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상드르 뒤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상드르 뒤마는 1802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그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뒤마라는 성을 사용했다. 뒤마는 《삼총사》, 《몬테크리스토 백작》 등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결합한 모험 소설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극작가로서도 활동하며 100편이 넘는 희곡을 썼다. 그는 정치적 격변을 겪으며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만년에는 요리 대사전을 집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10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혔으며, 2002년 프랑스 팡테옹에 안치되어 그의 업적을 기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상드르 뒤마 -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사생아로 태어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고찰을 작품에 담았으며, 『춘희』의 성공으로 프랑스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 아이티계 프랑스인 -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사생아로 태어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고찰을 작품에 담았으며, 『춘희』의 성공으로 프랑스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 아이티계 프랑스인 - 장케뱅 오귀스탱
장케뱅 오귀스탱은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파리 생제르맹 유소년 팀 출신으로 여러 팀을 거쳐 프랑스 U-19 대표팀에서 득점왕과 MVP를, U-20 대표팀에서 브론즈 부트를 수상했다. - 엔주 출신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엔주 출신 - 카미유 데물랭
카미유 데물랭은 프랑스 혁명 시기의 저널리스트이자 정치가로서,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며 앙시앵 레짐을 비판하고 시민 봉기를 촉구했으나, 공포 정치 시기 로베스피에르와 결별하여 반혁명 혐의로 처형되었다.
알렉상드르 뒤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뒤마 다비 드 라 파예트리 |
출생 | 1802년 7월 24일 |
출생지 | 프랑스 피카르디 빌레르코트레 |
사망 | 1870년 12월 5일 (68세) |
사망지 | 프랑스 노르망디 디에프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소설가, 극작가 |
활동 기간 | 1829년–1869년 |
사조 | 낭만주의, 역사 소설 |
대표작 | 삼총사 (1844년) 몬테크리스토 백작 (1844–1846년) |
![]() | |
부모 | 토마-알렉상드르 뒤마 마리 루이즈 엘리자베트 라부레 |
배우자 | 이다 페리에 (1840년 결혼, 1859년 사망) |
자녀 |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 (사생아) |
친척 | 마리-세세트 뒤마 (조모) 알렉상드르 리프만 (증손자) |
작품 | |
주요 작품 | 앙리 3세와 그의 궁정 네르 탑 키인 |
기타 정보 | |
별칭 | 뒤마 페르 (아버지 뒤마) |
2. 생애
알렉상드르 뒤마는 프랑스 엔주 빌레르 코트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아이티에서 근무한 포병이었고, 그곳에서 아프리카계 혼혈인 마리 케세테 뒤마와 결혼하여 뒤마의 아버지인 도마 알렉상드르 뒤마를 낳았다. 도마 알렉상드르 뒤마는 프랑스 대혁명 당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휘하의 장군으로 활약했지만, 뒤마가 4세 때인 1806년에 사망했다.[63]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뒤마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했다. 1822년 부르봉 왕정복고 이후 뒤마는 파리로 가서 루이 필리프의 루아얄 궁전 사무실에 취직했다.[64]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뒤마는 극본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1829년 그의 첫 희곡 《앙리 3세와 그의 궁정》이 성공하면서 대중적인 명성을 얻었다. 1830년대 중반, 프랑스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뒤마는 큰 명성을 얻었다.
뒤마는 극작가로서 성공한 후, 신문에 연재 소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1838년 첫 소설 《자본가 폴》을 발표했고, 이후에도 자신의 희곡을 소설로 각색하여 발표했다. 1839년부터 1841년까지는 유럽의 유명한 범죄 사건을 다룬 《유명한 범죄자들》을 출간했다. 1840년에는 펜싱 마스터 아우구스틴 그리시에르와 함께 《펜싱마스터》를 출간했는데, 이 책은 러시아에서 겪은 12월 반란의 경험담을 담고 있으며,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영감을 주었다.
뒤마는 많은 작품을 출판하고 큰 수입을 얻었지만, 호화로운 생활과 여성 편력으로 인해 파산하기도 했다. 루이 필리프가 폐위되고 루이 나폴레옹이 집권하자 뒤마는 몰락하여 1851년 벨기에 브뤼셀을 거쳐 러시아로 망명했다. 1861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이탈리아 왕국 독립을 선언하자, 뒤마는 이탈리아로 건너가 통일 운동에 참여했고, 1864년 파리로 돌아왔다.
뒤마는 혼혈이라는 정체성에 영향을 받아 1843년 소설 《조지》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언급을 하기도 했다.[65]
2. 1. 유년 시절과 가족

알렉상드르 뒤마는 1802년 7월 24일, 프랑스 엔주 빌레르코트레에서 토마-알렉상드르 뒤마와 마리-루이즈-엘리자베스 라부레 사이에서 태어났다.[43] 그의 할아버지는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생도맹그 (현 아이티)에서 포병 장교로 근무했고, 그곳에서 흑인 노예였던 마리-세세트 뒤마와 사이에서 뒤마의 아버지 토마 알렉상드르를 낳았다.[7][8][9][10][11]
토마 알렉상드르는 프랑스 대혁명 당시 나폴레옹 휘하의 장군으로 활약하였으나,[63] 1802년 무렵 퇴역하여 고향으로 돌아왔다. 뒤마가 4살이던 1806년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가세가 기울어,[63] 뒤마는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자랐다. 어머니는 뒤마를 데리고 빌레르코트레에 있는 친정집으로 돌아와 외조부모와 함께 뒤마 남매를 키웠다.[46]
뒤마는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해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어려서부터 독서를 즐겼다.[64]
2. 2. 청년 시절과 문학 입문

알렉상드르 뒤마는 아버지 뒤마 장군이 나폴레옹에게 숙청되어 제대로 된 재산을 남기지 못해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9살 때 빌레르코트레의 루이 크리소스톰 그레고와르 신부[48]의 서당에서 라틴어와 문법을 조금 배웠을 뿐, 대부분 숲에서 뛰어놀며 자연을 벗삼아 성장했다.[49]
뒤마에게 문학적 소양을 키워준 것은 독서였다. 특히 연극에 대한 열정은 동갑내기 친구 아돌프 드 루뱅의 영향이 컸다. 1820~21년경, 뒤마는 루뱅과 함께 보드빌 대본을 썼지만 상연되지는 못했다. 루뱅은 뒤마에게 당대 최고의 셰익스피어 배우였던 탈마를 소개했다. 탈마는 뒤마의 재능을 알아보고 코르네유, 셰익스피어, 실러의 이름으로 그를 시인으로 세례하며 격려했다.[50]
이후 뒤마는 파리에서 오를레앙 공의 비서실에서 일하며 극작가의 꿈을 키웠다. 잡지에 극본을 기고하며 습작 생활을 했고, 성인이 되자 아버지처럼 뒤마라는 성을 사용했다.[29]
2. 3. 극작가로서의 성공
안정적인 직업을 갖게 된 뒤마는 잡지에 극본을 기고하기 시작했다.[29] 1829년, 그의 첫 희곡 《앙리 3세와 그의 궁정》이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다.[29] 뒤마는 27세의 나이에 대중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듬해 발표된 두 번째 희곡 《크리스틴》 역시 좋은 반응을 얻었고, 뒤마는 전업 작가로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수입을 얻게 되었다.
