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팔가르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팔가르 해전은 1805년 나폴레옹 전쟁 중 영국 해군과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 간에 벌어진 해전이다. 영국 해군은 허레이쇼 넬슨 제독의 지휘 아래, 수적으로 열세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인 전술을 사용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영국은 해상 지배권을 확립하고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 계획을 좌절시켰으며, 대영제국의 번영에 기여했다. 넬슨 제독은 전투 중 사망했지만, 그의 전술은 '넬슨 터치'로 불리며 해전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트라팔가르 해전은 문학과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에서는 넬슨 제독을 기리는 기념행사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5년 10월 - 울름 전투
울름 전투는 1805년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독일 방면에서 거둔 전략적 승리이며, 오스트리아군의 퇴로를 차단하고 울름 요새에 고립시켜 25,000명의 항복을 받아낸 사건이다.
트라팔가르 해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전투 이름 | 트라팔가르 해전 |
영어 이름 | Battle of Trafalgar |
프랑스어 이름 | Bataille de Trafalgar |
일부 | 트라팔가르 전역의 일부,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의 일부 |
날짜 | 1805년 10월 21일 |
장소 | 스페인의 트라팔가르 곶 앞바다, 대서양 |
좌표 | 36.25° N 6.20° W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교전국 2 | 프랑스 제1제국 스페인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호레이쇼 넬슨 커스버트 콜링우드 |
교전국 2 지휘관 | 피에르 빌뇌브 페데리코 그라비나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전열함 27척 프리깃함 4척 스쿠너 1척 커터 1척 대포 2,148문 17,000명 |
교전국 2 병력 | 전열함 33척 프리깃함 5척 브리그 2척 대포 2,632문 30,000명 |
피해 규모 | |
교전국 1 피해 | 전사 458명 부상 1,208명 |
교전국 2 피해 | 전사 4,395명 부상 2,541명 포로 7,000~8,000명 전열함 17척 나포 전열함 1척 파괴 |
결과 | |
결과 | 영국 승리 |
추가 정보 | |
![]() | |
관련 캠페인 | |
관련 캠페인 | 트라팔가르 전역 프랑스 혁명 전쟁: 앵글로-스페인 전쟁 (1796) 제3차 대프랑스 동맹 |
참조 | |
참조 | Napoleonic Wars Battle of Trafalgar, 21st October 1805 |
2. 배경
1805년,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 제1제국은 유럽 대륙의 강국이었지만, 해상에서는 영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4] 영국은 해상 봉쇄를 통해 프랑스의 해군력을 억제하고 영국 본토 침공을 막았다.
1805년, 허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는 기함 ‘빅토리’(HMS Victory)를 포함한 27척의 전열함으로 구성되었다. 피에르 빌뇌브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는 기함 ‘뷰상트르’(Bucentaure)를 포함한 33척의 전열함으로 구성되었다. 넬슨은 적의 대열을 분단하기 위해 2열 종대로 돌격하는 ‘넬슨 터치’ 전법을 사용했다.[45] 빌뇌브도 넬슨의 전술을 예측하고 돛에 저격병을 배치하는 등 대비했다.[46]
나폴레옹은 영국 본토 상륙 작전을 위해 해상 봉쇄 돌파를 명령했다. 프랑스와 스페인은 연합 함대를 편성하여 영국 해군에 맞섰다. 영국은 허레이쇼 넬슨 제독의 지휘 아래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저지하기 위한 작전을 펼쳤다.
나폴레옹의 초기 계획은 영국 해군의 해상 봉쇄를 뚫고 각지에 분산된 함대를 집결시켜 영국 침공을 엄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프랑스 해군은 브레스트, 툴롱, 로슈포르, 카디스 등 주요 항구에 분산되어 있었고, 스페인 함대도 카디스에 주둔하고 있었다. 영국 해군은 프랑스 주요 항구를 봉쇄하고 있었으며, 넬슨의 지중해 함대는 툴롱을 감시하고 있었다.
