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나라는 1616년 여진족의 후예인 만주족에 의해 건국된 왕조로, 후금을 전신으로 한다. 누르하치는 팔기제를 창시하고 만주 문자를 제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1636년 국호를 대청으로 바꾸고 황제에 즉위한 홍타이지는 명나라 영토를 정복하고 내몽골을 병합했다.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기에는 강건성세로 불리는 전성기를 누리며 영토를 확장하고 경제적, 문화적으로 번영을 이루었다. 하지만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과 아편 전쟁, 태평천국의 난 등 내부 혼란을 겪으며 쇠퇴했다. 청나라는 서양과의 무역에서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고, 개혁 운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신해혁명으로 멸망하며 2천 년 넘는 중국의 군주제가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2년 폐지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898년 결성되어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되었고,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1912년 폐지 - 헌팅턴 애비뉴 그라운즈
헌팅턴 애비뉴 그라운즈는 1901년부터 1911년까지 보스턴 아메리칸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사이 영의 업적과 최초 월드 시리즈 개최 등 역사적인 사건들을 기념하는 표식이 현재 노스이스턴 대학교 캠퍼스에 남아있다. - 위구르족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위구르족 - 신장 독립운동
신장 독립운동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동투르키스탄" 또는 "위구르스탄"이라는 명칭으로 정치적, 문화적 독자성을 강조하며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과거 두 차례 공화국 수립 시도가 있었으나 중국 정부의 탄압과 재교육 캠프 운영으로 비판받고 있다.
청나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대청(大淸) |
현지 명칭 | 만주어: 중국어 간체: 大清 몽골어: |
기타 명칭 | 만주어 로마자 표기: Daiqing gurun 몽골어 로마자 표기: Daiqing ulus |
건국 시기 | 1636년/1644년/1616년 |
멸망 시기 | 1912년 |
데모님 | 중국인 |
수도 | 베이징 |
최대 도시 | 베이징 |
사용 언어 | 만주어 중국어 몽골어 티베트어 |
종교 | 유교 불교 도교 중국 민간 종교 샤머니즘 기독교 이슬람교 기타 |
통화 | 전(錢) 냥(兩) 지폐 |
국가 | 견고하게 빛나는 상배 |
면적 | 1700년: 8,800,000 km² 1790년: 14,700,000 km² 1860년: 13,400,000 km² 1908년: 11,350,000 km² |
정치 체제 | |
정치 형태 | 전제군주제 |
황제 | 초대: 숭덕제 (1636년–1643년, 선양에서 선포) 마지막: 선통제 (1908년–1912년) |
섭정 | 도르곤, 예친왕 (1643년–1650년) 재풍, 순친왕 (1908년–1911년) |
총리 | 경친왕 이쾅 (1911년) 위안스카이 (1911년–1912년) |
입법부 | 의정처(1636년–1733년) 자정원(1910년–1912년) |
역사 | |
이전 국가 | 후금 (1616년–1636년) 명나라 준가르 칸국 동녕국 |
주요 사건 | 1636년: 청나라 건국 1644년–1662년: 명청 교체 1687년–1758년: 준가르-청 전쟁 1747년–1792년: 십전무공 1839년–1842년: 아편 전쟁 1850년–1864년: 태평천국의 난 1856년–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1861년–1895년: 양무운동 1894년–1895년: 청일 전쟁 1898년: 무술정변 1900년–1901년: 의화단 운동 1901년–1911년: 청나라 말기 개혁 1911년–1912년: 신해혁명 |
이후 국가 | 중화민국 (1912년-1949년) 복드 칸국 우량카이 공화국 티베트 (1912년-1951년) |
주요 시기 | 후금 건국: 1616년 2월 17일 국호를 청으로 변경: 1636년 5월 15일 순천부로 천도: 1644년 10월 30일 신해혁명 발발: 1911년 10월 10일 복드 칸국 독립 선언: 1911년 12월 29일 중화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2년 1월 1일 멸망: 1912년 2월 12일 |
인구 | |
1776년 추정치 | 311,500,000명 |
1820년 추정치 | 383,100,000명 |
1898년 추정치 | 319,720,000명 |
1907년 추정치 | 426,000,000명 |
2. 역사
청나라는 만주족 출신의 아이신기오로 가문에 의해 건국되었다. 16세기 후반, 누르하치는 팔기제를 창설하고 분열되어 있던 만주족들을 통일한 뒤 1616년에 후금을 건국하였다. 그의 아들 홍타이지는 1636년에 국호를 후금에서 청으로 바꾸고 만주에서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였다.[14]
명나라가 쇠퇴하고 멸망의 조짐을 보이자 이자성이 이끄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고, 1644년에는 반란군이 명의 수도 베이징을 점령했다. 하지만 이 반란은 진압되었고, 청나라 군대는 베이징을 점령하여 명나라 한족 귀족들을 랴오둥 반도의 후금으로 끌고 갔다. 베이징을 잃은 명나라는 수도를 난징으로 옮기고 청나라와 본격적으로 대립하며 치열한 전쟁을 수년간 지속했다. 명나라는 멸청을 주장하며 강하게 저항했고, 명나라에 충성하던 한족들은 이민족인 여진족의 국가에 강하게 저항하였다. 청나라 만주족들은 남진을 계속하여 난징을 유린하였고, 명나라의 잔존 세력들을 소탕하며 1683년에 이르러서야 명나라를 완전히 멸망시켰다.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이지, 만주족과 한족이 화합하여 건국한 국가는 아니었다.[101] 만주족들은 정복에 항의하는 한족들은 학살하였으나, 항복하고 만주족의 정복을 인정하는 한족들은 등용하여 한족 문화를 수용하기도 하였다.[101] 하지만 한족이 치욕스럽게 생각하는 변발과 만주족 풍습이 강요되었고, 명나라 출신 한족 여성 중 외모가 뛰어난 여성들은 노예로 만들어 한노녀(漢奴女)로 불렸으며, 한족 관료들은 노재(奴材)로 불렸다.[102][103]
청나라 황제들은 만주족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티베트 불교의 수호자를 자처하고 몽골인들에게는 '복드 칸'으로 불리며 한족들을 지배했다. 청나라는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한족도 제한적으로 벼슬을 할 수 있었다.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는 서구 열강의 압력에 직면하며 점차 쇠퇴하였다. 내부적으로는 인구 과잉, 부정부패, 경제난, 정치적 경직성 등 여러 문제들이 곪아 터지기 시작했다. 특히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서구 열강에게 자유 무역, 치외법권, 조계지 설정 등 불평등 조약을 강요당했고, 이는 중국 경제를 예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01]
19세기 중반에는 태평천국의 난(1850년~1864년)과 둥간 혁명(1862년~1877년) 등 대규모 민란이 발생하여 2천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극심해졌다.
1860년대 동치제 시기, 동치중흥이라 하여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청나라 보전 움직임이 있었으나, 근본적인 개혁에는 실패했다. 양무운동을 통해 서구 기술을 도입하려 했지만, 1894년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그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다. 이로 인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고 타이완섬을 일본 제국에게 빼앗겼다.[101]
이후 광서제가 무술변법을 통해 대대적인 개혁을 시도했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반발(무술정변)로 실패하고, 개혁 세력은 몰락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 서구 열강의 침략에 저항했지만, 8개국 연합군에 의해 진압되고 신축조약을 체결하면서 더 큰 굴욕을 겪었다. 이후 청나라는 뒤늦게 행정, 경제 개혁을 실시하고 선거제 도입, 과거제 폐지 등 근대화를 추진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1908년 광서제가 독살 의혹 속에 사망하고, 만주족 보수 세력이 다시 권력을 잡으면서 개혁은 중단되고 청나라는 멸망의 길로 들어섰다.
결국 1911년 우창 봉기를 시작으로 신해혁명이 일어나 중화민국이 수립되면서 청나라는 멸망했다. 1912년 위안스카이가 마지막 황제 선통제를 퇴위시키면서 청나라는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건국

청나라는 만주족 출신의 아이신기오로 가문에 의하여 세워졌다. 16세기 후반, 누르하치는 팔기제를 창설하고, 분열되어 있던 만주족들을 통일한 뒤 1616년에 후금을 건국하였다. 그의 아들인 홍타이지는 1636년에 국호를 후금에서 청으로 바꾸고 만주에서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였다.
'''국호를 "청(清)"으로 정한 이유:'''
- 한인의 송이 여진족의 금에 의해 남쪽으로 쫓겨난 적이 있었기 때문에, 명에서 "후금(後金)"이라는 국호를 경계할 것을 우려하여, 금과 음이 같고 글자가 다른 "청(清)"으로 했다는 설.
- 오행설에 근거한다는 설. 명이 "화덕(火德)"이었기 때문에, 그것을 대신하는 "수덕(水德)"을 나타내는 "'''氵'''"과, 『주례』에서 동쪽을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지는 "청(青)"을 결합하여 중원 진출의 의미를 담았다는 것.
- "대청(大清)"이라는 국호는 몽골어 "daicin"에서 음역한 것이다. "daicin"이라는 단어는 "전사"를 의미했기 때문에, "대청국(大清國)"은 "전사의 나라"라는 설.
이후 명나라가 쇠퇴하고 멸망의 조짐을 보이자, 이자성이 이끄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고 1644년에는 반란군이 명의 수도 베이징을 점령했다. 하지만 이 반란은 진압되었고, 청나라 군대는 베이징을 점령하여 명나라 한족 귀족들을 랴오둥 반도의 후금으로 끌고 갔다. 베이징을 잃은 명나라는 수도를 난징으로 옮기고 청나라와 본격적으로 대립하며 치열한 전쟁을 수년간 지속했다. 명나라는 멸청을 주장하며 강하게 저항했고, 명나라에 충성하던 한족들은 이민족인 여진족의 국가에 강하게 저항하였다. 청나라 만주족들은 남진을 계속하여 난징을 유린하였고, 명나라의 잔존 세력들을 소탕하며 1683년에 이르러서야 명나라를 완전히 멸망시켰다.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이지, 만주족과 한족이 화합하여 건국한 국가는 아니었다.[101] 만주족들은 정복에 항의하는 한족들은 학살하였으나, 항복하고 만주족의 정복을 인정하는 한족들은 등용하여 한족 문화를 수용하기도 하였다.[101] 하지만 한족이 치욕스럽게 생각하는 변발과 만주족 풍습이 강요되었고, 명나라 출신 한족 여성 중 외모가 뛰어난 여성들은 노예로 만들어 한노녀(漢奴女)로 불렸으며, 한족 관료들은 노재(奴材)로 불렸다.[102][103]
2. 1. 1. 만주족의 성장
ᡶᡠᠯᡳᠩᡤᠠ|Abkai Fulingga}})으로 정한 후 스스로를 여진족의 대칸으로 선포하였다.17세기 초, 누르하치는 건주에서 소규모 여진 부족인 아이신기오로(Aisin-Gioro)의 추장으로서 여진족 통일을 추진했다. 그는 팔기군 군사 체계를 조직하기 시작했고, 1616년까지 건주를 통합하여 후금의 칸을 자칭했다.[19][20]
2년 후, 누르하치는 칠대한을 선포하고 명나라의 통치를 거부하며 전쟁을 선포했다. 이후 명나라 군대를 상대로 승리하며 수도를 헤투 알라에서 랴오양(1621년), 선양(1625년)으로 옮겼다.[21] 또한, 코르친 부족은 전쟁에서 유용한 동맹이 되어 여진족에게 기병 궁술을 전수해 주었다. 누르하치는 여진족과 코르친족 귀족 사이의 혼인 정책을 시작했고, 저항하는 이들에게는 군사 행동으로 대응했다.
