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그슨 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그슨 혜성은 1872년 11월 27일 노먼 로버트 포그슨에 의해 발견된 천체로, 당시에는 비엘라 혜성의 일부로 추정되었다. 발견 당시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와 비엘라 혜성의 연관성이 추정되었고, 이후 궤도 분석과 다른 천문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비엘라 혜성과는 다른 혜성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1865년에 관측된 천체와의 연관성 및 1893년 재출현 예측이 있었으나, 실제로 나타나지 않아 현재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그레이징 혜성 - 1680년의 대혜성
    1680년의 대혜성은 1680년에 나타나 천문학 연구와 문화적 해석에 영향을 미친 밝은 혜성으로, 고트프리트 키르히에 의해 발견되었고 뉴턴이 케플러 법칙을 검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잃어버린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 잃어버린 혜성 - 브로르선 혜성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이다.
포그슨 혜성
혜성 정보
이름포그슨 혜성
공식 이름X/1872 X1
로마자 이름Pogseon hyeseong
다른 이름포그슨 혜성
발견자N. R. 포그슨
발견일1872년 12월 3일
궤도 정보
근일점0.0637 AU
이심률1.0
궤도 경사148.44°
최근 근일점 통과1872년 12월 16일
절대 등급6.3

2. 발견

1872년 11월 27일,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가 관측된 후, 천문학자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빌헬름 클링커푸스는 포그슨에게 "비엘라가 27일날 지구에 닿았다: 세타 켄타우리 근처를 찾아보시오"라는 전보를 보냈다.[10][11][2][3] 당시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1852년에 마지막으로 관측된 비엘라 혜성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었기 때문이다.[10]

포그슨은 새벽 4시부터 관측을 시작했으나, 처음 이틀 동안은 구름 때문에 관측에 어려움을 겪었다.[11][3] 셋째 날 새벽 5시 15분경, 약 10분간 구름 사이로 "둥글고 밝으며 혜성의 으로 보이는" 천체를 발견했다.[11][10][3] 포그슨은 이 천체의 움직임을 통해 비엘라 혜성이라고 판단했다.[10][2] 다음 날 아침, 포그슨은 혜성에 짧은 꼬리가 생긴 것을 확인했다.[10][2] 닷새째 되는 날은 구름이 끼었고, 포그슨은 자신의 발견과 천체의 위치를 담은 편지를 보냈으나, 비엘라 혜성의 두 번째 핵은 찾지 못했다.[10][2]

3. 분석

포그슨의 발견은 학계의 관심을 빠르게 끌었다. 아마추어 천문학자 조지 터프맨은 1873년 1월에 포그슨의 천체와 비엘라 혜성의 위치와 12주 간의 궤도 운동 모습에서 서로 다르다는 문제를 제기하였으나, 만약 포그슨이 첫 번째 날에 A 혜성(비엘라 혜성의 첫 번째 조각)을, 두 번째 날에 B 혜성을 관측했다면 이 차이는 설명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10][2]

1852년에 마지막으로 돌아왔던 비엘라 혜성의 두 핵. 포그슨이 발견한 천체는 비엘라 혜성의 일부로 생각되었었다.


포그슨 혜성의 궤도는 카를 브룬스와 헤인리치 크루츠가 계산하였으며, 계산을 위한 관측 지점이 세 곳밖에 없었기 때문에 궤도가 상당히 두리뭉실하게 산출되었다.[12][4] 만약 포그슨이 발견한 천체가 혜성이라면, 이 혜성은 새로운 혜성일 가능성이 높았다.

아일랜드의 천문학자인 빌헬름 헨리 스탠리는 이후 "포그슨 혜성과 비엘라 혜성은 같은 군에 속하며, 같은 유성군을 만들어낸다"라는 이론을 제기하였다.[13][5] 스탠리는 또한 제임스 북킹햄이 1865년 11월 9일에 관측했던 천체[14][6] 또한 포그슨이 관측했던 천체와 같은 천체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였고, 천체가 1893년에 돌아올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혜성은 돌아오지 않았다.[15][7]

패트릭 무어는 포그슨의 관측에 대해 "매우 경험이 풍부한 관측자였기 때문에 오류의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인다. 반면에, 그 혜성이 비엘라 혜성이었을 리는 상상할 수 없다. 그것은 다른 혜성이었음에 틀림없고, 단지 같은 하늘 영역에 우연히 존재했을 뿐이다. 이는 거의 믿을 수 없는 우연의 일치이다."라고 언급했다.[8] 작가 아메데 기유맹은 이 우연의 일치를 "매우 인상적이고, 거의 낭만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천문학 역사 속의 에피소드"라고 묘사했다.[9]

포그슨이 유일한 관측자였다는 점에서, 브라이언 G. 마즈든의 카탈로그(1979, 1982)에는 이 천체가 수록되지 않았다.

4. 한국에서의 포그슨 혜성

4. 1. 조선시대의 천문 관측

4. 2. 근대 천문학의 도입

4. 3. 현대 천문학의 발전

참조

[1] 논문 AJB 1902
[2] 서적 Cometography: a catalog of comets, Volum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 논문 Madras Observations of Biela's Comet http://onlinelibrary[...]
[4] 서적
[5] 간행물 Pogson's Comet and the Bielan Meteors http://articles.adsa[...]
[6] 간행물 Supposed Observation of Biela's Comet 1866-05-04
[7] 서적
[8] 서적 Guide to comets James Clarke 1977
[9] 서적 The World of Comets Marston, Searle & Rivington 1877
[10] 서적 Cometography: a catalog of comets, Volum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1] 논문 Madras Observations of Biela's Comet http://onlinelibrary[...]
[12] 서적
[13] 간행물 Pogson's Comet and the Bielan Meteors http://articles.adsa[...]
[14] 간행물 Supposed Observation of Biela's Comet 1866-05-04
[1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