프랑스 해군의 작전 계획은 라투슈 트레빌(:fr:Louis-René-Madeleine de Latouche-Tréville)의 사망 등으로 인해 변경되었고, 최종적으로는 서인도 제도에서 함대를 집결시킨 후 영국 해협으로 진입하는 것이었다. 피니스테르 해전 이후 피에르 빌뇌브 제독은 스페인 카디스에 머무르며 함대를 정비했다. 나폴레옹은 카디스 함대에 나폴리 공격을 명령했으나, 빌뇌브는 출항을 주저했다. 빌뇌브는 나폴레옹의 해임 위협과 후임자 도착 전에 출항하려는 의도로 10월 18일 급작스럽게 카디스를 출항했다.[43]
3. 과정
연합 함대는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스페인 해군과 섞여 지휘 체계가 복잡하고, 사기나 훈련도가 낮았으며, 함포 발사 속도가 3분에 1발로 영국 함대의 1분 30초에 1발에 비해 열세였다.
전투는 넬슨의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11시 45분, 넬슨은 "영국은 각자가 그 의무를 다할 것을 기대한다"라는 신호기를 보냈다.[10] 영국 함대는 두 개의 기둥으로 연합 함대에 접근했다. 북쪽의 풍상 기둥은 ''빅토리''호가 이끌었고, 남쪽의 풍하 기둥은 컬링우드의 로열 소버린이 이끌었다.
격전 끝에 연합 함대는 큰 피해를 보았고, 빌뇌브 제독은 포로로 잡혔다. 영국 함대는 비교적 가벼운 피해를 보았으나, 넬슨 제독은 전투 중 뤼두타블함의 저격병에게 저격당해[50] "신이여 감사합니다. 나는 임무를 완수했습니다."라는 말을 남기고 전사했다.
전투 후 폭풍으로 인해 많은 함선이 침몰하거나 좌초되었다.
4. 주요 인물
트라팔가르 해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등장한다.4. 1. 허레이쇼 넬슨
허레이쇼 넬슨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영국 함대를 이끌어 승리했지만, 전투 중 사망했다. 1805년 초, 영국 해군 중장 넬슨 경은 툴롱의 지중해 항구를 봉쇄하는 영국 함대를 지휘했다.[5] 넬슨은 프랑스 함대를 유인하여 전투를 벌일 목적으로 느슨한 봉쇄를 채택하면서 "적을 공격하려면 적이 당신에게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당신이 적에게 갈 수 없다면 말이죠."라고 말했다.[5]
넬슨의 함대는 보급이 절실히 필요했다. 10월 2일, 토마스 루이(Thomas Louis) 소장 지휘하에 퀸(HMS 퀸, 1769년 진수, 6등급) 등 5척의 함선이 보급을 위해 지브롤터로 파견되었다.[6] 이 함선들은 나중에 지중해에서 호송 임무에 투입되었는데, 넬슨은 이들이 돌아올 것으로 예상했었다.
10월 21일, 넬슨은 27척의 전열함(대포 2,148문, 총 승무원 및 해병 17,000명)을 지휘했다.[15] 그의 기함인 빅토리(Victory)호(선장 토머스 마스터맨 하디)는 함대에 속한 세 척의 100문 1등함 중 한 척이었다.
당시 유행하던 전술에 맞서 넬슨은 적 전열을 세 부분으로 나누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프랑스 기함인 ''뷔상토르''(Bucentaure) 바로 앞에서 전열을 끊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전열이 끊긴 앞쪽에 고립된 함선들은 기함의 신호를 볼 수 없을 것이며, 재편성하는 동안 그들을 전투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 계획에는 세 가지 주요 장점이 있었다.
