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스테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팝스테이지는 2007년 첫 공개된 리듬 액션 음악 게임이다. 게임 진행은 노트가 판정선에 맞춰 내려오면 해당 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팝 모드 발동 시 콤보에 따른 팝 게이지를 활용한다. 게임 모드는 대전, 협력, 클래식 모드가 있으며, 2009년 업데이트 및 개발 중단, 2012년 서비스 종료되었다. 서비스 종료 후, 팝스테이지 프리서버가 제작되어 여러 차례 베타 서비스를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게임 - Tokyo 7th 시스터즈
Tokyo 7th 시스터즈는 2034년을 배경으로 아이돌 유닛을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돌 시대를 개척하는 여정을 그리는, 모기 신타로 기획 및 Donuts 개발의 리듬 게임 및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음악 게임 - CHUNITHM
CHUNITHM은 세가가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으로, 화면 상단에서 내려오는 노트를 터치, 슬라이드, 공간 센서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며, 다양한 노트와 6단계 난이도, 랭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와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한다. - 온라인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온라인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 팝스테이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제목 | PopStage (팝스테이지) |
| 장르 | 리듬 게임, 리듬 액션 게임 |
| 모드 | 멀티 플레이 |
| 이용가 등급 | 전체이용가 |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 입력 장치 | 키보드, 전용 컨트롤러 |
| 개발 및 출시 | |
| 개발사 | 엠게임 |
| 배급사 | 엠게임 |
| 출시일 | 2008년 7월 29일 |
| 시스템 요구 사양 | |
| CPU | 펜티엄 4 1.4GHz |
| RAM | 512MB 이상 |
| 운영체제 | 윈도우 98 |
| 비디오 카드 | 엔비디아 GeFORCE4 MX440 |
| DirectX | 9.0c |
| 사운드 카드 | 16Bit 지원 사운드 카드 |
2. 게임 시스템
팝스테이지는 독특한 게임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2. 1. 진행
곡이 연주되면 화면 아래의 판정선에 마디에 따라 노트가 내려오며, 해당 키를 입력하여 노트를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연주가 진행된다. 노트를 연주하지 못해도 게이지바가 없기 때문에 게임오버가 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D, F, 스페이스, J, K (5키) 또는 S, D, F, 스페이스, J, K, L (7키)을 사용하며, 팝 모드를 발동시킬 땐 G 또는 H를 누른다.2. 2. 판정
판정은 POP!, Nice!, Great!, BAD, OOPS!가 있으며, 팝(POP), 나이스(Nice), 그레이트(Great) 판정을 받으면 높은 점수와 함께 콤보가 올라간다. 배드(BAD)나 웁스(OOPS) 판정을 받으면 점수가 없거나 낮고, 콤보가 끊어진다.2. 3. 난이도
EZ, NM, HD, EX, HH 중 하나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협력 모드에서는 개인이 난이도를 선택하여 다른 사람보다 높은 점수를 낼 수 있지만, 보상은 동일하다.2. 4. 컬렉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미션을 완수하면 얻을 수 있는 메달을 모아 컬렉션을 완성하면 선물을 받을 수 있었다. 게임을 시작할 때 곡 선택, 난이도 설정 등 발생 조건을 맞추어 게임 설정을 미션에 맞추면 해당 미션이 발동되는 시스템이었다.3. 팝 게이지
콤보가 증가하면 팝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는 팝 게이지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었다. 콤보가 끊어지거나 팝 모드를 발동시키면 팝 게이지가 사라졌다. 팝 모드의 지속 시간은 대체로 짧은 편이며, 팝 모드가 발동되면 해당 모드에 맞는 배수가 적용되었다.
3. 1. 팝 게이지 상태와 팝 모드
팝 게이지는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1단계를 넘어가면 언제든지 발동할 수 있었다. 팝 에너지가 발동된 상태를 "팝 모드"라 하며, G, H 중 아무 키나 누르면 발동되었다.팝 모드에서는 콤보가 끊겨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며, 노트 판정이 Great이나 Nice일 경우 모두 POP으로 인정되었다. 결과 창에서는 팝 게이지를 발동한 시간 동안 Bad, Oops를 제외한 모든 판정이 POP으로 표시되었고, 옵션에서 팝 모드 시 원래 판정 표시 기능을 통해 팝 모드 발동 중 자신의 판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팝 모드 상태에서 입력된 노트는 팝 모드 단계의 배수에 따라 점수가 크게 높아졌다. POP 판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POP 판정으로 처리된 경우, 세부 판정은 POP 판정에서 가장 낮은 판정으로 계산되었다.
