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어 피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어 피셔는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현재 슈투트가르트 대학교의 교수이며 막스 플랑크 지능형 시스템 연구소의 그룹 리더이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학사 학위를,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코넬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프라운호퍼 학회 어트랙상, 세계 기술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나노 구조 제작, 자기 나노 구조 프로펠러 제어, 광반응성 소프트 마이크로로봇 등이며, '나노 레터스', '네이처 머터리얼즈', '사이언스 로보틱스' 등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972년 출생 - 나르게스 모하마디
    이란의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여성 인권과 사형 제도 폐지를 위해 활동하며 이란 정부에 의해 여러 차례 투옥되었고, 2023년에는 이란 여성 억압에 맞선 투쟁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수감 중에도 저술 활동을 통해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 1972년 출생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페어 피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어 피셔
페어 피셔
출생1972년
출생지아우크스부르크
국적독일
직업물리학자
소속막스 플랑크 인텔리전트 시스템,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2. 학력 및 경력

페어 피셔는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99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A. 데이비드 버킹엄과 함께 박사 학위를 받았다.[6] 그 후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DAAD (NATO)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 진행했고, 하버드 대학교 롤랜드 연구소에서 주니어 연구장학금(Junior Research Fellowship)을 받아 5년간 독립적인 연구 그룹을 이끌었다.[6]

2009년에 그는 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로부터 어트랙상(Attract Award)을 수상하여 프라이부르크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물리 측정 기술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Physical Measurement Techniques)에서 포토닉스 랩을 열었다. 그리고 그는 2011년에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한 막스 플랑크 지능형 시스템 연구소로 옮겨 새로운 그룹인 'Micro, Nano, and Molecular Systems Lab'을 시작했고, 2013년에는 슈투트가르트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받아 현재까지 연구소 내 그룹 리더와 교수로서 연구를 이어 나가고 있다.

페어 피셔는 막스 플랑크 - EPFL 분자 나노과학 기술 센터와 ETH 취리히 러닝 시스템 연구 네트워크의 멤버이다.[7] 또한 그는 왕립 화학회의 연구원이며 저널 ''사이언스 로보틱스(AAAS Science Robotics)''의 창립 편집 위원이다.[8]

2. 1. 영국에서의 학부 및 박사 과정 (1999년까지)

페어 피셔는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99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A. 데이비드 버킹엄과 함께 박사 학위를 받았다.[6] 그 후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DAAD (NATO)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 진행했고, 하버드 대학교 롤랜드 연구소에서 주니어 연구장학금(Junior Research Fellowship)을 받아 5년간 독립적인 연구 그룹을 이끌었다.[6]

2. 2. 미국에서의 박사후 연구원 과정

페어 피셔는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DAAD(NATO)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 진행했고,[6] 하버드 대학교의 롤런드 연구소(Rowland Institute at Harvard)에서 주니어 연구장학금(Junior Research Fellowship)을 받아 5년간 독립적인 연구 그룹을 이끌었다.[6]

2. 3. 독일 및 스위스에서의 연구 활동 (2009년 ~ 현재)

페어 피셔는 2009년에 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로부터 어트랙상(Attract Award)을 수상하여 프라이부르크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물리 측정 기술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Physical Measurement Techniques)에서 포토닉스 랩을 열었다.[6] 2011년에는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한 막스 플랑크 지능형 시스템 연구소로 옮겨 'Micro, Nano, and Molecular Systems Lab'이라는 새로운 그룹을 시작했고,[6] 2013년에는 슈투트가르트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받았다.[6]

막스 플랑크 - EPFL 분자 나노과학 기술 센터와 ETH 취리히 러닝 시스템 연구 네트워크의 멤버이다.[7] 또한 왕립 화학회의 연구원이며 저널 ''사이언스 로보틱스(AAAS Science Robotics)''의 창립 편집 위원이다.[8]

3. 주요 연구 업적

페어 피셔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업적을 남겼다.


  • Baden-Württemberg Stiftung의 생체모방 재료 합성 연구 프로그램 프로젝트 리더였다.[9]
  • 2014년 DFG로부터 Chemical Nanomotors 프로젝트 펀딩을 받았다.[10]
  • 2016년 세계 기술상 (World Technology Award)을 수상했다.[11]
  • 2017년 Volkswagen Foundation으로부터 프로젝트 펀딩을 받았다.[12]
  • 2018년 ERC Advanced Grant를 받았다.[13]


페어 피셔의 가장 많이 인용된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암바리쉬 고쉬(Ambarish Ghosh) & 페어 피셔(Peer Fischer) "인공 자기 나노 구조 프로펠러의 제어된 추진"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 2009, 9, 6, 2243–2245. 구글 학술 자료에 따르면, 이 논문은 1013회 인용되었다.
  • 스테파노 팔라기(Stefano Palagi), 앤드루 G. 마크(Andrew G. Mark), 샹 이크 레이(Shang Yik Reigh), 카이 멜데(Kai Melde), 티안 치우(Tian Qiu), 하오쩡(HaoZeng), 카밀라 파르메지아니(Camilla Parmeggiani), 다니엘레 마르텔라(Daniele Martella), 알베르토 산체스-카스티요(Alberto Sanchez-Castillo), 나디아 카페르나움(Nadia Kapernaum), 프랭크 기셀만(Frank Giesselmann), 디에데릭 S. 비어스마(Diederik S. Wiersma), 에릭 라우가(Eric Lauga), 페어 피셔(Peer Fischer) "구조화된 빛은 광반응성 소프트 마이크로로봇의 생체 모방 수영 및 다재다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2016) doi:10.1038/nmat4569 구글 학술 자료에 따르면, 이 논문은 425회 인용되었다.
  • 앤드루 G. 마크(Andrew G. Mark)†, 존 G. 깁스(John G. Gibbs), 퉁-춘 리(Tung-Chun Lee) 및 페어 피셔(Peer Fischer) "프로그래밍된 3차원 형상 및 재료 조성을 가진 하이브리드 나노콜로이드"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2013년 6월 23일 | DOI: 10.1038/NMAT3685 구글 학술 자료에 따르면, 이 논문은 343회 인용되었다.
  • G.-Z.Yang, J.Bellingham, P.E.Dupont, P.Fischer, L.Floridi, R.Full, N.Jacobstein, V.Kumar, M. McNutt, R. Merrifield, B. J. Nelson, B. Scassellati, M. Taddeo, R. Taylor, M. Veloso, Z. L. Wang, R. Wood, 과학 로봇 공학의 주요 과제.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3, eaar7650 (2018). 구글 학술 자료에 따르면, 이 논문은 394회 인용되었다.

