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어필드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어필드 전투는 1863년 7월 3일, 남북 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펜실베이니아주 페어필드에서 벌어진 기병전투이다. 로버트 E. 리 장군의 북버지니아군이 펜실베이니아로 진격하면서, 윌리엄 E. "검블" 존스 준장의 남군 기병 여단은 해거스타운 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페어필드로 향했다. 한편, 웨슬리 메리트 준장의 지시를 받은 사무엘 H. 스타 소령의 연방군 기병대는 남군 수송대를 찾기 위해 페어필드를 정찰하던 중 존스 여단과 교전했다. 전투 결과 연방군은 6명이 사망하고, 208명이 포로로 잡히는 등 큰 피해를 입었고, 남군은 8명이 사망했다. 이 전투는 남군의 후퇴를 돕기 위한 존스 여단의 전략적 행동의 일환이었으며, 전투 후 많은 부상병들이 페어필드 마을에서 치료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7월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1863년 7월 - 게티즈버그 전역
    게티즈버그 전역은 1863년 6월부터 7월까지 남북 전쟁 중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남부 연합군이 북부를 침공하여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하며 남군의 북부 침공을 저지하고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1863년 전투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1863년 전투 - 빅스버그 전투
    빅스버그 전투는 1863년 미시시피 강변의 빅스버그를 점령하기 위한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이며, 북군의 승리로 끝나 미시시피 강을 장악하고 남부 연합을 분단시켰으며 남북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게티즈버그 전역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게티즈버그 전역 - 게티즈버그 연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헌정식에서 남북전쟁의 의미를 되짚고 국가의 미래를 다짐하며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명구절을 남긴 짧지만 강렬한 연설이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페어필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미국 남북 전쟁 / 게티즈버그 전역
날짜1863년 7월 3일
장소펜실베이니아주 페어필드 북쪽
결과남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북부 연방
교전국 2남부동맹
지휘관
지휘관 1사뮤엘 H. 스타
지휘관 2윌리엄 E. "그럼블" 존스
병력 규모
병력 1400명
병력 21,050명 (추정)
사상자
사상자 1242명 (전사 6명, 부상 28명, 실종 208명)
사상자 234명 (전사 8명, 부상 21명, 실종 5명)

2. 배경

게티즈버그 전역 후반, 남군의 북버지니아군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페어필드 전투가 벌어졌다. 리 장군은 안전한 후퇴로 확보를 위해 윌리엄 E. "검블" 존스 준장의 기병 여단에게 중요한 해거스타운 도로가 지나는 페어필드를 점령하도록 명령했다. 한편, 연방군의 웨슬리 메리트 준장은 인근에서 남군의 보급 수송대가 이동 중이라는 보고를 받고, 이를 확인하고 차단하기 위해 사무엘 H. 스타 소령 휘하의 제6 미국 기병대를 페어필드로 보냈다. 이처럼 양측 부대가 각기 다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페어필드로 향하면서 전투가 불가피해졌다.

2. 1. 남북 전쟁과 게티즈버그 전역

페어필드는 게티즈버그 전역 중 전투가 벌어지기 전인 6월 21일에도 이미 교전이 있었던 곳이다. 당시 남군의 앨버트 G. 젠킨스 준장이 이끄는 기병 여단 소속 제14 버지니아 기병대가 몬터레이 패스를 통해 기습 공격을 시도했다. 이들은 필라델피아 시 기병대 제1대대와 교전했지만 결국 컴벌랜드 밸리로 후퇴했다.[2]

한편, 북버지니아군의 주력 기병대는 제임스 E.B. 스튜어트 소장의 지휘 아래 메릴랜드와 펜실베이니아 남중부를 거쳐 포토맥군의 측면을 깊숙이 파고들었다. 로버트 E. 리 장군은 셰넌도어 밸리와 컴벌랜드 밸리를 통해 북진하면서, 산악 통로를 방어하고 연방군의 위치를 정찰하기 위해 여러 기병 여단을 남겨두었다. 이 중에는 한때 터너 애쉬비가 지휘했던 유명한 "로럴 여단", 즉 윌리엄 E. "검블" 존스 준장의 여단도 포함되어 있었다. 존스는 자신의 정예 부대 중 하나인 제35 버지니아 기병대대를 주벌 얼리의 보병 부대와 함께 작전하도록 분리했지만, 여단의 주력은 직접 지휘했다. 존스 여단은 리 장군의 호출을 받기 전까지 웨스트버지니아와 메릴랜드 지역에서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를 공격하며 활동하고 있었다.