10월 스페인 해안의 봉쇄 기간 동안 넬슨은 ''빅토리''호에서 두 차례의 만찬을 통해 함장들에게 계획을 설명했다. 전투를 준비하기 위해 넬슨은 함대의 함선들을 상대방과 구별하기 쉽도록 독특한 노란색과 검은색 패턴(넬슨 체커)으로 페인트칠하도록 명령했다.[7]
넬슨은 어떤 것은 우연에 맡겨야 한다는 점을 주의 깊게 지적했다. 그는 함장들에게 "적 함선 옆에 자신의 함선을 배치한다면 어떤 함장도 큰 잘못을 저지를 수 없다"라고 말함으로써 모든 방해되는 규칙으로부터 자유롭게 했다.[7]
전투는 넬슨의 계획대로 대체로 진행되었다. 11시 45분에 넬슨은 깃발 신호 "영국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임무를 다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를 보냈다.[10] 당시 "영국(England)"이라는 용어는 영국(United Kingdom)을 가리키는 데 널리 사용되었으며, 영국 함대에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출신 병력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
''Redoutable''의 미젠 꼭대기에서 발사된 소총 총알이 넬슨의 왼쪽 어깨에 맞아 척추를 통과하여 등 근육에 박혔다. 넬슨은 "마침내 성공했군. 나는 죽었네."라고 외쳤고, 함선 아래로 옮겨졌다.
넬슨이 죽어가는 동안, 그는 폭풍이 예측되었기 때문에 함대에 정박하도록 명령했다. 외과의 윌리엄 비티는 넬슨이 "하느님께 감사합니다. 저는 제 임무를 다했습니다."라고 중얼거리는 것을 들었다. 넬슨이 죽을 때까지 그의 곁에 있었던 군목 알렉산더 스콧은 그의 마지막 말을 "하느님과 나의 조국"이라고 기록했다.[18] 넬슨은 총에 맞은 지 3시간 후인 4시 30분에 사망했다.[18]
4. 2. 피에르 빌뇌브
피에르 샤를 빌뇌브는 프랑스 해군 제독으로,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지휘했다.[50]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영국 해협을 장악하여 영국 침공을 지원하려 했으나,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패배하고 포로로 잡혔다.[4]
빌뇌브는 유능한 장교였지만, 1798년 닐로 강 전투에서 넬슨에게 패배한 이후 영국 해군과의 대결을 꺼렸다.[5] 나폴레옹의 해군 작전 계획은 지중해와 카디스에 있는 프랑스와 스페인 함대가 봉쇄를 돌파하여 카리브해에서 합류한 후, 브레스트 함대를 지원하여 영국 해협을 장악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빌뇌브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피니스테르 곶 해전에서 로버트 칼더가 이끄는 영국 함대와 결정적이지 않은 교전을 벌인 후 페롤로 돌아갔다.
나폴레옹은 빌뇌브에게 브레스트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그는 영국 함대를 우려하여 카디스로 남하했다. 이로 인해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 계획은 좌절되었다. 빌뇌브는 함장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나폴리로 향하려 했으나, 결국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넬슨의 함대와 맞닥뜨리게 되었다.
빌뇌브의 함대는 수적으로는 우세했지만, 지휘 계통이 복잡하고 사기와 숙련도가 낮았다. 함재포의 발사 속도도 영국 함대에 비해 느렸다. 결국 연합 함대는 격침 1척, 포획 파괴 21척, 전사 3,200명, 포로 7,000명의 피해를 입었고, 빌뇌브 자신도 생포되었다.
4. 3. 커스버트 콜링우드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넬슨의 부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영국 함대의 승리에 기여했다.[50] 넬슨 사후 영국 함대를 지휘하여 전투를 마무리하고 폭풍 속에서 함대를 수습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4. 4. 페데리코 그라비나
페데리코 그라비나es 제독은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를 지휘했다. 스페인은 15척의 전열함을 제공했으며, 약 3만 명의 병사와 해병대가 2,632문의 대포를 운용했다.[6] 이 함대에는 40문 프리깃함 5척과 18문 브리그(brig) 2척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라비나 제독은 전투 중 부상을 입고 몇 달 후 사망했다.
5. 결과 및 영향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는 프랑스와 스페인 연합 함대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4] 이 승리로 영국은 해상 지배권을 확립하고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 계획을 좌절시켰다.
이 해전은 나폴레옹 전쟁의 전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국은 해상 패권을 확립하여 프랑스의 해상 무역을 봉쇄하고, 프랑스 해군이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게 막았다.[4] 반면 프랑스는 해상에서 영국에 도전할 기회를 잃었고, 나폴레옹은 대륙봉쇄령을 통해 영국을 고립시키려 했다.