1830년, 뒤마는 7월 혁명에 참여하여 샤를 10세를 몰아내고, 자신의 고용주였던 시민왕 루이 필리프를 왕위에 올리는 데 기여했다. 1830년대 중반까지 프랑스는 산업화와 함께 사회 변화를 겪으며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공화주의자와 왕정 복고 지지자 사이의 갈등, 출판 검열의 폐지 등은 문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 뒤마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뒤마는 자신의 불륜 경험을 바탕으로 한 현대극 《안토니》[52](1831년)를 발표했는데, 이는 당시 사회 현상으로까지 번질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넬의 탑》(1832년)은 프레데릭 가야르데의 원작을 쥘 자냉이 손을 댔지만, 도중에 포기한 작품을 뒤마가 최종적으로 다시 쓴 것이다. 이 작품은 14세기 초 프랑스 왕비와 뷔리당과의 권력과 지력의 싸움, 존속 살인, 영아 살해, 근친상간이라는 끔찍한 인륜 유린을 무대에 올렸으며, 뒤마와 가야르데의 대표작이 된 역사 비화였다.
이후에도 《킨》(1836년), 《벨=일 양》[53], 《칼리굴라》(1837년) 등, 프랑스 좌를 시작으로 포르트 생 마르탱 극장, 오데온 좌, 샤르팡티에 좌, 르네상스 좌 등 파리의 모든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뒤마가 생애에 쓴 희곡은 총 117편[54]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두 상연되었다.
2. 4. 소설가로서의 변신과 전성기
뒤마는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작가였다. 극작가로서 성공을 거둔 뒤, 뒤마는 당시 빠르게 성장하던 언론 매체인 신문에 연재 소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1838년, 그의 첫 소설인 《자본가 폴》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기존에 발표했던 동명의 희곡을 각색한 것이었다. 뒤마는 이후에도 자신의 희곡들을 소설로 각색하여 발표하는 방식을 자주 활용했다.[65]1836년에 에밀 드 지라르댕의 《라 프레스》와 아르노 뒤탁의 《르 시클》이 발행되면서, 신문은 새로운 미디어 시대의 도래를 알렸다. 신문은 정기 구독자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연재 소설이라는 기법을 도입했다. 이는 현재의 TV 연속 드라마의 원형과 같은 형태였다. 뒤마는 발자크, 외젠 쉬 등과 함께 신문 소설 분야에서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다.[56]
1838년 초, 뒤마는 일시적으로 지라르댕과 갈등을 겪고, 2개월 후 연재 소설을 구하던 《르 시클》로 옮겨갔다. 그의 첫 본격 연재 소설은 미국 작가 제임스 쿠퍼의 《파일럿》을 토대로 한 《폴 선장》이었다. 이 소설은 5월 30일부터 6월 23일까지 19회에 걸쳐 연속 발행되었고, 신문은 3주 만에 5,000명의 구독자가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폴 선장》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반란군 측에 참여한 스코틀랜드인 존 폴 존스 (1747-1792)의 생애에서 따온 상상적인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었다.[57]
이 시기부터 오귀스트 마케와의 협력 시대가 시작된다. 1838년에 만난 두 사람은 다양한 작품을 함께 만들어냈다. 1843년 뒤마가 생제르맹앙레로 이사했을 때, 배달부를 통해 마케와 빈번하게 연락하며 아이디어를 주고받았다. 1844년 코메디 프랑세즈가 받아들인 희곡 《섭정의 딸》이 검열로 인해 중단되자, 뒤마는 마케와 함께 쿠르틸 드 생드라스의 《달타냥 씨의 회고록》에서 영감을 얻어 《삼총사》를 만들어냈다. 이 연재는 《르 시클》에서 1844년 3월 14일부터 시작되었다. 위고는 이 작품을 "마음을 사로잡는 드라마, 뜨거운 열정, 진정한 대화, 빛나는 문체"라고 칭찬했다. 《삼총사》의 성공은 외젠 쉬의 성공에 필적할 정도였다. 모든 신문이 뒤마의 작품을 원했고, 그는 모든 계약을 받아들였다. 《주르날 데 데바》를 위해 《몽테크리스토 백작》을 쓰기 시작했고(연재는 1846년 1월 15일까지 계속됨), 1844년에는 《파리 평론》을 위해 세계적인 소설 《페르난도》를 썼다. 《라 렌 마고》는 《라 프레스》에 연재된 발자크의 《농민》이 독자들을 실망시켰기 때문에 1844년 12월 25일부터 대신 연재되었다. 1845년에는 《르 시클》에 《삼총사》의 속편 《20년 후》가 등장했고, 《라 데모크라시 파시피크》 신문에는 《붉은 성의 기사》가 연재되었다. 이 연재 소설들은 거의 모두 성공을 거두었고, 이를 싣는 일간지들은 새로운 구독자를 확보하며 성장했다. 뒤마는 하루 12~14시간 동안 글을 쓰는 엄청난 작업량을 소화했다.[57]
뒤마는 많은 조수와 협력자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중 오귀스트 마케가 가장 유명했다. 마케의 역할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완전히 이해되었다.[14] 뒤마는 단편 소설 《조르주》(1843)를 썼는데, 이 소설에는 훗날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서 반복되는 아이디어와 줄거리가 사용되었다. 마케는 뒤마를 법정에 세워 자신의 작품에 대한 저작권 인정과 더 많은 수수료를 요구했다. 그는 더 많은 돈을 받는 데는 성공했지만, 작가 표시는 받지 못했다.[14][15]
2. 5. 정치적 격변과 망명
1848년 혁명으로 루이 필리프가 폐위되고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3세)이 집권하면서 뒤마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몰락하였다. 1851년 벨기에 브뤼셀로 망명한 뒤마는 다시 러시아로 이주하였는데, 당시 러시아에서는 프랑스어가 널리 통용되었기 때문에 그곳에서 작품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다.[65]1861년 3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이탈리아 왕국의 독립을 선언하자, 뒤마는 이탈리아로 건너가 신문 《인디펜덴테》(L'Independente)를 발간하며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에 앞장섰다. 뒤마는 오랫동안 존경해 왔으며 자유주의 공화주의 원칙에 대한 헌신과 프리메이슨 회원 자격을 공유한 주세페 가리발디와 친분을 맺었다.[16][17] 3년간 이탈리아에 머물던 뒤마는 1864년 파리로 돌아왔다.[65]
2. 6. 만년과 죽음
뒤마는 미식가로서, 소설을 쓸 수 없게 되자 사후에 출판될 『요리 대사전』을 집필했다.[32]스페인에서의 오랜 체류 후, 그는 아들의 별장인 디에프 근처의 퓌로 이주했다. 1870년 9월, 뇌졸중으로 반신불수가 된 후 1870년 12월 5일에 사망했다.[32] 그의 아들인 알렉상드르 뒤마 아들은 조르주 상드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나중에 전쟁이 끝난 후 조르주 상드는 동정의 마음을 전할 수 있었다.[32] 뒤마는 자신의 출생지인 앤 주의 빌레르코트레에 묻혔다.[24] 그의 죽음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가려졌고, 문학적 유행의 변화는 그의 인기를 감소시켰다.[24] 20세기 후반에 레지날드 하멜과 클로드 쇼프와 같은 학자들은 그의 예술에 대한 비판적인 재평가와 새로운 감사를 불러일으켰으며, 잃어버린 작품들을 발견했다.[24]