2. 1. 2. 명나라 정복
아이신기오로 가문의 홍타이지는 랴오둥 반도에서 명나라 군대를 격퇴하고 1636년에 국호를 후금에서 청으로 바꾸고 만주에서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였다.[101]명나라가 쇠퇴하고 멸망의 조짐을 보이자 이자성이 이끄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고, 1644년에는 반란군이 명의 수도인 베이징을 점령했다. 하지만 반란은 진압되었고, 청나라 군대는 만주족 군사들을 이끌고 베이징을 점령하여 명나라 한족 귀족들을 대량으로 랴오둥 반도의 후금으로 끌고 갔다. 청나라 군대는 빠르게 명나라 수도 베이징을 점령하고 명나라 황제를 사로잡았고, 명나라 황후를 포함한 많은 한족 여성들을 사로잡아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로 끌고 가 노비로 삼았다.[101]
베이징을 잃은 명나라는 수도를 난징으로 옮기고 청나라와 본격적으로 대립하며 수년간 치열한 전쟁을 벌였다. 명나라는 멸청을 주장하며 강하게 저항했고, 후금에 납치된 한족들을 공물을 바치고 데려오려 했으나 실패했다. 명나라 왕조에 충성하던 한족들은 이민족 여진족의 국가에 강하게 저항했다. 청나라 만주족들은 남진을 계속하여 난징을 유린하였고, 당시 난징에서 노비로 끌려간 한족들만 200만 명이 넘었다. 명나라의 잔존 세력들을 소탕하며 1683년에 이르러서야 명나라를 멸망시켰다.[101]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이지, 만주족과 한족이 화합하여 건국한 국가는 아니다. 청나라 이후 만주족은 한족들을 직접 지배하였으며 한족들은 정치적인 독립성이나 의결권이 존재하지 않고 만주족에 예속되었다. [101]
만주족들은 정복에 항의하는 한족들은 학살하였으나 항복하고 만주족에 정복된 것을 인정하는 한족들은 등용되어 한족의 문화 또한 수용하였다.[101] 하지만 한족이 치욕스럽게 생각하는 변발과 만주족 풍습이 강요되었고, 명나라 출신 한족 여성 중 외모가 뛰어난 한족 여성들은 노예로 만들어 한노녀(漢奴女)로 불렸다.[102][103]
2. 1. 3. 한족 저항과 정복
명나라가 쇠퇴하고 멸망의 조짐을 보이자, 이자성이 이끄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고, 1644년에는 반란군이 명의 수도 베이징을 점령했다.[101] 하지만 이 반란은 진압되었고, 이후 청나라 군대는 만주족 군사들을 이끌고 베이징을 점령하여 명나라 한족 귀족들을 대량으로 랴오둥반도의 후금으로 끌고 갔다.[101] 청나라 군대는 빠르게 명나라 수도 베이징을 점령하고 명나라 황제를 사로잡았으며, 명나라 황후를 포함한 많은 한족 여성들을 사로잡아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에 끌고 가 노비로 삼았다.[101]베이징을 잃은 명나라는 수도를 난징으로 옮기고 청나라와 본격적으로 대립하며 치열한 전쟁을 수년간 지속했다.[101] 명나라는 멸청을 주장하며 강하게 저항했고,[101] 명나라에 충성하던 한족들은 이민족인 여진족의 국가에 강하게 저항하였다.[101] 청나라 만주족들은 남진을 계속하여 난징을 유린하였고, 당시 난징에서만 200만 명이 넘는 한족들이 노비로 끌려갔다.[101] 명나라의 잔존 세력들을 소탕하며 1683년에 이르러서야 명나라를 완전히 멸망시켰다.[101]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이지, 만주족과 한족이 화합하여 건국한 국가는 아니었다.[101] 청나라 이후 만주족은 한족들을 직접 지배하였으며, 한족들은 정치적인 독립성이나 의결권이 없이 만주족에 예속되었다.[101]
만주족들은 정복에 항의하는 한족들을 학살하였으나, 항복하고 만주족의 정복을 인정하는 한족들은 등용하여 한족 문화를 수용하기도 하였다.[101] 하지만 한족이 치욕스럽게 생각하는 변발과 만주족 풍습이 강요되었고, 명나라 출신 한족 여성 중 외모가 뛰어난 여성들은 노예로 만들어 한노녀(漢奴女)로 불렸으며, 한족 관료들은 노재(奴材)로 불렸다.[102][103][101]
만주족에 의한 지배는 한족들에게 가혹했기 때문에, 기록된 한족들의 반란 사건이 많으며 그 반란은 항상 무력으로 잔인하게 진압되었다.[101] 청 군대가 만리장성을 넘어 중국에 들어올 때 ‘양주십일(揚州十日)’, ‘가정삼도(嘉定三屠)’와 ‘머리카락을 기르면 목을 자른다(留髮不留頭)’는 등의 사건을 일으켰다.[105][106][107] 당시 중국을 정복한 만주족은, 한족들로부터 오랑캐라고 극심한 저항과 멸시를 받았는데, 이들을 진압하기 위해 많은 학살을 자행하였다.[105][106][107] 몇몇 기록에 의하면 양저우 한 곳에서만 약 80만명이 학살 되었으며,[105][106] 약 5,000만 명에서 최대 1억 명의 한족이 만주족에게 학살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07]
2. 2. 발전과 번영
청나라는 순치제에 이어 즉위한 강희제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으나, 보정대신들을 견제하고 삼번의 난을 진압하는 등 강력한 통치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준가르를 정벌하고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국경을 안정시켰다.
강희제에 이어 옹정제와 건륭제 시기에 청나라는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이 시기를 강건성세(康乾盛世)라고 한다. 이 시기에 청나라는 1,30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영토를 다스렸으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였다. 옹정제는 군기처를 설치하고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며, 캬흐타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적 안정을 꾀했다. 건륭제는 십전무공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사고전서를 편찬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나, 문자의 옥을 일으켜 비판 세력을 탄압하기도 했다.
건륭제 통치 말기, 청나라는 겉으로는 번영했지만 내부적으로는 부패와 사회 문제가 심화되었다. 특히 화신의 부정부패와 인구 증가로 인한 농지 부족 문제가 심각했다. 1796년에는 백련교도의 난이 일어나 청나라의 번영에 큰 타격을 입혔다.
2. 2. 1. 강희제의 통치

강희제는 61년간 재위하여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황제이며, 청나라의 전성기를 열었다. 8세의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오른 강희제는 도르곤의 권력 독점을 우려한 순치제가 임명한 4명의 보정대신(허셔리 소닌, 구왈갸 오보이, 나라 숙사하, 뇨후루 어빌운)의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가장 강력한 구왈갸 오보이가 권력을 장악하자, 1669년 강희제는 그를 속여 감옥에 가두었다. 이 사건으로 15세의 어린 황제가 노회한 대신을 물리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명성이 높아졌다.
초기 만주족 지도자들은 청나라 통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유교 사상과 관료 제도를 받아들였다. 만주족과 한족 유생들은 서로 협력하기 시작했고, 만주족이 실시한 과거 제도는 투항한 한족도 관직에 진출할 수 있게 했다. 강희자전 편찬은 유교 학습의 필요성을 일깨웠으며, 1670년대 강희제는 황실 칙령을 내려 유교적 가치를 널리 퍼뜨리고자 했다. 다만 전족 같은 악습을 폐지하려는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청나라는 사회 안정을 위해 만주족의 중앙아시아적 특성을 활용하여 몽골족, 티베트인, 오이라트인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갔다. 강희제는 아담 샬 등 예수회 선교사들을 적극 기용했으나, 전례 문제로 관계가 단절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번왕들의 힘이 커져 중앙정부의 통제를 따르지 않게 되었다. 1673년 상가희가 은퇴를 요청하자, 강희제는 은퇴는 허락했지만 아들에게 자리를 물려주는 것은 허락하지 않았다. 다른 두 번왕도 은퇴를 선언하며 압박했지만, 강희제는 봉토를 모두 회수했다.
이에 삼번의 난이 일어났고 약 8년간 지속되었다. 오삼계는 스스로 황제가 되려는 욕심에 양쯔강 이북으로 진격하지 않아 강희제에게 전열을 정비할 기회를 주었다. 강희제는 만주 군대로 역습하여 1681년경 중국 남부를 완전히 장악했다.
청나라 조정은 한족 반란 진압에 만주족 팔기군을 주로 동원했고, 강희제는 만주족 장군들을 선두에 내세웠다.
강희제는 중가르족을 상대로 외몽골 원정을 실시하여 갈단의 침략군을 몰아내고 제국에 편입시켰다. 청-중가르 전쟁에서 갈단은 전사했다. 이후 강희제는 라싸에 군대를 보내 청나라에 친화적인 달라이 라마를 세웠다. 1683년, 정씨 왕조의 정극상에게서 항복을 받았다. 강희제는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국경 안정을 꾀하였다.
강희제는 61년간 재위하며 청나라의 경제력, 군사력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했다. 17세기 후반, 중국은 청나라 지배 하에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고, 명나라 이래 가장 안정되고 발전된 경제적, 정치적 시스템을 갖추었다.
2. 2. 2. 옹정제와 건륭제의 통치
강희제의 재위 기간은 61년으로 중국 역사상 가장 길었으며, 청나라의 전성기의 시작을 알렸다. 옹정제와 건륭제 시기에는 청나라가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이 시기를 강건성세(康乾盛世)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청나라는 1,30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영토를 다스렸으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였다. 그러나 건륭제 말기부터 쇠퇴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서양 학자들은 이를 '오후의 태양'과 같았다고 평가했다.강희제가 1722년 겨울에 사망하자, 그의 넷째 아들인 옹친왕(雍親王) 윤진이 옹정제로 즉위했다. 옹정제는 즉위 직후부터 명군이라 불릴 만한 치세를 펼쳤다. 그는 유교의 기틀을 다잡았고, 1723년에는 그리스도교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선교사들을 추방했다. 또한 군기처를 설치하여 제국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발전시켰다. 옹정제는 지방 지주들에 대한 대우를 엄격히 하고 토지세를 더 걷어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양쯔강 이남에서는 큰 반발에 부딪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외교적으로는 1727년에 러시아와 캬흐타 조약을 체결하여 외몽골에 대한 전적 권한을 얻었다.

옹정제가 1735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보친왕(寶親王) 홍력이 건륭제로 즉위했다. 건륭제는 신장과 몽골에 군대를 이끌고 나가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고, 티베트에 대한 통치권을 확립했다. 또한 사고전서 편찬을 지시했으나, 문자의 옥을 일으켜 청나라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도서들을 검열하고 없애기도 했다.
건륭제 통치 말기, 청나라는 겉으로는 번영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썩어가기 시작했다. 특히 건륭제의 총애를 받은 화신은 엄청난 부정부패를 저질렀다. 또한 인구가 급증하여 농지가 부족해지는 등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1796년에는 백련교도의 난이 일어나 청나라의 번영에 큰 타격을 입혔다.
