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엘라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엘라 혜성은 1772년 처음 기록되었고,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확인되었다. 1845년 혜성이 분해되어 두 부분으로 관측되었고, 1872년 혜성의 잔해로 추정되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가 발생했다. 비엘라 혜성은 지구 운석 충돌의 원인으로 제기되기도 했으며, 1871년의 화재와 연관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전문가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혜성의 궤도 수축 현상이 관측되어 광매질 에테르 개념과 연관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폐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잃어버린 혜성 - 브로르선 혜성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이다. - 잃어버린 혜성 - 포그슨 혜성
포그슨 혜성은 1872년 노먼 로버트 포그슨이 발견한 혜성으로, 비엘라 유성우와 연관되어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궤도 분석 결과 비엘라 혜성의 파편과는 다른 천체로 밝혀졌으며, 궤도 계산의 어려움과 혜성의 궤도 및 특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 1826년 발견한 천체 - 센타우루스자리 A
센타우루스자리 A는 지구에서 먼지 띠가 겹쳐 보이는 특이 은하로, 전파, X선, 감마선 방출이 확인되었으며, 은하 합병으로 추정되는 기묘한 형태와 중심 블랙홀 제트가 특징적인 천문학 연구 대상이다. - 1826년 발견한 천체 - NGC 300
NGC 300은 조각가자리에 위치한 Sc형 나선 은하로, 국부 은하군 바깥 가장자리에 있으며 풀려 있는 나선팔, 밝은 성단, 활발한 별 형성 활동,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별들과 가스, 먼지, 성운, 성단 등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고, NGC 300-OT와 SN 2010da를 비롯한 여러 신성과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비엘라 혜성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비엘라 혜성 |
영어 이름 | Biela's Comet, Comet Biela |
다른 이름 | 1772, 1806 I, 1832 III, 1846 II, 1852 III, 1826 D1 |
분류 | 소멸된 혜성 |
발견 | |
발견자 | 빌헬름 폰 비엘라 |
발견일 | 1826년 2월 27일 |
궤도 정보 | |
역기점 | 1852년 9월 29일 |
궤도 장반축 | 3.5253 au |
근일점 거리 | 0.8606 au |
원일점 거리 | 6.190 au |
공전 주기 | 6.619 년 |
궤도 경사 | 12.550° |
이심률 | 0.7559 |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005 au (1832년 기준) |
목성 티스랑 파라미터 | 2.531 |
마지막 근일점 통과 | 1852년 9월 23일 (파편 A), 1852년 9월 24일 (파편 B) |
다음 근일점 통과 | 마지막 관측 1852년 9월 |
궤도 장반축 | 3.5347 au |
근일점 거리 | 0.8791 au |
원일점 거리 | 6.1902 au |
이심률 | 0.7513 |
공전 주기 | 6.65 년 |
궤도 경사 | 13.216 ° |
승교점 황경 | 250.669 ° |
근일점 편각 | 221.659 ° |
평균 근점 이각 | 0.947 ° |
최근접 접근 날짜 | 1852년 9월 24일 |
최소 교차 거리 | 0.000528 au (지구) |
목성 티스랑 파라미터 | 2.531 |
물리적 특징 | |
크기 (분열 전) | 약 0.5 km |
2. 발견
혜성은 1772년 자크 레이박스 몽테뉴와 샤를 메시에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견하였다.[23] 1805년에도 장 퐁스가 혜성을 발견했지만, 1772년의 혜성과 같은 천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1805년 이후 가우스와 베셀은 궤도를 계산하려고 시도했지만, 1805년의 혜성과 1772년 혜성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지는 못했다.[23]
혜성은 1772년 3월 8일 자크 르바 몽테뉴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2] 같은 시기 샤를 메시에에 의해서도 독자적으로 발견되었다. 1805년 장-루이 퐁스에 의해서도 기록되었지만, 같은 천체로 인식되지는 않았다. 1805년 12월 9일경 비엘라 혜성은 지구에서 약 0.0366AU 떨어진 곳을 지났다. 1805년 출현 이후 가우스(1806년)와 베셀(1806년)은 혜성의 확정적인 궤도를 계산하기 위해 여러 차례 시도했다. 가우스와 올버스는 모두 1805년과 1772년 혜성 간의 유사성을 발견했지만, 연관성을 증명할 수는 없었다.[2]
최근접 접근 날짜 및 시간 | 지구와의 거리 (AU) | 태양과의 거리 (AU) | 지구에 대한 속도(km/s) | 태양에 대한 속도(km/s) | 태양 이각 |
---|---|---|---|---|---|
1805년 12월 9일 ≈21:48 | 0.0366AU | 0.977AU | 14.3 | 39.6 | 77.7° |
빌헬름 폰 비엘라는 요세포프 요새에서 근무하던 군인이었다. 그는 1826년 2월 27일 혜성이 접근한 것을 보고 궤도를 계산하여 주기가 6.6년인 단주기 혜성임을 알아내었다. 당시 비엘라 혜성은 핼리 혜성과 엥케 혜성에 이어 세 번째로 발견된 주기 혜성이었다.[23] 혜성의 이름을 두고 비엘라, 갬버트, 토마스 클로센 사이에 논란이 있었다.
