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텐》은 2002년에 개봉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영화로, 테헤란을 운전하는 여성과 다양한 승객들의 대화를 10개의 에피소드로 구성하여 이란 사회의 여성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이혼 후 아들과의 갈등, 여동생과의 대화, 종교적 믿음과 현실 사이의 갈등, 성 노동자의 삶 등을 통해 이란 여성의 현실과 사회적 맥락을 보여준다.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2000년대 이후 최고의 영화 목록에 여러 번 선정되었다. 제작 과정에서 감독과 배우 간의 표절 논란이 있었으며, 이란 내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영화 - 올리브 나무 사이로
1990년 만질-루드바르 지진 이후 영화 촬영장에서 만난 석공 출신 배우 호세인이 지진 고아 타헤레에게 구애하는 과정을 그린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이란 영화 올리브 나무 사이로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출과 모호한 결말이 특징이며, 코케르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영화 - 그들 각자의 영화관
《그들 각자의 영화관》은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 옴니버스 영화로, 세계적인 거장 감독 36명이 '영화관'을 주제로 제작한 3분 분량의 단편 영화 34편을 통해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애정을 보여주며, 상영 및 출시 버전에 따라 작품 수와 구성에 차이가 있다. - 이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시리아나
시리아나는 2005년 개봉한 미국의 정치 스릴러 영화로, 중동 석유 산업과 관련된 인물들의 복잡한 관계를 통해 미국의 외교 정책과 석유 산업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며, 조지 클루니가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이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올리브 나무 사이로
1990년 만질-루드바르 지진 이후 영화 촬영장에서 만난 석공 출신 배우 호세인이 지진 고아 타헤레에게 구애하는 과정을 그린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이란 영화 올리브 나무 사이로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출과 모호한 결말이 특징이며, 코케르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 표절 논란 영화 - 빌리지 (영화)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2004년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빌리지》는 외부와 고립된 19세기 마을 주민들의 삶과 어두운 비밀을 그리고 있으며, 괴물의 위협과 규칙 속에서 젊은 주민 아이비가 숲으로 들어가 마을의 진실을 마주하는 이야기이다. - 표절 논란 영화 - 학생부군신위
학생부군신위는 박철수 감독이 연출하고 최성, 문정숙, 권성덕, 정하현, 주진모, 방은진 등이 출연한 1996년 영화로,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 작품상, 감독상을, 대종상에서는 남우조연상과 시나리오상을 수상했다.
텐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Dah, Ten |
장르 | 드라마 |
국가 | 이란 |
언어 | 페르시아어 |
제작 | |
제작자 | 마린 카미츠 |
감독 | |
감독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출연 | |
출연 | 마니아 아크바리 |
스태프 | |
음악 | 하워드 블레이크 |
촬영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편집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기타 정보 | |
상영 시간 | 89분 |
2. 줄거리
영화는 테헤란을 운전하는 여성 운전자(마니아 아크바리 분)와 그녀의 차에 타는 다양한 승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총 10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에피소드는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결되어 이란 여성들의 삶을 다각도로 보여준다.[3][4]
운전자는 아들 아민과의 갈등, 여동생과의 대화, 신부, 성 노동자, 기도를 하러 가는 여성 등 다양한 인물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란 사회의 단면과 여성들의 삶을 보여준다. 특히, 이혼 과정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법원 시스템 때문에 전 남편에게 마약 중독자라는 거짓말을 해야 했던 주인공의 상황은 이란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운전자는 여동생과 아이 양육 문제와 사회적 기대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성 노동자와의 만남을 통해 이란 사회의 이중성과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간접적으로 경험한다. 또한, 묘소를 찾는 독실한 노부인과 묘소에서 기도하고 나온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종교와 신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에피소드들은 아민과의 첫 만남과 마지막 만남 사이에 배치되어 영화의 유기적인 구성을 돕는다.
