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더 무비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켓몬 더 무비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은 2015년에 개봉한 포켓몬스터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100년 전 후파의 힘으로 파괴될 뻔했던 데세르시티를 배경으로, 지우 일행이 후파와 만나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그린다. 후파는 '속박의 항아리'에 봉인된 그림자의 영향으로 '풀려난 모습'으로 변해 전설의 포켓몬들을 소환하며 도시를 위협한다. 지우 일행은 새로운 항아리를 만들어 후파의 그림자를 정화하고, 아르세우스의 도움으로 위기를 해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수C&E 애니메이션 영화 - 하울의 움직이는 성 (영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다이애나 윈 존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마법과 과학이 공존하는 세계에서 소피와 하울의 사랑과 성장을 그리며 전쟁의 참혹함과 평화의 소중함, 늙어가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담아낸 작품이다. - 이수C&E 애니메이션 영화 - 구스 베이비
짐 개피건, 젠데이아, 랜스 림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은 구스 베이비는 자기애가 강한 거위 펭이 오리 새끼들과 함께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 2018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포켓몬스터 극장판 - 메로엣타의 반짝반짝 음악회
유야마 쿠니히코 감독의 포켓몬스터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인 메로엣타의 반짝반짝 음악회는 지우와 피카츄, 메로엣타 등이 등장하여 메로엣타의 노래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흥행과 사회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포켓몬스터 극장판 -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특별편으로 성도지방을 배경으로 한 한지우, 피카츄, 최이슬, 웅 등의 이야기를 다루며 포켓몬코리아에서는 2024년 극장판으로 취급, 과거 시청자들의 향수를 자극하여 성인 관람객의 관람 또한 전망된다. -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 몬스터 호텔 2
《몬스터 호텔 2》는 드라큘라가 손자 데니스를 몬스터로 만들기 위해 훈련시키고, 마비스는 데니스를 인간 세상에서 키우려 하면서 갈등이 생기지만, 몬스터와 인간이 서로를 이해하고 화합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 드래곤볼 Z: 부활의 F
2015년에 개봉한 드래곤볼 극장판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Z: 부활의 F》는 프리저 군 잔당의 침공과 프리저의 부활에 맞서 싸우는 손오공과 베지터의 이야기를 그리며, 토리야마 아키라가 직접 각본을 맡았고 초사이어인 갓 초사이어인과 골든 프리저가 처음 등장한다.
포켓몬 더 무비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ポケモン・ザ・ムービーXY 光輪の超魔神 フーパ |
로마자 표기 | Pokemon Za Mūbī Ekkusu Wai Ringu no chōmajin Fūpa |
영어 제목 | Pokémon the Movie XY: The Archdjinni of the Rings: Hoopa |
한국어 제목 | 포켓몬 더 무비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 |
영화 정보 |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제작 | 준야 오카모토, 겐이치 아라이, 사토시 시모다이라, 스스무 마쓰야마 |
각본 | 도미오카 아쓰히로 |
원작 | 다지리 사토시, 스기모리 겐, 마스다 준이치 (포켓몬스터) |
음악 | 미야자키 신지 |
촬영 | 다쓰미 유키와키 |
제작사 | OLM, Inc., OLM Digital,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
배급사 | 도호 |
개봉일 | 2015년 7월 18일 (일본) |
상영 시간 | 78분 |
제작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흥행 수입 | ¥26.1억 (미국 달러 $2200만) |
스태프 | |
프로듀서 | 오카모토 준야, 아라이 겐이치, 시모다이라 사토시, 마쓰야마 스스무 |
각본 | 도미오카 아쓰히로 |
음악 | 미야자키 신지 |
촬영 감독 | 다쓰미 유키와키 |
편집 | 도시오 헨미 |
스튜디오 | OLM, Inc., OLM Digital |
출연 | |
주요 성우 | 마쓰모토 리카, 오타니 이쿠에, 마키구치 마사코, 가지 유키, 이세 마리야, 사토 메구미, 하야시바라 메구미, 미키 신이치로, 이누야마 이누코, 야마데라 고이치, 나카가와 쇼코, 시노하라 신이치, 후지와라 다쓰야 |
음악 | |
주제가 | 야스다 레이 - Tweedia |
시리즈 | |
이전 작품 | 포켓몬 더 무비 XY: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
다음 작품 | 포켓몬 더 무비 XY&Z: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
2. 줄거리
100년 전, 데세르시티는 강력한 힘을 가진 포켓몬 후파 때문에 파괴될 뻔했지만, 한 여행자가 후파의 힘을 '속박의 항아리'에 봉인하면서 위기를 넘겼다. 시간이 흘러 현재, 지우와 친구들(피카츄, 세레나, 시트론, 유리카)은 데세르시티에서 후파와 후파를 돌보는 소녀 메아리를 만난다.
