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 다항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텃 다항식은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2변수 다항식으로, 그래프의 다양한 속성을 나타낸다. 그래프 G=(V,E)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_G(x,y)=\sum\nolimits_{A\subseteq E} (x-1)^{k(A)-k(E)}(y-1)^{k(A)+|A|-|V|}. 텃 다항식은 색칠 다항식, 흐름 다항식, 존스 다항식, 신뢰도 다항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특수화를 통해 그래프의 여러 성질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텃 다항식은 삭제-축약 재귀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 복잡성은 특정 점에서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윌리엄 토머스 텃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매트로이드로 일반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트로이드 이론 - 매트로이드 마이너
매트로이드 마이너는 매트로이드에서 부분집합 제거 또는 제한 연산을 반복하여 얻어지는 매트로이드로, 매트로이드의 성질 보존, 구조 분석, 그래프 이론과의 연결, 여러 종류의 매트로이드, 구조 파악 및 복잡성 분석, 효율적인 테스트 알고리즘 개발 등에 활용된다. - 매트로이드 이론 - 탐욕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은 각 단계에서 가장 좋아 보이는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 설계 패러다임으로, 최적 부분 구조와 탐욕 선택 속성을 가진 문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며, 다익스트라, 프림, 크루스칼 알고리즘 등에 사용된다. - 계산 문제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 계산 문제 - 최적화 문제
최적화 문제는 주어진 제약 조건 하에 특정 목적 함수의 값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화하는 해를 찾는 문제로, 제약 조건 유무, 함수 종류, 변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 그래프 이론 -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과학, 공학, IT,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보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시각적 사고를 돕는다. - 그래프 이론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는 프레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 출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오일러에 의해 그래프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해결되었으며 그래프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다.
텃 다항식 | |
---|---|
개요 | |
이름 | 텃 다항식 |
분야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발명가 | 윌리엄 토머스 텃 |
발견 시기 | 1940년대 후반 |
정의 | |
공식 정의 | 그래프 또는 행렬의 연결성을 대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
특징 | |
변수 | 2개 (x, y) |
응용 분야 | 그래프 채색 문제 아이스 모델 포츠 모델 매트로이드 이론 |
2. 정의
무방향 그래프 의 텃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는 그래프 의 연결 요소의 수이다.
휘트니 랭크 생성 함수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를 그래프 의 랭크로 정의하면, 휘트니 랭크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텃 다항식은 다음 변수 변환을 통해 휘트니 랭크 생성 함수와 동치이다.
:
연결된 그래프 에 대해, 텃 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내부 활동''이 이고 ''외부 활동''이 인 스패닝 트리의 수이다.
텃 다항식은 삭제-축약 재귀식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래프 의 에지 축약 는 정점 와 를 병합하고 에지 를 제거하여 얻은 그래프이다. 에지 가 단순히 제거된 그래프는 로 쓴다. 그러면 텃 다항식은 다음의 재귀 관계를 만족한다.
:
여기서 는 루프도 아니고 브리지도 아니다. 만약 가 개의 브리지와 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다른 에지가 없다면,
:
이다. 특히, 에 에지가 없으면 이다.
=== 매트로이드의 텃 다항식 ===
유한 매트로이드 의 텃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2변수 다항식 이다.