2. 3. 쇠퇴와 반란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는 서구 열강의 압력에 직면하며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내부적으로는 인구 과잉, 부정부패, 경제난, 정치적 경직성 등 여러 문제들이 곪아 터지기 시작했다. 특히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서구 열강에게 자유 무역, 치외법권, 조계지 설정 등 불평등 조약을 강요당했고, 이는 중국 경제를 예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01]19세기 중반에는 태평천국의 난(1850년~1864년)과 둥간 혁명(1862년~1877년) 등 대규모 민란이 발생하여 2천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극심해졌다. 이러한 혼란은 청나라의 통치 기반을 더욱 약화시켰다.
1860년대 동치제 시기, 동치중흥이라 하여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청나라 보전 움직임이 있었으나, 근본적인 개혁에는 실패했다. 양무운동을 통해 서구 기술을 도입하려 했지만, 1894년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그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다. 이로 인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고 타이완섬을 일본 제국에게 빼앗기는 등 굴욕을 겪었다.[101]
이후 광서제가 무술변법을 통해 대대적인 개혁을 시도했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반발(무술정변)로 실패하고, 개혁 세력은 몰락했다. 이는 청나라의 근대화 노력을 좌절시키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 서구 열강의 침략에 저항했지만, 8개국 연합군에 의해 진압되고 신축조약을 체결하면서 더 큰 굴욕을 겪었다. 이후 청나라는 뒤늦게 행정, 경제 개혁을 실시하고 선거제 도입, 과거제 폐지 등 근대화를 추진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1908년 광서제가 독살 의혹 속에 사망하고, 만주족 보수 세력이 다시 권력을 잡으면서 개혁은 중단되고 청나라는 멸망의 길로 들어섰다.
결국 1911년 우창 봉기를 시작으로 신해혁명이 일어나 중화민국이 수립되면서 청나라는 멸망했다. 1912년 위안스카이가 마지막 황제 선통제를 퇴위시키면서 청나라는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3. 1. 서양과의 관계 악화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는 서구 열강과의 관계에서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9세기 초, 영국은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은 유출을 해결하기 위해 아편을 밀수출하기 시작했다. 이는 청나라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고, 도광제는 임칙서를 파견하여 아편 무역을 단속하게 했다.[101] 임칙서의 강경 대응은 결국 1840년 제1차 아편 전쟁으로 이어졌다.[102][103]이 전쟁에서 청나라는 근대화된 영국 군대에 패배했고, 1842년 난징 조약을 체결하여 홍콩섬 할양, 5개 항구 개항, 치외법권 인정 등 불평등한 조약을 강요받았다. 이는 청나라의 주권을 크게 훼손하는 것이었으며,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1856년에는 제2차 아편 전쟁이 발발했다.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베이징을 점령했고, 청나라는 1858년 톈진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더 많은 항구를 개방하고, 외국 공사관의 베이징 주재를 허용하는 등 더 큰 굴욕을 겪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제국은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통해 외만주 지역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청나라의 약점을 드러냈고, 서구 열강의 경제적, 정치적 침략을 심화시켰다. 이는 태평천국의 난과 같은 내부 반란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청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2. 3. 2. 태평천국의 난
19세기 중반, 청나라에서는 홍수전이 이끄는 태평천국의 난(1851년 ~ 1864년)이 일어났다. 이는 청나라에서 일어난 한족의 첫 대규모 반(反)만주 운동이었다.[101] 최악의 기근과 사회 불안정 속에서 빠르게 퍼진 태평천국의 난은 청나라 권력층에게 엄청난 위협이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역사상 가장 잔인한 내전으로 불리며 청나라의 국력 자체를 크게 깎아먹었다. 약 14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2천만에서 3천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기아, 가뭄, 전쟁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사망했다.[102][103]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유생으로, 1851년 구이저우 성에서 난을 일으켜 세력이 커지자 태평천국을 선포하고 왕을 자칭했다. 그는 자신이 신의 환각을 보았다고 주장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동생이라고 믿었다. 태평천국은 노예제, 조혼, 아편 흡입, 전족, 사법 고문, 우상 숭배 등을 금지하며 사회 개혁을 시도했다. 그러나 너무 빠른 성장은 내부 분열과 부패를 불렀고, 외세 배척 사상에 불안을 느낀 프랑스와 영국은 청나라를 도와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결국 1864년 증국번의 지휘 아래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청 제국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큰 타격을 입었다. 게다가 반란의 불씨는 사그라들지 않아 이후 무슬림, 묘족 등 소수민족들도 독립을 요구하며 청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태평천국의 난 진압 과정에서 청나라는 막대한 농토가 파괴되어 세입이 급감하고 수백만 명의 백성을 잃었으며, 영토 통제력도 약화되었다. 지방에서는 독립적인 군사 세력들이 성장하여 자경단이나 군벌로 발전하기도 했다.
2. 3. 3. 제2차 아편 전쟁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썩어 가던 청나라 군대는 속절없이 무너졌다.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당시 황제 함풍제는 1858년에 톈진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는 모든 중국 공문서에 한자와 함께 영어를 혼용해야 한다는 내용과, 모든 영국 군함에게 항해 가능한 모든 중국 강에 대한 출입을 허가한다는, 말도 안 되는 내용이 들어있어 중국인들의 자존심에 큰 타격을 입혔다.[101] 중국을 만만하게 보기 시작한 서구 세력이 톈진 조약을 바로 다음 해에 개정하자 중국인들의 적대감은 극에 달했다. 1860년, 영국과 프랑스 군대가 베이징으로 진군했고 황제와 조정은 수도를 버리고 청더로 피난을 갔다.[101] 베이징에 입성한 서구 군대는 황제의 여름 궁전인 원명원을 약탈하고 불태웠다.[101] 베이징에 남아있던 공충친왕 혁흔이 황제 대신 베이징 조약에 강제로 서명했고, 이 조약을 통해 중국은 또다시 막대한 이권을 빼앗겼다.[101] 당시 영국, 프랑스와 청나라 사이의 중재 역할을 맡았던 러시아 제국에게는 외만주를 영구 할양하였고, 베이징에는 외국 공사관의 주재를 영구 허용했다. 한편 청더로 도망친 황제는 그 다음 해에 바로 사망했다.[101]
2. 4. 실패한 개혁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의 부실한 국력이 드러나면서 서구 열강들은 청나라에게 자유무역, 치외법권 등 불평등 조약들을 강요하고 경제적 침탈을 가속화했다. 사회적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1800년대 말에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과 둥간 혁명 등으로 인해 2천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희생되었다.[101]1860년대 동치중흥이라 하여 청나라 보전을 위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이마저도 충분치 못하여 실패했다. 이후 광서제 주도로 무술변법을 펼치며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쿠데타로 실패했다.[101]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서구 열강들의 횡포가 심해지자, 1900년 민족주의 세력인 의화단이 난을 일으켜 서구인들을 학살했다. 이를 빌미로 서구 군대가 청나라를 침략하여 서태후와 황실은 서안으로 피신했다.[101]
의화단 운동으로 인해 청나라는 신축조약을 맺고 서구에게 많은 이권을 내주었다. 뒤늦게 행정적, 경제적 개혁을 실시하며 선거제, 법률, 과거제 폐지 등 근대화 정책들을 발의하였다. 개방적인 분위기 속에 쑨원,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이 등장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1908년에 광서제가 서태후에 의해 독살당하고, 만주족 출신 보수 세력이 다시 조정을 장악하면서 개혁론자들을 축출하여 청나라는 멸망의 길을 걸었다.[101]
2. 4. 1. 동치중흥과 양무운동
1860년대에는 청나라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청나라를 보전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를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충분치 못하였고 개혁에 실패한 청나라는 갈수록 쇠퇴하였다.양무운동을 통하여 실시한 개혁 정책은 1894년에 일어난 청일 전쟁으로 인하여 그 한계가 드러났다. 청나라는 이로 인하여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으며 타이완마저 일본 제국에게 빼앗겼다.
2. 4. 2. 청일 전쟁과 변법자강 운동
양무운동을 통해 실시한 개혁 정책은 1894년에 일어난 청일 전쟁으로 인해 그 한계가 드러났다. 청나라는 이로 인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으며 타이완마저 일본 제국에게 빼앗겼다.[101]이후 광서제의 주도 하에 무술변법이 시행되어 대대적인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쿠데타로 인해 개혁 세력들이 몰락하면서 이마저도 실패로 돌아갔다. 이로써 청나라의 근대화 노력은 완전한 실패로 끝났다.[101]
2. 4. 3. 의화단 운동과 신축조약
1900년, 청나라를 지지하는 민족주의 세력인 의화단이 난을 일으켜 외국인들을 학살했다. 이를 빌미로 서구 열강과 일본, 러시아는 팔국연합군을 결성하여 청나라를 침략했다. 서태후는 이들 국가에 선전포고를 했지만, 연합군에게 패하여 서안으로 피신하는 굴욕을 맛보았다.결국 청나라는 신축조약을 체결하여 막대한 배상금 지불과 외국 군대의 베이징 주둔을 허용하는 등, 서구 열강에게 많은 이권을 내주면서 국가의 주권이 크게 훼손되었다.
2. 5. 신해혁명과 멸망
19세기 말, 청나라는 안팎으로 심각한 위기에 놓였다. 인구는 4억 명이 넘었지만 조세 수입은 그대로여서 재정난이 심각했고, 아편 전쟁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불평등 조약 체결과 경제적 예속화가 빨라졌다.[101] 태평천국의 난과 둥간 혁명 등으로 2천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사회 혼란도 극심했다.1860년대 동치중흥, 1890년대 양무운동과 무술변법 등 개혁 시도가 있었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서태후의 쿠데타 등으로 좌절되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은 서구 열강의 침략을 불러와 신축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2. 5. 1. 청말신정과 멸망
의화단 운동으로 인해 신축조약을 맺고 서구 열강에게 수많은 이권을 내준 이후, 청나라는 뒤늦게 대대적인 행정적, 경제적 개혁을 실시하며 선거제, 법률, 과거제 폐지 등 수많은 근대화 정책들을 발의하였다. 이를 청말신정이라 부른다. 이 시기에는 개방적인 분위기 속에서 사회적으로도 수많은 개혁가들이 등장하였으며, 공화주의자인 쑨원과 입헌군주정 옹호자인 캉유웨이와 량치차오 등이 서로 다투며 의견을 내놓았다.[101]그러나 1908년에 광서제가 서태후에 의해 독살당해 사망한 이후, 만주족 출신의 보수 세력이 다시 조정의 주도권을 잡았고 개혁론자들을 조정에서 축출하며 청나라는 완전히 멸망의 길을 걷게 된다.[102][103]
결국 1911년 10월 10일에 우창 봉기가 일어났고, 이를 계기로 신해혁명이 일어나 중화민국이 세워지며 청나라는 공식적으로 중국 전역에 대한 통치권을 상실하였다. 이후 1912년 2월 12일에 청나라의 장군이었던 위안스카이가 최후의 황제인 선통제의 퇴위를 강제하며 결국 청나라도 멸망하고야 만다.
2. 5. 2. 신해혁명
1911년 10월 10일, 우창 봉기를 계기로 신해혁명이 발발하여 중화민국이 건국되면서 청나라는 중국 전역에 대한 통치권을 상실하였다.[101] 혁명의 주요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창 봉기: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혁명이 시작되었다.