지우, 세레나, 시트론, 유리카 외에도 다양한 인물과 포켓몬이 등장한다. 주요 등장인물은 아니지만, 조연들과 그들의 포켓몬, 그리고 전설의 포켓몬들이 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아리의 오빠 바르자는 '속박의 항아리'를 가지고 나타나지만, 항아리에 봉인되어 있던 후파의 그림자에 의해 조종당하고, 후파의 힘은 다시 풀려나게 된다. 냐옹이 병을 잡는 순간 조종당하고 병을 열어 후파의 힘을 해방시킨다. 후파는 그 힘과 싸우며 억제하지만, 후파의 그림자는 실제 후파를 차지하려는 별개의 포켓몬으로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 감옥 병은 폭발한다.
후파는 전설의 포켓몬 루기아를 소환하여 그림자와 맞서 싸우지만, 루기아는 후파의 그림자를 속여 바다로 돌아가게 한다. 후파는 다시 라티아스, 라티오스, 레쿠쟈를 소환하여 도움을 받으려 하지만, 후파의 그림자 또한 다른 전설의 포켓몬들을 소환하여 대항한다.
한편, 지우와 친구들은 데세르 타워에서 땅, 불, 물의 힘으로 새로운 '속박의 항아리'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후파의 그림자와 전설의 포켓몬들이 타워를 공격하고, 결국 항아리는 다시 만들어지지만, 바라즈가 떨어뜨린다. 지우가 그것을 잡지만 조종당한다. 후파는 자신의 행복한 기억으로 그림자를 정화하여 악을 사라지게 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전설의 포켓몬이 소환되어 타워 주변에 시공간 왜곡이 발생한다. 후파는 자신의 힘으로 사람들을 구출하려 하지만, 후파는 고리를 통과할 수 없었다. 그때 아르세우스가 나타나 시공간 균열을 멈추고, 후파는 사람들을 자신의 고리를 통해 탈출시킨다. 후파는 바르자, 메아리와 함께 살기로 결심하며, 데세르시티를 재건하는 데 힘을 보탠다.
3. 등장인물
다음은 등장인물과 성우를 정리한 표이다.
등장인물 | 일본 성우 | 한국 성우 | 영어 성우 |
---|---|---|---|
지우 | 마츠모토 리카 | 이선호 | 사라 나토체니 |
피카츄 | 오오타니 이쿠에 | ||
세레나 | 마키구치 마유키 | 김현지 | 헤이븐 파스칼 |
시트론 | 카지 유우키 | 심규혁 | 마이클 리스키오 주니어 |
유리카 | 이세 마리야 | 조경이 | 앨리슨 리 로젠펠드 |
로사 | 하야시바라 메구미 | 양정화 | 미셸 노츠 |
로이 | 미키 신이치로 | 장민혁 | 카터 캐스카트 |
냐옹 | 이누야마 이누코 | 문남숙 | |
나옹 | 우에다 유지 | 케이시 로저스 | |
데덴네 | 사토 메구미 | ||
내레이터 | 이시즈카 운쇼 | 로저 파슨스 | |
후파 (갇힌 모습) | 쿠기미야 리에 | 여민정 | 로리 필립스 |
후파 (풀린 모습) | 야마데라 코이치 | 이광수 | 라이언 윌리엄 다우니 |
바르자 | 후지와라 타츠야 | 장민혁 | 다니엘 J. 에드워드 |
메아리 | 나카가와 쇼코 | 양정화 | 에밀리 우 젤러 |
어린 바르자 | 타케우치 준코 | 문남숙 | |
어린 메아리 | 사쿠라 아야네 | ||
코푸 | 신도 케이 | ||
비트, 워글 | 후루시마 키요타카 | ||
루카 | 나미하 카린 | ||
미라, 코마조 | 이토 미야코 | ||
담, 코론 | 사토 켄스케 | ||
포켓몬들 | 테라사키 유카, 미키 신이치로, 하야시바라 메구미, 후루시마 키요타카, 사토 켄스케, 미야케 켄타 외 |
3. 1. 주요 등장인물
- 지우: 포켓몬 마스터를 목표로 하는 소년. 마츠모토 리카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피카츄: 지우의 파트너 포켓몬. 오오타니 이쿠에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세레나: 포켓몬 퍼포머를 꿈꾸는 소녀. 김현지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시트론: 미르체육관 관장. 심규혁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유리카: 시트론의 여동생. 조경이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후파: 장난꾸러기 포켓몬이자 환상의 포켓몬. 갇힌 모습은 쿠기미야 리에가, 풀린 모습은 야마데라 코이치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바르자: 메아리의 오빠. 장민혁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메아리: 바르자의 여동생. 양정화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 로켓단