1970년, 그의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여, 파리 메트로는 그의 이름을 딴 역을 명명했다.[23] 파리 외곽에 있는 그의 별장인 몽테크리스토 성은 복원되어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23]

2002년, 뒤마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그의 유해를 팡테옹의 묘소에 재안치하는 의식을 거행하여 많은 프랑스 유명 인사들을 기렸다.[24][32] 시라크가 묘소로의 이장을 명령했을 때, 뒤마의 고향인 빌레르코트레의 주민들은 처음에 반대했는데, 뒤마가 자신의 회고록에서 그곳에 묻히고 싶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마을은 결국 정부의 결정에 따랐고, 뒤마의 시신은 묘지에서 발굴되어 이장을 위해 새로운 관에 넣었다.[28] 절차가 텔레비전으로 방송되었는데, 새로운 관은 파란색 벨벳 천으로 덮여 있었고, 4명의 공화국 근위대가 4명의 삼총사로 분장한 채로 마차에 실려 운반되었다. 그것은 파리를 거쳐 팡테옹으로 옮겨졌다.[29] 시라크는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라크는 프랑스에 존재했던 인종차별을 인정하고, 팡테옹에서의 재안치는 알렉상드르 뒤마가 동료 위대한 작가 빅토르 위고 및 에밀 졸라와 나란히 안치됨으로써 그 잘못을 바로잡는 방법이라고 말했다.[30][31] 시라크는 프랑스가 많은 위대한 작가를 배출했지만, 뒤마만큼 널리 읽힌 작가는 없다고 언급했다. 그의 소설은 거의 100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0편 이상의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32]
3. 작품 세계
알렉상드르 뒤마는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 여행기, 요리책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평생 동안 10만 페이지에 달하는 글을 출판했을 정도로 다작 작가였다.[24]
뒤마는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불화로 1851년 벨기에 브뤼셀로 피신했고, 1859년에는 러시아로 이주하여 2년간 머물며 러시아 여행기를 출판했다. 1861년에는 이탈리아 왕국 건국 후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참여, 주세페 가리발디와 교류하며 신문 《인디펜덴테》를 창간하기도 했다.[16][17]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다양한 여행기를 출판했다.
뒤마는 논픽션 작가로서 정치와 문화에 대한 글과 프랑스 역사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사후 출판된 《요리 대사전》은 백과사전과 요리책을 결합한 형태로, 미식가이자 요리사였던 그의 면모를 보여준다.
다음은 뒤마의 주요 여행기 목록이다.
- 《여행의 인상: 스위스에서》(1834)
- 《피렌체에서의 1년》(1841)
- 《파리에서 카디스까지》(1846)
- 《르 벨로스: 탕헤르에서 튀니스까지》(1846-47, 1848-1851)
- 《몬테비데오, 혹은 새로운 트로이》(1850)
- 《마담 조반니의 일기》(1856)
- 《나폴리 왕국 여행 인상》 3부작:
- 《시칠리아 여행 인상》(1842)
- 《아레나 대위》(1842)
- 《나폴리 여행 인상》(1843)
- 《러시아 여행 인상 – 르 코카서스 원본: 파리 1859》
- 《차르 시대 러시아의 모험, 또는 파리에서 아스트라한까지》(1859–1862)
- 《코카서스 기행》(1858–1859)
- 《나폴리의 부르봉 왕가》(1862)
3. 1. 역사 모험 소설
뒤마는 1838년 첫 소설 《자본가 폴》을 발표한 이후, 신문에 연재 소설을 기고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결합한 모험 소설은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오귀스트 마케와의 협업으로 탄생한 대표작 《삼총사》[14]는 루이 13세 시대 프랑스를 배경으로, 왕실 근위대 삼총사와 주인공 달타냥의 우정과 모험을 다룬다. 소설 속 인물들은 실제 역사적 사건에 휘말리며, 독자들은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 전개에 몰입하게 된다.[15]
또 다른 대표작 《몬테크리스토 백작》[14]은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힌 청년 에드몽 당테스가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다. 뒤마는 이 소설에서 12월 반란의 경험담을 담은 《펜싱 마스터》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히고 있다.[15]
뒤마의 역사 모험 소설은 매력적인 등장인물, 흥미진진한 줄거리, 빠른 전개 등으로 대중의 큰 인기를 얻었다. 그의 소설들은 곧 영어 및 기타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혔으며, 200편 이상의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30][31]
3. 2. 희곡
알렉상드르 뒤마는 소설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극작가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뒤마는 1829년, 27세에 첫 희곡 ''앙리 3세와 그의 궁정''을 발표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29] 이 작품은 낭만주의 연극의 효시로 여겨지며,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1830)보다 먼저 프랑스 연극계에 낭만주의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상연된 이 작품은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이듬해 50회나 공연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뒤마의 희곡은 역사적 사건을 다룬 작품이 많다. ''앙리 3세와 그의 궁정''(1829)은 프랑스의 앙리 3세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극이며, ''크리스틴''(1830)은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이야기를 다룬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또는 프랑스 역사 30년''(1831)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일대기를, ''샤를 7세, 그의 위대한 봉신들의 저택에서''(1831)는 샤를 7세 시대의 프랑스를 그렸다. ''네슬 탑''(1832)은 역사적 멜로드라마이다.
뒤마는 역사극 외에도 현대적인 감각의 낭만주의 드라마도 창작했다. ''안토니''(1831)는 바이런 풍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으로, 역사적이지 않은 낭만주의 드라마의 시초로 평가받는다.
뒤마는 또한 배우의 삶을 다룬 희곡을 쓰기도 했다. ''킨''(1836)은 영국의 유명 배우 에드먼드 킨의 생애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1840년대 뒤마는 파리에 테아트르 역사극을 설립하여 자신의 희곡을 상연했다. 이 극장은 1851년 이후 테아트르 리리크로 이름이 바뀌었다.