- 중화민국 건국: 혁명의 결과,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이후 1912년 2월 12일, 청나라 장군 위안스카이가 마지막 황제 푸이의 퇴위를 강요하면서 청나라는 멸망했다.[101]
3. 외교
청나라는 조선, 응우옌 왕조 등 주변 국가들과 교류를 지속하였다.[102] 청나라는 이미 후금 시대에 몽골의 여러 부족을 병합하고 조선으로 하여금 조공하게 하였다. 청군이 화남으로 진격함에 따라 류큐 제도, 마카오의 포르투갈인, 베트남(안남)이 조공을 바쳤다.[93][94]
1683년 7월, 정성공의 손자 정극상이 투항하고 청 제국은 타이완섬을 평정하였다. 1684년, 청나라 조정은 정식으로 바다를 열어 백성들에게 대외무역을 허락하였다.[108] 또한, 월동(粵東)의 마카오(일설에는 광저우), 복건(福建)의 장주부(漳州府), 절강(浙江)의 영파부(寧波府), 강남(江南)의 운대산(雲台山)에 각각 월해관(粵海關), 민해관(閩海關), 절해관(浙海關), 강해관(江海關)을 설립하고 대외무역을 관리하고 관세를 징수하는 기관으로 삼았다. 강절민월 4대 해관은 각자 소재지 성(省)에 소속된 해관 항구를 다스렸으니, 통상적으로 10여개에서 수십개의 해관 항구를 직할로 두었다.[109]
1793년, 영국은 광저우 한 항구에 국한된 무역 확대를 협상하기 위해 조지 3세가 건륭제 80세 생일을 축하하는 사절단으로 조지 매카트니를 파견했으나, 대청 수출 확대를 원하는 영국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이러한 청의 대응 결과, 영국과 청의 무역에서 청의 상인은 은으로만 지불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었다. 당시 영국은 차, 도자기, 비단을 청에서 대량으로 수입했지만, 청에 수출할 상품이 부족하여 매년 큰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었다. 영국은 인도 식민지에서 재배한 마약 아편을 청에 수출함으로써 삼각 무역을 성립시켰다. 청은 1796년에 아편 수입을 금지했지만, 아편 밀무역은 해마다 확대되었다. 1839년 린쩌슈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아편 밀무역 단속을 강화했다.
1840년 청나라 연안에 침공하여 아편 전쟁을 시작했다. 1842년 영국과 불평등한 난징 조약(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호문채 추가 조약, 오구통상장정)을 체결했다. 주요 내용은 홍콩섬의 할양과 상하이 등 5개 항구의 개항, 영사재판권의 승인, 관세자주권의 상실, 일방적인 최혜국 대우의 승인이었다(이후 1844년에 프랑스와 황포 조약을, 미국과 왕하 조약을 체결했다).
1856년 청 관리가 자칭 영국 선박 애로호의 선원을 체포한 것을 구실로 1857년 제2차 아편 전쟁(애로 전쟁)을 일으켰다. 1858년 텐진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의 비준이 거부되자 베이징을 점령하고, 1860년 베이징 조약을 체결했다. 이때 러시아에 의해, 먼저 아이군 조약(1858년)에서 아무르 강 좌안을, 그리고 베이징 조약(1860년)에서 우스리 강 우안을 할양당했고, 러시아는 그곳을 아무르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로 편입했다(외만주). 신장에 대해서도 1864년 조약이 체결되어 이식쿨 호, 자이산 호 서쪽을 잃었다.
같은 시기에 국내에서도 태평천국의 난(1851년 - 1864년)등이 발생하여 청나라의 지배는 위기에 처했다. 이에 청나라에서는 양무운동을 시작했다.
청일 전쟁으로 인하여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났고, 청나라는 이로 인하여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으며 타이완마저 일본 제국에게 빼앗겼다.
의화단이 1900년에 난을 일으켜 신축조약을 맺고 서구에게 수많은 이권들을 내주었다.
국제사회를 보는 시각에서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 아니라 중국도 세계의 일부라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일으킨 중국은 1876년 10월 영국에 처음으로 공사를 파견하는 새로운 중국 외교사를 썼다. 중국이 외국에 외교사절을 파견한 것은 중국의 대외관계에 중대 변혁이 일어난 것이며, 중국이 근대 서양 국제법을 인정하고 국제사회에 진입한 의미를 지니는 변화였다. 이후 청조는 30년 동안 모두 18개 국가에 연인원 68명의 공사 또는 부사(副使)를 파견했고, 1877년부터는 57개 지역에 영사를 파견했다.[110]
4. 몽골 통치
청나라는 내몽골과 외몽골에 대해 차별적인 통치 방식을 적용했다. 내몽골은 일찍이 후금 시절부터 팔기군에 편입되어 몽골팔기로서 만주족, 여진족, 시버족과 함께 팔기군의 주요 구성원이었다. 이들은 한군기인보다 더 우대받는 집단이었으며, 청나라 황실은 주로 보르지긴 가문 출신의 내몽골 왕공의 딸들과 통혼하였다.[101] 이러한 조치 덕분에 내몽골 지역은 빠르게 청나라에 동화되었다.
반면 외몽골의 할하 부족에 대해서는 원나라 시기부터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다.[102] 청나라는 몽골 사회에 부계 혈족 중심의 중국 신유교 사상을 장려하려 했지만, 몽골 부족 사회는 부계 씨족으로 조직되지 않았고 기본 조직 단위에는 관련 없는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패했다.[103]
5. 경제
17세기 후반, 중국 경제는 명나라 멸망 과정에서 입은 피해에서 점차 회복되기 시작했다. 18세기에는 시장이 명나라 후기와 유사하게 점차 팽창하기 시작했고, 늘어나는 인구와 해외 시장 개척으로 인해 경제 규모 자체는 점차 증가하였다. 18세기 말에는 중국의 인구가 명나라 말 1.5억 명에서 3억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 증가는 18세기의 기나긴 평화, 안정기와 함께 아메리카 대륙에서 고구마, 땅콩과 같은 새로운 곡물들이 들어와 식량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 건너온 새로운 품종의 쌀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도 중국의 쌀 생산을 촉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거의 모든 중국의 도시들에서 상인 길드들이 만들어졌고, 금력을 바탕으로 거대한 사회적, 정치적 영향력을 끼쳤다. 관료들과 연줄이 있는 부유한 상인들은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예술을 후원하였고 공연장과 미술품들을 취미로 삼아 사치를 누렸다. 또한 경제 발전에 힘입어 직물과 수공업도 크게 발전하였다.
청나라 정부는 명나라 말기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세금을 낼 수 없어 자신들의 땅을 거대 지주들에게 바친 사람들에게 다시 그들의 땅을 되돌려 주며 세입원을 다양화했다. 또한 사람들의 시장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관련 세금을 명나라와 비교하여 크게 깎았다. 역(役) 제도를 폐지하고 고용제를 도입하였으며, 대운하를 건설하여 상공인들이 배를 이용하여 더 쉽게 물건들을 옮기고 나를 수 있도록 운하 접근권을 훨씬 많은 사람들에게 허가해주었다. 청나라 정부는 곡물가격을 지속적으로 감시했고, 악덕상인들이 매점매석 등과 같은 행위를 통하여 가격을 급격히 올리는 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 덕분에 18세기 내내 곡물가는 완만한 곡선을 타며 상승하였다. 다만 청나라 조정은 상인들이 너무 많은 권력을 갖는 것도 경계했고, 그들의 무역 허가증을 제한하여 발급하였으며 새로운 광산 허가는 지역 개발의 용도를 제외하곤 거의 잘 내주지 않았다. 이러한 자원 개발을 막음으로 인하여, 중국의 막대한 자원들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고 종국에는 서구 열강들에게 경제적으로 종속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명청 시기 동안 중국 경제는 역사상 최고의 발전을 이룩했다. 이 때 국가 주도의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자유로운 청나라의 사회 분위기에 힘입어 이같은 변화가 더더욱 촉진되었다. 대략 1550년부터 1800년까지 중국은 송나라 때에 이어 2번째 경제 혁명을 맞았다. 송나라 시기에는 처음으로 사치품들을 장거리 무역을 통해 수출입을 했으며, 청나라 시기에는 농가들이 직접 상품작물을 길러 팔기 시작하며 단순히 자급자족하기 위해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 내놓기 위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가 시장의 주체에 농민들을 참여시켰으며, 특정 지역에서 특정 상품 작물을 기르게 하는 등 농업의 분업화가 이루어졌다. 중국의 경제가 지역간 상호의존적으로 변모하자, 지역들은 자신들의 환경과 기후에 맞추어 최적의 상품들을 생산하기 시작한 것이다.
청나라 초기에는 명나라로부터 일조편법을 계승한 세제를 사용했으나 지정은제로 전환했다. 이는 종전의 인두세(인정)·토지세(지정) 이중 과세 체계를 토지세 단일 과세 체계로 바꾼 것이다. 그전에는 향신 세력에게 면세 특권이 주어졌고, 인두세 탈세를 위해 호적에 등록하려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토지에 기반한 세제로 완전히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정책으로 청나라 중엽까지는 원활하게 세제가 기능했지만, 아편전쟁 전후로 무역 불균형으로 인해 청나라에서 은의 유출이 심해졌다. 이는 청나라 국내 은값을 끌어올리고, 반대로 동전과 곡물의 시세는 상대적으로 하락했다. 결과적으로 은납을 의무화된 서민의 납세 부담이 증가하여 곤궁에 빠지게 되었고, 이는 청나라 쇠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명나라 때부터 전국적으로 수공업이 크게 발달하여, 비단 직물과 목면 직물 외에도 철의 가공 및 판매가 성행하였고, 증가하는 인구와 농지에 필요한 농기구가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상업도 매우 활발해졌으며, 전포(典鋪)와 당포(當鋪)라 불리는 전당포는 대부와 예금업을 수행하고, 독자적으로 은과 교환할 수 있는 은표를 발행하였다. 또한 환전 업무를 하는 표호(票號)라는 기관도 있었다. 이들의 중심에는 산서상인(山西商人)(산서성 출신)과 신안상인(新安商人)(안휘성 출신)이라 불리는 상인 집단이 있었는데, 산서상인 등은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황족과도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정부 자금 운용에도 관여했다고 한다.