3. 1. 3차원 나노 구조 제작

페어 피셔의 가장 많이 인용된 출판물 중 하나는 앤드루 G. 마크, 존 G. 깁스, 퉁-춘 리와 함께 2013년에 발표한 "프로그래밍된 3차원 형상 및 재료 조성을 가진 하이브리드 나노콜로이드"이다. 이 논문은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게재되었으며, 3차원 나노 구조 제작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3. 2. 자기 나노 구조 프로펠러 제어

암바리쉬 고쉬(Ambarish Ghosh)와 페어 피셔(Peer Fischer)의 논문 "인공 자기 나노 구조 프로펠러의 제어된 추진"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2009년에 게재되었으며, 1013회 인용되었다. 이 연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나노 구조 프로펠러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 3. 광반응성 소프트 마이크로 로봇

스테파노 팔라기(Stefano Palagi) 외 여러 연구자들과 함께 진행한 연구에서 구조화된 빛이 광반응성 소프트 마이크로로봇의 생체 모방 수영 및 다재다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 연구는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게재되었으며,(2016) doi:10.1038/nmat4569 구글 학술 자료에 따르면, 425회 인용되었다.

3. 4. 기타

페어 피셔의 가장 많이 인용된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암바리쉬 고쉬(Ambarish Ghosh) & 페어 피셔(Peer Fischer) "인공 자기 나노 구조 프로펠러의 제어된 추진"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 2009, 9, 6, 2243–2245.
  • 스테파노 팔라기(Stefano Palagi), 앤드루 G. 마크(Andrew G. Mark), 샹 이크 레이(Shang Yik Reigh), 카이 멜데(Kai Melde), 티안 치우(Tian Qiu), 하오쩡(HaoZeng), 카밀라 파르메지아니(Camilla Parmeggiani), 다니엘레 마르텔라(Daniele Martella), 알베르토 산체스-카스티요(Alberto Sanchez-Castillo), 나디아 카페르나움(Nadia Kapernaum), 프랭크 기셀만(Frank Giesselmann), 디에데릭 S. 비어스마(Diederik S. Wiersma), 에릭 라우가(Eric Lauga), 페어 피셔(Peer Fischer) "구조화된 빛은 광반응성 소프트 마이크로로봇의 생체 모방 수영 및 다재다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2016) doi:10.1038/nmat4569
  • 앤드루 G. 마크(Andrew G. Mark)†, 존 G. 깁스(John G. Gibbs), 퉁-춘 리(Tung-Chun Lee) 및 페어 피셔(Peer Fischer) "프로그래밍된 3차원 형상 및 재료 조성을 가진 하이브리드 나노콜로이드"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2013년 6월 23일 | DOI: 10.1038/NMAT3685
  • G.-Z.Yang, J.Bellingham, P.E.Dupont, P.Fischer, L.Floridi, R.Full, N.Jacobstein, V.Kumar, M. McNutt, R. Merrifield, B. J. Nelson, B. Scassellati, M. Taddeo, R. Taylor, M. Veloso,

Z. L. Wang, R. Wood, 과학 로봇 공학의 주요 과제.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3, eaar7650 (2018).

4. 수상 내역

피셔는 생체모방 재료 합성 연구 프로그램의 프로젝트 리더였다.[9] 2014년에는 DFG로부터 화학 나노모터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받았다.[10] 2016년에는 세계 기술상(World Technology Award)을 수상했다.[11][5] 2017년에는 폭스바겐 재단으로부터 프로젝트 자금 지원을 받았다.[12] 2018년에는 ERC Advanced Grant를 받았다.[13]

참조

[1] 서적 Rowland Fellows Alumni https://www2.rowland[...]
[2] 웹사이트 Members http://www.mpg-epfl.[...]
[3] 웹사이트 Editorial and Advisory Boards https://www.sciencem[...] 2018-02-07
[4] Google Scholar Peer Fischer Google Scholar Page https://scholar.goog[...] 2020-12-16
[5] 웹사이트 THE 2016 WORLD TECHNOLOGY AWARD Winners and Finalists https://web.archive.[...] 2018-12-04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2.rowland[...] 2018-12-05
[7] URL http://www.mpg-epfl.[...]
[8] URL https://www.sciencem[...]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05
[10] 웹인용 DFG - GEPRIS - Chemische Nanomotoren http://gepris.dfg.de[...] 2018-12-05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wtn.net/[...] 2018-12-05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05
[13] 웹인용 "" https://www.is.mpg.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