리 장군의 명령에 따라 존스 여단은 급히 펜실베이니아로 향했다. 7월 1일 포토맥 강을 건넜고, 이때 존스는 제12 버지니아 기병대를 남겨 도하 지점을 방어하게 했다. 다음 날 밤에는 체임버스버그에서 야영했다. 이때 존스가 지휘하는 병력은 제6 버지니아 기병대, 제7 버지니아 기병대, 제11 버지니아 기병대, 그리고 프레스턴 추가 이끄는 기마 포병 포대로 축소된 상태였다. 존스는 리 장군의 지시에 따라 중요한 보급로인 해거스타운 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7월 3일 페어필드에 도착했다.

같은 시기, 연방군 측에서는 근처에서 남군의 수송대가 느리게 이동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에 새로 임명된 연방군 준장 웨슬리 메리트는 사무엘 H. 스타 소령이 지휘하는 제6 미국 기병대에 페어필드 지역을 정찰하고 남군 수송대를 찾아내라는 명령을 내렸다. 스타 소령은 페어필드에 도착하여 수송대가 막 마을을 떠나 캐스타운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휘하의 400명 병력을 세 부대로 나누어 추격을 시작했다.

2. 2. 페어필드 전투 이전 상황

페어필드에서는 이미 6월 21일에 전투가 벌어진 적이 있었다. 당시 앨버트 G. 젠킨스 준장의 기병 여단 소속 제14 버지니아 기병대가 몬터레이 패스를 이용해 페어필드 근처에서 기습 공격을 가했다. 필라델피아 시 기병대 제1대대와의 짧은 교전 후, 남군은 컴벌랜드 밸리로 물러났다.[2]

한편, 게티즈버그 전역 당시 북버지니아군 기병대의 주력 부대는 제임스 E.B. 스튜어트 소장의 지휘 아래 메릴랜드와 펜실베이니아 남중부를 거쳐 포토맥군의 측면을 깊숙이 돌아가는 기동을 하고 있었다. 리 장군은 셰넌도어 밸리와 컴벌랜드 밸리를 통해 북진하면서, 산악 통로를 확보하고 연방군의 위치를 정찰하기 위해 여러 기병 여단을 남겨두었다. 그중 하나가 윌리엄 E. "검블" 존스 준장이 이끄는 여단으로, 과거 터너 애쉬비가 지휘했던 유명한 "로럴 여단"(Laurel Brigade)이었다. 존스는 예하 부대 중 제35 버지니아 기병대대를 주벌 얼리 소장의 보병 부대와 함께 작전하도록 분리했지만, 여단의 주력은 직접 지휘하고 있었다. 존스 여단은 리 장군의 본대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받기 전까지 웨스트버지니아와 메릴랜드에서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를 습격하며 후방 교란 작전을 펼치고 있었다.

소환 명령을 받은 존스 여단은 급히 펜실베이니아로 향하여 7월 1일 포토맥 강을 건넜다. 존스는 제12 버지니아 기병대를 남겨 도하 지점을 방어하게 한 뒤, 7월 2일 밤에는 체임버스버그에서 야영했다. 이때 존스가 직접 지휘하는 병력은 제6 버지니아 기병대, 제7 버지니아 기병대, 제11 버지니아 기병대 및 프레스턴 추(Preston Chew)의 기마 포병 포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리 장군의 명령에 따라 중요한 보급로인 해거스타운 도로(Hagerstown Road)를 확보하기 위해, 존스 여단은 7월 3일 아침 페어필드에 도착했다.

한편, 인근에서 남군의 보급 마차 행렬이 느리게 이동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연방 기병군단 제1사단 소속 웨슬리 메리트 준장은 사무엘 H. 스타 소령이 지휘하는 제6 미국 기병대에 페어필드를 정찰하고 해당 수송대를 찾아내라고 명령했다. 페어필드에 도착한 스타 소령은 문제의 수송대가 이미 마을을 지나 캐쉬타운(Cashtown) 방향으로 떠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스타 소령은 약 400명의 부하를 세 부대로 나누어 수송대를 추격하며 수색을 시작했다.

