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톈먼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7,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춘추 시대에는 징링읍으로 불렸다. 진나라 통일 이후 징링현으로 설치되었고, 936년에는 징링현으로 개칭되었다가 1726년에 현재의 톈먼시로 변경되었다. 1987년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1994년 후베이성 직할시가 되었다. 톈먼시는 "수재의 고향"으로 불리며, 루위, 피일휴 등 많은 문화 인물을 배출했다. 스자허 유적, 백룡사, 루위정 등 많은 명승 고적을 자랑하며, 2022년 말 기준 110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톈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별칭 | 징링(竟陵) |
| 종류 | 현급시 & 부지급시 |
| 로마자 표기 | Tiānmén |
| 일반 정보 |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 성 | 후베이성 |
| 지리 | |
| 면적 | 2,622km² |
| 도시 면적 | 324.40km² |
| 해발 고도 | 32m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2022년) | 1,105,800명 |
| 도시 인구 | 301,000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경제 | |
| GDP | CN¥ 712억 (미화 99억 달러) |
| 1인당 GDP | CN¥ 64,707 (미화 9,010 달러) |
| 행정 구역 코드 | |
| 행정 구역 코드 | 429006 |
| 시간대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 UTC 오프셋 | +8 |
| 기타 | |
| 지역 번호 | 0728 |
| 우편 번호 | 431700 |
| 차량 번호판 | 鄂R (È R) |
| 웹사이트 | 톈먼 시 인민 정부 포털 웹사이트 |
2. 역사
톈먼 지역은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스자허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7,000~8,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흔적을 보여준다.[4] 장강 최초의 도시 유적으로, 장강 중류 지역의 중심 도시였을 것으로 여겨지는 스자허 유적(스자허 문화)이 발견되었다.
춘추 시대에는 운(鄖), 전국 시대에는 초나라의 징링읍(竟陵邑)이 설치되었다. 징링이라는 이름은 다홍산맥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능의 끝"이라는 의미로 지어졌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난군(南郡) 아래 징링현이 설치되었다.
936년 (후진 천복 원년), 후진의 스징탕의 이름 '경(敬)' 자가 '경(竟)' 자와 소리가 같아 징링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726년 (청 옹정제 4년)에는 청나라 강희제의 능인 징링(景陵)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톈먼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7년 8월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1994년 10월에는 후베이성 직할시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8년 1월에는 톈먼시에서 건설 회사 사장이었던 웨이원화가 도시 관리 공무원과 주민 간의 분쟁을 촬영하다가 공무원들에게 폭행당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3]
2. 1. 고대
톈먼 지역의 선사 시대 고대 정착지는 적어도 7,000~8,000년 전에 존재했으며, 이는 최근 발견된 석기(옥), 도자기, 뼈, 홍합, 청동 제품 및 기타 유물을 포함하는 스자허 신석기 시대 부족 유적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이는 원래의 도조 부계 문화 유산 시대의 유물과 유사하다.[4]장강 최초의 도시 유적으로, 장강 중류 지역의 중심 도시였을 것으로 여겨지는 스자허 유적(스자허 문화)이 발견되었다.
춘추 시대에는 운(鄖), 전국 시대에는 초의 징링읍(竟陵邑)이 설치되었다. 징링(竟陵)은 다홍산맥의 종착점에 해당하는 것에서 "능의 끝"이라는 의미로 명명되었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이 이루어지자, 난군(南郡) 아래에 징링현이 설치되었다.
936년 (후진 천복 원년), 후진 고조인 스징탕의 "징(敬)"이 "징(竟)"과 동음이었기 때문에 징링현으로 개칭되었다.
2. 2. 중세 ~ 근대
춘추 시대에는 운(鄖), 전국 시대에는 초의 징링읍(竟陵邑)이 설치되었다. 징링(竟陵)은 다홍산맥의 종착점에 해당한다는 것에서 "능의 끝"이라는 의미로 명명되었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 후, 난군(南郡) 아래에 징링현이 설치되었다.936년(후진 천복 원년), 후진 고조인 스징탕의 "징(敬)"이 "징(竟)"과 동음이었기 때문에 지명을 징링현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1726년(청 옹정제 4년)에는 청나라 강희제의 묘릉인 징링의 이름을 피하여 톈먼시로 개칭되었다.
2. 3. 현대
춘추 시대에는 운(鄖), 전국 시대에는 초의 징링읍(竟陵邑)이 설치되었다. 징링(竟陵)은 다홍산맥의 종착점에 해당하는 것에서 "능의 끝"이라는 의미로 명명되었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이 이루어지자, 난군(南郡) 아래에 징링현이 설치되었다.936년 (후진 천복 원년), 후진 고조인 스징탕의 "징(敬)"이 "징(竟)"과 동음이었기 때문에 징링현으로 개칭되었다. 1726년 (청 옹정제 4년)에는 청나라 강희제의 묘릉인 징링의 이름을 피하여 톈먼시로 개칭되었다.