:
0 | 36 | 84 | 75 | 35 | 9 | 1 |
36 | 168 | 171 | 65 | 10 |
120 | 240 | 105 | 15 | |
180 | 170 | 30 | ||
170 | 70 | |||
114 | 12 | |||
56 | ||||
21 | ||||
6 | ||||
1 |
또 다른 예로, 정팔면체 그래프의 텃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12\,{y}^{2}{x}^{2}+11\,x+11\,y+40\,{y}^{3}+32\,{
y}^{2}+46\,yx+24\,x{y}^{3}+52\,x{y}^{2} \\
&+25\,{x}^{2}+29\,{y}^{4}+15\,{y
}^{5}+5\,{y}^{6}+6\,{y}^{4}x \\
&+39\,y{x}^{2}+20\,{x}^{3}+{y}^{7}+8\,y{x}^
{3}+7\,{x}^{4}+{x}^{5}
\end{align}
3. 1. 기본 성질
텃 다항식은 연결된 성분으로 인수분해된다. 만약:
만약
:
특히, 평면 그래프의 색상 다항식은 쌍대 그래프의 흐름 다항식이다. 텃은 이러한 함수들을 '''V-함수'''라고 지칭한다.[6]
3. 2. 그래프의 경우
연결 성분으로의 인수분해: 만약:
평면 그래프와 쌍대 그래프: 만약
:
특히, 평면 그래프의 색상 다항식은 쌍대 그래프의 흐름 다항식이다. 텃은 이러한 함수들을 V-함수라고 지칭한다.[6]
4. 특수화
:
여기서
정수 λ에 대해 색상 다항식
# ''G''에 ''n''개의 정점이 있고 변이 없으면
# ''G''에 루프(정점을 자체에 연결하는 단일 변)가 포함되어 있으면
# ''e''가 루프가 아닌 변인 경우
::
위의 세 가지 조건은 변 삭제 및 축약의 시퀀스를 적용하여
:
포츠 모델 | Tutte 다항식 |
---|---|
강자성 | |
반강자성 | |
고온 | |
저온 강자성 | |
영온 반강자성 | 그래프 q-채색, 즉 |
4. 1. 색칠 다항식
:
여기서
정수 λ에 대해 색상 다항식
# ''G''에 ''n''개의 정점이 있고 변이 없으면
# ''G''에 루프(정점을 자체에 연결하는 단일 변)가 포함되어 있으면
# ''e''가 루프가 아닌 변인 경우
::
위의 세 가지 조건은 변 삭제 및 축약의 시퀀스를 적용하여
:
포츠 모델 | Tutte 다항식 |
---|---|
강자성 | |
반강자성 | |
고온 | |
저온 강자성 | |
영온 반강자성 | 그래프 q-채색, 즉 |
5. 특정 점에서의 값
5. 1. (1, 1)
5. 2. (2, 1)
숲의 개수는5. 3. (1, 2)
5. 4. (2, 0)
5. 5. (0, 2)
5. 6. (0, -2)
''G''가 4-정규 그래프일 때,6. 계산 복잡도
여러 계산 문제는 텃 다항식과 관련되어 있다. 가장 간단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입력: 그래프
;'''출력:
특히, 이 출력은 ''G''의 3-채색 수를 세는 것과 동일한
훨씬 더 많은 관심이 텃
;입력: 그래프
;출력:
이러한 문제의 난이도는 좌표
== 정확한 계산 ==
''x''와 ''y''가 모두 음이 아닌 정수이면, 문제
:
이 경우에는 다항 시간 내에 계산 가능하다.[25]
[[File:Tractable points of the Tutte polynomial in the real plane.svg|thumb|300px|right|
터트 평면.
실수 평면의 모든 점
빨간색 점에서는 문제가 다항 시간 안에 계산 가능하다.
파란색 점에서는 문제가 일반적으로 #P-hard이지만, 평면 그래프에 대해서는 다항 시간 안에 계산 가능하다.
흰색 영역의 모든 점에서는 문제가 이분 평면 그래프에 대해서도 #P-hard이다.
]]
문제가 평면 그래프 클래스로 제한되는 경우, 쌍곡선
이러한 결과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수한 경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아이징 모형의 분배 함수를 계산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P-hard이지만, Onsager와 Fisher의 유명한 알고리즘은 평면 격자에 대해 이를 해결한다. 또한, 존스 다항식을 계산하는 것은 #P-hard이다. 마지막으로, 평면 그래프의 4색칠 수를 계산하는 것은 사색 정리에 의해 결정 문제가 자명함에도 불구하고 #P-complete이다. 반대로, 평면 그래프의 3색칠 수를 계산하는 것이 파시모니어스 환원을 통해 결정 문제가 NP-complete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P-complete임을 아는 것은 쉽다.