2. 1. 에피소드 구성
영화는 테헤란을 배경으로 10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3][4] 각 에피소드는 택시 운전사인 주인공(마니아 아크바리)이 다양한 승객들과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아들 아민, 여동생, 신부, 성 노동자, 그리고 기도하는 여성 등이 있다.영화는 여성 운전자가 아들 아민과의 갈등, 여동생과의 대화, 신부와의 만남, 성 노동자와의 대화, 기도하는 여성과의 만남 등을 통해 이란 사회의 단면과 여성들의 삶을 보여준다.
영화의 첫 번째 장면은 아민과 어머니의 대화로 시작하고, 마지막 장면은 운전자가 아민을 아버지로부터 태우는 것으로 끝난다.
2. 1. 1. 아들 아민과의 갈등
아민은 어머니와 이혼한 아버지 사이에서 갈등하며, 어머니의 양육 방식에 불만을 품는다. 아민은 어머니에게 소리를 지르고, 차에서 갑자기 내리는 등 반항적인 행동을 보인다.[3][4] 특히 아민은 새 아내는 어머니보다 더 순종적이고 집안일을 잘할 것이라며 남성 중심적인 가치관을 드러내기도 한다.이란의 이혼 제도는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며, 이는 영화 속 주인공의 어려움을 통해 드러난다. 주인공은 전 남편이 마약 중독자라고 거짓말을 해야만 이혼할 수 있었다.[3] 이는 이란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법적, 사회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2. 1. 2. 여동생과의 대화
مادر|마데르fa(어머니)로서, 여성으로서 겪는 어려움과 사회적 기대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한다.[3][4] 아이들이 부모에게 거는 무거운 부담과 기대에 대해 이야기하며, 두 자매의 아이들은 모두 그 여성들이 좋은 어머니가 아니라고 비난했다. 운전자의 여동생은 아민의 무례한 행동에 대해 조언하고 아민이 "정신을 차리게 할" 수 있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살도록 하라고 말한다.2. 1. 3. 신부와의 만남
테헤란의 한 묘소에서 세 번씩 기도를 올리는 독실한 노부인을 태운다. 그녀는 남편과 12살 난 아들이 모두 사망하여 그들을 위해 기도하러 묘소에 간다고 밝힌다. 그녀는 시리아로 순례를 가기 위해 소지품을 팔았고, 다른 소지품은 자신보다 불우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운전자는 묘소에 함께 들어가 기도하도록 설득하지 못하고 노부인을 내려준다.[3][4]이후, 운전자는 관계가 불분명한 여성을 태운다. 두 여성은 종교와 신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승객은 과거에는 신자가 아니었고, 지금은 확신이 없다고 고백한다. 승객은 결혼할 예정이며, 현재 남자친구가 곧 청혼하기를 바라며 묘소에서 기도한다고 운전자에게 말한다.
아홉 번째 장면에서 이전에 등장했던 여성이 다시 나타난다. 그녀는 남자친구가 자신이 바라는데도 결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남자친구가 다른 여자를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에 질투를 느끼며, 그것이 가장 고통스럽다고 이야기한다. 운전자는 승객에게 베일이 왜 그렇게 꽉 조여져 있는지 묻고, 승객이 머리를 깎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2. 1. 4. 성 노동자와의 대화
테헤란을 배경으로, 영화는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면은 택시 운전사인 마니아 아크바리가 다양한 승객들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보여준다.[3][4] 승객 중에는 성 노동자도 등장하는데, 그녀는 운전자를 남자 고객으로 착각하고 차에 탄다. 성 노동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많은 고객들이 유부남이며, 아내와 함께 있으면서도 자신에게 전화를 건다고 말한다. 또한, 남자에게 매달리고 남자가 진실하다고 믿는 여자들을 불쌍하게 여긴다고 말하며, 자신도 한때 남자와 약혼했지만 자신이 어리석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고백한다. 이 대화를 통해 이란 사회의 이중성과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2. 1. 5. 기도하는 여성과의 만남
영화에서 운전자는 묘소를 찾아 기도하는 독실한 노부인을 태운다. 이 노부인은 남편과 12살 난 아들을 잃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러 묘소에 간다고 한다. 그녀는 시리아로 순례를 가기 위해 소지품을 팔았고, 남은 소지품은 불우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말한다.[3][4] 운전자는 노부인과 함께 묘소에 들어가 기도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노부인을 묘소에 내려준다.이후, 운전자는 묘소에서 기도하고 나온 한 여성을 태우게 된다. 이 여성은 과거에는 신자가 아니었지만, 지금은 신앙에 대해 확신하지 못한다고 고백한다. 그녀는 결혼을 앞두고 있으며, 남자친구가 청혼하기를 바라며 묘소에서 기도했다고 말한다.
