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펀허는 중국 산시성을 흐르는 강이다. 전설에 따르면 황제의 고향 근처를 흐르는 기수와 동일시되며, 고대 중국의 핵심 지역을 관통하며 2500년 역사의 산진 문명을 길러냈다. 현대에는 타이위안, 린펀 등 주요 도시를 지나며, 여러 저수지가 건설되어 공업 용수 공급 및 관개 시설 확대에 기여했다. 타이위안 시는 펀허를 가로지르는 저수지를 건설하고 펀허 공원을 조성했다. 펀허 저수지의 오염은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강 - 하이허
하이허는 톈진 시를 관통하며 5개의 하천이 합류하여 형성되었고, 과거 홍수 피해를 겪었으나 치수 사업을 통해 피해를 줄였으며, 현재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산시성 (산서성)의 강 - 쌍간허
쌍간허는 산시성에서 발원하여 허베이성에서 양허와 합류, 관팅 저수지로 흘러들어가 용딩강으로 이어지는 하이허 수계의 강이다. - 황하의 지류 - 웨이허
웨이허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서 발원하여 황허로 흘러드는 총 길이 818km의 강으로,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이며, 유역은 관중이라고 불린다. - 황하의 지류 - 뤄허강 (허난성)
뤄허강은 허난성을 흐르는 강으로, 뤄난현에서 발원하여 황허와 합류하며, 뤄양시 등 여러 도시를 지나고, 청동기 시대 문화가 번성했던 곳이다.
펀허 | |
---|---|
기본 정보 | |
![]() | |
중국어 (간체) | 汾河 |
병음 | Fénhé |
웨이드-자일스 | Fên Ho |
다른 이름 | 지수 (姬水) |
지리 정보 | |
길이 | 694 km |
유역 면적 | 39,417 km² |
수원 | 산시성 |
하구 | 황하 |
유역 | 중화인민공화국 |
2. 역사
펀허는 고대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왕조와 문명의 흥망성쇠를 함께했다.
사마천 등은 펀허를 황제의 고향 옆을 흐르는 기수(㠱水)와 동일시했다.[1] 《국어》에 따르면 기수는 황제가 염제와 싸우기 전, 황제 부족의 고향이었다고 전해진다.[2] 기수는 주나라 왕실의 성씨와 같다. 풀리블랭크는 "황제의 신화 외에는 기수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 같다"며, "기수"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2]
펀허는 고대 중국의 핵심 지역 중 하나였으며, 허우마 인근에 진나라의 수도가 있었다. 펀허는 2500년 역사의 산진 문명을 길렀으며, 산시성에서 "인민의 어머니 강"으로 불린다.[1]
타이위안시에서 펀허 계곡 지역은 비옥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어 산시성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펀허 남쪽 지역에는 두 개의 계곡이 있는데, 하나는 펀허 계곡으로 황하로 이어지고, 다른 하나는 중탸오산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는 수허로 또 다른 삼각 분지를 형성한다. 펀허 계곡은 황하 양쪽으로 열린 웨이허 계곡과의 다양한 소통 경로를 제공했다.[1]
타이위안, 린펀, 허우마, 허진이 펀허 주변의 현대 도시들이다. 펀양은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만, 실제로는 강에서 서쪽으로 20km 이상 떨어져 있다.
194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펀허와 그 지류에 여러 저수지를 건설하여 타이위안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 공업 용수를 공급하고 관개 시설을 확대했다.[2] 1950년대 이전에는 펀허 계곡의 홍수 피해 면적이 13.34만 헥타르였고, 염류 토양은 6.67만 헥타르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수자원 시설 덕분에 물에 잠기는 현상이 거의 사라졌고, 넓은 염류 토양 지역이 개선되었다.