뒤마의 희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발표 연도 | 비고 |
---|---|---|
사냥꾼과 연인 | 1825 | |
결혼과 장례식 | 1826 | |
앙리 3세와 그의 궁정 | 1829 | |
크리스틴 – 스톡홀름, 퐁텐블로, 로마 | 1830 |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또는 프랑스 역사 30년 | 1831 | |
안토니 | 1831 | |
샤를 7세, 그의 위대한 봉신들의 저택에서 | 1831 | |
테레사 | 1831 | |
네슬 탑 | 1832 | |
안토니의 추억 | 1835 | |
프랑스 연대기: 바이에른의 이자벨 | 1835 | |
킨 | 1836 | |
칼리굴라 | 1837 | |
미스 벨-일 | 1837 | |
생-시르의 젊은 아가씨들 | 1843 | |
루이 14세의 청춘 | 1854 | |
밤의 아들 - 해적 | 1856 | 제라르 드 네르발, 베르나르 로페즈, 빅토르 세주르와 공동 집필 |
황금 도둑들 | 1857년 이후 | 미발표, 2004년 출판 |
2002년에는 뒤마의 미발표 5막극 ''황금 도둑들''이 발견되어 2004년에 출판되기도 했다.[24]
3. 3. 기타 장르
뒤마는 다양한 장르로 글을 썼고 평생 동안 총 10만 페이지를 출판했다.[24] 그는 여행 경험을 활용하여 여행기를 썼는데, 단순한 즐거움 외에도 다른 동기가 부여된 여행도 포함되었다. 뒤마는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영국 및 프랑스령 알제리를 여행했다. 루이 필리프가 혁명으로 물러난 후,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는데, 보나파르트는 뒤마를 싫어했기 때문에 1851년 뒤마는 채권자를 피해 벨기에 브뤼셀로 도망쳤다. 1859년경, 그는 러시아 제국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프랑스어는 상류층의 두 번째 언어였고 그의 작품은 큰 인기를 얻었다. 뒤마는 러시아에서 2년을 보내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카잔, 아스트라한, 바쿠, 트빌리시를 방문했고, 러시아 여행기를 출판했다.1861년 3월, 이탈리아 왕국이 선포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뒤마는 이탈리아로 건너가 이후 3년 동안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인디펜덴테'' 신문을 창간하고 이끌었다. 그곳에서 그는 오랫동안 존경해왔고 자유주의 공화주의 원칙을 공유하며 프리메이슨 회원이기도 했던 주세페 가리발디와 친분을 맺었다.[16][17] 1864년 파리로 돌아온 그는 이탈리아 여행기를 출판했다.
뒤마는 논픽션 작가로도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는 정치와 문화에 대한 기사를 썼고, 프랑스 역사에 관한 책도 저술했다.
그의 방대한 《그랜드 딕셔너리 드 퀴진》(《요리 대사전》)은 1873년 사후에 출판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여러 판이 출판되고 있다. 백과사전과 요리책이 결합된 이 책은 미식가이자 뛰어난 요리사였던 뒤마의 관심을 반영한다. 축약본(《프티 딕셔너리 드 퀴진》, 즉 《요리 소사전》)은 1883년에 출판되었다.
그는 여행기로도 유명했다. 그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여행의 인상: 스위스에서》(1834)
- 《피렌체에서의 1년》(1841)
- 《파리에서 카디스까지》(1846)
- 《르 벨로스: 탕헤르에서 튀니스까지》(1846-47), 1848-1851
- 《몬테비데오, 혹은 새로운 트로이》, 1850, 몬테비데오 대포위전에서 영감을 받음
- 《마담 조반니의 일기》(1856)
- 《나폴리 왕국 여행 인상》 3부작:
- * 《시칠리아 여행 인상》(《르 스페로네르 (시칠리아 – 1835)》, 1842
- * 《아레나 대위》(《르 카피탄 아레나 (이탈리아 – 립파리 제도와 칼라브리아 – 1835)》, 1842
- * 나폴리 여행 인상(《르 코리콜로 (로마 – 나폴리 – 1833)》, 1843
- 《러시아 여행 인상 – 르 코카서스 원본: 파리 1859》
- 《차르 시대 러시아의 모험, 또는 파리에서 아스트라한까지》(《여행의 인상: 러시아에서; 파리에서 아스트라한까지: 새로운 여행 인상 (1858)》, 1859–1862
- 《코카서스 기행》(《르 코카서스: 여행 인상; 러시아에서 (1859) 후속편》, 1858–1859
- 《나폴리의 부르봉 왕가》(1862) (뒤마 자신이 감독했던 이탈리아 신문 《린디펜덴테》에 의해 출판된 7권).
4. 작품 목록
뒤마는 소설, 희곡, 여행기 등 다양한 장르의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출판(상연) 연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61] | 번역 (또는 기타 정보) |
---|---|---|---|
1825 | La Chasse et l'Amour (théâtre) | 사냥과 사랑 (희곡) | |
1826 | La Noce et l'Enterrement (théâtre) | 결혼식과 장례 (희곡) | |
1829 | Henri III et sa cour (théâtre) | 앙리 3세와 그 궁정 (희곡) | |
1830 | Christine | 크리스틴 또는 스톡홀름, 퐁텐블로, 로마 (희곡) | |
1831 | Napoléon Bonaparte ou Trente ans de l’Histoire de France (théâtre)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또는 프랑스 30년사 (희곡) | |
1831 | Antony (théâtre) | 안토니 (희곡) | |
1831 | Charles VII chez ses grands vassaux (théâtre) | 샤를 7세와 그의 대제후들 (희곡) | |
1831 | Teresa (théâtre) | 테레사 (희곡) | |
1832 | La Tour de Nesle (théâtre) | 네를의 탑 (희곡) | |
1833 | Angèle (théâtre) | 앙젤 (희곡) | |
1833 | Gaule et France (essai) | 갈리아와 프랑스 (에세이) | |
1833 | Impressions de voyage | 여행의 인상 (여행기) | |
1834 | Catherine Howard (théâtre) | 캐서린 하워드 (희곡) | |
1834 | Souvenirs d’Anthony | 『안토니』의 추억 (회고록) | |
1835 | Chroniques de France : Isabel de Bavière | 프랑스 연대기: 바이에른의 이자벨 | |
1836 | Kean (théâtre) | 킨 (희곡) | |
1836 | Piquillo (opéra-comique) | 피킬로 (희곡) | |
1837 | Caligula (théâtre) | 칼리굴라 (희곡) | |
1837 | Mademoiselle de Belle-Isle (théâtre) | 벨-일 양 (희곡) | |
1839 | L'Alchimiste (théâtre) | 연금술사 (희곡) | |
1838 | Pauline | 폴린 | |
1839 | Le Capitaine Paul | 폴 선장 | |
1839 | Le Capitaine Pamphile | 팡필 선장 | |