1987년 8월, 현급시로 개편되었고, 1994년 10월에 후베이성 직할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인구
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 당시 톈먼 시의 상주 인구는 115만 8,640명이었다. 남성은 60만 6,285명, 여성은 55만 2,355명이었다. 0~14세는 19만 9,948명, 15~59세는 65만 9,700명, 60세 이상은 29만 8,992명이었다. 도시 지역 거주자는 50만 2,908명, 농촌 지역 거주자는 65만 5,732명이었다.[4]
3. 1. 인구 변화
2022년 말 기준, 톈먼 시의 상주 인구는 110만 5,800명이었다.[4]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톈먼 시의 상주 인구는 115만 8,640명이었다. 이는 제6차 전국 인구 조사(141만 8,913명)와 비교하여 10년 동안 26만 273명이 감소한 수치로, 18.34% 감소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01%였다.
| 구분 | 인구 (명) | 비율 (%) |
|---|---|---|
| 남성 | 606,285 | 52.33 |
| 여성 | 552,355 | 47.67 |
| 전체 인구 성비 (여성 100명당) | 109.76 | |
| 0~14세 | 199,948 | 17.26 |
| 15~59세 | 659,700 | 56.94 |
| 60세 이상 | 298,992 | 25.81 |
| 65세 이상 | 208,068 | 17.96 |
| 도시 지역 | 502,908 | 43.41 |
| 농촌 지역 | 655,732 | 56.59 |
3. 2. 인구 구성
2022년 말 기준, 톈먼 시의 상주 인구는 110만 5,800명이었다.[4]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톈먼 시의 상주 인구는 115만 8,640명이었다. 이는 제6차 전국 인구 조사(141만 8,913명)와 비교하여 10년 동안 26만 273명이 감소한 수치로, 18.34% 감소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01%였다.
| 구분 | 내용 |
|---|---|
| 남성 인구 | 60만 6,285명 (52.33%) |
| 여성 인구 | 55만 2,355명 (47.67%) |
| 전체 인구 성비 (여성 100명당) | 109.76 |
| 연령별 인구 | 인구수 | 비율 |
|---|---|---|
| 0~14세 | 19만 9,948명 | 17.26% |
| 15~59세 | 65만 9,700명 | 56.94% |
| 60세 이상 | 29만 8,992명 | 25.81% |
| 65세 이상 | 20만 8,068명 | 17.96% |
| 거주 지역별 인구 | 인구수 | 비율 |
|---|---|---|
| 도시 지역 | 50만 2,908명 | 43.41% |
| 농촌 지역 | 65만 5,732명 | 56.59% |
4. 지리
톈먼시는 아열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다. 연평균 기온은 16.5°C이고, 연 강수량은 1118mm이다.[13][14]
4. 1. 위치 및 지형

장강 최초의 도시 유적으로, 장강 중류 지역의 중심 도시였을 것으로 여겨지는 스자허 유적(스자허 문화)이 발견되었다.
4. 2. 기후
톈먼시는 아열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다. 연평균 기온은 16.5°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118mm이다.[13][14]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년값을 기준으로, 7월이 가장 더운 달로 평균 최고 기온은 32.5°C, 평균 최저 기온은 25.6°C이다. 1월은 가장 추운 달로 평균 최고 기온은 8.3°C, 평균 최저 기온은 1.3°C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92년 8월 10일에 기록된 39.7°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84년 1월 30일에 기록된 -12.7°C이다.[13][1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0°C) | 8.3°C | 11.4°C | 16.2°C | 22.5°C | 27.3°C | 30.2°C | 32.5°C | 32.5°C | 28.7°C | 23.4°C | 17.1°C | 10.8°C |
| 평균 최저 기온 (0°C) | 1.3°C | 3.8°C | 8°C | 13.8°C | 18.8°C | 22.9°C | 25.6°C | 25°C | 20.5°C | 14.8°C | 8.8°C | 3.2°C |
| 강수량 (mm) | 41.8mm | 52.4mm | 71.3mm | 114.8mm | 151mm | 179.1mm | 199.1mm | 97.3mm | 69.5mm | 68.8mm | 50.3mm | 26.8mm |
| 상대 습도 (%) | 73 | 73 | 73 | 74 | 73 | 77 | 79 | 78 | 75 | 73 | 73 | 71 |
5. 행정 구역

톈먼시는 4개 가도, 20개 진, 1개 향을 관할한다.[7][8]
| # | 이름 | 중국어 (간체) | ||||
|---|---|---|---|---|---|---|
| 가도 | ||||||
| 1 | 징링 가도 | |||||
| 2 | 차오샹 가도 | |||||
| 3 | 양린 가도 | |||||
| 진 | ||||||
| 4 | 두바오 진 | |||||
| 5 | 투오스 진 | |||||
| 6 | 장강 진 | |||||
| 7 | 장창 진 | |||||
| 8 | 왕창 진 | |||||
| 9 | 위신 진 | |||||
| 10 | 황탄 진 | |||||
| 11 | 위에커우 진 | |||||