아홉 번째 장면에서 운전자는 다시 이 여성을 태우게 된다. 그녀는 남자친구가 자신과 결혼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슬퍼한다. 그녀는 남자친구가 다른 여자를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에 질투심을 느낀다고 고백한다. 운전자는 승객에게 베일이 왜 그렇게 꽉 조여져 있는지 묻고, 승객은 머리를 깎았다고 밝힌다.
3. 등장인물
등장인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마니아 아크바리 - 운전사 역
- 아미나 마헤르 - 아민 역
- کامران_عدل|캄란 아들fa
- 로야 아크바리 - 매춘부, 연인 역 (로야 아랍샤히로 출연)
- 로야 아랍샤히
- 아메네 모라디
- 만다나 샤르바프
- 카타윤 탈레자데
3. 1. 주요 등장인물
- 마니아 아크바리 - 운전사 역
- 아미나 마헤르 - 아민 역
- کامران_عدل|캄란 아들fa
- 로야 아크바리 - 매춘부, 연인 역 (로야 아랍샤히로 출연)
- 로야 아랍샤히
- 아메네 모라디
- 만다나 샤르바프
- 카타윤 탈레자데
4. 제작 과정
압바스 키아로스타미는 《텐》을 픽션 영화로 규정했지만, 2020년부터 마니아 아크바리는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5] 키아로스타미는 원래 심리학자가 차 안에서 상담하는 내용으로 시나리오를 썼으나,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설정을 변경했다고 밝혔다.[6] 그는 인터뷰에서 아크바리가 베일 아래 이어폰을 사용해 대화를 유도했다고 말했지만, 나중에 이 방법을 한 번 시도해보고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7]
2020년 8월, 아크바리는 키아로스타미가 자신의 영상을 표절했다고 비난했다. 아크바리는 개인 프로젝트를 위해 120시간 분량의 비디오를 녹화했으며, 이 내용을 영화로 만들 계획은 없었다고 밝혔다. 키아로스타미는 이 영상을 각본으로 발전시키는 데 관심을 보였고, 캄란 아들이 소년의 아버지로 나오는 장면 등 세 부분을 직접 촬영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아크바리의 원본 영상을 사용해 《텐》을 편집했으며, 최종 편집본 크레딧에는 아크바리의 이름을 넣지 않았다.[5]
아크바리의 아들 아민 마헤르는 키아로스타미가 자신을 영화에 초대해 장면을 촬영했다며, 아크바리의 주장이 근거 없다고 반박했다.[9] 한편, 아미나 마헤르는 2019년 단편 영화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텐》에 나오는 자신의 장면이 동의 없이 촬영되었다고 주장했다.[10][11]
4. 1. 키아로스타미의 연출 방식
키아로스타미는 《텐》을 픽션 영화로 규정했지만, 2020년부터 마니아 악바리는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5] 키아로스타미에 따르면, 원래 시나리오는 심리학자가 사무실을 개조하는 동안 차 안에서 상담을 하는 내용으로 쓰였다. 그러나 이 설정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변경되었다.[6] 그는 한 인터뷰에서 악바리의 베일 아래에 이어폰을 사용해 대화를 유도했다고 말했지만, 나중에 이 기술을 딱 한 번 시도해보고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사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7]2020년 8월, 악바리는 키아로스타미가 자신의 영상을 표절했다고 비난하며, 《텐》이 그녀가 촬영한 영상으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했다. 악바리에 따르면, 그녀는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위해 120시간 분량의 비디오를 녹화했다.[8][9] 악바리는 이 내용을 영화에 사용할 계획이 없었고, "영화에 참여한 여성들 중 누구도 《텐》에 참여한 대가로 단 한 푼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5] 키아로스타미는 그녀에게 이 내용을 각본으로 발전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키아로스타미는 캄란 아들(Kamran Adl)이 소년의 아버지로 나오는 부분과 성매매 여성과 종교적인 여성이 차에서 내리는 장면, 이렇게 세 부분을 직접 촬영했다. 