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나이트 엔드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 나이트 엔드게임은 체스에서 두 개의 나이트만 남은 상황을 다루는 엔드게임으로, 일반적으로 체크메이트를 강요하기 어렵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가능하며, 특히 세 개의 나이트가 있다면 체크메이트가 가능하다. 두 나이트 대 외로운 킹의 엔드게임은 수비하는 쪽이 유리하며, 실수하지 않는 한 무승부로 이어진다. 두 나이트는 폰 하나를 상대로 체크메이트를 시도할 수 있으며, 트로이츠키 라인과 같은 규칙이 존재한다. 폰이 두 개 이상일 경우, 두 나이트는 폰을 봉쇄하고 하나를 제외한 모든 폰을 잡아야 승리할 수 있다. 이 엔드게임은 체스 문제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 문제 - 기사의 여행
기사의 여행은 체스판에서 나이트가 각 칸을 한 번씩 방문하는 경로를 찾는 수학 문제로, 오일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연구에 기여했으며, 체스판 크기에 따라 해답 존재 여부가 달라지고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해결 가능하다. - 체스 문제 - 변형 체스 기물
변형 체스 기물은 표준 체스와 다른 움직임을 가진 기물들을 사용하며, 다양한 표기법과 기물 가치를 통해 득점과 전략 수립에 활용된다. - 체스 엔드게임 -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는 컴퓨터 체스에서 엔드게임의 완벽한 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메이트까지의 깊이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생성되고, 통신 체스, 컴퓨터 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체스 엔드게임 - 외통수
외통수는 체스에서 킹이 체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어 게임이 종료되는 결정적인 상태로, 장기의 "외통"과 유사하며 "#" 기호로 표시된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투 나이트 엔드게임 | |
---|---|
체스 엔드게임 | |
유형 | 체스 엔드게임 |
기물 | 나이트 2개 대 폰 1개 |
목표 | 강제적인 체크메이트 |
난이도 | 복잡함, 항상 승리 가능한 것은 아님 |
필요 조건 | 정확한 플레이 |
설명 | |
개요 | 두 개의 나이트로 폰을 가진 상대를 체크메이트하는 엔드게임. 항상 승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정확한 플레이가 요구됨. |
강제 체크메이트 | `강제` |
트로이츠키 선 | 백이 승리하기 위한 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 |
추가 규칙 | 50수 규칙과 기물 부족으로 인한 무승부 가능성 존재 |
예시 | |
![]() | |
트로이츠키의 분석 | 백이 나이트 2개, 흑이 폰 1개를 가질 때 백이 승리하기 위한 폰의 위치를 분석함. |
![]() | |
![]() |
2. 체크메이트 가능성
일반적으로 두 개의 나이트로는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지만, 스테일메이트는 강제할 수 있다. 세 개의 나이트는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으며,[9] 심지어 수비하는 킹에게 나이트가 있거나[10] 비숍이 있는 경우에도 가능하다.[11]
에드마르 메드니스는 이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는 점을 "체스의 가장 큰 불공정함 중 하나"라고 말했다.[12]
무승부로 이론화된 다른 엔드게임, 예를 들어 룩과 비숍 vs 룩과는 달리, 두 개의 나이트 대 외로운 킹의 모든 엔드게임에서 수비하는 측은 쉬운 과제를 갖는다. 플레이어는 단순히 킹이 다음 수에 체크메이트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피하기만 하면 되며, 그러한 상황에서는 항상 다른 수가 가능하다.[13]
2. 1. 두 나이트
2. 1. 1. 구석
혼자 남은 킹을 가진 플레이어는 실수를 해야 체크메이트를 당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1.Ne7 또는 1.Nh6은 즉시 흑을 수렁에 빠뜨린다. 백은 대신 시도할 수 있다.
: '''1. Nf8 Kg8'''
: '''2. Nd7 Kh8'''
: '''3. Nd6 Kg8'''
: '''4. Nf6+'''
이제 흑이 4...Kh8??로 움직이면 5.Nf7#로 체크메이트가 되지만, 흑이
: '''4... Kf8!'''