5. 1. 은


청나라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외국과의 무역을 통해 국내로 유입된 막대한 양의 은이었다. 1570년대에 스페인 제국이 필리핀을 정복한 이후, 아메리카 대륙에서 엄청난 양의 은을 채굴하여 전 세계 은 유동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17세기 이래 해금령으로 닫혀있던 중국 남동부 해안이 제한적으로나마 외국 자본에게 개방된 이후, 외국인들은 빠르게 청나라로 몰려들었으며 청나라의 국제 무역 규모는 18세기 후반에는 매년 4%에 이르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은 차, 비단, 수공예품 등을 팔았으며, 이 상품들은 유럽으로 건너가 큰 인기를 끌었다. 서양 상인들은 이 상품들에 대한 대가를 모조리 은으로 지급하였고, 이로 인해 유입된 막대한 양의 은은 국내 상업과 소비를 촉진했다.[61] 명나라 시기 중국은 이미 점진적으로 은본위제를 채택하고 있었는데, 강희제 시기에 전성기에 이르러 토지세를 은으로 걷을 정도였다. 국가에서 토지세를 은으로 걷자, 지주들도 농민들에게 소작세를 걷을 때 곡물 대신 은으로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는 은본위 화폐제가 농민들까지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동전과 달리 은은 은화로 만들기에는 조금 비쌌기에 대부분 은을 무게를 달아 교환하였다. 그 단위는 '테일'이라고 하는데, 대략 1.3온스 정도의 무게이다. 은은 화폐로 만들어진 적이 없었기에 사람들은 은을 사용할 때마다 무게를 달고 순도를 측정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도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갔다. 은 가치 측정 과정에 붙는 가격은 옹정제 시기까지 제대로 된 기준이 없어, 이 가격을 부풀려 온갖 부정부패를 저지르곤 했다. 옹정제는 이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해 은 가치 측정 과정에 붙는 가격을 법제화하고, 세금을 걷어 공식적인 세입원으로 만들었다. 또한 세리들의 월급을 올려 부정부패를 막고, 은을 공식적인 화폐 단위로 지정하여 지정은제를 실시하였다.[62]
무게를 재어 사용하는 화폐인 은과 신용 화폐인 동전을 함께 사용하였으며, 은은 주로 세금, 팔기에 대한 봉급, 대외 무역에 사용되었고, 동전은 국내 상거래에 사용되었다. 명나라 후기부터 등장한 향신(郷紳) 계층에 의한 지방 지배, 외국산 은의 유통에 의한 경제 발전, 양질의 동전 보급에 따른 은과 동전의 환율 상승과 그에 따른 팔기의 곤궁, 은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무역망의 번영 등이 명나라 후기부터 청나라 초기의 특징으로 꼽힌다.
청나라 초기에는 해금 정책의 영향으로 해외에서 유입되는 은이 끊기면서 극심한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져 "은귀곡천(銀荒穀賤)"이라 불렸다. 민중은 물론 유력자들 사이에서도 파산하는 자들이 속출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정씨 정권의 붕괴로 해금 정책이 완화되면서 진정되었다. 삼번의 난 이후에는 양질의 청나라 동전 보급에 힘썼기 때문에, 동전의 신용이 높아지고 널리 유통되었다. 동전의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과의 환율이 급등하는 돈귀(錢貴) 상태가 되었다. 이것은 봉급을 은으로 받고 동전으로 환전하여 생필품을 구입하던 기인들에게 타격을 주어 이후 곤궁으로 이어지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5. 2. 서양과의 무역


18세기 중엽, 선교사를 앞세운 서구 열강이 교역을 원하자, 청나라는 교역항을 광저우로 한정하여 서양 상인들을 통제하고, '공행'이라는 특허 상인의 조합에 대외 무역의 독점권을 주었다. 공행무역으로 서양 상인들의 무역량이 적었을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그 반대로 청나라의 차와 생사는 유럽에서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었기 때문에 서구 열강과 청의 무역량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이 시기는 유럽의 상인들 중에서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청나라와의 무역을 독점해 가고 있었을 무렵이었다. 무역량이 늘어남에 따라 영국은 청나라와 무역에서 '무역 역조 현상'이 두드러졌다. 막대한 양의 은을 청에 지불하게 된 영국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청나라에게 무역 제한 조치의 철폐를 요구하였다.[101]
19세기가 되자, 영국은 무역적자를 메우기 위해 동인도 회사를 앞세워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을 중국에 수출하였다. 매년 급격히 영국 동인도 회사의 아편 수출량이 증가하자, 청나라는 국내에 아편 중독자가 늘어나는 한편, 막대한 양의 은이 빠져나가게 되었다. 당시 청나라는 '은본위제'를 실시하고 있었는데, 영국과의 '아편 무역'으로 인해 은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국가 체제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은의 가격이 두 배 이상 폭등하고, 그 결과 은으로 세금을 납부하던 농민들과 상인들은 부담이 두 배로 늘어났으며, 결국 세금이 제대로 징수되지 않아 국가 재정이 곤란한 지경에 빠져 버렸다.[102][103] 1840년 제1차 아편전쟁 이후, 외세 열강 세력들의 침탈이 본격적으로 심화되면서 청나라의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6. 문화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국가이지만, 한족의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변발 강요와 같이 한족에게 굴욕적인 풍습을 강요하기도 했으며,[102][103] 한족 여성들을 노예로 삼는 등 탄압도 병행했다.[101]
청나라 황제들은 티베트 불교를 후원하고, 몽골인들에게는 '복드 칸'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민족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한족들도 제한적으로나마 벼슬을 할 수 있었다.
청나라 초기에는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서양의 과학 기술이 도입되었다. 페르디난트 베르비스트는 만주어를 배워 강희제에게 학문을 가르치기도 했다.
청나라 정부는 학자들을 동원하여 대규모 편찬 사업을 추진했는데, 이는 언론을 통제하고 사상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대표적인 편찬 사업으로는 『강희자전』, 『사고전서』 등이 있다. 건륭제는 만주어 보존을 위해 만주어, 티베트어, 몽골어, 위구르어, 한어가 모두 포함된 사전인 『어제오체청문감』을 편찬하도록 명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고증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가 등장했다. 고증학은 주자학과 양명학을 비판하고, 사서오경의 원본을 연구하여 성인의 가르침을 정확히 해석하려는 학문이었다. 고증학자들은 『고문상서』가 위작임을 밝혀내는 등 기존의 권위에 도전했다. 그러나 문자의 옥과 같은 사상 탄압 속에서 점차 정치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순수 학문으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청나라 시대에는 한시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소설과 희곡과 같은 대중 문화는 크게 번성했다. 『요재지이』, 『홍루몽』, 『장생전전기』, 『도화선전기』 등이 이 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또한, 현대 중국 표준어의 기초가 되는 베이징어가 성립된 것도 청나라 시대였다.
6. 1. 예술
청나라 시대에는 기나긴 번영기와 함께 수많은 문화적, 예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문학의 발달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잘 발달된 인쇄술, 번영하고 구매력이 있는 도시들, 문학적 소양에 대한 유교적 풍토 등이 영향을 끼쳤다.[69]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합쳐져 청나라에 문학과 예술의 꽃이 찬란하게 필 수 있었던 것이다. 19세기에 이르자 청나라 문학가들은 서양과 일본의 예술에 영향을 받았고, 단순히 전통을 본받아 모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새로운 화풍과 사상들을 받아들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사회적인 분위기로 자리잡았다.[72]시는 여전히 엘리트 계층의 전유물로 자리잡았으나, 여성이 시를 쓰는 등 점차 작가 계층이 확대되었으며 단순히 자연 예찬이나 황제에 대한 충성심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삶에 대하여 쓰는 등 그 주제도 다양화되었다. 특히 청나라의 시의 경우, 비판적이고 실증적인 학풍이 합쳐져 단순히 형식적인 아름다움에서 벗어나 그 의미와 뜻에 더 많은 강조점을 두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고전적인 중국 전통 시들도 청나라의 입맛에 맞게 다시 쓰여지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어 전당시나 당시삼백수 등이 있다. 시만큼은 아니지만 소설과 희곡의 발달이 한층 더 현저하여 『홍루몽(紅樓夢)』, 『유림외사(儒林外史)』, 『요재지이(聊齊志異)』 등 걸작이 나왔고, 경극과 같은 희극들도 풍성하게 연출되었다. 특히 홍루몽의 경우, 사회적인 비평과 심리학적 통찰력이 잘 어우러진 작품들 중 하나로, 중국 문학의 최고봉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희극의 경우, 도화선이 1699년에 출판되었는데, 명나라의 멸망을 사랑과 연관시켜 담아낸 내용으로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가장 잘 알려진 공연 예술의 경우 베이징 경극이 있었는데, 이는 주로 귀족들이 향유하였으며 서민들은 민속 연극이나 구전을 소재로 한 연극들을 즐기곤 하였다.

회화에서는 중국의 전통적 기법 외에 카스틸리오네에 의하여 서양의 화법(畵法)이 받아들여졌고,[75] 건축은 원명원(圓明園)과 같이 베르사유 궁전에도 비길 만한 훌륭한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청나라 초기 회화에는 정통적인 사왕(Four Wangs)과 개성이 강한 바다산인(Bada Shanren)과 시타오(Shitao)와 같은 화가들이 포함되었다. 19세기에는 상해파(Shanghai School)와 영남파(Lingnan School)[76]와 같은 혁신이 등장하여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현대 회화의 무대를 마련했다.
청나라 황제들은 거의 대부분 시에 매우 능했고, 몇몇은 서화에도 자질이 뛰어났으며 유교적 예술을 사랑하여 이들을 크게 후원했다. 강희제와 건륭제는 특히 자신들의 통치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예술을 활용했다. 강희제는 1711년에 한자 사전 '패문운부'의 편찬을 후원했고[69] 건륭제는 사고전서와 같은 문학을 집대성한 방대한 양의 도서물을 만들어냈다. 왕실의 예술가들은 송나라의 화풍을 발전시켜 새로운 느낌을 담아 당시 그림들을 재구성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송나라 시대 한림학사 장택단이 그린 그림 청명상하도이다.[69] 이 황실은 그림뿐만 아니라 도자기 공업도 크게 후원했다. 특히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한 유럽 유리 제조 공법을 이용하여 만든 '북경 유리'는 나중에 서양까지 수출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70][71]

도자기 분야에서는 경덕진(景徳鎮)이 도자기 생산의 대공장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으며, 명나라 때부터 이어받은 중국 도자기(中国の陶磁器)·청화백자(染付) 등의 생산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건륭제 이후로는 이러한 것들이 급속히 쇠퇴하여 질적으로도 크게 떨어진다고 평가된다.
6. 2. 요리
요리는 청나라 시대에 문화적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요소였다. 원매와 같은 미식가들은 차를 즐기는 것과 더불어 요리와 식사 예술에 대한 미적 기준을 제시했다. 이는 신대륙 작물과 제품이 청나라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들어온 시기와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었다.[79]원매는 자신의 저서 『수원식단』을 통해 다양한 조리법과 함께 요리 미학 및 이론을 설명하여 청나라 요리의 기준을 세웠다. 만한전석은 청나라 황실에서 유래한 요리로, 만주족의 식문화를 풍요로운 재료와 요리법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이는 매우 귀족적인 요리로 여겨졌지만, 원매와 같이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요리법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만한전석을 '남에게 아첨할 때나' 쓰기 좋은 요리라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79]
7. 청나라의 중앙 관제
청나라는 만주족이 명나라를 무력으로 정복한 국가로, 한족은 정치적 독립성이나 의결권 없이 만주족에 예속되었다. 한족은 변발 강요와 차별 대우를 받았고, 명나라 출신 한족 여성들은 노예로 전락하기도 했다.[101][102][103] 만주족에 항복하고 정복을 인정한 한족은 등용되기도 했으나, 차별적인 대우와 만주족 풍습 강요는 여전했다.
청나라의 중앙 관제는 황제를 정점으로, 6부(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를 통해 정책을 집행했다. 각 부는 만주족과 몽골족 상서(尙書) 각 1명, 좌우시랑(左右侍郞) 각 2명으로 구성되어 황제에게 직접 보고할 권한을 가졌다. 명나라의 최고 결정 기구였던 내각대학사는 청나라에서 황제의 자문 위원회 정도로 역할이 축소되었고, 4명의 대학사(大學士)와 2명의 협판 대학사(協辦 大學士)는 모두 만주족과 몽골족이 동수로 자리를 차지했다.
