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원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도는 한반도 동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서로 구분된다. 995년 삭방도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395년 강원도가 되었고, 2023년 6월 11일 강원특별자치도로 개칭되었다. 동서 길이 약 150km, 남북 길이 약 243km이며, 동쪽은 해안선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도, 경기도, 남쪽은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쪽은 함경남도, 황해도와 접한다. 1945년 분단으로 인해 38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할되었으며, 현재 대한민국은 북측 지역에 대해 이북5도위원회를 통해 형식적인 행정 구역을 유지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1대도호부, 1목, 5도호부, 7군, 12현으로 구성되었으며, 율곡 이이가 강릉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도 - 철의 삼각지대
    철의 삼각지대는 한국 전쟁 중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전략적 요충지로서, 1951년부터 1953년까지 여러 고지전이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간에 치러졌다.
  • 1395년 설치 - 한성부
    한성부는 조선의 수도를 관할하며 행정, 사법, 재정 등의 업무를 담당했고, 정2품인 한성판윤이 최고 책임자였으며, 1895년 지방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경성부로 개칭되었다.
  • 1395년 설치 - 함양군
    함양군은 경상남도 서쪽에 위치한 산간 지역으로, 높은 산들과 침식분지를 포함하며, 삼국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행정 구역으로서 농업, 특산물, 관광 자원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고속도로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해졌으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조선의 도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조선의 도 - 충청도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고려 시대부터 행정 구역과 명칭이 여러 번 변경되었고, 1896년 충청남북도 분리, 1989년 대전광역시 분리,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의 변화를 겪으며 대전, 천안, 청주 등을 주요 도시로 하는 지역이다.
강원도
지도
기본 정보
역사
설치1395년
해체1895년
이전 행정 구역조선 강원도
행정 구역 정보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위 행정 구역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하위 행정 구역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현재 관할 지역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상북도 울진군 일부
통계 정보
상징
기타 정보
다른 의미
다른 의미한국의 분단 이전의 강원도
현재의 강원도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의강원 (불교의 경전을 배우는 교육기관)
기타 강원강원
이미지
조선 후기의 강원도.

2. 위치

강원도는 한반도 중앙부의 동측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위도상으로는 북위 37도 02분에서 38도 37분에 걸치고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05분에서 129도 22분에 걸쳐 있으며 북위 38도선은 본 도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휴전선은 고성군 현내면 북위 38도 35분 근처에서 서남하하여 향로봉, 문등리 및 김화읍의 북방을 연결하는 북위 38도 20분선 부근에서 145km에 걸쳐 그어져 있다.

강원도 동서의 길이는 약 150km, 남북은 약 243km에 달하며, 동쪽은 약 314km에 걸쳐 해안선을 이루면서 이어져 있고, 서쪽은 황해도경기도와 접해 있고 남쪽은 충청북도경상북도, 북쪽은 함경남도황해도와 접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다.

3. 역사

995년(고려 성종 14년) 삭방도(朔方道)라고 칭하였다.

1178년(고려 명종 8년) 함경도와 강릉 일대를 연해명주도(沿海溟州道), 춘천·철원 일대를 동주도(東州道)라고 칭하였다.

1263년(고려 원종 4년) 영동지역을 강릉도(江陵道), 영서 내륙지역을 교주도(交州道)라고 개칭하였다.

1314년(고려 충숙왕 1년) 교주도를 회양도(淮陽道)로 개칭하였다.

1356년(고려 공민왕 5년) 강릉도를 강릉삭방도(江陵朔方道)로 개칭하였다.

1388년(고려 우왕 14년) 교주강릉도라 칭하였다.

1391년(고려 공양왕 3년) 강릉도라고 칭하였다.