== 근사 계산 ==
정확한 계산만큼 상황이 잘 이해되지는 않지만, 평면의 넓은 영역이 근사하기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24]
6. 1. 정확한 계산
''x''와 ''y''가 모두 음이 아닌 정수이면, 문제:
이 경우에는 다항 시간 내에 계산 가능하다.[25]
[[파일:Tractable points of the Tutte polynomial in the real plane.svg|thumb|300px|right|
터트 평면.
실수 평면의 모든 점
빨간색 점에서는 문제가 다항 시간 안에 계산 가능하다.
파란색 점에서는 문제가 일반적으로 #P-hard이지만, 평면 그래프에 대해서는 다항 시간 안에 계산 가능하다.
흰색 영역의 모든 점에서는 문제가 이분 평면 그래프에 대해서도 #P-hard이다.
]]
문제가 평면 그래프 클래스로 제한되는 경우, 쌍곡선
이러한 결과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수한 경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아이징 모형의 분배 함수를 계산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P-hard이지만, Onsager와 Fisher의 유명한 알고리즘은 평면 격자에 대해 이를 해결한다. 또한, 존스 다항식을 계산하는 것은 #P-hard이다. 마지막으로, 평면 그래프의 4색칠 수를 계산하는 것은 사색 정리에 의해 결정 문제가 자명함에도 불구하고 #P-complete이다. 반대로, 평면 그래프의 3색칠 수를 계산하는 것이 파시모니어스 환원을 통해 결정 문제가 NP-complete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P-complete임을 아는 것은 쉽다.
6. 2. 근사 계산
정확한 계산만큼 상황이 잘 이해되지는 않지만, 평면의 넓은 영역이 근사하기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24]
7. 역사
윌리엄 토머스 텃이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학부 시절 삭제-축약 공식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텃 다항식을 도입하였다.[6] 텃은 완전 사각형과 신장 트리에 관심을 가졌고, 삭제-축약 재귀를 만족하는 그래프 불변량을 연구했다. 텃은 처음에 이 다항식을 ''W-함수''라 불렀고, 구성 요소에 곱해지는 경우 ''V-함수''라고 불렀다. 이후 "두 변수 다항식을 얻었는데, 여기서 변수 중 하나를 0으로 설정하고 부호를 조정함으로써 색상 다항식 또는 플로우 다항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하며, 이 함수를 ''이색체(dichromate)''라고 불렀으나, 일반적으로 "텃 다항식"으로 굳어졌다.[6] 텃은 하슬러 휘트니가 유사한 계수를 알고 사용했기에 이러한 명칭이 불공정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6] 헨리 크래포가 텃 다항식을 매트로이드로 일반화하였다.[8]
대수적 그래프 이론 연구 외에도, 1952년 통계 역학에서 포츠 모형의 분할 함수 연구가 진행되었다.[8] 포츠 모형의 일반화인 무작위 클러스터 모델에 대한 포르투인과 카스테레인의 연구는 텃 다항식과의 관계를 보여주었다.[9][8]
8. 알고리즘
삭제-축약 알고리즘은 텃 다항식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재귀 알고리즘이다.[18] 이 알고리즘은 주어진 그래프에서 루프나 브리지가 아닌 모서리 ''e''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축약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삭제된 그래프와 축약된 그래프 각각에 대해 텃 다항식을 재귀적으로 계산한 후, 두 결과를 더하여 전체 그래프의 텃 다항식을 얻는다.[18] 이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은 그래프의 정점 수 ''n''과 모서리 수 ''m''에 대해 지수적(
특정 경우, 가우스 소거법을 이용하여 텃 다항식을 다항 시간 내에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그래프의 신장 트리 개수(
마르코프 연쇄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면 텃 다항식의 근사값을 계산할 수 있다. 특히, 강자성 이징 모형의 분배 함수를 따르는 양의 가지(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문서
Welsh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