옹정제는 경직된 관료제를 견제하기 위해 황족과 만주 귀족으로 구성된 판리군기사무처(辦理軍機事務處)를 설치하여 황제가 최종 결정을 내리도록 했다. 군기처는 군사, 행정 업무를 장악하며 청나라 최고 정무 기관으로 부상했고, 6~10명의 군기대신들은 6부의 상서와 시랑, 총독 등 고위 관리들이 겸직했다.
7. 1. 중앙 정부
명나라의 정치제도와 관료제도를 팔기군과 만한병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사용했다. 다만 만주족의 국가인 청나라였기에, 관리를 채용할 때에 만주족과 한족을 철저히 구분하였으며 어떤 관직은 몽골인들에게 맡기기도 하였다. 한족들은 지배층인 만주족과 기타 몽골 민족들에게 자주 법적으로 불리하게 되었고, 만주족과의 법적 다툼에서는 항상 불리하게 선고되어 죄없이 죽임을 당하거나 강간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충성하는 한족들은 어느 정도 등용하기도 하였으나, 등용된 한족들은 만주족에게 항상 바짝 엎드려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37] 과거제는 1905년에 청나라가 거의 망해가기 직전까지도 계속되었다. 청나라는 관직을 문관직과 무관직으로 나누었고, 각 관직들은 9개의 품계로 나뉘었으며, 각각의 품계가 또다시 정과 종으로 나뉘었다. 예를 들어 정 1품이 가장 높은 관직이었고, 종 1품이 그 뒤를 이었던 것이다. 청나라의 관제에서는 황제가 맨 꼭대기에 위치하고, 내각대학사(內閣大學士)가 그 바로 아래에 있었다. 민간 관련직에는 포정사, 안찰사, 순무 등이 있었으며, 군사 관련직에는 팔기제를 중심으로 제독, 장군 등이 있었다.

명나라 시대 중요한 정책 결정 기구였던 대비서원은 청나라 시대에 그 중요성을 잃고 황실 서기관(Chancery)으로 진화했다. 명나라로부터 계승된 제도들은 일상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청나라 "외조"의 핵심을 이루었고, 자금성 남쪽에 위치했다.[37]
옹정제 이후 청나라 황제들은 경직된 관료제가 국정을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들은 황실 일원들과 만주 귀족들로 주로 구성된 판리군기사무처(辦理軍機事務處)와 상의하여 황제가 최종 결정하였다. 판리군기사무처는 1720년대에 옹정제에 의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처음에는 몽골족과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졌으나 곧 군사, 행정 업무들까지 장악하며 내각대학사를 제치고 청나라의 최고 정무기관으로 떠올랐다. 군기처는 6~10명의 군기대신들로 구성되었으며, 6부의 상서와 시랑, 총독 등의 고위 관리들이 겸직하였다. 이들은 지방에서 올라온 장계들을 골라 황제에게 직접 전달하였으며, 각종 밀지를 지방 정부들에게 하달하는 역할을 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초기 청나라 황제들은 명나라의 관료제 구조와 제도를 채택했지만, 한족과 만주족 사이에 통치권을 분할했으며, 일부 직책은 몽골인에게도 주어졌다.[39] 청 정부는 이전 중국 왕조들처럼 절대 군주제로 설립되었지만, 20세기 초 청 황실은 입헌 군주제로 이동하기 시작했고,[40] 자문원과 같은 정부 기구가 설립되었으며, 의회 선거를 통해 입헌 정부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다.[41][42]
내무부는 청나라에만 있던 또 다른 정부 기관이었다. 명나라 멸망 이전에 설립되었지만, 순치제 사후인 1661년 강희제가 즉위한 후에야 성숙해졌다.[38] 황실의 내정과 내궁의 활동(이 업무에서 대부분 내시를 대체했다)을 관리하는 것이 원래 목적이었지만, 청나라와 티베트 및 몽골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무역 활동(옥, 인삼, 소금, 모피 등)에 참여했으며, 강남 지역의 직물 공장을 관리했고, 심지어 책도 출판했다.[38] 소금 감독관과 소금 상인(예: 양주 소금 상인)과의 관계는 특히 수익성이 높았는데, 관료주의의 흡수적인 계층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인 관계였기 때문이다. 이 부서는 상삼기의 팔기 출신인 ''보이'' 또는 "속박된 종"들로 구성되었다.[27] 19세기까지 이 부서는 적어도 56개의 하급 기관의 활동을 관리했다.[38][28]
7. 1. 1. 6부
청나라의 관제는 황제를 정점으로 하며, 황제는 정책 집행 기관인 6부(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를 총괄했다. 6부는 각각 2명의 상서(尙書)가 지휘하며, 이들을 4명의 좌우시랑(左右侍郞)들이 보좌한다. 상서의 경우 만주인 1명, 몽골족 1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좌우시랑들도 만주족 2명, 몽골족 2명으로 구성되며 황제에게 직접 상주할 권한이 있었다. 특히 청나라 관직의 경우, 세습을 통한 만주족 귀족들과 과거시험을 통과하여 뽑힌 다른 민족들로 나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37]- '''이부(吏部)''' - 관료들의 인사를 담당하였다. 관리들의 승진, 채용, 해고까지도 모두 담당하며 막강한 권력을 자랑했다.
- '''호부(戶部)''' - 세금과 재정, 지방 행정을 관리하였다. 청나라 역사 내내 대부분의 세입은 지주세와 소금세로 충당되었고, 차에 물리는 세금과 같이 사치품에도 세금을 물렸다. 호부는 재정을 담당하여 1년 예산안을 짰으며, 호구, 공납, 부사, 조세와 같은 업무들을 처리했다.
- '''예부(禮部)''' - 예제(禮制, 교육·윤리)와 외교를 담당했다. 천자가 조상과 하늘에게 올리는 제사를 주관하였으며, 조공국이 공물을 바칠 때 이와 관련된 업무들을 맡았다. 또한 과거제를 실시할 때에도 국가 전반에서 공정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병부(兵部)''' - 명나라 시절과는 달리, 청나라 때의 병부는 매우 제한적인 권력만을 갖고 있었다. 국가의 핵심 군대인 팔기군은 황제와 만주족 귀족들의 직속 기관이었고, 병부는 한족으로 구성된 녹영군들에만 지휘 권한이 있었다. 병력의 이동과 배치는 모두 황제가 직접 결정했고, 이를 실행하는 기관도 병부가 아니라 내각, 혹은 군기처가 담당했다.
- '''형부(刑部)''' - 사법과 관련된 일들을 맡아 처리했다. 감옥과 재판, 법령의 반포들을 실시했으며, 치안을 유지하는 경찰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청나라의 사법제도는 현대의 사법과 비교하면 사법부와 입법부가 구분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다소 뒤떨어진 모습이 있었다. 법령도 황제의 뜻에 따라 임의적으로 바뀌거나 무시될 수 있었고, 판결문들과 조항들도 재판관에 따라 모두 달랐다. 지배민족인 만주족이 통치하는 청나라에서 한족들에 대하여 공정한 재판이 이루어질 지는 미지수였다. 청나라는 한족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형부에 막강한 힘을 부여, 강력한 엄벌주의를 실시했으며 한족들은 수시로 불공정한 재판에 희생되었다. 만주족들은 쉽게 한족들의 부인들을 빼았거나 강간할 수 있었고 한족들은 반항하면 죽임을 당하였다. 만주족들의 한족 유린에도 충성을 지키는 한족들은 등용되었다. 만주족에게 이러한 유린을 겪은 한족들은 당시 대부분의 인구를 차지하며 어느 족에도 포함되지 않고 성씨도 없는 중국인 백성들을 소작시키며 만주족에게 당한 분풀이를 하기도 하였다.
- '''공부(工部)''' - 공공 공사들을 담당했다. 궁전, 사원, 도로 확충 공사, 수로 공사들과 같은 대형 토목 공사들을 맡아 처리했다. 또한 동전들을 주조하는 일도 함께 맡아 하였다.
청나라 초기부터 중앙 정부는 이중 임명 제도가 특징이었는데, 중앙 정부의 각 직책에 만주족과 한족이 각각 임명되었다. 한족 임명자는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만주족은 한족의 청나라 지배에 대한 충성을 확보해야 했다.[38]
8. 행정구역
청나라는 18세기에 최대 강역을 차지했다. 최대 전성기에는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외몽골, 투바와 발하슈 평원과 현재 타지키스탄 절반, 아루나찰프라데시,길기트발티스탄,라다크,악사이친 키르기스스탄 대부분 알라콜주립자연보호구역,자이산호까지도 차지하며 13000000km2의 영토를 점령했을 정도였다. 청나라 초기 행정구역은 18개의 성(省)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후 신장 구역과 만주 지역이 성으로 추가되면서 22개로 증가하였다. 푸젠성의 일부였던 타이완섬은 19세기에 독립적인 하나의 성으로 분리되었으나, 일본 제국이 청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타이완 성을 빼앗아갔다. 각 성은 7~13개의 부(府)로 나뉘었고, 각 부는 다시 7~8개의 현(縣) 또는 주(州)로 분류되었다. 조선, 베트남 등 주변국들은 청나라에 조공을 정기적으로 바쳤으며, 아프가니스탄의 카투르 왕조도 19세기 중반까지 청나라에 공물을 바쳤다. 청나라는 파미르 고원 서부에도 영향력을 미쳤으나, 공물과 조공을 바치는 조건으로 지역 유력자에게 통치권을 일부 돌려주었다. 코칸드 칸국은 자치권을 일부 포기하고 1774년부터 1798년까지 청나라에 공물을 바쳤다.
건륭제 말기인 18세기 말 청나라에는 1,281개의 현과 221개의 주가 있었다.[113]
청나라의 정치는 다수인 한족을 소수 민족인 만주족이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에 힘썼다. 그 정책의 중심은 만한우수관제(滿漢偶數官制)였다. 이는 관직을 만주족과 한족이 동수가 되도록 배치하는 제도로, 상호 감시의 의미도 있었다.
청나라 관리의 관직은 만관결(滿官缺, 만주족만 임명), 몽관결(蒙官缺, 몽골인), 한군관결(漢軍官缺, 팔기군에 소속된 한족), 한관결(漢官缺, 팔기군에 소속되지 않은 한족)로 나뉘었다. 지방의 순무(巡撫)와 총독(總督)은 만한 병용이었고, 그 아래 지부(知府) 이하는 한족이 많이 등용되었다.
청은 각 지역의 차이가 커서 행정 구획은 일률적이지 않았고, “시세에 따라 지역 상황에 맞춰 변통하여 신중히 처리한다”는 방침으로 이루어졌다.[86]
만주인에게는 팔기제가 유지되었다. 각 기인은 황제 또는 황족에게 소속되었고, 북경의 내성은 기인(북경팔기)의 거리로 여겨졌다. 요충지에는 주방팔기가 주둔했다. 총 18곳의 “만성”이 각 성에 설립되었고, 기인을 위한 격리 거주의 원칙이 인정되었다. 기보주방은 직례주방이라고도 불리며, 건륭제 후기 25곳에 8000명이 주둔했다. 동삼성 주방은 성경, 길림, 흑룡강 주방으로 나뉘었다. 각 성 주방은 11개 성의 20개 도시에 주둔했고, 건륭제 후기 총 4만 5000명에 달했다. 신강 주방은 서역병이라고도 불리며, 준가르부, 위구르부 정복 후에 설치되었다. 병력은 1만 5000명으로, 이리 장군이 총괄했다.