그는 영화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영상도 촬영했다. 결국 키아로스타미는 악바리의 원본 영상을 사용해 《텐》의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최종 편집본을 보여주면서 크레딧에는 악바리의 이름을 넣지 않았다.[5] 키아로스타미는 《텐》 초연 이후 비하인드 스토리 콘텐츠를 재현했다.[9]
아들은 키아로스타미가 자신을 영화에 초대해 장면을 촬영했다고 확인했다. 그는 악바리의 주장이 근거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9] 아미나 마허(Amina Maher)는 2019년 단편 영화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를 제작했는데, 이 영화에서 그녀는 《텐》에서 촬영한 자신의 장면이 자신도 모르게 촬영되었다고 말했다.[10][11] 《텐》의 엔딩 크레딧에는 출연진과 제작진의 이름만 나열되어 있을 뿐, 영화에서의 역할에 대한 설명은 없다.[5]
4. 2. 표절 논란
2020년 8월, 마니아 아크바리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가 《텐》을 제작하면서 자신의 영상을 표절했다고 주장했다.[8][9] 아크바리는 개인 프로젝트를 위해 120시간 분량의 비디오를 녹화했으며, 이 내용을 영화로 만들 계획은 없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영화에 참여한 여성들 중 누구도 《텐》에 참여한 대가로 단 한 푼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5]키아로스타미는 아크바리에게 이 영상을 각본으로 발전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영화의 세 부분(캄란 아들이 소년의 아버지로 나오는 장면, 성매매 여성과 종교적인 여성이 차에서 내리는 장면)을 직접 촬영하고, 추가 영상도 촬영했지만 결국 아크바리의 원본 영상을 사용해 《텐》을 편집했다. 키아로스타미는 최종 편집본을 아크바리에게 보여주면서 크레딧에는 그녀의 이름을 넣지 않았다.[5] 그는 《텐》 초연 이후 비하인드 스토리 콘텐츠를 재현하기도 했다.[9]
키아로스타미는 《텐》을 픽션 영화로 규정했지만, 아크바리는 2020년부터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5] 키아로스타미는 원래 심리학자가 차 안에서 상담하는 내용으로 시나리오를 썼으나,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설정을 변경했다고 밝혔다.[6] 그는 인터뷰에서 아크바리가 베일 아래 이어폰을 사용해 대화를 유도했다고 말했지만, 나중에 이 방법을 한 번 시도해보고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7]
아크바리의 아들 아민 마헤르는 키아로스타미가 자신을 영화에 초대해 장면을 촬영했다고 확인하면서, 아크바리의 주장이 근거 없다고 반박했다.[9]
한편, 아미나 마헤르는 2019년 단편 영화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텐》에 나오는 자신의 장면이 동의 없이 촬영되었다고 주장했다.[10][11] 《텐》의 엔딩 크레딧에는 출연진과 제작진의 이름만 나열되어 있고, 영화에서의 역할에 대한 설명은 없다.[5]
5. 사회적 맥락과 의미
(빈 문단)
5. 1. 이란 여성의 현실
영화는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며, 각 장면은 테헤란 시내를 운전하는 여성 운전자(마니아 아크바리)와 다양한 승객들의 대화를 통해 이란 여성들의 현실을 보여준다.[3][4]첫 번째 장면에서 운전자는 아들 아민(아민 마헤르)과 이혼 및 양육권 문제로 갈등을 겪는다. 이란 법원 시스템은 여성에게 제한적인 권한만을 부여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전 남편이 마약 중독자라고 거짓말을 하여 이혼할 수밖에 없었다.
