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르모플라스마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르모플라스마강은 고세균의 강으로, 테르모플라스마목과 메타노마실리코칼레스목 등을 포함한다.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 기반 분류 체계에 따라 하위 분류가 나뉘며, 다양한 과와 속을 포함한다. 이 강에 속하는 종들은 만성 치주염, 메탄 배출 감소, 고세균의 기원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테르모플라스마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Thermoplasmata |
명명자 | Reysenbach, 2002 |
이명 | Picrophilea Cavalier-Smith 2002 "Thermoplasmatia" Oren, Parte & Garrity 2016 "Thermoplasmia" Cavalier-Smith 2020 |
분류학적 위치 | |
도메인 | 고균 |
계 | 유리고균계 |
문 | 유리고균문 |
강 | テルモプラズマ綱 |
하위 분류 | |
목 | Aciduliprofundales Gimiplasmatales Halarchaeoplasmatales Lunaplasmatales Lutacidiplasmatales 메타노마실리이코케스 Proteinoplasmatales Sysuiplasmatales 테르모플라스마목 Yaplasmatales |
2. 하위 분류
테르모플라스마강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다.
- 테르모플라스마목 (Thermoplasmatales)
- 메타노마실리이코코스목 (Methanomassiliicoccales)
- 미배양 계통
2. 1. 테르모플라스마목 (Thermoplasmatales)
- 테르모플라스마목 (Thermoplasmatales)
- * 페로플라스마과 (Ferroplasmaceae)
- * 피크로필루스과 (Picrophilaceae)
- * 테르모플라스마과 (Thermoplasmaceae)
- * 쿠니클리플라스마과 (Cuniculiplasmataceae)
2. 2. 메타노마실리코칼레스목 (Methanomassiliicoccales)
메타노마실리이코코스목(Methanomassiliicoccales)- * 메타노마실리이코코스과(Methanomassiliicoccaceae) (메타노마실리이코코스 루미뉴엔시스)
2. 3. 기타 미배양 계통
다음은 테르모플라스마강에 속하지만 아직 배양되지 않은 미생물 계통이다.- Marine Group Ⅱ (광합성으로 추정), DHVE Ⅰ, DHVE Ⅱ (''Aciduliprofundum boonei'')
3. 계통 분류
다음은 고세균의 계통 분류이다.[10][11][12] 현재 통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1]과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를 기반으로 한다.[2]
3. 1.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류 (16S rRNA 기반)
3. 2. 게놈 기반 계통 분류 (53개 마커 단백질 기반)
4. 연구 동향
리차오룬(Chao Lun Li) 등은 2014년 8월 《구강 생물학 기록》에 만성 치주염에서 희귀 고세균 계통군인 테르모플라스마강의 유병률 및 정량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
모르텐 포울센(Morten Poulsen) 등은 2013년 6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소 반추위에서 메탄 배출 감소와 관련된 메틸영양성 메탄 생성 테르모플라스마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
T. 카발리에르스미스(T. Cavalier-Smith)는 2002년 《국제 계통 진화 미생물학 저널》에 고세균의 신무란 기원, 보편적 나무의 네기세균 뿌리 및 세균 거대 분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
C. R. 보에제(C. R. Woese) 등은 1990년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생물의 자연적 시스템을 향하여: 고세균, 세균 및 진핵생물 영역 제안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Thermoplasmat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15-08-20
[2]
웹사이트
Thermoplasmat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5-08-20
[3]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05-10
[4]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05-10
[5]
웹사이트
LTP_06_2022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05-10
[6]
웹사이트
GTDB release 09-RS220
https://gtdb.ecogeno[...]
2024-05-10
[7]
웹사이트
ar53_r220.sp_label
https://data.gtdb.ec[...]
2024-05-10
[8]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4-05-10
[9]
웹인용
NCBI 분류학 자원
ftp://ftp.ncbi.nih.g[...]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
2007-03-19
[10]
웹인용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1-12-06
[11]
웹인용
ar53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12]
웹인용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