로 움직이면 백은 진전이 없다.[14]
요한 베르거는 이 위치를 제시했으며, 어느 쪽이 움직이든 무승부이다. 백이 움직일 차례:
: '''1. Nf5 Kh8'''
: '''2. Ng5 Kg8'''
: '''3. Ne7+ Kf8!''' (흑은 단지 3...Kh8?를 피하는데, 이는 다음 수에 4.Nf7#으로 체크메이트로 이어진다)
: '''4. Kf6 Ke8'''
백은 진전이 없다. 흑이 움직일 차례:
: '''1... Kh8'''
: '''2. Nf7+ Kg8'''
: '''3. Nh6+ Kh8'''
: '''4. Ng5'''
수렁이 된다.[15]
2. 1. 2. 가장자리
열세인 측의 왕이 (모서리가 아닌) 보드 가장자리에 있는 체크메이트 위치도 있지만, 역시 강요할 수는 없다.[16] 오른쪽 위치에서 백은 '''1. Nb6+'''를 시도하여 1...Kd8?? 2.Ne6#를 기대할 수 있다. 흑은 예를 들어 '''1... Kc7'''로 이것을 쉽게 피할 수 있다. 이 가능한 체크메이트는 몇몇 문제의 기초가 된다(아래 참조).2. 1. 3. 대국 예시
1949년 팔 벤코와 다비드 브론스타인의 경기에서, 흑은 언더프로모션을 통해 나이트로 승격시켰다. 흑은 백이 승격 직후 흑의 킹과 새로 승격된 기물을 포크할 수 있었기 때문에(예: 104...f1=Q 105.Ne3+) 퀸이나 다른 기물로 승격하지 않았다.:'''104...f1=N+'''
:'''105. Kc3 Kf3'''.
백은 재미있는 수를 두었다.
:'''106. Nh2+'''
흑의 킹과 나이트를 포크했지만, 나이트를 희생했다. 흑은 다음과 같이 응수했다.
:'''106... Nxh2'''
그리고 합의에 의한 무승부가 이루어졌다.[18] (78수와 다른 시점에 3회 반복에 의한 무승부를 주장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시는 1981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의 아나톨리 카르포프와 빅토르 코르치노이의 8번째 경기이다.[19]
흑은 다음 수로 무승부를 강요했다.
:'''80... Nf7!'''
:'''81. h7 Ng5!'''
:'''82. Ne7+ Kb7'''
:'''83. Nxg6 Nxh7'''
:'''84. Nxh7 무승부'''[20]
2. 2. 세 나이트
세 명의 나이트와 킹은 외로운 킹을 상대로 20수 이내에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다(수비하는 킹이 나이트 중 하나를 잡을 수 없는 경우).[21] 완전한 계산적 거꾸로 추적 분석에 따르면, 이들은 보드의 가장자리에서만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22][23]3. 두 나이트 대 폰
몇몇 포지션에서 나이트는 폰을 이용해 체크메이트를 강요할 수 있다. 두 개의 나이트 대 폰의 몇몇 포지션에서, 나이트는 폰이 움직여야 할 때 템포를 얻거나, 폰이 체크에서 벗어나려는 킹을 방해하게 하여 체크메이트를 강요할 수 있다.
3. 1. 트로이츠키 라인
트로이츠키가 상세히 연구하여 발견한 규칙은 다음과 같다.[26]폰이 백의 나이트에 의해 트로이츠키 라인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안전하게 봉쇄되면 흑은 킹이 어디에 있든 잃는다.
이 규칙의 적용 예는 뮐러와 람프레히트 다이어그램 오른쪽에 나와 있다. "... 킹이 어디에 있든 위치는 잃게 될 것이다."[26]
[[파일:Kling %26 Horwitz 1851 two knights vs pawn.png|백이 플레이해서 승리한다.
1. Kh4 Kg2 2. Kg4 Kg1 3. Kh3 Kh1 4. Ng3+ Kg1 5. Nf3#
폰은 움직이지 않고 킹의 탈출을 막아 메이트를 돕는다.]]
그러나 체크메이트 절차는 어렵고 길다. 실제로 백이 최대 115수를 요구할 수 있다(완벽한 플레이를 가정할 때).[27] 따라서 경기에서는 50수 규칙에 의한 무승부가 먼저 발생할 것이다.