1839 | La Comtesse de Salisbury | 솔즈베리 백작 부인 (프랑스 연대기) | |
1839 | Acté | 악테 | |
1839 | Crimes célèbres | 유명한 범죄 | 첸치, 브리니비예 후작 부인, 카를 루트비히 산트, 메리 스튜어트, 강즈 후작 부인, 뮈라, 보르자 가문, 위르뱅 그랑디에, 바닌카, 남부 학살, 생 제랑 백작 부인, 나폴리의 잔, 니시다, 드뤼, 마르탱 게르, 알리 파샤, 라 콘스탄틴, 철가면의 남자 |
1840 | Napoléon | 나폴레옹 | |
1840 | Aventures de John Davys | 존 데이비스의 모험 | |
1840 | Othon l’archer | 궁수 오톤 | |
1840 | Les Stuarts | 스튜어트 가문 | |
1840 | Maître Adam le calabrais | 칼라브리아의 아담 선생 | |
1840 | Le Maître d’armes | 무술 교관 | |
1841 | Praxède | 황후 프락세데 | |
1841 | Nouvelles Impressions de voyage (Midi de la France) | 새로운 여행의 인상. 프랑스 남부 (여행기) | |
1841 | Excursions sur les bords du Rhin | 라인강변의 소풍 (여행기) | |
1841 | Souvenirs de voyage : Une année à Florence | 피렌체에서의 1년 (여행기) | |
1841 | Un mariage sous Louis XV (théâtre) | 루이 15세 치하의 결혼 (희곡) | |
1842 | Jeanne la pucelle (1429-1431) | 잔 다르크 | |
1842 | Lorenzino (théâtre) | 로렌치노 (희곡) | |
1842 | Le Speronare | 스페로네르 (여행기) | |
1842 | Le Capitaine Arena | 아레나 선장 | |
1842 | Halifax (théâtre) | 핼리팩스 (희곡) | |
1842 | La Villa Palmieri | 라 빌라 팔미에리 (피렌체 여행기) | |
1842 | Le Chevalier d'Harmental | 아르망탈 기사 | |
1843 | Le Corricolo | 코리콜로 (나폴리 여행기) | |
1843 | Les Demoiselles de Saint-Cyr (théâtre) | 생 시르의 아가씨들 (희곡) | |
1843 | Louise Bernard (théâtre) | 루이즈 베르나르 (희곡) | |
1843 | Filles | 소녀, 로레트, 유녀 | |
1843 | Georges | 조르주 | |
1843 | Ascanio ou l'Orfèvre du roi | 아스카니오 (희곡) | |
1844 | Sylvandire | 실반디르 (희곡) | |
1844 | Fernande | 페르난드 | |
1844 | Les Trois Mousquetaires | 삼총사 | |
1844 | Albine ou le Château d’Eppstein | 엡슈타인 성 | |
1844 | Gabriel Lambert | 가브리엘 랑베르 | |
1844 | Louis XIV et son siècle | 루이 14세와 그의 시대 | |
1845 | Contes | 동화집 | |
1845 | Vingt ans après | 20년 후 (삼총사 후속편) | |
1845 | Une amazone | 아마존 | |
1845 | Le Comte de Monte-Cristo | 몬테크리스토 백작 | |
1845 | Une fille du régent | 섭정의 딸 | |
1845 | La Reine Margot | 여왕 마고 | |
1845 | Les Frères corses | 코르시카의 형제 | |
1845 | Le Chevalier de Maison-Rouge | 붉은 집의 기사 | |
1846 | La Dame de Monsoreau | 몽소로 부인 | |
1846 | Joseph Balsamo | 조제프 발사모 | |
1846 | Les Deux Diane | 두 명의 다이아나 | |
1847 | Impressions de voyage : De Paris à Cadix | 여행의 인상: 파리에서 카디스까지 | |
1847 | Les Quarante-cinq | 45인 기사 (『여왕 마고』, 『몽소로 부인』에 이은 종교 전쟁 3부작의 마지막 작품) | |
1847 | Le Chevalier de Maison-Rouge (théâtre) | 붉은 집의 기사 (희곡) | |
1847 | Catilina (théâtre) | 카틸리나 (희곡) | |
1847 | Hamlet | 덴마크의 왕자 햄릿 (희곡) | |
1847 | Le Vicomte de Bragelonne ou Dix ans plus tard | 브라젤론 자작 또는 10년 후, 또는 삼총사의 20년 후 | |
1849 | Les Mille et Un Fantômes | 천일야화 | |
1849 | Le Collier de la reine | 여왕의 목걸이 | |
1850 | La Femme au collier de velours | 벨벳 목걸이의 여인 | |
1850 | La Tulipe noire | 검은 튤립 | |
1850 | Le Trou de l’enfer | 지옥의 구멍 (샤를마뉴의 연대기) | |
1850 | Le vingt-quatre février | 2월 24일 | |
1851 | Montevideo ou Une nouvelle Troie | 몬테비데오 또는 새로운 트로이 | |
1851 | Le Drame de quatre-vingt-treize | 93년의 드라마 | |
1851 | Impressions de voyage : Suisse | 여행의 인상: 스위스 | |
1851 | Ange Pitou | 아르셰 피투 | |
1851 | Isaac Laquedem | 이자크 라크뎀 | |
1851 | Olympe de Clèves | 클레브의 올림프 | |
1851 | Conscience l’innocent | 순수한 양심 | |
1851 | Un Gil Blas en Californie | 캘리포니아의 질 블라스 | |
1851 | Histoire de la vie politique et privée de Louis-Philippe | 마지막 왕 (루이 필립의 정치적, 사생활적 역사) | |
1851 | Mes Mémoires | 나의 회고록 | |
1851 | Mémoires de Jeanne d’Albert de Luynes | 신은 정하셨다 | |
1853 | La Comtesse de Charny | 샤르니 백작 부인 | |
1853 | Le Pasteur d’Ashbourne | 애쉬번의 목사 | |
1853 | Les Drames de la mer | 바다의 드라마 | |
1853 | Ingénue | 앵제뉘 | |
1854 | La Jeunesse de Pierrot | 피에로의 청춘 | |
1854 | Une vie d’artiste | 화가의 삶 | |
1854 | Catherine Blum | 카트린 블룸 | |
1854 | Vie et Aventures de la princesse de Monaco | 모나코 공주의 삶과 모험 | |
1854 | Le Marbrier (théâtre) | 르 마르브리에 (희곡) | |
1854 | La Conscience (théâtre) | 산의 신사 (희곡) | |
1854 | Le Capitaine Richard | 리샤르 대위 | |
1854 | Les Mohicans de Paris | 파리의 모히칸족 | |
1854 | Souvenirs de 1830 à 1842 | 1830년부터 1842년까지의 추억 | |