3. 전투

사무엘 H. 스타 소령이 이끄는 제6 미국 기병대 일부가 정찰 중 존스 준장의 제7 버지니아 기병대 초병과 마주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스타 소령의 부대는 초기 기습 공격을 막아냈으나, 추(Chew)의 포대 포격과 제6 버지니아 기병대의 지원을 받은 제7 버지니아 기병대의 재돌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능선에서 밀려났다.[3] 존스는 후퇴하는 연방군을 페어필드 협곡까지 약 약 4.83km 추격했다.

3. 1. 초기 교전

사무엘 H. 스타 소령이 이끄는 제6 미국 기병대는 정찰 중 존스 여단 소속 제7 버지니아 기병대 초병과 마주쳤다. 추가적인 남부 연합군 병력이 다가오자 스타 소령의 부대는 일단 물러섰다. 적의 존재를 확인한 스타 소령은 병력을 작은 능선으로 이동시켜 길 양쪽의 밭과 과수원에 배치했다.

스타 소령의 부대는 제7 버지니아 기병대의 기습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그러나 동시에 추(Chew)가 이끄는 남군 포대가 북군 기병대를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 제6 버지니아 기병대의 지원을 받은 제7 버지니아 기병대는 다시 돌격했고,[3] 스타 소령의 부대는 결국 능선에서 밀려나 큰 피해를 입었다. 존스는 후퇴하는 북군을 페어필드 협곡까지 약 약 4.83km 추격했지만, 따라잡지는 못했다.

3. 2. 남군의 반격과 연방군의 후퇴

제6 미국 기병대의 스타 소령 부대는 곧 존스가 이끄는 제7 버지니아 기병대의 초병과 마주쳤고, 추가적인 남부 연합군 병력이 다가오자 일단 물러섰다. 적의 존재를 파악한 스타 소령은 부하들을 작은 능선으로 이동시켜 길 양쪽의 밭과 과수원에 하차시켜 배치했다. 그는 제7 버지니아 기병대의 기습 공격을 한 차례 막아냈으나, 동시에 추의 포대가 포격을 시작하며 연방군 기병대를 압박했다. 제6 버지니아 기병대의 지원을 받은 제7 버지니아 기병대는 다시 돌격하여[3] 스타 소령의 부대를 능선에서 몰아내고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존스는 후퇴하는 연방군을 페어필드 협곡까지 약 4.83km 가량 추격했지만, 목표를 따라잡지는 못했다.

4. 전투의 결과

남부군 존스 여단은 이 전투 후 리 장군의 북버지니아군이 안전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페어필드 갭 통과 시 후방을 경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4. 1. 피해 규모

명예 훈장 수여자 조지 크로포드 플랫


루이스 H. 카펜더 중위


페어필드 전투에서 연방군은 6명이 사망하고, 28명이 부상당했으며, 208명이 행방불명되었다. 행방불명된 인원 대부분은 포로로 잡힌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남부군은 8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당했으며, 5명이 실종되었다.

전투에서의 용맹을 인정받아 명예 훈장을 받은 인물도 있다. 병장 마틴 슈벤크(Martin Schwenk)는 후에 조지 마틴(George Martin)으로 개명한 독일계 이민자로, 1889년 4월 23일에 명예 훈장을 받았다. 그의 공로는 "적진을 뚫고 통신을 전달하려 한 용기, 또한 적의 손에서 장교를 구출"한 것으로 기록되었다.[4][5] 제6미국 기병대 H 중대 소속의 아일랜드계 이민자였던 이병 조지 C. 플랫(George C. Platt) 역시 페어필드에서의 공로로 1895년 7월 12일에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백병전에서 기수가 사망하자 연대기를 탈취하여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 플랫의 지휘관은 인디언 전쟁에서 명예 훈장을 받은 루이스 H. 카펜더(Louis H. Carpenter) 중위였다.