3. 2. 협력모드에서의 팝 시스템
협력 모드에서 팝 시스템이 발동되면 모든 유저도 같이 팝 모드 상태가 된다. 다른 사람이 팝 모드를 발동할 경우, 중첩 발동이 되는데, 팝 모드가 중첩 발동되면 지속시간은 다시 채워지고, 효과는 이전 배수와 합산되어 적용 배수가 높아진다.4. 모드
팝스테이지는 대전 모드, 협력 모드, 클래식 모드 총 3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4. 1. 대전모드
서로의 실력을 겨루는 모드이다. 팝 시스템과 정확한 연주로 남들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 목적이다. 플레이 중 일정 시간마다 1등 유저는 앞으로 나와서 멋진 춤을 선보이게 되므로, 자신의 실력을 언제든지 알 수 있었다.4. 2. 협력모드
협력모드는 다 함께 연주를 하여 행복 에너지를 모으는 방식의 게임 모드이다. 협력 모드는 행복 에너지에 따라 같은 보상을 받기 때문에 서로 도와 플레이해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난이도에 비례한 점수에 의해 행복 게이지가 결정되므로, 난이도가 높다고 해서 높은 행복 단계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4. 3. 대화채널
오픈 베타 이후 협력/대전 모드의 대기실이 대화방과 통합되면서 사라졌다.4. 4. 클래식 모드
팝 게이지와 쇼 타임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 게임 플레이와 똑같았다. 고전 리듬게임의 연주 진행 방식을 생각하면 됐다. 난이도는 한 가지로 통일되며, 키 개수 설정은 개인마다 가능했다.4. 5. 클래식 협력 모드
기존 협력 모드에서 쇼 타임만 제외한 모드였다.5. 기타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커맨드
팝스테이지에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개되지 않은 커맨드가 있었다. 이는 버그로 간주되지만, 수정되지 않았다.- 스피드업: 배속 패치로 인해 사라졌다. 기존에는 최대 8배속까지 가능했으나, 이 커맨드를 사용하면 9배속까지 가능했다.
- 스크롤 넘어간 대화 내역 보기: 연주 대기실이나 연주 중에 마우스 커서를 대화창에 가져다 댄 후, 마우스 휠을 위아래로 돌리면 스크롤이 넘어간 대화 내역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스크롤이 넘어가면 이전 대화는 삭제되었다.
5. 1. 1. 스피드업
배속 패치 이전에는 최대 8배속까지 가능했으나, 이 커맨드를 사용하면 9배속까지 가능했다.5. 1. 2. 스크롤 넘어간 대화 내역 보기
연주 대기실이나 연주 중에 마우스 커서를 대화창에 가져다 댄 후, 마우스 휠을 위아래로 돌리면 스크롤이 넘어간 대화 내역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스크롤이 넘어가면 이전 대화는 삭제되었다.5. 2. 서클
서클은 10000팝스를 소모하고 레벨 10 이상의 유저만 생성할 수 있었다. 서클을 개설하면 유저들을 서클에 초대하거나 탈퇴시킬 수 있었다. 서클 최대 인원은 50명으로 제한되어 있었고, 서클에 대한 특별한 혜택은 없었다.5. 2. 1. 엠블렘 만들기
엠블렘은 그 서클을 대표하는 마크였다. 엠블렘을 만들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22×22 크기의 BMP 포맷, 24비트 혹은 32비트 파일.
바뀐 엠블렘은 다음 정기 점검 때 적용되었다.
