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르제발스키되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르제발스키되새는 긴꼬리분홍새와 유사한 작은 새로, 꼬리가 길고 암수 간의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밝은 분홍색을 띠고, 암컷과 수컷 모두 갈색 줄무늬 깃털을 가지며, 부리는 분홍새류보다 얇다. 이 새는 해발 3050m에서 5000m 사이의 고도에서 서식하며, 번식기에는 한 쌍, 겨울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야생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인간 활동에 의해 위협받지 않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새소목 - 올리브솔새
    올리브솔새는 참새목 올빼미울새과에 속하는 작은 새로, 짙은 올리브색 등과 연한 노란색 가슴, 배를 가지며 미국 남서부에서 니카라과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며 곤충과 절지동물을 먹고 산다.
  • 1876년 기재된 새 - 로열펭귄
    로열펭귄은 얼굴과 턱이 흰색이고 크릴새우와 물고기를 먹으며, 매쿼리섬에서 번식하고 마카로니펭귄과 잡종을 만들 수 있는 펭귄이다.
  • 1876년 기재된 새 - 푸나따오기
    푸나따오기는 페루,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고지대의 늪지나 습지에 서식하며, 번식기에는 적갈색 윗면과 옅은 자주색 아랫면을 띠는 조류이다.
프르제발스키되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프르제발스키되새
프르제발스키되새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학명Urocynchramus pylzowi
명명자Przevalski, 1876
프르제발스키되새속 (Urocynchramus)
속 명명자Przhevalsky, 1876
프르제발스키되새과 (Urocynchramidae)
과 명명자Domaniewski, 1918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

| style="font-size:85%;line-height:80%" | 참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사탕새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올리브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프르제발스키되새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베짜는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바위종다리과

|-

|

{| class="wikitable"

|-

| 참새과

|-

|

{| class="wikitable"

|-

| 할미새과

|-

|



|}

|}

|}

|}

|}

|}

|}

|}

|}

|}

|}

|}

|}

|}

2. 1. 참새소목 내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

| style="font-size:85%;line-height:80%" | 참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사탕새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올리브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프르제발스키되새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베짜는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바위종다리과

|-

|

{| class="wikitable"

|-

| 참새과

|-

|

{| class="wikitable"

|-

| 할미새과

|-

|



|}

|}

|}

|}

|}

|}

|}

|}

|}

|}

|}

|}

|}

|}

3. 형태 및 생태

프르제발스키되새는 외모가 긴꼬리분홍새와 유사한 작은 새이다. 꼬리가 길고, 전형적인 핀치류와는 달리, 바깥쪽 깃털이 가운데 깃털보다 훨씬 짧아 계단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암수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은 목, 가슴, 배에 밝은 분홍색을 띤다. 암컷과 수컷 모두 등과 날개에 갈색 줄무늬 깃털을 가지고 있다. 부리는 분홍새류보다 얇다. Urocynchramidae의 진단적 특징은 바깥쪽 날개깃인데, 핀치와 멧새에서는 이 깃털이 흔적 기관이지만 프르제발스키되새에서는 다음 날개깃 길이의 2/3에 달한다.[3]

이 새는 해발 3050m에서 5000m 사이의 고도에서 서식하며, 번식기에는 보통 한 쌍으로, 겨울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프르제발스키는 이 종의 노래가 멧새의 노래와 유사하다고 묘사했다. 이 종은 야생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행동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인간 활동에 의해 위협받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되어 있다.[1]

4. 보존 상태

참조

[1] 간행물 Urocynchramus pylzowi 2016
[2]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the systematic position of Urocynchramus pylzowi http://sora.unm.edu/[...]
[3] 논문 Die Stellung des Urocynchramus pylzowi Przev. in der Systematik https://www.biodiver[...]
[4]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5] 뉴스 Urocynchramus pylzowi https://dx.doi.org/1[...] BirdLife International 2016
[6] 웹인용 Waxbills, parrotfinches, munias, whydahs, Olive Warbler, accentors, pipits https://www.worldbir[...]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0.2 2020-11-07
[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