영국 해군은 이후 오랫동안 해상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했으며, 이는 대영제국의 번영에 크게 기여했다. 트라팔가르 해전의 승리는 영국 국민들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주었으며, 넬슨 제독은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반면 프랑스 국민들에게 트라팔가르 해전은 큰 충격과 트라우마를 안겨주었다. 이후 "트라팔가르"라는 표현은 상상할 수 없는 패배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모리스 르블랑의 소설 『르팡 대 홈즈』에서 프랑스의 괴도 아르센 뤼팽이 영국의 명탐정 셜록 홈즈에게 "트라팔가르의 원수를 갚겠다"라고 도발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국의 피트 수상은 승리 축하연을 열었지만, 런던에서는 승리에 대한 고양감이 크지 않았다. 나폴레옹은 이 해전에서의 패배로 인한 위기를 두 달 후 아우스터리츠 전투의 승리로 돌파했다. 피트 수상은 아우스터리츠에서의 패배에 충격을 받고 이듬해 실의 속에 병사했다. 트라팔가르 해전 승리의 의미는 영국의 해상 지배에 있었고, 나폴레옹 전쟁의 전황의 큰 전환점은 아니었다. 1815년의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승리하고 나서야 트라팔가르 해전 승리의 의미가 평가되기 시작했다.
영국에게 이 전투의 승리는 프랑스 해군의 영국 본토 공격을 저지한 것만이 아니었다. 영국 해군은 1807년 제2차 코펜하겐 해전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었고, 1808년 전쟁에서 다른 국가의 함대가 프랑스 해군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
이러한 작전은 성공했지만, 프랑스에서는 1814년까지 80척에 달하는 대규모 조선 계획이 진행되었던 반면, 영국은 1814년 시점에서 최대 99척의 배만 가동 가능한 상태였다. 만약 몇 년 더 있었다면 프랑스 해군은 150척의 함대를 편성하여, 승무원의 질을 함대의 수로 보완하여 다시 영국 해군에 도전할 계획을 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이 건설되었다. 광장에는 넬슨 제독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6. 기념 및 문화적 영향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은 트라팔가르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여 조성되었으며, 광장 중앙에는 높이 45.1m의 넬슨 기둥이 있고, 꼭대기에는 높이 5.5m의 넬슨 동상이 있다. 이 기둥은 1843년에 완공되었다.[33]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트라팔가르 해전과 넬슨 제독을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물과 행사가 열리고 있다. 트라팔가르 해전은 수많은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넬슨은 영국의 가장 위대한 해군 영웅이 되었고, 지금도 영국 해군의 영감의 원천이지만, 그의 비정통적인 전술은 후대에 거의 모방되지 않았다.[32] 영국에서 넬슨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최초의 기념물은 1806년 글래스고 그린에 세워진 기념물일 수 있지만, 스코틀랜드 오번 근처 테이누일트에 있는 1805년에 세워진 기념물보다 앞설 수도 있으며, 두 기념물 모두 전투에 참여한 많은 스코틀랜드 선원과 함장들을 기념하고 있다.[32] 글래스고 그린에 있는 높이 의 ''넬슨 기념비''는 데이비드 해밀턴이 설계했고, 대중의 모금으로 건설되었다. 기단 주위에는 그의 주요 승전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아부키르(1798), 코펜하겐(1801), 트라팔가르(1805). 포츠머스를 내려다보는 넬슨 기념비는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복무한 선원과 해병들이 모금한 돈으로 1807~1808년에 건설되었다. 1808년, 영국-아일랜드 귀족들이 더블린에 넬슨 기둥을 세워 넬슨과 그의 업적을 기념했는데(트라팔가르 해전의 선원 중 10%에서 20%가 아일랜드 출신이었다), 1966년 "구 IRA" 단원들의 폭격으로 파괴될 때까지 남아 있었다. 에든버러의 넬슨 기념비는 1807년부터 1815년 사이에 거꾸로 된 망원경 모양으로 건설되었고, 1853년에는 정오 GMT에 떨어져 리쓰와 포스 만의 배에 시간 신호를 주는 타임볼이 추가되었다. 여름에는 이것이 오후 1시에 발사되는 ''1시 총성''과 일치한다. 그레이트 야머스의 브리타니아 기념비는 1819년에 세워졌다. 몬트리올 넬슨 기둥은 트라팔가르 해전 승리 소식이 도착하자마자 곧 공공 모금을 시작했고, 이 기둥은 1809년 가을에 완공되어 자크 카르티에 광장에 아직도 서 있다. 넬슨 경 동상은 바베이도스 브리지타운에 있었고, 한때 트라팔가 광장으로도 알려졌던 곳에 1813년부터 2020년까지 서 있었다.