1990년대에 타이위안시 정부는 펀허를 가로질러 저수지를 만들고, 강변에 펀허 공원을 조성했다. 1960년에 건설된 펀허 제1 저수지는 산시 성에서 가장 큰 인공 저수지로,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남북 길이는 15km, 폭은 5km, 총 면적은 32km2이며, 저수량은 7.2억m3이다. 2000년에는 펀허 제1 저수지 하류에 펀허 제2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펀허 저수지의 오염은 심각한 문제로,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인해 산업, 생활 하수 등이 펀허 제1 및 제2 저수지 하류에 방류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4]
2. 1. 전설
사마천 등은 펀허를 황제의 고향 옆을 흐르는 기수(㠱水)와 동일시했다.[1] 《국어》에 따르면 기수는 황제가 염제와 싸우기 전, 황제 부족의 고향이었다고 전해진다.[2] 기수는 주나라 왕실의 성씨와 같다. 풀리블랭크는 "황제의 신화 외에는 기수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 같다"며, "기수"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2]2. 2. 고대
펀허는 고대 중국의 핵심 지역 중 하나였으며, 허우마 인근에 진나라의 수도가 있었다. 펀허는 2500년 역사의 산진 문명을 길렀으며, 산시성에서 "인민의 어머니 강"으로 불린다.[1]타이위안시에서 펀허 계곡 지역은 비옥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어 산시성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펀허 남쪽 지역에는 두 개의 계곡이 있는데, 하나는 펀허 계곡으로 황하로 이어지고, 다른 하나는 중탸오산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는 수허로 또 다른 삼각 분지를 형성한다. 펀허 계곡은 황하 양쪽으로 열린 웨이허 계곡과의 다양한 소통 경로를 제공했다.[1]
2. 3. 현대
타이위안, 린펀, 허우마, 허진이 펀허 주변의 현대 도시들이다. 펀양은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만, 실제로는 강에서 서쪽으로 20km 이상 떨어져 있다.194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펀허와 그 지류에 여러 저수지를 건설하여 타이위안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 공업 용수를 공급하고 관개 시설을 확대했다.[2] 1950년대 이전에는 펀허 계곡의 홍수 피해 면적이 13.34만 헥타르였고, 염류 토양은 6.67만 헥타르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수자원 시설 덕분에 물에 잠기는 현상이 거의 사라졌고, 넓은 염류 토양 지역이 개선되었다.
1990년대에 타이위안시 정부는 펀허를 가로질러 저수지를 만들고, 강변에 펀허 공원을 조성했다. 1960년에 건설된 펀허 제1 저수지는 산시 성에서 가장 큰 인공 저수지로,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남북 길이는 15km, 폭은 5km, 총 면적은 32km2이며, 저수량은 7.2억m3이다. 2000년에는 펀허 제1 저수지 하류에 펀허 제2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펀허 저수지의 오염은 심각한 문제로,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인해 산업, 생활 하수 등이 펀허 제1 및 제2 저수지 하류에 방류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4]
3. 주변 명소
1990년대에 타이위안시 정부는 조경 목적으로 강을 가로질러 다양한 위치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건설하여 저수지를 만들었다. 이 저수지의 표면적은 1700000m2에 달하며, 강둑에 새로 조성된 1300000m2의 초목과 함께 6km 길이의 펀허 공원을 형성한다. 초목은 183종의 나무, 관목 및 기타 녹색 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1960년에 건설된 펀허 제1 저수지는 산시 성에서 가장 큰 인공 저수지이며, 성의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남북 길이는 15km, 폭은 5km, 총 면적은 32km2이며, 저수량은 7억 2천만 입방 미터이다. 2000년에는 펀허 제1 저수지에서 약 50km 하류에 펀허 제2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펀허 저수지의 오염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3]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인해 산업, 생활 및 기타 종류의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막대한 양의 하수가 펀허 제1 및 제2 저수지 하류의 강바닥에 무분별하게 방류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
참조
[1]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2]
서적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1: Bearing Knowledge for Sustainability
https://books.googl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1-05-23
[3]
서적
Computer Science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EcoInformatics: International Workshop, CSEEE 2011, Kunming, China, July 29-30, 2011.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7-18
[4]
간행물
The Fen River in Taiyuan, China: Ecology, Revitalization, and Urban Culture
https://doi.org/10.5[...]
Rachel Carson Center for Environment and Society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