5. 3. 노트 배치 변경
게임 시작 전 미러, 랜덤, 풀 랜덤 시스템을 이용해 노트의 배치를 바꿀 수 있었다. 미러는 좌우 노트 배치를 바꾸는 것이고, 랜덤은 노트 위치를 무작위로 바꾸는 것이었다. 풀 랜덤은 각 노트 위치를 무작위로 바꾸어 난이도를 높이는 시스템이었다.5. 3. 1. 미러(Mirror)
가운데 노란 노트를 기준으로 좌우 노트의 배치가 바뀌는 스킬이다. 특정 패턴이 약할 때 이 스킬을 이용해 다른 손으로 연주해야 했다.5. 3. 2. 랜덤(Random)
노트는 내려오는 위치가 무작위로 바뀌었다. 때에 따라서는 아주 쉽게 연주할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연주가 매우 어려워질 수도 있었다.5. 3. 3. 풀 랜덤(Full Random)
각 노트의 위치가 무작위로 바뀌는 시스템이다. 어떤 곡이 연타가 많을 때 쓸 수 있지만, 이 스킬을 쓰면 보통 어려워지니 자신의 실력을 믿고 도전해야 했다.6. 역사
2007년 2월 15일 리듬 액션 음악 게임 ‘팝스테이지’가 처음 공개되었다.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1차 쇼케이스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호평 속에 마무리되었다.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2차 쇼케이스,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차 쇼케이스, 11월 7일부터 11일까지 4차 쇼케이스가 진행되었다.
2007년 12월 6일 '팝스테이지' 정식 홈페이지가 처음 공개되었고, 12월 13일 1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가 시작되었다. 12월 29일 '팝스테이지' 공식 홈페이지가 오픈되었다.
2008년 2월 5일 1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가 종료되었다. 4월 4일 UCC를 통한 신인가수 발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5월 23일부터 6월 13일까지 2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 : Part 2'가 진행되었고, 7월 7일부터 21일까지 3차(마지막) 프리오픈베타 'Final Live Jam Party'가 진행되었다. 7월 17일 '팝스테이지' 공식 홈페이지(현재의 홈페이지)가 오픈되었다. 7월 29일 오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2009년 4월 30일 업데이트 및 개발이 중단되었으며, 2012년 8월 8일 게임 서비스가, 8월 22일 웹 사이트가 종료되었다.
7. 팝스테이지 프리서버
팝스테이지 프리서버는 서비스 종료 이후 팬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엠게임이 서비스 종료 이전에 배포한 클라이언트를 리버싱하여 재구축되었으며, 제작진은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진은 금전적인 후원은 받지 않고 있으며, 팝스테이지의 원 저작권자인 엠게임이 프리서버의 존재를 인지해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프리서버는 여러 차례의 베타 서비스를 거쳤다. 1차 베타 서비스는 2018년 8월 12일에 시작하여 2018년 8월 20일 자정에 종료되었으며, 싱글플레이(연습실)만 가능했다. 2차 오픈 베타 서비스는 2018년 9월 21일 오후 8시에 시작되었으며, 멀티플레이 및 플레이어 외모 선택 기능이 추가되었다.
7. 1. 팝스테이지 프리서버
팝스테이지 프리서버는 서비스 종료 이전에 배포된 클라이언트를 리버싱하여 재구축되었다. 제작진은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제작진은 금전적인 후원은 일절 받지 않고 있으며, 팝스테이지의 원 저작권자인 엠게임이 프리서버의 존재를 인지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1차 베타 서비스는 2018년 8월 12일에 시작하여 2018년 8월 20일 자정에 종료되었으며, 싱글플레이(연습실)만 가능했다.
2차 오픈 베타 서비스는 2018년 9월 21일 오후 8시에 시작되었으며, 멀티플레이가 가능해지고 플레이어의 외모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등 1차 베타 서비스보다 발전된 모습을 선보였다.
7. 2. 팝스테이지 프리서버 역사
팝스테이지 프리서버는 총 제작진 1명으로 구성되어 서비스 종료 이전에 배포된 클라이언트를 리버싱하여 재구축되었다.팝스테이지 프리서버는 여러 차례의 베타 서비스를 거쳤다. 각 베타 서비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차수 | 시작일 | 종료일 | 특징 |
|---|---|---|---|
| 1차 | 2018년 8월 12일 | 2018년 8월 20일 | 싱글플레이(연습실)만 가능 |
| 2차 | 2018년 9월 21일 | 2018년 10월 5일 | 멀티플레이 가능, 플레이어 외모 선택 가능 |
| 3차 | 2018년 12월 23일 | 2019년 1월 2일 | |
| 4차 | 2019년 2월 12일 | 2019년 3월 2일 | |
| 5차 | 2019년 6월 30일 | 2019년 7월 29일 | |
| 6차 | 2019년 12월 31일 | 2020년 1월 6일 | |
| 7차 | 2020년 6월 12일 | 2020년 6월 15일 | |
| 8차 | 2020년 12월 24일 | 2021년 1월 1일 | |
| 9차 | 2021년 4월 24일 | 2021년 5월 20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