1905년에는 전국적으로 넬슨 제독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들이 열렸지만, 영국이 프랑스와 최근에 '앙탕트 코르디알'을 맺은 상황에서 프랑스를 불쾌하게 할 것을 우려하여 왕실 가족 구성원은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다.[34] 에드워드 7세 국왕은 영국 및 외국 선원 협회의 '넬슨 100주년 기념 기금'을 지원했으며, 이 기금은 왕실 문장이 새겨진 트라팔가르 해전 100주년 기념품을 판매했다. 10월 21일 로열 알버트 홀에서는 이 기금을 위한 갈라 행사가 열렸는데, 알프레드 존 웨스트가 특별히 제작한 ''우리 해군(Our Navy)''이라는 영화도 상영되었다.[35] 행사는 ''국왕 폐하 만수무강''과 ''라 마르세이예즈''로 마무리되었다.[36] 헨리 우드 경의 ''영국 해양 노래 환상곡(Fantasia on British Sea Songs)'' 초연은 같은 날 특별 프롬나드 콘서트에서 이루어졌다.
2005년, 영국 전역에서 열린 일련의 행사들은 ‘바다의 영국(Sea Britain)’ 테마의 일환으로 트라팔가르 해전 200주년을 기념했다. 해전 200주년은 6월과 7월 동안 포츠머스(Portsmouth)에서 여섯 차례 기념되었고, 넬슨이 안장된 세인트 폴 대성당(St Paul's Cathedral), 10월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T Square 200'') 그리고 영국 전역에서 기념 행사가 진행되었다.
6월 28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솔렌트 해협에서 현대사에서 가장 큰 국제 함대 사열(International Fleet Review 2005)에 참여했다. 35개국에서 온 167척의 함선이 참가했다. 여왕은 남극 순찰함 HMS 엔듀런스(HMS Endurance)(A171)에서 국제 함대를 사열했다. 함대에는 여섯 척의 항공모함(현대식 주력함)이 포함되어 있었다: 프랑스 항공모함 샤를 드 골(Charles de Gaulle)(R91), HMS 일러스트리어스(HMS Illustrious)(R06), HMS 인빈시블(HMS Invincible)(R05), HMS 오션(HMS Ocean)(L12), 스페인 항공모함 프린시페 데 아스트리아스(Principe de Asturias), 그리고 USS 사이판(USS Saipan)(LHA-2). 저녁에는 불꽃놀이와 해전에 참여했던 다양한 소형 함선들과 함께 해전의 상징적인 재현이 연출되었다.
존 라페노티어 중위가 HMS 피클(HMS Pickle)(1800)호를 타고 함대에서 승전 소식을 팔머스(Falmouth, Cornwall)로, 그리고 마차 우편(post chaise)을 통해 런던의 영국 해군성(British Admiralty)으로 전달했던 역사적인 항해는 트라팔가르 길(The Trafalgar Way)의 개통으로 기념되었고, 7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새로운 트라팔가르 발송(New Trafalgar Dispatch) 기념 행사를 통해 더욱 부각되었다. 이 행사에서 한 배우가 라페노티어 역할을 맡아 역사적인 여정의 일부를 재현했다.
실제 기념일인 10월 21일, 카디스 근처 트라팔가르 해협에서 영국, 스페인, 프랑스의 연합 함대가 참여하는 해상 기동이 실시되었다. 넬슨의 가족 구성원을 포함하여 해전 당시 참여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중 많은 사람들이 기념식에 참석했다.
- 『생테르미누 기사』(Le Chevalier de Sainte-Hermine)(1869)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작품으로, 주인공이 넬슨을 사살한 인물로 추정되는 모험 이야기이다.