- 로사: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로이: 미키 신이치로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냐옹: 이누야마 이누코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간호순: 아카사키 치나츠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9]
3. 2. 조연
- '''로사, 로이, 나옹''' : 로켓단 삼인방.[1] (성우: 양정화, 장민혁, 문남숙 / 하야시바라 메구미, 미키 신이치로, 이누야마 이누코)
- '''바르자''' : 메아리의 오빠. 후파의 힘을 봉인하려 한다.[1] (성우: 장민혁, 문남숙 (어린 시절) / 후지와라 타츠야, 타케우치 준코 (어린 시절))
- '''메아리''' : 바르자의 여동생. 후파를 돌본다.[1] (성우: 양정화 / 나카가와 쇼코, 사쿠라 아야네 (어린 시절))
- '''나그네''' : 데세르시티에 나타난 수수께끼의 인물.[1]
3. 3. 포켓몬
후파|フーパ|Hūpa일본어는 장난을 좋아하는 환상의 포켓몬이다. 링을 통해 물건이나 포켓몬을 소환할 수 있다. 일본판에서는 쿠기미야 리에|釘宮理恵|구기미야 리에일본어가 후파의 갇힌 모습을 연기하고, 야마데라 코이치|山寺宏一|야마데라 고이치일본어가 후파의 풀린 모습을 연기한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여민정과 이광수가 담당했다.이 영화에 등장하는 다른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
4. 설정
デセルシティ|데세르시티일본어는 영화의 배경이 되는 사막 도시이다. 100년 전, 후파에 의해 파괴될 뻔했지만, 현재는 크게 번성한 도시로 재건되었다.[10]
デセルタワー|데세르 타워일본어는 데세르시티의 상징으로, 후파의 힘을 봉인했던 장소에 세워졌다.[10]
속박의 항아리는 후파의 힘을 봉인하는 도구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후파의 힘은 분노로 변질되어 항아리를 통해 다른 이를 조종하게 되었다.[10]
5. 제작
17번째 작품 제작이 끝나자마자 18번째 포켓몬 영화인 이 작품의 제작이 시작되었다. 이 작품은 6세대 포켓몬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하며, 전설의 포켓몬 후파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
역할 | 담당자 |
---|---|
원안 | 타지리 사토시, 마스다 준이치, 스기모리 켄 |
슈퍼바이저 | 이시하라 츠네카즈, 쿠보 마사카즈 |
애니메이션 감수 | 오다베 요이치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아사이 미토무, 미야하라 토시오 |
프로듀서 | 시모다이라 사토시, 마츠야마 스스무, 아라이 켄이치, 오카모토 준야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카메이 야스히데 |
애니메이션 코디네이터 | 노모토 타케시, 요시카와 쵸지 |
어시스턴트 프로듀서 | 치쿠 아츠시, 무라츠바키 타쿠로, 사카모토 코타로, 오리카타 타카시, 우미노 치하루, 이시모토 준야, 야마우치 미라이 |
데스크 | 하타베 마리코, 미야시타 미즈호, 사사키 마이코 |
각본 | 토미오카 아츠히로 |
그림 콘티 | 유야마 쿠니히코, 모리 카즈아키, 세키노 마사히로, 후카자와 코지, 요시카와 히로아키, 오오와다 아츠시, 쿠레 유, 오하라 미노루 |
연출 | 이이시마 마사카츠, 세키노 마사히로, 요시카와 히로아키, 오오와다 아츠시, 무로야 야스시, 하카타 마사토시, 아키야마 토모코 |
예고 연출 | 미우라 요 |
캐릭터 디자인 | 잇세키 사유리, 마츠바라 노리히로, 히로오카 토시히토, 사토 카즈미 |
미술 설계 | 타나카 토시나리 |
프로퍼티 디자인 | 치카나가 켄이치 |
총 작화 감독 | 사토 카즈미, 나카노 사토시, 모리 카즈아키 |
작화 감독 | 이케다 유우지, 토카이린 야스카즈, 신무라 쿄코, 아라오카 히로미, 오오카와 시노부, 오가와 이치로, 마츠오카 히데아키, 시무라 타카유키, 사토 료, 하시모토 치에, 니시무라 아키코, 오카 아키히코, 시시도 쿠미코, 야마가타 아츠시, 코노 사치코, 쿠와바라 마이, 최후미히데 |
