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창군은 과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며, 평창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설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횡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횡성군·평창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황호현, 이종욱, 이형진, 장춘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창군의 정치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7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횡성군 편입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이광재, 최종원, 염동열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평창군의 정치 - 횡성군·평창군
횡성군·평창군 선거구는 1963년 신설되어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존속 기간 동안 민주공화당 소속의 황호현, 이우현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춘천시 (2000년 선거구)
춘천시는 인구 증가로 분구되어 폐지되기 전까지 16대부터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승수, 허천, 김진태를 당선시킨 춘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7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횡성군 편입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이광재, 최종원, 염동열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평창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평창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강원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횡성군·평창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평창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횡성군 선거구와 통합, 횡성군·평창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wikitable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선거 | 정당 | 의원 | |
---|---|---|---|
194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황호현 |
195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종욱 |
195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자유당 | 이형진 |
195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무소속 | 황호현 |
196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무소속 | 장춘근 |
4. 역대 선거 결과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황호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0,938 | 59.16 |
정완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266 | 17.70 |
최형규 | 무소속 | 4,368 | 12.34 |
이형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820 | 10.79 |
합계 | 35,392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평창군에서 실시되었으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황호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평창군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이종욱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1,525 | 35.85 |
이형진 | 무소속 | 6,331 | 19.69 |
황호현 | 민주국민당 | 5,356 | 16.66 |
김진호 | 무소속 | 2,568 | 7.98 |
장백서 | 무소속 | 2,384 | 7.41 |
최재옥 | 무소속 | 2,146 | 6.67 |
엄정일 | 무소속 | 1,833 | 5.70 |
합계 | 32,143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평창군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이형진 | 자유당 | 15,275 | 47.63 |
황호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1,404 | 35.56 |
장춘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566 | 8.00 |
김종근 | 무소속 | 1,860 | 5.80 |
이문환 | 무소속 | 961 | 2.99 |
합계 | 32,066 |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황호현 | 무소속 | 14,447 | 45.07 |
이형진 | 자유당 | 11,324 | 35.33 |
이창호 | 무소속 | 2,583 | 8.05 |
손천일 | 무소속 | 2,290 | 7.14 |
조경환 | 무소속 | 1,406 | 4.38 |
합계 | 32,050 |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춘근 | 무소속 | 8,958 | 25.49 |
황호현 | 무소속 | 8,268 | 23.53 |
최윤구 | 무소속 | 4,559 | 12.97 |
조경환 | 무소속 | 4,368 | 12.43 |
이영배 | 민주당 | 3,670 | 10.44 |
백낙삼 | 민주당 | 3,349 | 9.53 |
이창호 | 무소속 | 1,962 | 5.58 |
합계 | 35,13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