황제 직할령인 옛 명나라 영토는 “성-부-현”의 3단계 제도가 시행되었다.[87] 옛 명나라 영토의 한족 이외의 민족에게는 유력자에게 토사의 지위를 주어 통치하게 했다.[88] 몽골에서는 기맹제를 정비하고, 몽골 왕후에게 자삭의 지위를 주어 유목지를 주었다. 티베트에서는 달라이 라마의 간덴포탄 자치에 따라 지방 행정 단위로 종(rdzong)을 설치하고, 그 하위 단위로 시카(gzhis ka)를 두었다. 신강에서는 이리 장군 배하에 참찬대신이 배치되었고, 우루무치에는 우루무치 도통이 배치되었다. 각 지방의 말단 행정은 현지인 유력자에게 맡겨졌고, 자삭제가 적용되거나 베그 관인제가 행해졌다.
전국은 내지 18성과, 주방장군의 5관구, 주찰대신의 2관구와 합쳐 25개의 행정 구획과, 내몽골 등의 기·맹으로 나뉘어, 각 지역의 접촉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청나라 말기, 열강의 진출과 한족의 번부 유출이 강해지면서, 각지의 옛 행정 제도로는 효과적인 통치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광서 연간에는 신강성, 봉천성, 길림성, 흑룡강성이 차례로 성이 되고, 내지와 같은 행정 제도를 갖추고 중앙 집권화가 도모되었다. 광서 34년(1908년)에는 청은 22성과, 티베트·외몽골·내몽골·청해 등의 지방이 되었다. 몽골과 티베트도 성으로 할 계획이 있었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행정구역 설치에 관해서는, 청나라는 명나라 시대의 양경(兩京)과 13개의 부정사사(布政使司)를 기본적으로 계승하여 13개 성을 설치했다. 순치 원년(1644년)에 베이징을 수도로 정하고, 선양은 옛 수도(留都)가 되었다.[89] 1645년에 북직례를 직례성, 남직례를 강남성으로 했다. 1664년, 호광을 후베이성과 호난성으로 나누었다. 1667년, 강남성은 장쑤성과 안후이성으로 나뉘었다. 1669년, 간쑤성이 설치되면서 "내지 18성"이 확정되었다.[90]
8. 1. 통치 행정 구역의 구분
청나라는 18세기에 최대 강역을 차지했으며, 전성기에는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외몽골 등을 포함하여 13000000km2에 달하는 영토를 점령했다.[113] 초기에는 18개의 성(省)으로 구분되었으나, 이후 신장과 만주 지역이 추가되고 타이완이 분리되면서 22개 성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타이완은 일본 제국에 할양되었다. 각 성은 부(府)로, 부는 다시 현(縣) 또는 주(州)로 나뉘었다. 조선과 베트남 등 주변국들은 청나라에 조공을 바쳤다.[113]건륭제 말기인 18세기 말 청나라에는 1,281개의 현과 221개의 주가 있었다.[113] 당시 청나라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청나라 후기에 간쑤-신장성, 푸젠-타이완성(1895년까지 존속), 펑톈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이 추가되었다.
통치 행정 구역의 구분은 성-부-주-현-청 (省-府-州-縣-廳)이었고, 성에는 포정사(布政使) ·안찰사(按察使), 총독, 순무, 제독, 총원, 학정사, 도원 등이 있었다. 부 ·주 ·현에는 지부(知府) ·지주(知州) ·지현(知縣)이 수장이었다.
청나라의 성(省) 조직은 명나라가 설립한 15개의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호광을 후베이성과 후난성으로 분할하여 18개 성으로 확대되었다. 각 성은 성장과 성도총병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성 아래에는 현감이 다스리는 부와 주가 있었다. 최하위 단위는 현으로, 현령이 감독하였다. 18개 성은 "중국 본토"로 알려져 있으며, 총독은 성 행정에서 최고위직이었다.
18세기 중반, 청나라는 외곽 지역을 성공적으로 지배하에 두었다. 황실 특사와 수비대가 몽골과 티베트에 파견되었고, 이들 지역은 리판원의 감독을 받았다. 칭하이도 청나라 조정의 직접적인 통제하에 놓였다. 서역은 톈산 산맥 남북 지역으로 나뉘었지만, 1762년 일리 장군직이 설립되어 두 지역 모두에 대한 통일된 군사 및 행정 관할권을 행사하였다.
만주는 성으로 분할될 때까지 군사 장군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신장과 중국 동북 지역의 일부는 19세기 중반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만주는 원래 한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버드나무 울타리로 중국 본토와 분리되었으나, 1860년대 이후 이 지역의 식민지가 시작되었다.
청나라는 황제가 몽골 칸, 티베트 불교의 수호자, 무슬림의 보호자 역할을 하면서 황실 통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884년 신장성이 설립되면서 정책이 변화하였다. 둥간 반란을 이용하여 야쿠브 베그는 신장을 침략하여 카슈가르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청나라는 야쿠브 베그를 물리치고 신장을 재정복한 후, 중국 본토의 정치 체제를 신장에 공식적으로 적용하였다. 쿠물 칸국은 신장이 성이 된 후에도 1930년까지 지위를 유지하였다. 20세기 초 영국은 티베트에 원정대를 파견하여 조약 체결을 강요하였고, 청나라 조정은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주장하여 반응하였으며,[45] 이는 1906년 영국-중국 협약으로 이어졌다.[46] 청나라 정부는 20세기 초 만주를 3개의 성으로 만들고, 동삼성 총독 직책을 설립하였다.
청은 각 지역의 차이가 커서 행정 구획은 일률적이지 않았고, “시세에 따라 지역 상황에 맞춰 변통하여 신중히 처리한다”는 방침으로 이루어졌다.[86]
만주인에게는 팔기제가 유지되었다. 각 기인은 황제 또는 황족에게 소속되었고, 북경의 내성은 기인(북경팔기)의 거리로 여겨졌다. 요충지에는 주방팔기가 주둔했다. 총 18곳의 “만성”이 각 성에 설립되었고, 기인을 위한 격리 거주의 원칙이 인정되었다. 기보주방은 직례주방이라고도 불리며, 건륭제 후기 25곳에 8000명이 주둔했다. 동삼성 주방은 성경, 길림, 흑룡강 주방으로 나뉜다. 각 성 주방은 11개 성의 20개 도시에 주둔했고, 건륭제 후기 총 4만 5000명에 달했다. 신강 주방은 서역병이라고도 불리며, 준가르부, 위구르부 정복 후에 설치되었다. 병력은 1만 5000명으로, 이리 장군이 총괄했다.
황제 직할령인 옛 명나라 영토는 “성-부-현”의 3단계 제도가 시행되었다.[87] 옛 명나라 영토의 한족 이외의 민족에게는 유력자에게 토사의 지위를 주어 통치하게 했다.[88] 현지 사정을 고려하는 동시에 중앙 집권화도 도모했다. 몽골에서는 기맹제를 정비하고, 몽골 왕후에게 자삭의 지위를 주어 유목지를 주었다. 티베트에서는 달라이 라마의 간덴포탄의 자치에 따라 지방 행정 단위로 종(rdzong)을 설치하고, 그 하위 단위로 시카(gzhis ka)를 두었다. 신강에서는 이리 장군의 배하에 참찬대신이 배치되었고, 우루무치에는 우루무치 도통이 배치되었다. 각 지방의 말단 행정은 현지인 유력자에게 맡겨졌고, 자삭제가 적용되거나 베그 관인제가 행해졌다.
전국은 내지 18성과, 주방장군의 5관구, 주찰대신의 2관구와 합쳐 25개의 행정 구획과, 내몽골 등의 기·맹으로 나뉘어, 각 지역의 접촉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청나라 말기, 열강의 진출과 한족의 번부로의 유출이 강해지면서, 각지의 옛 행정 제도로는 효과적인 통치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광서 연간에는 신강성, 봉천성, 길림성, 흑룡강성이 차례로 성이 되고, 내지와 같은 행정 제도를 갖추고 중앙 집권화가 도모되었다. 광서 34년(1908년)에는 청은 22성과, 티베트·외몽골·내몽골·청해 등의 지방이 되었다. 몽골과 티베트도 성으로 할 계획이 있었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행정구역 설치에 관해서는, 청나라는 명나라 시대의 양경(兩京)과 13개의 부정사사(布政使司)를 기본적으로 계승하여 13개 성을 설치했다. 순치 원년(1644년)에 베이징을 수도로 정하고, 선양은 옛 수도(留都)가 되었다.[89] 1645년에 북직례를 직례성, 남직례를 강남성으로 했다. 1664년, 호광을 후베이성과 후난성으로 나누었다. 1667년, 강남성은 장쑤성과 안후이성으로 나뉘었다. 1669년, 간쑤성이 설치되면서 "내지 18성"이 확정되었다.[90]
9. 군사
청나라의 군사 제도는 초기에는 만주족의 팔기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팔기군은 사회, 경제, 정치적 역할까지 수행하는 혼합 제도였다.[101] 누르하치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고, 그의 아들 홍타이지는 몽골 팔기와 한족 팔기를 추가했다. 청나라에 항복한 명나라 군대는 녹영에 통합되었는데, 이들은 팔기군보다 3배나 많은 수를 차지하게 되었다.[102][103]
강희제 시대에는 화약 사용이 서아시아의 화약 제국과 견줄 만했다.[42] 그러나 1683년 이후 지속적인 평화로 인해 팔기군과 녹영은 모두 효율성을 잃기 시작했다. 도시 주둔 병사들은 훈련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청나라는 우월한 무기와 군수 지원을 이용해 중앙아시아로 진출, 1759년 준가르족을 물리치고 신장 정복을 완료했다. 건륭제의 십대전쟁에도 불구하고, 18세기 말 청나라 군대는 대부분 무능해졌다. 장비가 열악했던 백련교도의 난(1795~1804) 진압에는 거의 10년이 걸렸고, 막대한 재정 낭비가 발생했다.
건륭제는 팔기제의 만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팔기제 소속 군인들에게 만주 민족성, 조상, 문화를 강조했고, 팔기제에 소속된 한족 군인들을 강제로 쫓아냈다.[114] 이로 인해 팔기제는 다시 만주족 중심의 정예군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수도 베이징보다는 지방에 더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하지만 오랜 평화로 팔기군과 녹영 모두 점차 약화되었다. 정조에게 바친 임제원의 청국 탐문 보고서에는 "무(武)를 숭상하는 풍속이 도리어 형식만을 숭상한다는 탄식이 있게 되었으니, 매우 좋은 모습이 아닙니다."라는 내용이 있을 정도였다.
9. 1. 초기
누르하치는 분열된 여진족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 팔기군을 만들었다. 팔기군은 황색 깃발의 정황기, 황색 테두리 깃발의 양황기, 흰색 깃발의 정백기 등으로 나뉘며, 이 중 황제 직속 군단은 상삼팔기(上三八旗)라 불렸다. 본래 팔기제는 만주인과 몽골인으로만 구성되었고, 한족은 팔기군 군인의 시종 정도로만 취급되었다. 상삼팔기에는 대부분 순혈 만주인이었고, 무술 시험을 거친 한족 출신 황제 경호원도 일부 있었다. 나머지 5개 군단은 제후들이 다스리는 하오팔기(下五八旗)라 불렸으며, 누르하치 직계 만주 귀족들이 지휘했다. 이들은 청나라 핵심 권력층으로, 팔기군 외 모든 한족 병사도 지휘했다.홍타이지는 팔기군에 몽골인과 한족을 편입시키기도 했다. 1644년 청나라가 베이징을 점령한 후, 명나라 패잔병으로 구성된 한족 군대 녹영을 창설했으나, 수가 적고 만주족에게 농락당해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녹영은 명나라와 팔기제의 지휘조직을 혼용했다. 삼번의 난 당시 팔기군은 고전했고, 오히려 녹영 소속 한족 병사들이 진압에 큰 공을 세웠다.