네 번째 장면에서는 성 노동자가 등장하여 이란 사회의 성 문제를 드러낸다. 성 노동자는 많은 고객들이 유부남이며, 이들은 아내에게 거짓말을 한다고 말한다. 또한, 성 노동자는 남자에게 의존하는 여성들의 어리석음을 지적하며, 자신도 한때 약혼했지만 "어리석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고백한다.
여덟 번째 장면에서 운전자는 아민에게 남성 중심적인 사회 통념을 이야기하며, 아민은 새 아내가 어머니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이란 사회에 뿌리 깊은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영화는 이혼, 양육권, 성 문제 등 이란 여성들이 직면한 억압적인 현실과 사회적 제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5. 2. 영화의 상징성
영화는 10개의 장면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장면은 테헤란 시내를 운전하는 여성 운전자(마니아 아크바리)와 다양한 승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3][4] 영화 속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등장인물들의 솔직한 생각과 감정이 드러나는 사적인 공간이자, 이란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작용한다.특히, 여성 운전자라는 설정은 이란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과 제약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치이다. 여성 운전자는 아들 아민(아민 마헤르)과의 대화에서 이혼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하는데, 이는 여성에게 불리한 법적,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다. 또한, 성 노동자와의 대화에서는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소외와 편견을 엿볼 수 있다.
운전자의 여동생, 신부, 기도를 하러 가는 여성 등 다양한 승객들과의 대화는 이란 사회의 다양한 계층과 가치관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감독은 이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여성의 시각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6. 평가 및 유산
《텐》은 2002년 5월 20일 제55회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으며, 아크바리는 키아로스타미와 함께 참석했다. 이후 현대 미술 연구소와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에서 추가 상영되었다.[5] 그러나 이 영화는 이란에서 성차별 논의 등 네 개의 시퀀스가 공공 상영에 부적절하다고 여겨져 상영이 금지되었다.[12]
아크바리와 마헤르는 배급사 MK2|MK2프랑스어에게 영화 유통 중단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 영국 영화 협회가 키아로스타미 회고전의 일환으로 《텐》을 상영하려 하자, 아크바리는 키아로스타미의 표절 및 학대 혐의를 공개적으로 제기하며 상영 중단을 요구했다.[5][13]
6. 1. 비평적 반응
《텐》은 현대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5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5%의 신선도와 7.30/10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는 이 영화에 대해 "대화로 가득 찬 자동차 여정을 실제 감정으로 가득 찬 끈질기고 매력적인 인물 연구로 바꾸면서 현대 이란 문화에서 여성의 삶에 대한 흥미로운 시각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13]뉴욕 타임스의 A. O. 스콧은 "키아로스타미는 자동차를 성찰과 관찰, 무엇보다 대화의 장으로 이해하고 있다"라고 평했다.[1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마놀라 다르지스는 이 영화를 "개념적 역작이자 브레인의 로드 무비"라고 칭했다.[15] 반면, 로저 이버트는 '텐'이 주제를 제시하는 방식에 비판적이었으며, "이 영화를 칭찬하는 것은 아이가 선 안에서 색칠한다고 칭찬하는 것과 같다"라고 말했다.[16] 빌리지 보이스의 J. 호버만은 이 영화를 "개념적으로 엄격하고, 훌륭하게 절제되었으며, 급진적으로 바쟁적이다"라고 묘사했다.[17]
'텐'은 엠파이어 잡지가 선정한 2008년 역대 최고의 영화 500편 중 447위, 2010년 "세계 영화 100선"에서 47위에 올랐다.[18][19] 프랑스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는 2000~2009년 최고의 영화 목록에서 이 영화를 10위로 선정했다.[20] 이 영화는 나중에 BBC가 실시한 국제 평론가 투표에서 2000년 이후 최고의 영화 98위로 선정되었다.[21] 2019년, 가디언은 '텐'을 21세기 최고의 영화 100선에서 76위로 선정했다.[22]
6. 2. 영화사적 의의