1854 | La Jeunesse de Louis XIV (théâtre) | 루이 14세의 청춘 (희곡) | |
1855 | La Dernière Année de Marie Dorval | 마리 도르발의 마지막 해 | |
1855 | Le Page du duc de Savoie | 사보이 공작의 시종 | |
1855 | Les Grands Hommes en robe de chambre : César | 거장들 (희곡): 시저 | |
1855 | Mémoires d'une aveugle ou Madame du Deffand | 어떤 맹인의 회고록 또는 드페팡 부인 | |
1856 | Les Compagnons de Jéhu | 예후의 동료들 | |
1856 | La Tour Saint-Jacques (théâtre) | 생 자크 탑 | |
1856 | Un cadet de famille ou Mémoires d'un jeune cadet | 집안의 차남 | |
1857 | Charles le Téméraire | 무모한 샤를 | |
1857 | Le Meneur de loups | 늑대의 지도자 | |
1857 | L'Invitation à la valse (théâtre) | 왈츠에의 초대 (희곡) | |
1858 | Black | 블랙 | |
1858 | Les louves de Machecoul | 마슈쿨의 암늑대들 | |
1858 | L'Horoscope | 호로스코프 | |
1858 | De Paris à Astrakan ou Voyage en Russie | 파리에서 아스트라칸까지 또는 새로운 여행의 인상 | |
1859 | Voyage au Caucase | 코카서스 여행 | |
1859 | L'Île de feu | 불의 섬 | |
1859 | Le Fils du forçat | 징역수의 아들 | |
1860 | La Maison de glace | 얼음의 집 | |
1860 | La Route de Varennes | 바렌으로 가는 길 | |
1860 | Mémoires de Garibaldi | 가리발디 회고록 | |
1860 | Une aventure d’amour | 사랑의 모험 | |
1860 | Le Roman d'Elvire (opéra-comique) | 엘비르의 소설 (오페라 코미크) | |
1860 | Le Père La Ruine | 라 루인 신부 | |
1860 | Le Père Gigogne | 지곤느 신부 | |
1860 | La Marquise d’Escoman | 데스 코망 후작 부인 | |
1860 | LEnvers dune conspiration (théâtre) | 음모의 이면 (희곡) | |
1861 | Une nuit à Florence sous Alexandre de Médicis | 알렉상드르 드 메디치 치하의 피렌체에서의 하룻밤 (희곡) | |
1861 | Bric-à-brac | 잡동사니 | |
1863 | La Boule de neige | 눈덩이 | |
1863 | La Dame de volupté ou Mémoires de Jeanne d’Albert de Luynes | 쾌락의 여인 또는 륀느의 잔 알베르의 회고록 | |
1864 | La San-Felice | 산 펠리체 | |
1864 | Emma Lyonna | 엠마 리오나 | |
1864 | La Princesse Flora | 플로라 공주 | |
1864 | Le Destin de la San Felice | 산 펠리체의 운명 | |
1864 | Les Deux Reines | 두 여왕 | |
1865 | Souvenirs d'une favorite | 애인의 추억 | |
1865 | Le Fils du forçat | 징역수의 아들 | |
1866 | Le Comte de Mazzara | 마차라 백작 | |
1867 | Les Blancs et les Bleus | 백색과 청색 | |
1867 | Les Hommes de fer | 철가면 | |
1867 | Histoire d'un lézard (Souvenirs de Naples) | 도마뱀 이야기 (나폴리의 추억) | |
1868 | Les Garibaldiens | 가리발디 군 | |
1868 | La Terreur prussienne | 프로이센의 공포 | |
1870 (사후) | Le Grand dictionnaire de cuisine | 요리 대사전 |
4. 1. 소설
알렉상드르 뒤마는 수많은 모험 소설과 역사 연대기를 저술했다. 대표적인 소설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가신의 집에 들어선 샤를 7세》(Charles VII chez ses grands vassaux, 1831)
- 《고린도의 악테, 또는 성 바울의 개종》(1839): 로마, 네로, 초기 기독교에 관한 소설이다.
- 《아이작 라케뎀》(1852–53, 미완)
- 《솔즈베리 백작 부인(La Comtesse de Salisbury; Édouard III)》(1836): 1839년에 단행본으로 출판된 그의 첫 번째 연재 소설이다.
- 《폴 대위(Le Capitaine Paul)》(1838)
- 《궁수 오톤(Othon l'archer)》(1840)
- 《팡필 대위(Le Capitaine Pamphile)》(1839)
- 《엡스타인 성(Chateau d'Eppstein; Albine)》(1843)
- 《아모리(Amaury)》(1843)
- 《코르시카 형제(Les Frères Corses)》(1844)
- 《올림프 드 클레브(Olympe de Cleves)》(1851–52)
- 《카트린 블룸(Catherine Blum)》(1853–54)
- 《파리의 모히칸(Les Mohicans de Paris)》(1854)
- 《살바토르(Salvator. Suite et fin des Mohicans de Paris)》(1855–1859)
- 《라스트 벤데 또는 마슈쿨의 암늑대(Les louves de Machecoul)》(1859): 로맨스 (늑대인간에 관한 이야기는 아님).
- 《라 상펠리체(La Sanfelice)》(1864): 1800년 나폴리를 배경으로 한다.
- 《피에트로 모나코, 그의 아내 마리아 올리베리오와 그들의 공범자(Pietro Monaco, sua moglie Maria Oliverio ed i loro complici)》(1864): 페피노 쿠르치오(Peppino Curcio)의 《치칠라(Ciccilla)》의 부록이다.
- 《프러시아의 공포(La Terreur Prussienne)》(1867): 7주 전쟁 중을 배경으로 한다.
- 《창백한 여인》(La Dame Pȃle, 1849): 두 형제에게 숭배받는 폴란드 여인에 대한 뱀파이어 이야기이다.
- 《늑대 대장》(Le Meneur de loups, 1857): 최초로 쓰여진 늑대인간 소설 중 하나이다.
- 《조르주》(1843): 주인공은 혼혈인인데, 이는 뒤마 자신의 아프리카계 혈통을 드물게 암시하는 부분이다.
- 《공모자들》(1843, 르 슈발리에 다르망탈): 폴 페리에가 각색하고, 앙드레 메시제가 1896년 오페라 코미크로 만들었다.
- 《예후의 동료들》(Les Compagnons de Jehu, 1857)
- 《백색당과 청색당》(Les Blancs et les Bleus, 1867)
- 《생트-에르민 기사》(Le Chevalier de Sainte-Hermine, 1869): 뒤마의 마지막 소설로, 그가 사망하면서 미완성되었지만 학자 클로드 쇼프에 의해 완성되어 2005년에 출판되었다.[34] 영어로는 2008년에 《The Last Cavalier》로 출판되었다.
- 《도둑 왕자》(《르 프랭스 데 볼뢰르》, 1872, 사후 출판): 로빈 후드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1948년 영화 《도둑 왕자》의 영감).