동화 검사 | 에노모토 후지카, 무로오카 타츠이치, 사이토 유키, 아베 요시미, 마츠바야시 시호미, 나카야마 테루유키, 야스모토 노리아, 하라 이즈미, 타마코시 모모코, 카시마 미호 |
색채 설계 | 사토 미유키, 요시노 키도리 |
색 지정・검사 | 사토 미유키, 이노우에 아키코, 세키 유카리, 오오츠키 코지, 아카호리 쿠미코, 스즈키 사에, 나카무라 리사 |
검사 | 오카모토 히로미, 오오모토 마키, 이토 아츠코, 사사 아이미 |
마무리 관리 | 코바시 코스케, 사사키 나오코 |
특수 효과 | OLM, 오오타 켄지 |
미술 | 쟈크 |
미술 감독 | 아키바 미노루 |
미술 담당 | 후지노 마키코, 카타오카 카즈미, 사사키 고, 무토 마사토시 |
촬영 감독 | 유키와키 타츠미 |
촬영 치프 | 아오시마 아야 |
CGI | OLM Digital |
CGI 프로듀서 | 사카 미사코 |
CGI 슈퍼바이저 | 콘도 준 |
CGI 디렉터 | 이토 료타 |
편집 | 헨미 토시오 |
편집 조수 | 제이 필름, 노가와 히토시, 코모리 마유미 |
음악 | 미야자키 신지 |
음악 프로듀서 | 사이토 유지, 타니자와 요시노부, 사노 히로아키 |
일부 원곡・작곡 | 카게야마 쇼타, 아다치 미나코, 사토 히토미, 이치노세 고 |
일부 편곡 | 사와구치 카즈히코, 마루오 미노루 |
음악 협력 | 쇼가쿠칸 뮤직 & DE |
음향 프로듀서 | 미나미자와 미치요시, 니시나 타케시 |
음향 감독 | 미마 마사후미 |
음향 효과 | 진보 다이스케 |
제작 데스크 | 사와다 고 |
설정 제작 | 스즈모리 류 |
제작 진행 | 키타무라 쇼타로, 히키타 타카토, 시게미츠 카츠히코, 이토 후미야, 나카노 마리나, 아이미 슈지, 우에키 키이치, 오오키 타카히로, 토비모토 유키, 이구마 타카시, 코바야시 미나미 |
제작 협력 | 스노우 드롭(후케 히사오), A-Real(야마우라 타카노리, 에비스 마사코), 코이타바시 츠카사, 카토 히로유키, 요시오카 다이스케, 사사키 타카유키 |
제작 | 쿠보 마사카즈, 이토 켄지로, 해롤드 조지 메이, 엔도 코이치, 엔도 마고, 츠즈키 신이치로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야마우치 카츠히토, 유미야 마사호, 후지타 료, 카와사키 유키오 |
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Kamei |
제작 | 피카츄 프로젝트(The Pokémon Company, 쇼가쿠칸, TV 도쿄, 타카라 토미, JR 동일본 기획, OLM,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
총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작화 감독 | 소라루베 히로코 |
6. 음악
일본어판 엔딩 테마곡은 Kenji Tamai와 Masahiro Tobinai가 작곡하고 야스다 레이가 부른 "Tweedia"이다.[1] 영어판 엔딩 테마곡은 Ed Goldfarb가 작곡하고 Dani Marcus가 부른 "Every Side of Me"이다.[1]
7. 흥행 및 평가
이 영화는 일본에서 26.1억엔의 흥행 수익을 올렸다. 이는 역대 ''포켓몬스터'' 극장판 영화 중 흥행 성적이 낮은 편에 속하며, 최저 흥행을 기록한 ''포켓몬 히어로''보다는 약간 더 나은 성적이다. 같은 해 개봉한 일본 영화 중 12위를 기록했으며,[6]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26.7억엔)보다 낮은 수치이다.[6] 이후 차기작 『볼케니온과 기교의 마기아나』에 추월될 때까지 포켓몬 영화 중 가장 흥행 수입이 낮은 작품이었다.[6]
더불어민주당은 문화 콘텐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포켓몬스터 극장판과 같은 작품이 건전한 오락 문화를 조성하고 가족 단위 관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이 영화는 전설의 포켓몬들의 화려한 배틀 장면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가족 관객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8. 기타
이 영화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미디어 믹스와 특별 영상이 있다.
