862 †Pycnosteroididae Patterson, 1964 |
이명 | Polymixioidei Bleeker 1859 |
모식종 | Polymixia nobilis |
모식종 명명자 | R. T. Lowe, 1838 |
생물학적 분류 | |
상위 분류군 명명자 | Rosen & Patterson, 1969 |
상위 분류군 표시 | 2 |
목 | 턱수염금눈돔목 |
과 | 턱수염금눈돔과 |
형태 및 생태 | |
크기 | 약 800 깊이에서 발견됨 |
최대 크기 | 40까지 자람 |
고생물학 | |
화석 범위 | 95 to present]] 가능성 있는 Albian 발생 |
추가 정보 | |
학술 자료 |
2. 분류
턱수염금눈돔과는 현존하는 턱수염금눈돔속과 여러 화석 속으로 분류된다. 턱수염금눈돔목(Polymixiiformes)은 1969년 로젠(Rosen)과 패터슨(Patterson)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6][8][9]
턱수염금눈돔과는 넬슨(Nelson)에 따르면 분류가 자주 바뀌는 그룹 중 하나로,[16] 이전에는 금눈돔목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2. 1. 현존하는 분류
현재 턱수염금눈돔과에 속하는 어류는 '''턱수염금눈돔속'''(''Polymixia'')이 유일하며, 모두 10종이 알려져 있다.[15]- '''턱수염금눈돔속''' (''Polymixia'')
- * ''P. lowei'' Günther, 1859
- * 태평양턱수염금눈돔 (''P. berndti'') Gilbert, 1905
- * ''P. salagomeziensis'' Kotlyar, 1991
- * ''P. fusca'' Kotthaus, 1970
- * ''P. yuri'' Kotlyar, 1982
- * ''P. longispina'' Deng, Xiong & Zhan, 1983
- * 대서양턱수염금눈돔 (''P. nobilis'') Lowe, 1838
- * ''P. busakhini'' Kotlyar, 1993
- * ''P. sazonovi'' Kotlyar, 1992
- * 턱수염금눈돔 (''P. japonica'') Günther, 1877
넬슨(Nelson)에 따르면, 턱수염금눈돔과는 분류가 자주 바뀌는 그룹 중 하나이다.[16] 이전에는 금눈돔목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2. 2. 화석 분류
Polymixiiformes|턱수염금눈돔목영어은 1969년 로젠(Rosen)과 패터슨(Patterson)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6][8][9]턱수염금눈돔목의 화석 분류는 다음과 같다.
속 | 종 | 과 | 비고 |
---|---|---|---|
†Allocyclostoma | †A. alienus | ? | 이석(otolith)[5] |
†Cumbaaichthys | †Cumbaaichthys oxyrhynchus | ||
†Severnichthys | †S. beauryi †S. bourdoni | 이석(otolith)[10] | |
?†Texoma | †T. cyclogaster | ? | 이석(otolith)[5] |
†Boreiohydrias | †Boreiohydrias dayi | †Boreiohydriidae | |
†Dalmatichthys | †Dalmatichthys malezi | †Dalmatichthyidae | |
†Digoria | †Digoria ambigua | †Digoriidae | |
†Dinopteryx | †Dinopteryx spinosus | †Dinopterygidae | |
†Apricenaichthys | †Apricenaichthys italicus | Polymixiidae | |
†Berycopsia | †Berycopsia inopinnata | ||
†Berycopsis | †B. elegans †B. germana †B. pulcher | ||
†Cowetaichthys | †C. alabamae †C. beauryi †C. carnevalei †C. groenlandicus †C. harderi †C. lamberi | 이석(otolith)[11] | |
†Homonotichthys | †H. dorsalis †H. elegans †H. rotundus | ||
†Namicauda | †Namicauda pulvinata | 이석(otolith)[12] | |
†Omosoma | †O. garretti †O. pulchellum †O. sahelalmae †O. tselfatense | ||
†Omosomopsis | †Omosomopsis sima | ||
†Parapolymixia | †Parapolymixia californica | ||
†Pycnosterinx | †P. discoides †P. dorsalis †P. heckelii †P. latus †P. russeggeri | ||
Polymixia | P. berndti (태평양 턱수염금눈돔) P. busakhini (부사킨 턱수염금눈돔) P. carmenae (브라질 턱수염금눈돔)[7] P. fusca †?P. harderi 이석(otolith)[13] P. hollisterae (버뮤다 턱수염금눈돔) P. japonica (은눈돔) P. longispina P. lowei (턱수염금눈돔) P. nobilis (통통한 턱수염금눈돔) †P. polita 이석(otolith) P. salagomeziensis P. sazonovi P. yuri | ||
†Polyspinatus | †Polyspinatus fluere | [4] | |
†Magrebichthys | †Magrebichthys nelsoni | †Pycnosteroididae | |
†Pycnosteroides | †Pycnosteroides levispinosus |
다음은 2016년 현재, 계통 분류이다.[17]
[1]
FishBase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신진골어류
|-
|
{| class="wikitable"
| 레피도갈락시아스목
|-
|
{| class="wikitable"
! 원극기류
|-
|
{| class="wikitable"
| 샛멸목
|-
|
{| class="wikitable"
| 갈락시아스목
|-
|
|}
|}
|}
|-
|
{| class="wikitable"
! 앨퉁이류
|-
|
|-
|
{| class="wikitable"
| 꼬리치목
|-
|
{| class="wikitable"
| 홍메치목
|-
|
{| class="wikitable"
| 샛비늘치목
|-
! Acanthomorpha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4. 분포 연대표
시대 세 종 백악기 후세 Aipichthyoides Aipichthys Paraipichthys Homonotichthys Omosoma Berycopsis Berycopsia Dalmatichthys Pycnosterinx 팔레오세 Polymixia
참조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1994-04-29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논문
A new beardfish (Teleostei, Polymixiiformes) from the Eocene Fur Formation, Denmark
https://www.tandfonl[...]
2022-08-31
[5]
논문
Oldest Teleostean Otolith Assemblage from North America (Pawpaw Formation, Lower Cretaceous, upper Albian, northeast Texas, USA)
https://www.scienced[...]
2022-12-01
[6]
논문
Mid-Cretaceous acanthomorph fishe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the Turonian of Lac des Bois,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https://journals.lib[...]
2014
[7]
논문
Another piece of the living fossil puzzle: A new species of Polymixia Lowe, 1836 (Polymixiiformes: Polymixiidae) from the western South Atlantic
https://www.scienced[...]
2024-03-01
[8]
웹사이트
Polymixiomorpha – beardfishes and relatives
http://www.helsinki.[...]
2016-12-30
[9]
논문
Part 7- Vertebrates
http://mave.tweakdsl[...]
2016-06-30
[10]
논문
Upper Cretaceous teleostean otoliths from the Severn Formation (Maastrichtian) of Maryland, USA, with an unusual occurrence of Siluriformes and Beryciformes and the oldest Atlantic coast Gadiformes
https://doi.org/10.1[...]
2021
[11]
논문
A LATE SANTONIAN FISH-FAUNA FROM THE EUTAW FORMATION OF ALABAMA RECONSTRUCTED FROM OTOLITHS
https://riviste.unim[...]
2018-01-22
[12]
논문
An Early Oligocene fish-fauna from Japan reconstructed from otoliths
https://epub.ub.uni-[...]
2017
[13]
웹사이트
Bulletin Volume 65 – 2017
https://2dgf.dk/publ[...]
2024-07-28
[1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5]
FishBase
[16]
서적
https://archive.org/[...]
[17]
웹인용
https://sites.google[...]
2020-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