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밴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밴초프는 미국의 수학자이다. 노터데임 대학교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와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1967년부터 브라운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살바도르 달리와 친분이 있어 초입방체 전개도를 보여준 인연이 있다. 미분기하학, 기하학,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운 대학교 교수 - 치누아 아체베
나이지리아 소설가 치누아 아체베는 영어로 쓰인 아프리카 문학의 선구자로서 이그보족 전통과 식민주의 충돌을 다룬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진다』를 통해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조셉 콘래드 비판, 문학상 수상 등 아프리카 문학과 포스트 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브라운 대학교 교수 -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는 브라질의 사회학자이자 정치인으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며 '헤알 플랜'으로 경제 안정화에 기여하고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 - 미분기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미분기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 수학회 석학회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미국 수학회 석학회원 - 존 밀너
존 밀너는 미분위상수학, 대수적 K이론, 동역학계에 기여한 미국의 수학자로,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를 증명하여 미분위상수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필즈상, 울프 수학상, 아벨상을 모두 수상했다.
| 토머스 밴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토머스 프랜시스 밴초프 |
| 원어 이름 | Thomas Francis Banchoff |
| 국적 | 미국 |
| 분야 | 수학 |
| 지도 교수 | 천싱선 |
| 출신 대학 | 노터데임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
2. 생애
노터데임 대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UC 버클리에서 천싱선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6] 하버드 대학교와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1967년부터 브라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 1. 살바도르 달리와의 인연
살바도르 달리와 친분이 있었다. 1975년 달리가 과학자로서 밴초프를 초대한 이후로 1985년까지 열몇 차례 서로 만났다.[7] 달리는 4차원 공간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밴초프가 종이로 된 초입방체의 전개도를 보여주자 이를 자신의 박물관에 소장하기도 했다.[8]3. 주요 연구 업적
밴코프는 미분기하학, 선형대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곡면과 곡선의 미분기하학, 가우스 사상의 첨점, 기하학을 통한 선형대수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3. 1. 주요 저서
| 출판 연도 | 제목 | 공동 저자 | 비고 |
|---|---|---|---|
| 1967 | 매입 다면체의 임계점과 곡률 | (단독) | 다면체에 대한 가우스-보네 정리 |
| 1974 | 매입 곡면의 삼중점과 수술 | (단독) | 에서 매입 곡면의 삼중점 수 |
| 1982 | 가우스 사상의 첨점 | 테렌스 개프니, 클린트 맥크로리 | 피트만 출판 |
| 1983 |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Linear_Algebra_Through_Geometry.html?id=TIWqH-j4PVgC 기하학을 통한 선형대수학 | 존 워머 | 스프링거-베를라그 출판 |
| 1990 | 제3차원 너머: 기하학, 컴퓨터 그래픽스, 그리고 고차원 | (단독)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라이브러리, 프리먼 출판 |
| 2010 | 곡선과 곡면의 미분기하학 (제2판) | 스티븐 로베트 | A. K. 피터스 출판 |
3. 2. 주요 논문
- 스티븐 로베트(Stephen Lovett) 공저: ''곡선과 곡면의 미분기하학'' (제2판), A. K. 피터스 2010
- 테렌스 개프니(Terence Gaffney), 클린트 맥크로리(Clint McCrory) 공저: ''가우스 사상의 첨점'', 피트만 1982
- 존 워머(John Wermer) 공저: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Linear_Algebra_Through_Geometry.html?id=TIWqH-j4PVgC 기하학을 통한 선형대수학], 스프링거-베를라그 1983
- ''제3차원 너머: 기하학, 컴퓨터 그래픽스, 그리고 고차원'',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라이브러리, 프리먼 1990
- [http://www.ams.org/journals/proc/1974-046-03/S0002-9939-1974-0377897-1/S0002-9939-1974-0377897-1.pdf ''매입 곡면의 삼중점과 수술.''] Proc. Amer. Math. Soc. 46 (1974), 407–413. (에서 매입 곡면의 삼중점 수에 관한 내용.)
- ''매입 다면체의 임계점과 곡률.''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1 (1967), 245–256. (다면체에 대한 가우스-보네 정리)
4. 교육 경력
밴초프는 노터데임 대학교를 졸업하고 UC 버클리에서 천싱선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6] 하버드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외에도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1967년부터 브라운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4. 1. 상세 경력
하버드에서 1964년부터 1966년까지 벤자민 페어스 강사로 재직했다.[6] 1966년부터 1967년까지는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연구 부교수로 재직했다.[6] 브라운 대학교에서는 1967년 조교수로 시작하여 1970년에 부교수, 1973년부터 2014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6]그 외 경력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직책 | 기관 |
|---|---|---|
| 1998년 | G. 레너드 베이커 객원 수학 교수 | 예일 |
| 2001년 | 객원 교수 | 노트르담 |
| 2002년 | 객원 교수 | UCLA |
| 2006년 | 객원 교수 | 조지아 |
| 2010년 | 객원 교수 | 스탠퍼드 |
| 2012년 | 객원 교수 | 베를린 공과대학교 |
| 2015년 | 객원 교수 | 서니 대학교 |
| 2015년 | 객원 교수 | 카네기 멜론 |
| 2016년 | 객원 교수 | 베일러 |
| 2018년 | 폴 할모스 객원 교수 | 샌타클라라[5] |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Recipients of the Deborah and Franklin Tepper Haimo Award for Distinguished College or University Teaching of Mathematics;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https://maa.org/memb[...]
[3]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2012-11-03
[4]
웹사이트
MAA presidents: Thomas Banchoff
http://www.maa.org/h[...]
[5]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www.math.brow[...]
2023-02-02
[6]
웹사이트
http://www.genealogy[...]
[7]
뉴스
Dali, Math the Topic of Bartlett Lecture
http://uanews.org/st[...]
[8]
뉴스
Banchoff on Dali, the Fourth Dimension
http://oberlinreview[...]
The Oberlin Revi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