전투가 끝난 후, 많은 부상병들이 페어필드 마을에서 치료를 받았다. 사무엘 H. 스타(Samuel H. Starr) 소령은 과부 사라 아만다 블라이스(Sarah Amanda Blythe)의 집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며, 이곳에서 팔을 절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루퍼스 C. 스와프 하우스(Rufus C. Swope House, 페어필드 여관 맞은편)와 세인트 존 루터교회(St. John's Lutheran Church) 등이 임시 병원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마을의 다른 건물들도 부상병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4. 2. 전술적, 전략적 영향

연방군은 6명이 사망하고, 28명이 부상당했으며, 208명이 행방불명되었는데, 주로 포로였다. 남부군은 8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당했으며, 5명이 실종되었다.

존스 여단은 페어필드 근처에 야영하며 리 장군의 후퇴로를 확보했으며, 7월 5일 폭우 속에서 북버지니아군이 페어필드 갭을 통과할 때 후방을 경계했다.

4. 3. 명예 훈장 수훈자



병장 마틴 슈벤크(Martin Schwenk)는 후에 조지 마틴(George Martin)으로 개명한 독일계 이민자로, 페어필드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1889년 4월 23일에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의 인용문에는 "적진을 뚫고 통신을 전달하려 한 용기, 또한 적의 손에서 장교를 구출"한 공로가 기록되어 있다.[4][5]

이병 조지 C. 플랫(George C. Platt)은 제6미국 기병대 H 중대에서 복무한 아일랜드계 이민자로, 페어필드에서의 공로로 1895년 7월 12일에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의 인용문은 "백병전에서 기수가 사망하자 연대기를 탈취하여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 그의 지휘관은 인디언 전쟁에서 명예 훈장을 수여받은 루이스 H. 카펜더(Louis H. Carpenter) 중위였다.

5. 전투 이후



전투 결과, 연방군은 6명이 사망하고 28명이 부상당했으며, 208명이 행방불명되었는데 이들 대부분은 포로로 잡혔다. 반면 남부군은 8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당했으며, 5명이 실종되었다.

남부군의 존스는 페어필드 근처에 야영하며 리 장군의 군대가 후퇴할 길을 확보했고, 7월 5일에는 폭우 속에서 북버지니아군이 페어필드 갭을 통과하는 동안 후방을 경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페어필드 전투에서의 용맹을 인정받아 명예 훈장을 받은 병사들도 있다. 하사관 계급의 마틴 슈벤크(후에 조지 마틴으로 개명)는 독일계 이민자로, 1889년 4월 23일에 명예 훈장을 받았다. 그는 "적진을 뚫고 통신을 전달하려 한 용기, 또한 적의 손에서 장교를 구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4][5] 제6미국 기병대 H 중대 소속의 이병 조지 C. 플랫은 아일랜드계 이민자로, 1895년 7월 12일에 명예 훈장을 받았다. 그의 공적은 "백병전에서 기수가 사망하자 연대기를 탈취하여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는 것이었다. 플랫이 속했던 중대의 지휘관은 루이스 H. 카펜더 중위였는데, 그 역시 인디언 전쟁에서의 공로로 명예 훈장을 받은 인물이었다.

5. 1. 부상병 치료

전투가 끝난 후, 많은 부상병들이 페어필드 마을에서 치료를 받았다. 사무엘 H. 스타 소령은 과부 사라 아만다 블라이스의 집으로 옮겨졌으며, 아마도 그곳에서 그의 팔이 절단되었을 것이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루퍼스 C. 스와프 하우스(페어필드 여관 맞은편)와 세인트 존 루터교회가 병원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마을의 다른 건물들도 이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C. Platt, 6th United States Cavalry, Troop "H" http://members.tripo[...] 2011-11-08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attle of Monterey Pass http://emmitsburg.ne[...] Emmitsburg Historical Society 2008-11-05
[3] 문서 Longacre, p. 236, indicates that the 6th Virginia conducted the second charge alone.
[4] 웹사이트 Martin Schwenk https://www.cmohs.or[...]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Society 2024-07-11
[5] 서적 Gettysburg's Forgotten Cavalry Actions Savas Beatie 2011
[6] 문서 남북 전쟁 당시 남군의 기병대장. 전쟁 초반인 1862년에 전사했다. 당시 남군 기병대 지휘관 중에서는 [[젭 스튜어트]], [[터너 애쉬비]], [[네이썬 포레스트]](KKK단 창설자) 등이 유명했다.
[7] 문서 그럼블(grumble)은 투덜거리다는 의미다. 화를 잘내는 성격이어서 붙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