1845년 11월 26일 프란체스코 데 비코가 혜성을 다시 발견했는데, 혜성은 뿌연 성운 모양으로 관측되어 혜성에 어떠한 현상이 생겼음을 시사했다. 1846년 1월 14일, 혜성을 관측하던 매슈 폰테인 모리는 혜성 북쪽 1분각 지점에 혜성과 비슷한 천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25] 이 사실이 발표된 후 많은 천문학자들이 혜성을 관측하기 시작하였고, 밝기가 거의 비슷한 두 천체("혜성 A"와 "혜성 B")가 태양을 향해 꼬리를 평행하게 늘어뜨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몇몇 천문학자들은 혜성 파편이 더 있을 것이라 여기고 혜성 주변을 관측하였지만,[26] 새로 발견된 파편은 없었다. 다른 파편이 존재하더라도 밝기가 낮아 관측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3. 주기 혜성 확인
1832년 9월 24일, 존 허셜이 예상대로 혜성을 관측했다.[2] 올버스가 계산한 혜성의 궤도 요소에 따르면, 10월 29일 혜성의 코마가 지구 궤도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어 주목받았다. 그러나 프랑수아 아르고가 발표한 기사에서처럼, 지구는 11월 30일이 되어서야 코마가 지나간 지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대중의 공포는 크지 않았다.[24]
4. 혜성의 분해
1852년에는 예측되었던 것보다 혜성이 더 일찍 또는 더 늦게 발견되었다. "혜성 A"는 8월 26일 안젤로 세키가 발견했으며,[27] "혜성 B"는 9월 16일 발견되었다. 이전처럼 두 혜성의 밝기는 비슷하였다. "혜성 A"는 9월 26일, "B"는 9월 29일 마지막으로 관측되었다. 두 혜성의 궤도를 계산함으로서 두 혜성이 1845년 접근 500일 전쯤 분해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되었고,[28] 그 후의 연구에서는 1842년 원일점 근처에서 분해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29]
이후 1859년, 1865년, 1872년에 혜성이 다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두 혜성 모두 관측되지 않았다.
4. 1.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비엘라 유성우)
1872년 11월 27일, 혜성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된 지점에서 시간당 3천 개의 유성우가 쏟아졌다. 이날은 지구가 혜성의 궤도와 만나는 위치였다. 이 유성우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또는 비엘라 유성우로 불리며, 비엘라 혜성의 잔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성우는 19세기 내내 매우 밝게 보였지만, 현재는 어두워진 상태이다.[25][26][27][28][29]
5. 20세기 이후의 탐색 및 관측
1865년과 1872년에 혜성을 관측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결정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찰스 탈마지와 제임스 북킹햄은 1865년에 성운 모양 천체를 관측했지만, 존 하인드는 이것이 비엘라 혜성이 아니라고 확인하였다. 1872년 말에 포그슨이 관측했던 포그슨 혜성 (X/1872 X1) 또한 비엘라 혜성의 잔재로 추정되었지만, 이후 아닐 가능성이 높아졌다.[30]
혜성이 분해된 것이 관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 말에 혜성을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브라이언 마즈든과 즈데넥 세카니나는 코후테크 혜성을 발견했던 방법을 이용하여 혜성 조각의 궤도를 계산하려고 시도하였다. 계산에 따르면, 총 혜성의 질량보다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에 남아 있는 질량은 여전히 매우 적고, 따라서 거대한 질량 손실이 1845년 접근 전에 일어나서 조각이 아직 "비활동 상태의 혜성"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다.[30]
비엘라 혜성이나 그 잔재들을 확인하려는 시도는 몇 번 있었다.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리스텐파르트는 비엘라 혜성과 매우 비슷한 궤도를 도는 18D/퍼라인-무르코스 혜성과의 관계를 입증하려고 시도하였다.[31]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퍼라인-무르코스 혜성과의 아무런 관계를 찾아내지 못했다. 2001년에 NEAT 소행성 탐사를 통해 발견된 혜성 207P/NEAT (P/2001 J1) 또한 비엘라 혜성과 비슷한 궤도를 돌고 있었고, 비엘라 혜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32]
6. 운석 충돌 및 대화재와의 연관성 (논란)
비엘라 혜성은 지구 운석 충돌의 원인 중 하나로 제기되기도 하였다.