- 《무법자 로빈 후드》(《로빈 후드 르 프로스크리》, 1873, 사후 출판): 《르 프랭스 데 볼뢰르》의 속편
4. 1. 1. 연작 소설
다르타냥 로망 |
---|
발루아 로망 |
마리 앙투와네트 로망 |
4. 1. 2. 단독 소설
- 펜싱 마스터 (Le maître d'armes, 1840): 뒤마가 펜싱 마스터 아우구스틴 그리시에르와 함께 쓴 소설이다. 러시아에서 겪은 12월 반란의 경험담을 담고 있으며, 뒤마는 자서전에서 그리시에르로부터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영감을 얻었다고 밝히고 있다.[65]
- 호두까기 인형 (1844)[66]
- 몬테크리스토 백작 (Le Comte de Monte-Cristo, 1845–1846)[68]
- 《섭정의 딸》 (Une Fille du régent, 1845)
- 《두 명의 다이아나》 (Les Deux Diane, 1846)
- 《검은 튤립》 (La Tulipe noire, 1850)
4. 2. 희곡
뒤마는 소설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처음에는 극작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 ''앙리 3세와 그 궁정(Henri III and His Court)''(1829)은 낭만주의 시대의 첫 번째 작품으로, 빅토르 위고의 더 유명한 ''에르나니''(1830)보다 앞서 파리 무대에 올려진 역사적 드라마였다.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제작되었고 유명한 마드모아젤 마르스가 주연을 맡은 뒤마의 이 작품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며 그의 경력을 시작했다.[60] 당시에는 매우 이례적으로, 다음 해에 50번이나 공연되었다.뒤마는 많은 희곡을 썼으며, 그의 소설 여러 편을 드라마로 각색했다. 1840년대에 그는 파리의 템플 대로에 위치한 테아트르 역사극을 설립했다. 이 건물은 1852년 이후 오페라 국립 극장 (1847년 아돌프 아당에 의해 설립)에서 사용되었으며, 1851년 테아트르 리리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출판(상연) 연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 번역 (또는 기타 정보) |
---|---|---|---|
1825 | La Chasse et l'Amour (théâtre) | 사냥과 사랑 (희곡) | |
1826 | La Noce et l'Enterrement (théâtre) | 결혼식과 장례 (희곡) | |
1829 | Henri III et sa cour (théâtre) | 앙리 3세와 그 궁정 (희곡) | |
1830 | Christine | 크리스틴 또는 스톡홀름, 퐁텐블로, 로마 (희곡) | |
1831 | Napoléon Bonaparte ou Trente ans de l’Histoire de France (théâtre)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또는 프랑스 30년사 (희곡) | |
1831 | Antony (théâtre) | 안토니 (희곡) | |
1831 | Charles VII chez ses grands vassaux (théâtre) | 샤를 7세와 그의 대제후들 (희곡) | |
1831 | Teresa (théâtre) | 테레사 (희곡) | |
1832 | La Tour de Nesle (théâtre) | 네를의 탑 (희곡) | |
1833 | Angèle (théâtre) | 앙젤 (희곡) | |
1834 | Catherine Howard (théâtre) | 캐서린 하워드 (희곡) | |
1836 | Kean (théâtre) | 킨 (희곡) | |
1836 | Piquillo (opéra-comique) | 피킬로 (희곡) | |
1837 | Caligula (théâtre) | 칼리굴라 (희곡) | |
1837 | Mademoiselle de Belle-Isle (théâtre) | 벨-일 양 (희곡) | |
1839 | L'Alchimiste (théâtre) | 연금술사 (희곡) | |
1841 | Un mariage sous Louis XV (théâtre) | 루이 15세 치하의 결혼 (희곡) | |
1842 | Lorenzino (théâtre) | 로렌치노 (희곡) | |
1842 | Halifax (théâtre) | 핼리팩스 (희곡) | |
1843 | Les Demoiselles de Saint-Cyr (théâtre) | 생 시르의 아가씨들 (희곡) | |
1843 | Louise Bernard (théâtre) | 루이즈 베르나르 (희곡) | |
1843 | Ascanio ou l'Orfèvre du roi | 아스카니오 (희곡) | |
1844 | Sylvandire | 실반디르 (희곡) | |
1847 | Le Chevalier de Maison-Rouge (théâtre) | 붉은 집의 기사 (희곡) | |
1847 | Catilina (théâtre) | 카틸리나 (희곡) | |
1847 | Hamlet | 덴마크의 왕자 햄릿 (희곡) | |
1854 | Le Marbrier (théâtre) | 르 마르브리에 (희곡) | |
1854 | La Conscience (théâtre) | 산의 신사 (희곡) | |
1854 | La Jeunesse de Louis XIV (théâtre) | 루이 14세의 청춘 (희곡) | |
1856 | La Tour Saint-Jacques (théâtre) | 생 자크 탑 | |
1857 | L'Invitation à la valse (théâtre) | 왈츠에의 초대 (희곡) | |
1860 | LEnvers dune conspiration (théâtre) | 음모의 이면 (희곡) | |
1861 | Une nuit à Florence sous Alexandre de Médicis | 알렉상드르 드 메디치 치하의 피렌체에서의 하룻밤 (희곡) |
4. 3. 기타 저작
1848-1851 || 탕헤르에서 튀니스까지의 여행기|-
| 《몬테비데오, 혹은 새로운 트로이》 || 1850 || 몬테비데오 대포위전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
|-
| 《마담 조반니의 일기》 || 1856 || 소설 형식의 여행기
|-
| 《나폴리 왕국 여행 인상》 3부작
| colspan="2" |
《시칠리아 여행 인상》(《르 스페로네르 (시칠리아 – 1835)》) | 1842 | 시칠리아 여행기 |
《아레나 대위》(《르 카피탄 아레나 (이탈리아 – 립파리 제도와 칼라브리아 – 1835)》) | 1842 | 이탈리아 립파리 제도와 칼라브리아 여행기 |
나폴리 여행 인상(《르 코리콜로 (로마 – 나폴리 – 1833)》) | 1843 | 로마와 나폴리 여행기 |
|-
| 《러시아 여행 인상 – 르 코카서스 원본: 파리 1859》 || 1859 || 러시아 여행기
|-
| 《차르 시대 러시아의 모험, 또는 파리에서 아스트라한까지》(《여행의 인상: 러시아에서; 파리에서 아스트라한까지: 새로운 여행 인상 (1858)》) || 1859–1862 || 러시아 여행기
|-
| 《코카서스 기행》(《르 코카서스: 여행 인상; 러시아에서 (1859) 후속편》) || 1858–1859 || 코카서스 여행기
|-
| 《나폴리의 부르봉 왕가》 || 1862 || 뒤마 자신이 감독했던 이탈리아 신문 《린디펜덴테》에 의해 출판된 7권
|}
5. 유산과 영향
알렉상드르 뒤마의 문학적, 사회적 유산은 매우 크다. 그의 작품은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연극,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5. 1. 사회적 영향
뒤마는 혼혈인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이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1843년에 발표한 소설 《조지》에서 "내 아버지는 물라토였고 내 조부는 깜둥이였소. 내 증조부는 원숭이였지. 알겠소, 선생? 우리 가족은 당신네가 끝나는 곳에서 시작하였소."라고 자신의 혈통을 언급하였다.[65] 뒤마의 이러한 언급은 그의 작품들이 프랑스 사회와 역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참조
[1]
LPD
[2]
EPD
[3]
서적
General Alexandre Dumas: Soldier of the French Revolution
SIU Press
[4]
서적
100 Amazing Facts about the Negro
Pantheon Books
[5]
문서
Watts Phillips: Artist and Playwright by Emma Watts Phillips
https://archive.org/[...]
[6]
문서
General Alexandre Dumas: Soldier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7]
문서
Letter from M. de Chauvinault, former royal prosecutor in [[Jérémie]], [[Saint Domingue]], to the Count de Maulde
1776-06-03
[8]
문서
Judgment in a dispute between Alexandre Dumas (named as Thomas Rethoré) and his father’s widow, Marie Retou Davy de la Pailleterie
[9]
웹사이트
Claude Schopp
http://www.dumaspere[...]
1998–2008
[10]
웹사이트
Alexandre Dumas > Sa vie > Biographie
http://www.dumaspere[...]
Dumaspere.com
2010-02-13
[11]
웹사이트
"Le métissage rentre au Panthéon"
http://marianne2.fr/[...]
[12]
웹사이트
"L'association des Amis du Général Alexandre Dumas"
http://www.general-d[...]