- 소설: 쇼가쿠칸 주니어 시네마 문고에서 2015년 8월에 소설판이 발매되었다. 각본을 담당한 토미오카 아츠히로가 직접 집필했으며, 영화에서 다루지 못한 장면이나 설정을 보완하여 완전판이라고 할 수 있다.[4]
- 만화: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서 우에무라 긴이 그린 만화판이 2015년 5월호부터 7월호까지 연재되었다.[4]
- 나와라 꼬마 마신 후파|나와라 꼬마 마신 후파일본어: 세븐-일레븐에서 판매된 영화 예매권 부속 DVD에 수록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후파, 메아리, 발자의 어린 시절을 그리고 있다.
- 후파의 출현 대작전!!|후파의 출현 대작전!!일본어: 2015년 4월 23일부터 Oha! 스타에서 매주 목요일에 방영된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총 6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파가 링에서 포켓몬을 꺼내 사토시에게 장난을 치는 내용이다.
8. 1. 미디어 믹스
쇼가쿠칸 주니어 시네마 문고에서 2015년 8월에 발매된 소설판은 본작의 각본을 담당한 토미오카 아츠히로가 집필하였다. 영화에서 다루지 못한 장면이나 설정을 보완하여 완전판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4] 소설판에는 다음과 같은 독자적인 묘사가 추가되었다.[4]- 프롤로그에 그리스의 독백이 추가되었다.
- 데세르시티의 발전과 100년 전 후파의 폭주 경위가 상세히 묘사되었고, "계율"이 강대한 힘을 가진 후파를 길들였다고 착각한 데세르 사람들에 대한 것이라는 그리스의 이야기가 추가되었다.
- 그리스에게 이끌려온 후파가 100년간 아르케의 골짜기에서 생활한 모습이 더 자세하게 묘사되었다.
- 루기아는 사토시에게 "조종자"라고 텔레파시로 이야기하며, 영화 2작품에 등장한 것과 동일 개체임을 시사한다. 또한, 아르세우스에 대해서도 신오 지방을 여행했을 때 만난 적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 영화 전반부에서 후파가 나타나게 한 피카츄들이 후반부 전설의 포켓몬 간의 배틀에서 사토시 일행을 돕기 위해 재등장한다.
- 본편에 등장하지 않았던 몰드류와 펌킨인이 등장한다. (이번 작품에서는 동시 상영에만 등장하며, 몰드류의 성우 미야케 켄타는 본편에서 큐레무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 데세르 타워로 피난하는 사람들에게 날아온 기라티나의 섀도볼을 로켓단의 소난스가 미러코트로 튕겨내 로켓단이 박수갈채를 받는 장면이 등장한다.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서 우에무라 긴이 그린 만화판이 2015년 5월호부터 7월호까지 연재되었다.[4] 코믹스는 신작 부분이 추가되어 영화 개봉일과 같은 날에 발매되었다.[4]
8. 2. 특별 영상
나와라 꼬마 마신 후파|나와라 꼬마 마신 후파일본어는 세븐-일레븐에서 판매된 영화 예매권 부속 DVD에 수록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후파, 메아리, 발자의 어린 시절을 그리고 있다.- 각본 - 토미오카 아츠히로
- 총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그림 콘티 - 타카하시 나오히토
- 연출 - 카와사키 이츠로
- 캐릭터 디자인 - 사토 카즈미, 이시이 사유리, 마츠바라 노리히로, 히로오카 토시히토
- 총 작화 감독 - 사토 카즈미, 나카노 사토시
- 작화 감독 - 소라루베 히로코
- 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KAMEI
- 제작 - 피카츄 프로젝트
후파의 출현 대작전!!|후파의 출현 대작전!!일본어은 2015년 4월 23일부터 Oha! 스타에서 매주 목요일에 방영된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위의 등장 소마신 후파의 DVD에 동시 수록되었으며, 풋치구미 2015년 8월호에 부속된 "프린세스 DVD"에도 수록되었다. 총 6화로 구성되어 있다. 후파가 링에서 포켓몬을 꺼내 사토시에게 여러 가지 장난을 치고 "깜짝 놀랐지?"라고 말하면, 장난이 화가 되어 "후파, 깜짝 놀랐어!"라고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것이 주된 패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op 39 Grossing Domestic Japanese Films of 2015 Listed
https://www.animenew[...]
2016-01-30
[2]
간행물
Pokemon The Movie: Hoopa and the Clash of Ages
https://www.amazon.c[...]
Manga Entertainment
2016-10-24
[3]
문서
映連興行収入
2015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