- 『트라팔가르』(Trafalgar)(1873)는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가 쓴 트라팔가르 해전을 다룬 스페인 소설이며, 역사 소설 시리즈 『국가적 에피소드(Episodios Nacionales)』의 시작점이 된다. 소설은 '산티시마 트리니다드(Santísima Trinidad)' 호에 탑승한 소년의 허구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 제임스 클라벨의 1966년 소설 『타이판(Tai-Pan)』에서 홍콩의 스코틀랜드 지도자 디르크 스트루안은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HMS 로열 소버린(Royal Sovereign)호의 화약 운반병(powder monkey)으로서의 경험을 회상한다.
- C.S. 포레스터의 호레이쇼 혼블로워 시리즈 미완성 소설 『혼블로워와 위기(Hornblower and the Crisis)』(1967)에서 혼블로워는 빌뇌브에게 거짓 명령을 전달하여 카디스에서 함대를 출격시키고 해전을 벌이게 한다. 『혼블로워와 아르로포스(Hornblower and the Atropos)』(1953)에서는 혼블로워가 런던에서 넬슨 제독의 장례식을 담당한다.
- 더들리 포프의 『라마주와 트라팔가르(Ramage at Trafalgar)』(1986)에서 라마주(Lord Ramage)는 넬슨 함대에 배속된 가상의 프리깃 함 HMS 칼립소(Calypso)를 지휘한다.
- 버나드 콘웰의 『샤프의 트라팔가르(Sharpe's Trafalgar)』(2000)에서 샤프는 가상의 HMS 푸셀(Pucelle)호에서 해전에 참여한다.
- 나오미 노빅의 역사 판타지 소설 『테메라이어(Temeraire)』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2006년 소설 『폐하의 용(His Majesty's Dragon)』에서 유럽 군대의 주요 부대를 구성하는 공중 용(dragon) 탑승 전투 부대가 나폴레옹 전쟁 중에 등장하며, 트라팔가르 해전은 실제로 나폴레옹이 영국군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도버(Dover) 근처에서 영국에 대한 공중 및 해상 침공을 위한 대규모 기만 작전이다. 넬슨은 살아남지만 용의 불에 화상을 입는다.
- 린든 하디의 2017년 판타지 소설 [https://www.goodreads.com/book/show/36353709-the-archimage-s-fourth-daughter The Archmage’s Fourth Daughter]에서 넬슨의 트라팔가르 해전은 5부 "끝없는 팔정도(Eightfold Path Neverending)", 6장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일하라(Plan The Work, Then Work The Plan)"에서 애슐리라는 인물이 공격 계획의 영감으로 언급한다.
- ''트라팔가르 해전''(The Battle of Trafalgar)은 J. 시어리 돌리(J. Searle Dawley)가 감독하고 에디슨 스튜디오(Edison Studios)가 뉴욕시에서 제작한 1911년 미국 무성 단편 영화이다. 일부 스틸 사진이 남아 있으며, 시드니 부스(Sydney Booth)가 승리호(Victory)의 여러 갑판을 재현한 세트에서 넬슨 역을 맡은 모습을 보여준다.[37][38]
- ''넬슨''(Nelson) (''넬슨: 영국 불멸의 해군 영웅의 이야기''로도 언급됨)은 모리스 엘비(Maurice Elvey)가 감독하고 도널드 캘스롭(Donald Calthrop), 말비나 롱펠로(Malvina Longfellow), 아이비 클로즈(Ivy Close)가 출연한 1918년 영국 무성 역사 영화이다.[39] 해전 재현 장면을 포함한 시나리오는 로버트 사우시의 1813년 전기 ''호레이쇼, 넬슨 자작의 삶''(The Life of Horatio, Lord Viscount Nelson)을 바탕으로 한다.[40]
- ''넬슨''(Nelson)은 해전의 사건들을 묘사한 또 다른 영국 무성 전기 영화이다. 1926년에 개봉되었으며, 세드릭 하드윅 경이 주인공 역을 맡았다.[41]
- ''해밀턴 부인''(That Hamilton Woman)은 호레이쇼 넬슨과 엠마 해밀턴 부인에 관한 1941년 영화이며, 해전 장면 재현도 포함되어 있다.