9. 2. 반란과 현대화
태평천국의 난 초기, 오랫동안 평화가 지속되면서 청나라 군대는 크게 약화되었다. 1853년에는 반란군에게 난징을 빼앗기는 등 많은 실수를 저질렀다. 태평천국이 톈진까지 북진하자, 위기감을 느낀 청나라 조정은 증국번에게 수도 방어를 맡겼다. 증국번은 징집된 농민들로 향용을 조직하고, 지역 유지들이 자발적으로 의병을 모아 청나라를 위해 싸울 것을 기대했다. 지방의 향신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병사들을 모았고, 이 군대는 모집된 후난성의 이름을 따 상군이라 불렸다. 상군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지만, 관리가 아닌 지방 유지와 유력자들의 지휘를 받았다. 상군과 이홍장이 창설한 회군은 종종 '향용'으로 함께 불렸다.[42]
향용 제도는 만주족의 청나라 군대 독점을 종식시켰다. 팔기제와 녹영이 여전히 존재했지만, 향용이 청나라의 비공식적인 준군사조직이 되었다. 향용은 중앙 정부가 아닌 지방 세력의 후원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청나라 조정의 통제력을 약화시켰다. 또한, 향용은 상관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20세기 초중반 군벌들이 득세하고 사회 혼란이 벌어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후반, 청나라 조정은 군대의 심각한 결함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1860년대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수십만 명의 청나라 군대가 훨씬 적은 수의 서구 군대를 막지 못하고 베이징이 함락되고 원명원이 불탔다. 산업혁명으로 만들어진 서구의 현대식 무기와 전술은 중국의 전통 무기를 압도했고, 기존 전술은 쓸모없게 되었다. 양무운동을 통해 서양 기술을 받아들여 군대를 근대화하려 했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조선에서 일어난 청일 전쟁의 패배는 중국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북양함대가 일본에게 패배한 것은 큰 군사적 실패이자 굴욕이었다. 1894년 12월, 청 조정은 새로운 군대 개혁에 착수했고, 서구화된 전술, 무기, 군함을 사들여 신건육군을 육성했다. 신건육군 중 가장 강력한 군대는 위안스카이의 지휘 하에 있었는데, 위안스카이가 청나라를 배신하고 황제가 되기 위해 이 군대를 사용하면서 청나라의 개혁은 실패했다.

참조
[1]
서적
Ritual Music in the Court and Rulership of the Qing Dynasty (1644–1911)
[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Moder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Patterns of Modern Chinese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Board of Rites and the Making of Q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The Tarikh-i Hamidi: A Late-Qing Uyghur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Our Great Qing: The Mongols, Buddhism, and the State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서적
A HISTORY OF FINE ARTS ECONOMY OF CHINA
American Academic
[8]
서적
Images of Women in Chinese Thought and
Hackett
[9]
서적
Convergence of East-West Poetics
Taylor & Francis
[10]
학술지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s://escholarship[...]
2020-07-24
[11]
서적
Ningbo chubanshe
[12]
서적
The Chinese Empire: A General and Missionary Survey, Volumes 678–679
Morgan at Scott
[1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9, The Ch'ing Empire to 1800, Part 1
[14]
서적
Manchuria Under Japanese Domin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5]
서적
Foreign Devils and Philosophers Cultural Encounters between the Chinese, the Dutch, and Other Europeans, 1590–1800
Brill
2021-03-14
[16]
서적
Celestial Empire: Life in China 1644–1911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7]
학술지
Names Have Memories: History, Semantic Identity and Conflict in Mongolian and Chinese Language Use
2007-01-01
[18]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서적
The Military Collapse of China's Ming Dynasty, 1618–4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서적
Chinese Lives: The People Who Made a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1]
서적
Contacts between cultures
[22]
서적
Tumen jalafun jecen akū: Manchu studies in honour of Giovanni Stary
[23]
백과사전
China
https://www.britanni[...]
2019-07-21
[24]
서적
Remaking the Chinese Empire: Manchu-Korean Relations, 1616–1911
Cornell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Conquest dynasties of China or foreign empires? The problem of relations between China, Yuan and Qing
https://www.academia[...]
2017-11-14
[26]
서적
The Board of Rites and the Making of Q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학술지
Emperor As Bodhisattva in the Governance of the Qing Empire
[28]
서적
Buddhism Between Tibet and China
https://books.google[...]
Wisdom
[29]
서적
China's Challenges and International Order Transit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0]
웹사이트
The Qing Dynasty and Its Central Asian Neighbors
https://quod.lib.umi[...]
2023-09-17
[31]
뉴스
https://big5.china.c[...]
2008-12-30
[32]
서적
Revolution and its Past: Identities and Change in Modern Chinese History
Pearson Hall
[33]
백과사전
Taiping Rebellion
https://www.britanni[...]
2021-11-07
[34]
웹사이트
California on the Amur, or the 'Zheltuga Republic' in Manchuria (1883–86)
https://www.research[...]
2023-09-09
[35]
서적
A New Modern History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V&R
[36]
서적
The political history of China, 1840–1928
[37]
서적
Chinese Spatial Strategies: Imperial Beijing, 1420–1911
https://books.google[...]
Routledge
[38]
뉴스
The Rise of the Manchu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ryland
2008-10-19
[39]
서적
The Changing Legal Orders in Hong Kong and Mainland China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40]
서적
Sources in Chinese History: Diverse Perspectives from 1644 to the Present
Taylor & Francis
[41]
서적
两岸新编中国近代史.晚清卷
Shehui kexuewen xianchubanshe
[42]
서적
Millward 2007
https://books.google[...]
[43]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 history, people, resources, and commercial prospects : tea, camphor, sugar, gold, coal, sulphur, economical plants, and other productions
Macmillan
[44]
간행물
Treaty of Peace between China and Japan (Treaty of Shimonoseki)
National Palace Museum
1895-04-17
[45]
뉴스
[46]
위키소스
Convention Between Great Britain and China Respecting Tibet
[47]
학술지
The Willow Palisade
[48]
서적
The Unending Frontier: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서적
The Manchurian frontier in Chʼing history
http://archive.org/d[...]
Harva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China's narrative of Han expansion
https://www.scmp.com[...]
2021-11-08
[51]
서적
Russia and Its Northeast Asian Neighbors: China, Japan, and Korea, 1858–1945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2]
웹사이트
Religion, the State, and Imperial Legitimacy
Columbia University
2021-06-15
[53]
서적
The Spirits of Chinese Relig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6-15
[54]
서적
China
London: Arno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Settling the Dead: Funerals, Memorials and Beliefs Concerning the Afterlife
http://afe.easia.col[...]
[56]
웹사이트
Institutional Religion: The Three Teachings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57]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Chin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Heal the Sick' was Their Motto: The Protestant Medical Missionaries in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60]
학술지
Missionaries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nursing in China
[61]
서적
Tianjin Social Science
http://www.jylw.com/[...]
[62]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history
Inner Mongolian People's publishing corp
[63]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New York : Barnes & Noble Books
1997
[64]
학술지
The last guardian of the throne: the regional army in the late Qing dynasty
[65]
서적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Qing taxation:Belief systems, Politics, and institu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학술지
Confucian patriotism and the destruction of the Woosung railway, 1877
[67]
서적
World Railways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9-09-10
[68]
서적
On Their Own Terms: Science in China, 1550–1900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9]
웹사이트
Recording the Grandeur of the Qing
http://www.learn.col[...]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Columbia University
2020-05-17
[70]
서적
Study of glass wares from the Qing Dynasty (1644–1911)
[71]
웹사이트
Chinese Porcelain Glossary: Glass, Chinese (Peking Glass)
http://gotheborg.com[...]
2017-06-07
[72]
서적
Chinese Whispers: Chinoiserie in Britain, 1650–1930
Royal Pavilion & Museums
[73]
웹사이트
Ch'ing Dynasty – The Art of Asia – Chinese Dynasty Guide
http://www.artsmia.o[...]
2012-09-13
[74]
웹사이트
Qing Dynasty, Painting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2-09-13
[75]
웹사이트
Transcultural Dialogues: The Journey of East Asian Art to The West
https://fuqiumeng.co[...]
Fu Qiumeng
2024-11-25
[76]
웹사이트
Home
http://www.lingnanar[...]
[77]
백과사전
Qing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01-18
[78]
웹사이트
Ming and Qing Novels
http://www.berkshire[...]
2012-09-13
[79]
서적
Food in Chinese Culture: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Yale University Press
[79]
서적
Chinese Roundabout: Essays in History and Culture
W. W. Norton
[80]
학술지
Reenvisioning the Qing: The Significance of the Qing Period in Chinese History
1996
[81]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Taylor & Francis
[82]
뉴스
狙いは民族抹消、中国が「教育改革」称してモンゴル人に同化政策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6-23
[83]
웹사이트
その後の「制誥之寶」とマハーカーラ像
https://sengna.com/2[...]
2017-05-21
[84]
웹사이트
中研院歷史語言研究所歷史文物陳列館
http://museum.sinica[...]
[85]
웹사이트
ネルチンスク条約
http://ctext.org/wik[...]
[86]
서적
『御製大清一統志序』
[87]
서적
『清史稿』志二十九 地理一
[88]
서적
『清史稿』志三十、三十一、三十二 地理志二、三、四
[89]
서적
『大清一統志』盛京
[90]
서적
清史稿地理一
[91]
백과사전
日本銀
[92]
서적
ブリュッセイ, 2019年
[92]
서적
岩井, 2012
[93]
서적
韃靼漂流記
[94]
웹사이트
『福井県史』通史編3 近世一
https://www.library-[...]
[95]
웹사이트
「18世紀オランダ東インド会社の遣清使節日記の翻訳と研究」
https://web.archive.[...]
[96]
학술지
はじめに (<特集>東アジア学のフロンティア : 清朝・満州史研究の現在)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08-03
[97]
뉴스
上海で拘束された台湾「八旗文化」編集長、何が中国を刺激したのか?
https://www.newsweek[...]
Newsweek
[98]
학술지
日本における「清朝史」研究の動向と近年の「新清史」論争について : 加藤直人著『清代文書資料の研究』を中心に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海外事情研究所
[99]
서적
《고종실록》
광무 3년 9월 11일
[100]
서적
《효종실록》
순치 9년 3월 30일
[101]
서적
만주족 이야기
[102]
서적
史家陳寅恪傳--增訂版
[103]
서적
만주족 이야기
[104]
뉴스
100년 내다보는 정책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04-07-14
[105]
서적
1985-06
[106]
서적
李榮慶等譯《南明史
上海古籍出版社(상하이고적출판사)
1992-12-00
[107]
웹사이트
明熹宗賣錄 卷4
https://web.archive.[...]
2009-01-18
[108]
서적
《淸聖祖實錄》
[109]
간행물
財經問題硏究
(대련)
2012-11-00
[110]
서적
한국과 중국 100년
기파랑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계산기정(薊山紀程) 부록(附錄) 언어(言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