트로이츠키는 "흑의 킹의 어떤 배치에서도 백은 [트로이츠키 라인] 이상에 서 있는 흑 폰에 대해서만 의심할 여지 없이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8]
존 넌은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를 사용하여 두 나이트 대 폰의 엔드게임을 분석하고 "트로이츠키 등의 분석은 놀랍도록 정확하다"고 말했다.[29] 그는 1980년 런던에서 열린 필립스와 드류 토너먼트에서 자신이 코르치노에게 패한 게임의 사후 분석의 중요한 변형에서 바로 이 엔딩이 발생한 후 이 점검을 수행했다. 두 선수 모두 그 위치가 나이트를 가진 선수(코르치노)에게 승리인지 여부를 알지 못했다.
위치가 이론적으로 승리하는 경우에도 매우 복잡하고 올바르게 플레이하기가 어렵다. 심지어 그랜드마스터도 승리하지 못한다. 안도르 릴리엔탈은 6년 동안 두 번이나 승리하지 못했고, [http://www.chessgames.com/perl/chessgame?gid=1090836 노먼 vs. 릴리엔탈]과 [http://www.chessgames.com/perl/chessgame?gid=1090903 스미슬로프 vs. 릴리엔탈]을 참조하라. 그러나 훌륭한 승리는 세이츠의 게임에 있다. [http://www.chessgames.com/perl/chessgame?gid=1151993 Z노스코-보로브스키 vs. 세이츠]를 참조하라.[30]
3. 1. 1. 트로이츠키 라인 너머의 폰
폰이 트로이츠키 선을 넘어도 백이 이기는 경우가 있다.[32]앙드레 셰론의 연구에서, 폰이 트로이츠키 선을 훨씬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백이 이긴다.[32] 흑이 수를 두면 더 빠르다. 백이 수를 두는 경우, 다음처럼 흑에게 수를 넘겨주기 위해 조작해야 한다. 1.Kc3 Kb1 2.Kd2 Ka1 3.Kc1 Ka2 4.Kc2 (그런 다음 백은 수평이 아닌 수직 대립으로 동일한 위치를 얻기 위해 조작한다) 4...Ka1 5.Kb3 Kb1 6.Nb2 Kc1 7.Kc3 Kb1 8.Nd3 Ka1 9.Kc4 Ka2 10.Kb4 Ka1 11.Ka3 Kb1 12.Kb3 (이제 백은 방해하는 N을 제때에 메이팅 넷을 생성하기 위해 가져올 시간이 충분하다) 12...Ka1 13.Ne3 g2 14.Nc2+ Kb1 15.Na3+ Ka1 16.Nb4 g1=Q 17.Nbc2#
흑의 룩 폰이 h3에서 막힌 상황에서, 흑의 킹이 인접한 다이어그램에서 십자가로 표시된 영역에 들어가 머무를 수 있다면, 경기는 무승부가 된다. 그렇지 않으면 백은 흑의 킹을 무승부 구역에 위치하지 않은 모서리 중 하나로 강제하여 체크메이트를 할 수 있다. 흑은 h2의 나이트가 메이트를 하는 데 도움을 주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a8-코너에서 체크메이트될 수 없다: 흑은 백이 h2의 나이트를 움직이는 즉시 폰을 밀어 무승부를 만든다. 다이어그램에서 수를 두는 백은 '''1.Ke6'''으로 흑이 무승부 구역에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할 수 있지만, 흑은 나이트를 공격하기 위해 '''1...Kg5'''를 둔다. 백은 '''2.Ke5'''로 이를 막아야 하며, 이는 흑이 '''2...Kg6'''으로 초기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며, 백은 진전이 없다.[34]
3. 1. 2. 대국 예시
베셀린 토팔로프와 아나톨리 카르포프의 2000년 대국에서, 카르포프는 폰 대 두 나이트 엔드게임 이론을 숙지하지 못해 패배했다.[35] 폰이 트로이츠키 선을 넘었음에도 이론적으로는 비길 수 있었지만, 카르포프는 비기는 방법을 몰라 잘못된 위치로 이동했다.[36] 이 대국은 초반에는 비기는 상황이었으나, 카르포프의 실수로 토팔로프가 유리해졌다. 이후 토팔로프도 실수하여 다시 비기는 상황이 되었지만, 카르포프가 또다시 실수하여 결국 토팔로프가 승리했다.[37]왕 위에와 비스와나탄 아난드의 2009년 시각장애 체스 경기에서는, 흑(아난드)이 잘못된 기물로 폰을 막아 패배했다.[38] 61... Kc5 대신 61...Ne4 62. c4 Nc5!를 두어 나이트로 트로이츠키 선에서 폰을 막았어야 했다. 실제 대국에서 흑은 폰이 트로이츠키 선을 넘어가게 한 후에도 이론상 강제 승리를 가지고 있었으나,[39] 결국 무승부로 끝났다.