2012-08-11
[13]
간행물
Les Dumas: Le secret de Monte Cristo
France-Empire
[14]
뉴스
Alexandre Dumas novels penned by 'fourth musketeer' ghost writer
https://www.telegrap[...]
2010-02-10
[15]
문서
Alexandre Dumas
[16]
서적
Italian America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People
ABC-CLIO
2016
[17]
서적
Franc-Maçonnerie & histoire de France
Ed. de l'Opportun
2016
[18]
서적
Alexandre Dumas, ou les Aventures d'un romancier
https://books.google[...]
Éditions Gallimard
[19]
웹사이트
Dumas et la négritude
http://pages.infinit[...]
2008-09-10
[20]
웹사이트
Alexander Dumas (1802 – 1870)
http://www.bl.uk/onl[...]
2005-08-19
[21]
문서
Adah Isaacs Menken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Alexandre Dumas
https://www.veryimpo[...]
2019-08-08
[23]
웹사이트
Château de Monte-Cristo Museum Opening Hours
https://www.chateau-[...]
2018-11-04
[24]
웹사이트
French Studies: "Quebecer discovers an unpublished manuscript by Alexandre Dumas"
http://www.iforum.um[...]
2004-09-30
[25]
서적
Real gold: treasures of Auckland City Libraries
http://www.aucklandc[...]
Auckland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Bibliographies: Reed's 'Labour of Love'
http://www.cadytech.[...]
CadyTech
1996
[27]
웹사이트
Reed, Frank Wild
http://www.cadytech.[...]
CadyTech
[28]
웹사이트
"Musketeers" author's coffin arrives at the Pantheon
https://www.youtube.[...]
2015-07-21
[29]
웹사이트
Lavish reburial for Three Musketeers author
https://www.theguard[...]
2002-11-29
[30]
웹사이트
Discours prononcé lors du transfert des cendres d'Alexandre Dumas au Panthéon
http://fr.wikisource[...]
2002-11-30
[31]
웹사이트
Paris Monuments Panthéon-Close up picture of the interior of the crypt of Victor Hugo (left) Alexandre Dumas (middle) Émile Zola (right)
http://www.parisphot[...]
ParisPhotoGallery
[32]
웹사이트
Claude Schopp: The man who gave Dumas 40 mistresses
https://www.theguard[...]
2008-05-06
[33]
서적
Alexandre Dumas: The King of Romanc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1
[34]
뉴스
Alexandre Dumas, père
https://www.theguard[...]
2008-07-22
[35]
서적
I Borboni di Napoli: Questa istoria, pubblicata pe'soli lettori dell'Indipendente, è stata scritta su documenti nuovi, inediti, e sconosciut, scoperiti dall'autore negli archivi segreti della polizia, e degli affari esteri di Napoli
https://play.google.[...]
1862
[36]
웹사이트
Banche dati, Open Archives, Libri elettronici
http://www.bnnonline[...]
2020-08-28
[37]
웹사이트
Alexandre Dumas
http://www.dumaspere[...]
2017-08-22
[38]
문서
同じ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を名乗った3代の祖父・父・子について、アンドレ・モーロワは「3人のデュマ」という伝記を書いている。André Maurois, Les Trois Dumas, éd.Hachette, 1957。訳書は『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菊地映二訳(筑摩書房、1971年)
[39]
서적
アンリ三世とその宮廷
デジタルエステイト
[40]
서적
ネールの塔
デジタルエステイト
[41]
서적
キーン
デジタルエステイト
[42]
문서
Fernande Bassan, Histoire de la Tour de Nesle de Dumas père et Gaillardet, Nineteenth-Century French Studies, III、 Nos.1-2 (Fall Winter 1974-75)、 pp.42-43、 Note3.『ネールの塔 五幕九景ドラマ』デジタルエステイト、2016年、128ページ以降。
[43]
문서
46 Rue Alexandre Dumas, 02600 Villers-Cotterêts, フランス
[44]
문서
Alexandre Dumas, Mes mémoires (https://books.google.fr/books?id=Tp8DAAAAYAAJ&printsec=frontcover#v=onepage& q&f=false), Michel Lévy frères, Paris, 1863, chap. I, p. 3. 『わが回想』は未翻訳。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通り46のデュマの生家跡から徒歩5分ほどのドモスティエ通り24に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博物館がある。
[45]
문서
Alexandre Dumas, Le Meneur de Loups (https://books.google.fr/books?id=BhlMAAAAMAAJ&printsec=frontcover#v=one
[46]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通り46番地の注を参照のこと。
[47]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25ページ。
[48]
문서
1954年に出版された小説Catherine Blum『カトリーヌ・ブルム』は少年時代を過ごしたヴィレル・コトレを題材にしていて、その中にグレゴワール神父の思い出を盛り込んでいる。『カトリーヌ・ブルム』小川節子訳、日本図書刊行会、2005年。
[49]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27ページ。
[50]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37ページ。
[51]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49ページ。
[52]
서적
アントニー
デジタルエステイト
[53]
서적
ベル=イル嬢
デジタルエステイト
[54]
서적
Alexandre Dumas père, Théâtre complet I
Minard
[55]
문서
Claude Schopp, Alexandre Dumas, le genie de la vie, Éditions Mazarine, pp.239-240. クロード・ショップ著『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人生の天才』未翻訳
[56]
간행물
Le roman-feuilleton et Alexandre Dumas père (1802-1870)
[57]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167ページ。
[58]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363ページ。
[59]
웹사이트
Alexandre Dumas >
http://www.dumaspere[...]
2020-02-22
[60]
문서
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の書誌についてはダグラス・マンロー『アレクサンドル・デュマ父の1825年から1900年までのフランス語による作品書誌』が最も詳細である。Douglas Munro, Alexandre Dumas père A Bibliography of Works, published in French, 1825-1900, Garland Publishing, inc, 1981. また、フランス語による著作の検索については http://www.dumaspere.com/pages/oeuvre/dictionnaire.html が詳細である。多くのリンク先には作品の概要と分析がついていて非常に有用である。
[61]
문서
邦題について、すでに邦訳があるものはそれを優先し、未翻訳のものについては原題に従った
[62]
문서
[63]
웹사이트
Dumas, Thomas-Alexandre (1762–1806)
http://www.blackpast[...]
[64]
웹사이트
Biographie,Alexandre Dumas
http://www.dumaspere[...]
[65]
문서
프랑스어, Alexandre Dumas ou les aventures d'un romancier. collection « [[Découvertes Gallimard]] / Littératures » (n° 12). 1986-11-21. pp. 75. {{ISBN|2-07-053021-3}}. "Mon père était un mulâtre, mon grand-père était un nègre et mon arrière grand-père un singe. Vous voyez, Monsieur: ma famille commence où la vôtre finit."
[66]
문서
[[호프만]]이 쓴 소설의 재개정판, 뒤에 [[차이콥스키]]가 이것을 기초로 발레극으로 만들었다。
[67]
문서
이규현 역, 민음사, 2002
[68]
문서
오종자 역, 민음사, 2002
[69]
문서
박미경 역, 마고왕비, 홍원출판사,1994
[70]
문서
이원희 역, 태일출판사, 199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