- ''조국에 대한 유산''(Bequest to the Nation) (미국에서는 ''넬슨 사건''(The Nelson Affair)으로 개봉)은 제임스 셀란 존스(James Cellan Jones)가 감독하고 글렌다 잭슨, 피터 핀치, 마이클 제이스턴이 출연한 1973년 영국 역사 드라마 영화이다. 영화의 대부분은 넬슨이 해밀턴 부인과 함께 보낸 해안 휴가와 이어지는 넬슨의 복귀, 그리고 트라팔가르 해전의 절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조나단 윌콕스는 2005년 10월 해전 200주년을 기념하여 대규모 합창곡 ''위대한 승리''(A Great and Glorious Victory)를 작곡했다.
- BBC는 2005년 당시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최대한 활용한 생생한 드라마 다큐멘터리 ''넬슨의 트라팔가르''(Nelson's Trafalgar)를 통해 200주년을 기념했다. 마이클 포르티요가 진행을 맡았으며, 2디스크 DVD 버전은 본편 76분에 특별 영상이 추가되어 있다.
- "바다 위의 제독"(Admiral over the Oceans)은 스웨덴 파워 메탈 밴드 시빌 워(Civil War)가 작곡한 노래로, 선원과 넬슨 자신의 시점에서 해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7. 한국의 관점
트라팔가르 해전은 해양 안보의 중요성과 국제 협력 및 외교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이다. 또한, 위기 상황에서 국민을 통합하는 지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7. 1. 더불어민주당 관점
트라팔가르 해전은 해양 안보가 국가의 생존과 번영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 영국은 해상 봉쇄를 통해 프랑스의 무역을 방해하고 해군력을 약화시켰다.[4]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한반도 주변 해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함을 강조하는 근거가 된다.또한, 트라팔가르 해전은 강대국 간 갈등 속에서 국제 협력과 외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프랑스와 스페인의 동맹처럼, 더불어민주당은 다자주의적 접근을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호레이쇼 넬슨 제독은 위기 상황에서 국민을 통합하고 승리를 이끈 지도자로 평가받을 수 있다. 그의 리더십은 프랑스 혁명 초기 유능한 프랑스 해군 장교들이 처형되거나 쫓겨난 상황과 대비된다. 더불어민주당은 넬슨 제독과 같이 국민 통합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7. 2. 진보 진영 관점
트라팔가르 해전은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제국과 영국 간의 해상 전투였다. 당시 프랑스는 유럽 대륙의 강력한 육군 국가였지만, 영국은 해군을 통해 바다를 지배했다.[4] 영국은 프랑스를 해상 봉쇄하여 무역을 방해하고 해군 자원 동원을 막았다.제3차 대프랑스 동맹이 프랑스에 선전포고하자, 나폴레옹은 영국 침략을 위해 영국 해협의 지배권을 확보하려 했다. 이를 위해 프랑스와 스페인 함대가 카리브해에서 합류하여 영국 해군을 몰아내고 침략 수송선의 안전을 확보하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제국주의적 팽창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진보 진영은 트라팔가르 해전을 통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비판하며, 평화로운 국제 질서 구축을 강조한다. 또한, 해전으로 인한 수많은 인명 피해는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준다. 진보 진영은 평화적인 갈등 해결을 주장하며, 전쟁의 희생자들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한다.
7. 3. 보수 진영 관점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이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영국 침략 의지를 다시 한번 다졌다. 침략 수송선단이 영국에 도착하려면, 영국 해협의 지배권을 왕립 해군으로부터 가져와야 했다.[4]피에르 샤를 빌뇌브 중장은 닐로 강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한 후 넬슨과 왕립 해군과의 대결을 꺼렸다.[4]
전역의 주요 제독들은 다음과 같다.
- 호레이쇼 넬슨
- 커스버트 콜링우드
- 피에르 샤를 빌뇌브
- 페데리코 그라비나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Trafalgar, 21st October 1805
https://threedecks.o[...]