4. 더 많은 폰
두 나이트는 방어자가 폰을 두 개 이상 가지고 있는 경우, 경우에 따라 승리할 수 있다. 우선 나이트는 폰을 봉쇄한 다음, 하나를 제외한 모든 폰을 포획해야 한다. 나이트는 네 개의 연결된 폰에 대해 효과적인 봉쇄를 설정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이 포지션은 무승부로 이어진다. 다섯 개 이상의 폰은 보통 두 나이트에 대해 승리한다.[40]
4. 1. 대국 예시
파울 모트와니와 일리야 구레비치의 1991년 경기에서 흑은 백의 폰을 봉쇄했다.[41] 10수 만에 흑은 d4 폰을 획득했으며, 양측 모두 몇 가지 부정확한 수를 두었지만, 백은 99수째에 기권했다.[41]{{체스 다이어그램 작은 크기
| tright
| 모트와니 대 I. 구레비치
| | | | | | | |
| | | | | | | |
| | | | |kd| | |
| | |kl|nd|pl|nd| |
| | | |p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흑의 72수 후의 포지션
}}
5. 상호 추크츠방
두 나이트 대 폰 하나로 끝나는 엔드게임에서 상호 추크츠방 위치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백의 차례는 무승부이지만 흑의 차례는 패배한다.[42] 흑의 차례일 때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1... Kh7'''
: '''2. Ne4 d2'''
: '''3. Nf6+ Kh8'''
: '''4. Ne7''' (또는 4.Nh4) '''d1=Q'''
: '''5. Ng6#'''
백의 차례일 때 흑은 정확한 플레이로 무승부를 기록한다. 백은 흑을 츠크츠방에 빠뜨릴 수 없다.[42]
: '''1. Kf6 Kh7'''
: '''2. Kf7 Kh8'''
: '''3. Kg6 Kg8'''
: '''4. Ng7 Kf8'''
: '''5. Kf6 Kg8'''
: '''6. Ne6 Kh7!''' (하지만 6...Kh8?는 안 된다. 7.Kg6! 후에 백이 이기기 때문이다. 그러면 흑의 차례가 된다.)
: '''7. Kg5 Kg8'''
: '''8. Kg6 Kh8'''
백은 승리를 강요할 방법이 없다.[42]
6. 체스 문제에서의 체크메이트
보드 가장자리에서 가능한 체크메이트는 일부 구성된 체스 문제의 기초이며, 폰을 상대로 두 나이트를 이용한 체크메이트의 변형이기도 하다.[43]
알렉스 앙고스의 문제에서 백은 4수 만에 체크메이트한다.[43]
:'''1. Ne6! Nd8'''
:'''2. Nf6+ Kh8'''
:'''3. Ng5 N'''–''any'' (흑은 추크츠방에 걸렸으며, 어떤 나이트의 움직임도 f7-사각형의 보호를 포기해야 한다)
:'''4. Nf7#'''[43]
요한 베르거에 의해 구성된 비슷한 문제도 1890년에 나왔다.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44]
:'''1. Nf7! Nd6'''
:'''2. Nh6+ Kh8'''
:'''3. Ng5'''
그 다음
:'''4. Ngf7#'''.[44]
알프레드 드 뮈세의 구성에서 백은 3수 만에 보드 가장자리에서 체크메이트한다.[45]
:'''1. Rd7 Nxd7'''
:'''2. Nc6 N'''–''any''
:'''3. Nf6#'''.[45]
소보레프스키가 구성한 엔드게임 연구에서 백은 두 나이트로 체크메이트하여 승리한다.[46]
: '''1. Nh8+ Kg8'''
: '''2. Kxg2 Bf4'''
: '''3. Ng6 Bh6!'''
: '''4. Ng5 Bg7!'''
: '''5. Ne7+ Kh8'''
: '''6. Nf7+ Kh7'''
: '''7. Bh4! Bf6!'''