| 12 | 헝린 진 | |||||
| 13 | 펑스 진 | |||||
| 14 | 마양 진 | |||||
| 15 | 둬샹 진 | |||||
| 16 | 간이 진 | |||||
| 17 | 마완 진 | |||||
| 18 | 루스 진 | |||||
| 19 | 샤오반 진 | |||||
| 20 | 지우전 진 | |||||
| 21 | 자오스 진 | |||||
| 22 | 후스 진 | |||||
| 23 | 스자허 진[9][10] | |||||
| 24 | 포쯔산 진 | |||||
| 향 | ||||||
| 25 | 징탄 향 | |||||
| 기타 지역 | ||||||
| 26 | 톈먼 공업 단지 | |||||
| 27 | 장후 농장 | |||||
| 28 | 바이마오후 농장 | |||||
| 29 | 천후 위원회 | |||||
6. 문화
톈먼시는 "차 성인" 루위, 당나라 시인 피일휴, 명나라 경릉파 문학 대표 인물 종성, 담원춘, 청나라 장리용 등 세계적인 문화 인물들의 고향으로 유명하다.[1] 대학 입시 제도 부활 이후, 톈먼시는 전국에 54,000명 이상의 대학생을 배출하여 "수재의 고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
톈먼시는 스자허 유적, 백룡사, 루위정, 문학천, 고안교, 종성의 묘, 담원춘의 묘, 동호와 서호 등 많은 명승 고적을 자랑한다.[1]
6. 1. 역사적 인물
톈먼시는 "차 성인" 루위, 당나라 시인 피일휴, 명나라 경릉파 문학 대표 인물 종성, 담원춘, 청나라 장리용 등 세계적인 문화 인물들의 고향이다.[1] 대학 입시 제도 부활 이후, 톈먼시는 전국에 54,000명 이상의 대학생을 배출하여 "수재의 고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6. 2. 교육
톈먼시는 "차 성인" 루위, 당나라 시인 피일휴, 명나라 경릉파 문학 대표 인물 종성, 담원춘, 청나라 장리용과 같은 세계적인 문화 인물들이 태어난 곳으로 유명한 문화 고향이다.[1] 대학 입시 제도가 부활한 이후, 톈먼시는 전국에 54,000명 이상의 대학생을 배출하여 "수재의 고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후베이성 톈먼 중학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성급 모범 고등학교로, 1912년에 설립되었으며, "차 성인" 루위의 고향인 후베이성 톈먼시 징링 중싱 거리 서쪽에 위치해 있다.[3] 후베이성의 정원식 학교, 성급 모범 고등학교, 전국 교육 시스템의 선진 집단, 전국 정신 문명 건설의 선진 단위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3]
후베이성 톈먼 실험 고등학교는 톈먼의 동호 북쪽에 위치해 있다.[4] 이 학교의 교육 역사는 청나라 광서 32년(1906년)에 설립된 톈먼 사범학교 훈련소로 거슬러 올라가며, 사범학교, 중등 사범학교, 고등학교의 과정을 거쳐 9번의 이름 변경과 8번의 이전을 거쳤다.[4] 2004년, 톈먼 실험 고등학교는 후베이성 주요 중학교 종합 경쟁력 순위에서 28위를 기록했다.[4]
6. 3. 명소
톈먼시는 명승 고적이 많은 곳이다. 이곳에는 현재까지 장강 유역에서 가장 큰 신석기 시대 촌락 유적인 스자허 유적과 남조 시대에 지어진 유명한 불교 사찰인 백룡사가 있다. 또한 잘 보존된 웅장한 루위의 루위정, 문학천, 루위를 기리는 고안교, 경릉파 문학 대표 인물 종성과 담원춘의 묘, 동호와 서호의 경관 지역이 있다.[1]7. 화교
톈먼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본토에서 유명한 화교의 고향이자 후베이성의 주요 화교 고향이다. 톈먼 출신의 28만 명 이상의 화교, 중국인, 홍콩, 마카오 동포가 5개 대륙의 4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5] 이 도시에는 500명 이상의 귀환 화교와 8만 2천 명 이상의 화교, 홍콩 및 마카오 거주자의 친척이 있다.[5]
톈먼 화교의 이주는 18세기 말에 시작되어 유럽으로의 북쪽 이동, 동남아시아로의 남쪽 이동, 그리고 새로운 이민 시기를 거쳤다.[5]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서적
《天门市2023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tianmen.g[...]
2024-04
[3]
간행물
Bloggers Push China to Prosecute Beating Death
https://www.nytimes.[...]
2008-01-18
[4]
웹사이트
Tiānmén shì rénmín zhèngfǔ
https://www.tianmen.[...]
[5]
웹사이트
Bù yánhǎi, wú dìlì, tiānmén zěnme jiù chéngle nèi lù zuìdà de qiáo xiāng?
https://www.sohu.com[...]
2024-02-27
[6]
웹사이트
天门市文化遗产
https://www.tianmen.[...]
[7]
웹사이트
http://www.tianmen.g[...]
Tianmen People's Government
2017-12-29
[8]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org
2017-12-29
[9]
웹사이트
http://www.mca.gov.c[...]
2018-04-21
[10]
웹사이트
http://www.hb.xinhua[...]
Xinhua News Agency.
2017-12-29
[11]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3
[12]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3
[13]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9-23
[14]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