시카고 대화재와 페시티고 화재 등 미국에서 일어난 몇 번의 대화재를 비엘라 혜성이 지구에 낙하하여 생긴 것으로 설명하는 이론도 있었다.[33] 이 이론은 1883년 이그나티우스 도넬리가 처음 제기하였으며, 1985년 출판된 책을 통해 다시 살아났고,[34] 2004년의 미출판 논문에서 이에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35]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이론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운석이 지구 표면에 닿는 그 순간에는 사실 운석은 매우 차가운 상태이고, 화재가 운석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보고는 어디에서도 없었기 때문이며,[36][37] 혜성의 최대 인장 강도가 낮다는 점에서 얼음질로 구성된 혜성이 지구로 돌진할 때는 대기권 상부에서 분해되어 퉁구스카 폭발사건처럼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38]
1885년 11월 27일, 시간당 15,000개의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가 진행 중일 때 멕시코 북부에 철질 운석이 낙하하였다. 이 "마자필 운석"은 비엘라 혜성의 일부로 생각되었지만, 1950년대 들어 혜성에서 철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행성 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는 사유로 주목받지 못했다.
7. 광매질 에테르 개념과의 연관성 (폐기됨)
비엘라 혜성과 엥케 혜성은 궤도가 수축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혜성이 공전하는 광매질 광에테르의 항력 때문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이 개념은 현재 폐기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K 851A — OAA computing section publication
http://www.oaa.gr.jp[...]
[2]
웹사이트
3D/Biela
http://cometography.[...]
Cometography
2010-12-15
[3]
서적
Tract on comets: and particularly on the comet that is to intersect the earth's path in October, 1832
Hilliard, Gray and Company
[4]
논문
Η Συμβολή της Αστρονομίας στον Νεοελληνικό Διαφωτισμό - η ίδρυση του Αστεροσκοπείου Αθηνών
https://www.academia[...]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Academy of Institutions and Cultures Society
[5]
웹사이트
Elliptical Orbital of Biela's Comet (German)
https://articles.ads[...]
The SAO/NASA Astrophysics Data System
2022-08-30
[6]
서적
Cometography, Vol 2
Cambridge UP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논문
3D/Biela and the Andromedids
http://iopscience.io[...]
[11]
논문
[12]
웹사이트
18D/Perrine-Mrkos
http://cometography.[...]
[13]
웹사이트
IAUC 7635: SNe; P/2001 J1
http://www.cbat.eps.[...]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01-05-29
[14]
웹사이트
Yoshida
http://www.aerith.ne[...]
[15]
웹사이트
Speculation for 3D/Biela (90000094) in December 2023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8-05
[16]
비디오
Fire From The Sky
WTBS Atlanta
[17]
서적
Mrs. O'Leary's Comet: Cosmic Causes of the Great Chicago Fire
https://books.google[...]
Academy Chicago Publishers
[18]
웹사이트
Did Biela's Comet Cause the Chicago and Midwest Fires?
http://pdf.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4-02-03
[19]
논문
Was It A Cow Or A Meteorite?
http://www.fireservi[...]
2003-02
[20]
웹사이트
Meteorites Don't Pop Corn
https://science.nasa[...]
NASA
2001-07-27
[21]
논문
The Problem of Ice Meteorites
https://web.archive.[...]
2006-11
[22]
논문
The Mazapil meteorite: from paradigm to periphery
2002
[23]
웹인용
3D/Biela
http://cometography.[...]
Cometography
2010-12-15
[24]
서적
Tract on comets: and particularly on the comet that is to intersect the earth's path in October, 1832
Hilliard, Gray and Company
[25]
서적
Cometography, Vol 2
Cambridge UP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논문
3D/Biela and the Andromedids
http://iopscience.io[...]
[30]
논문
[31]
웹사이트
18D/Perrine-Mrkos
http://cometography.[...]
[32]
웹인용
IAUC 7635: SNe; P/2001 J1
http://www.cbat.eps.[...]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01-05-29
[33]
비디오
Fire From The Sky
WTBS Atlanta
[34]
서적
Mrs. O'Leary's Comet: Cosmic Causes of the Great Chicago Fire
https://www.amazon.c[...]
[35]
웹인용
Did Biela's Comet Cause the Chicago and Midwest Fires?
https://web.archive.[...]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17-04-29
[36]
저널
Was It A Cow Or A Meteorite?
http://www.fireservi[...]
2011-11-10
[37]
웹인용
Meteorites Don't Pop Corn
http://science.nasa.[...]
NASA
2011-11-10
[38]
저널
The Problem of Ice Meteorites
http://hyperion.cc.u[...]
2011-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