Three Decks, Cy Harrison
2020-04-26
[2]
웹사이트
Napoleonic Wars
http://www.westpoint[...]
U.S. Army
[3]
서적
The Battle of Trafalgar
Pen & Sword Books Limited, CPI UK
2004
[4]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Napoleonic Era
Mercury Books
2003
[5]
학술지
Rear Admiral Bertie
1811
[6]
서적
(James p. 22.)
[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8
[8]
기타
Signal log of HMS Bellerophon, 21 October 1805
2023-11
[9]
웹사이트
The Battle of Trafalgar: The logbook of the Euryalus, 21st October 1805
http://chasingnelson[...]
2013-10-22
[10]
웹사이트
England Expects
http://www.aboutnels[...]
aboutnelson.co.uk
[11]
웹사이트
England 'expects'
http://www.nelson-so[...]
The Nelson Society
[12]
웹사이트
Auguste Mayer's picture as described by the official website of the Musée national de la Marine (in French)
http://www.musee-mar[...]
[13]
서적
Nelson's Trafalgar Captains
[14]
Youtube
HMS Victory – The Original Fast Battleship
https://www.youtube.[...]
2019-07-03
[15]
웹사이트
Biografía de Cosme Damián Churruca y Elorza
https://dbe.rah.es/b[...]
[16]
웹사이트
Biografía de Dionisio Alcalá-Galiano y Alcalá-Galiano
https://dbe.rah.es/b[...]
[17]
웹사이트
Biografía de Federico Carlos Gravina y Napoli
https://dbe.rah.es/b[...]
[1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3
[1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
[2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863
[2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
[2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
[2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
[2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863
[2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4
[26]
서적
(James (Vol. IV) pp. 89–90.)
[27]
서적
(James (Vol. IV) p. 91.)
[28]
뉴스
El epílogo de Trafalgar
http://abcblogs.abc.[...]
2015-10-20
[29]
학술지
First Bulletin of the Grand Naval Army [From the Moniteur] As it appeared in the Herald. Battle of Trafalgar
J. Gold
1805-07-12
[30]
서적
The Spirit of the Public Journals
https://books.google[...]
James Ridgeway
1806
[31]
서적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zation, 1793–1815
[32]
웹사이트
Vice Admiral Horatio Nelson 1758–1805
http://www.visitport[...]
Portsmouth City Council
[33]
웹사이트
Review of "Nelson Remembered – The Nelson Centenary 1905" by David Shannon
http://www.rjerrard.[...]
[34]
웹사이트
Sea Salts and Celluloid
http://user29269.vs.[...]
[35]
웹사이트
Review of Hoock, Holger, ed., ''History, Commemoration and National Preoccupation: Trafalgar 1805–2005''
https://www.h-net.or[...]
H-Albion, H-Review
2008-01-22
[36]
서적
Henry J. Wood: ''Maker of the Proms''
https://books.google[...]
Methuen
2015-07-01
[37]
간행물
Scene from 'Trafalgar', by the Edison Company
https://archive.org/[...]
1911-09-09
[38]
간행물
The Battle of Trafalgar (Edison)
https://archive.org/[...]
1911-09
[39]
웹사이트
Nelson; The Story of England's Immortal Naval Hero
https://player.bfi.o[...]
2021-11-29
[40]
서적
The Life of Horatio, Lord Viscount Nelson
https://babel.hathit[...]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41]
웹사이트
Nelson (1926)
http://www.bfi.org.u[...]
2021-11-29
[42]
서적
もっと知りたいターナー 生涯と作品
東京美術
[43]
서적
トラファルガル海戦物語(上)
原書房
[44]
서적
トラファルガル海戦物語(上)
原書房
[45]
서적
The Nelson Encyclopaedia
Chatham Publishing, Lionel Leventhal Limited
[46]
서적
トラファルガル海戦物語(上)
原書房
[47]
간행물
初の日本個展 インカ・ショニバレの姿
青幻舎
[48]
웹인용
Napoleonic Wars
http://www.westpoint[...]
U.S. Army
2017-07-01
[49]
서적
The Battle of Trafalgar
Pen & Sword Books Limited, CPI UK
[50]
서적
Nel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