: '''8. Ng5+ Kh6'''[46]
: '''9. Ng8+ Kh5'''
: '''10. Nxf6+! Kxh4'''
: '''11. Nf3#'''[47]
아쇼트 나다니안이 구성한 연구에서 백은 두 나이트로 체크메이트하여 승리한다.[48]
: '''1. Rg8!! Rxg8'''
만약 1...Re7이면, 2.N6f5! Re1 3.Rxg6+ Kxh5 4.Rxh6+ Kg5 5.Nf3+로 백이 승리한다.
: '''2. Ne4+ Kxh5'''
: '''3. Ne6'''
그리고 다음 수에서 체크메이트가 되는데, 이는 추크츠방 때문이다. 두 개의 백 나이트는 네 가지 다른 체크메이트를 전달한다.
- '''3... R'''–''any'' '''4. Ng7#'''
- '''3... Nd'''–''any'' '''4. Nf6#'''
- '''3... Ng'''–''any'' '''4. Nf4#'''
- '''3... f3''' '''4. Ng3#'''
6. 1. 앙고스, 2005
6. 2. 베르거, 1890
6. 3. 드 뮈세, 1849
6. 4. 소보레프스키, 1951
6. 5. 나다니안, 2009
7. 역사
두 나이트가 폰 하나를 상대로 승리하는 최초의 알려진 구성은 1620년 조아키노 그레코에 의해서였다.[50] 1780년, 샤페는 폰이 f4 또는 h4에 있는 세 가지 포지션에 대한 부분적인 분석을 수행했다.[51] 1851년 호르비츠와 클링은 나이트가 폰 하나를 상대로 승리하는 세 가지 포지션과 폰 두 개를 상대로 승리하는 두 가지 포지션을 출판했다.[52] 샤페의 분석은 구레츠키-코르니츠 등에 의해 수정되었으며, 1891년 처음 출판된 요한 베르거의 ''엔드게임의 이론과 실제''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구레츠키-코르니츠의 분석은 부정확했고 샤페의 원래 분석은 원칙적으로 정확했다.[53]
트로이츠키는 20세기 초에 엔드게임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1937년에 그의 광범위한 분석을 출판했다.[54] 현대 컴퓨터 분석은 매우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55]
이 엔딩이 있는 마스터 게임은 드물다. 트로이츠키는 1937년에 분석을 출판했을 때 단 여섯 개의 게임을 알고 있었다. 처음 네 게임(1890년경에서 1913년)에서 약자는 이기는 방법을 모르는 상대에게서 무승부를 얻기 위해 엔딩을 가져왔다. 승리를 거둔 최초의 마스터 게임은 1931년 아돌프 자이츠가 에우게네 즈노스코-보로프스키를 이겼을 때였다.[56][57]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간행물
Western Chess:Endgame Data
http://centaur.readi[...]
2009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웹사이트
Chess program Wilhelm
http://www.geocities[...]
[16]
웹사이트
Nalimov Engame Tablebases
http://auto-chess.bl[...]
2012-11-11
[17]
웹사이트
Benko–Bronstein
http://www.chessgame[...]
[18]
서적
[19]
웹사이트
Karpov vs. Korchnoi
http://www.chessgame[...]
[20]
서적
[21]
서적
[22]
웹사이트
37. Bundeswettbewerb Informatik 2018/2019: Die Aufgaben der 2. Runde, Aufgabe 3B
https://bwinf.de/fil[...]
2019
[23]
웹사이트
37. Bundeswettbewerb Informatik 2018/2019, 2. Runde: Lösungshinweise und Bewertungskriterien, Aufgabe 3
https://bwinf.de/fil[...]
2019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웹사이트
Syzygy endgame tablebases
https://syzygy-table[...]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Topalov vs. Karpov
http://www.chessgame[...]
[36]
서적
[37]
간행물
Müller article
http://www.chesscafe[...]
[38]
웹사이트
Wang vs. Anand
http://www.chessgame[...]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문서
[47]
서적
[48]
웹사이트
ChessBase Christmas Puzzles: A tale of seven knights
http://www.chessbase[...]
ChessBase
2009-12-29
[49]
웹사이트
Solutions to 2009 Christmas Puzzles
http://www.chessbase[...]
ChessBase
2010-02-02
[50]
서적
Dos caballos en combate
Madrid: Aguilera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웹사이트
Znosko-Borovsky vs. Seitz
http://www.chessgame[...]
[58]
서적
[59]
간행물
http://www.chessca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