1395년(조선 태조 4년) 강원도라고 개칭하였다. 원양도(原襄道)·강양도(江襄道)·원춘도(原春道)라 개칭된 바 있으나 곧 강원도로 다시 바뀌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가평현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895년 6월 23일 강릉부, 춘천부, 충주부로 개편하였다.[1]

1896년 8월 4일 강원도가 되었다.[2]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해군울진군에, 고성군간성군에, 금성군김화군에, 안협군이천군에 병합하였다.[3]

1919년 간성군을 고성군으로 개칭하였고, 고성군 죽왕면토성면양양군 관할로 변경하였다.

1962년 12월 12일 울진군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2023년 6월 11일 대한민국의 강원도를 강원특별자치도로 개칭하였다.

3. 1. 강원도의 분리

1945년 광복과 함께 강원도는 38선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북쪽은 소련군, 남쪽은 미국군이 진주하였다. 이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두 개의 정부가 각자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남측의 강원도는 북측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이북5도위원회를 통한 형식적인 시장 및 군수 등을 임명하고 있다. 분단 후 북측은 함경남도 원산시를 강원도에 포함시키는 등, 당시의 행정구역을 일부 확장하였다. 단, 이는 대한민국에서 인정되지 아니한다.

남측은 북측의 강원도(원산시 등 구 함경남도령 제외)를 자신들의 강원도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북측은 자신들의 강원도를 북강원도, 남측을 남강원도로, 사실상 다른 도로 분리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4. 1. 조선

경국대전》에서는 강원도의 관할로 1대도호부 1목 5도호부 7군 12현을 규정하고 있으며, 《대전통편》에서는 원주 목사가 강원도 관찰사를 겸임한다고 규정하였다.[4]

조선 시대 법전에 따른 강원도의 행정 구역 직제[4]
수령과 그 품계경국대전 (1484)속대전(1746)·대전통편 (1785)·대전회통 (1865)
부: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정3품강릉(江陵)강릉(江陵)
목: 목사(牧使), 정3품원주(原州)원주(原州)
부: 도호부사(都護府使), 종3품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이천(伊川)
군: 군수(郡守), 종4품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영월(寧越), 평창(平昌)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현: 현령(縣令), 종5품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歙谷)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歙谷)
현: 현감(縣監), 종6품이천(伊川),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4. 1. 1. 경국대전에 따른 행정 구역

경국대전》에서는 강원도에 1개의 대도호부, 1개의 목, 5개의 도호부, 7개의 군, 12개의 현을 두도록 규정하였다.[4]대전통편》에서는 원주 목사가 강원도 관찰사를 겸임한다고 규정하였다.

조선 시대 법전에 따른 강원도의 행정 구역 직제[4]
수령과 그 품계경국대전 (1484)
부: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정3품강릉(江陵)
목: 목사(牧使), 정3품원주(原州)
부: 도호부사(都護府使), 종3품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군: 군수(郡守), 종4품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영월(寧越), 평창(平昌)
현: 현령(縣令), 종5품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歙谷)
현: 현감(縣監), 종6품이천(伊川),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4. 2. 일제강점기

강원도 (일제강점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3. 1945년 광복 당시의 행정 구역

1945년 광복 당시 강원도는 춘천군, 인제군, 양구군, 회양군, 통천군, 고성군, 양양군, 강릉군, 삼척군, 울진군, 정선군, 평창군, 영월군, 원주군, 횡성군, 홍천군, 화천군, 김화군, 철원군, 평강군, 이천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4. 4. 없어진 행정구역

김화군, 평강군, 명주군, 삼척군, 원성군, 춘성군, 간성군, 춘천군, 안협군, 철원시, 금성군, 실직군, 모성군, 익성군, 수성군, 춘천부, 강릉군, 덕원군, 삭정군, 각련성군, 련성군, 흡곡군, 삭녕군은 강원도에서 없어진 행정구역이다.

4. 5. 현재의 행정 구역

강원도의 현재 행정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문서를 참고하라.

5. 출신 유명인

율곡 이이는 한국의 대표적인 유학자 중 한 명으로, 강릉에서 태어났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사상은 조선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이는 현실 개혁적인 성리학 이론을 제시하여, 당시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간행물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2] 간행물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3]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웹사이트 조선시대법령자료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202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