현대 영화 평론가들은 《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A. O. 스콧은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키아로스타미는 자동차를 성찰과 관찰, 무엇보다 대화의 장으로 이해하고 있다."라고 썼다.[14] 마놀라 다르지스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리뷰에서 이 영화를 "개념적 역작이자 브레인의 로드 무비"라고 칭했다.[15] 빌리지 보이스의 J. 호버만은 이 영화를 "개념적으로 엄격하고, 훌륭하게 절제되었으며, 급진적으로 바쟁적이다."라고 묘사했다.[17]《텐》은 여러 매체에서 선정한 최고의 영화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엠파이어 잡지가 선정한 2008년 역대 최고의 영화 500편 중 447위, 2010년 "세계 영화 100선"에서 47위를 차지했다.[18][19] 프랑스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는 2000~2009년 최고의 영화 목록에서 이 영화를 10위로 선정했다.[20] BBC가 실시한 국제 평론가 투표에서는 2000년 이후 최고의 영화 98위에 선정되었으며,[21] 2019년 가디언은 '텐'을 21세기 최고의 영화 100선에서 76위로 선정했다.[22]
키아로스타미의 2004년작 '10 온 텐'은 '텐'을 제작하는 과정을 10개 파트로 탐구하는 작품이다.[23] 악바리의 2007년작 '10+4'는 악바리가 유방암 치료를 받으면서 제작되었으며, '텐'의 속편 역할을 한다.[24] '텐'은 자파르 파나히의 2015년 영화 '택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5]
참조
[1]
뉴스
Te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09-27
[2]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en
http://www.festival-[...]
2009-10-25
[3]
간행물
Driving Affect: The car and Kiarostami's Ten
http://www.yorku.ca/[...]
York University
[4]
뉴스
Abbas Kiarostami's Ten - Reinventing the Road Movie
http://www.moviemail[...]
Moviemail
2013-06-26
[5]
뉴스
Mania Akbari Tells Her Own Story
https://fasikul.alty[...]
Altyazı Fasikül
2022-07-25
[6]
간행물
Five to ''Ten'': Five Reflections on Abbas Kiarostami's ''10''
https://www.sensesof[...]
2003-12
[7]
서적
10
British Film Institute
2005
[8]
뉴스
آیا عباس کیارستمی فیلم "ده" را نساخت؟!
https://www.tabnak.i[...]
Tabnak
2022-06-21
[9]
뉴스
واکنش کامران عدل به ادعاها علیه کیارستمی: مهمل است
http://www.ensafnews[...]
Ensaf News
2022-06-21
[10]
뉴스
Amina Maher's 'Letter to My Mother' is a courageous and unflinching self-portrait
https://cinemafemme.[...]
Cinema Femme
2022-06-21
[11]
웹사이트
Letter to my mother
https://www.cinemati[...]
2022-06-21
[12]
웹사이트
Flashback: Ten (2002) – Abbas Kiarostami's experimental road movie gives voice to Iranian women
https://www.scmp.com[...]
2022-07-25
[13]
뉴스
Η σκηνοθέτρια Μάνια Ακμπάρι κατηγορεί τον Αμπάς Κιαροστάμι για βιασμό και λογοκλοπή
https://www.lifo.gr/[...]
LiFO
2022-06-21
[14]
뉴스
In Tehran, a Driver With a Lot to Sa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7-25
[15]
웹사이트
Worlds apart
https://www.latimes.[...]
2022-07-25
[16]
웹사이트
Ten
https://www.rogerebe[...]
2022-07-25
[17]
웹사이트
Formal Attire
https://www.villagev[...]
2022-07-25
[18]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447: Ten (2002)
http://www.empireonl[...]
2009-04-06
[19]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http://www.empireonl[...]
[20]
웹사이트
PALMARES 2000 - Cahiers du Cinéma
http://www.cahiersdu[...]
Cahiers du cinéma
2010-01
[21]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http://www.bbc.com/c[...]
BBC
2017-01-26
[22]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theguard[...]
2019-09-17
[23]
웹사이트
Kiarostami at Work [10 on TEN]
https://jonathanrose[...]
2022-07-25
[24]
웹사이트
Iranian film-maker Mania Akbari: 'Cinema threatens the government'
https://www.theguard[...]
2022-07-25
[25]
웹사이트
Abbas Kiarostami: sophisticated, self-possessed master of cinematic poetry
https://www.theguard[...]
202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