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앨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에 위치한 도시로, 노스 서스캐처원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1862년 제임스 이즈비스터의 정착으로 시작되었으며, 1866년 제임스 니즈벳 목사가 알버트 공의 이름을 따 선교지를 설립하면서 도시 이름이 유래되었다. 프린스앨버트는 한때 서스캐처원 지구의 수도였으며, 농업, 임업, 관광,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37,756명이며, 캐나다 원주민의 비율이 높은 도시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다양한 박물관, 자연 명소,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하키팀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린스앨버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프린스앨버트 시 |
다른 이름 | P.A. |
별칭 | P.A. |
표어 | 북쪽으로 가는 관문 |
도시 유형 | 도시 |
Isbister 정착지 | 1862년 |
SK HQ 북서 기마 경찰 | 1886년 |
지리 | |
위치 |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
고도 | 440m |
기후 | Dfb |
총 면적 | 67.17km2 |
인구 중심지 면적 | 21.37km2 |
도시권 면적 | 2,537.68km2 |
육지 면적 | 67.17km2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37,756명 |
인구 밀도 | 562.1명/km2 |
인구 중심지 | 36,768명 |
인구 중심지 밀도 | 21.37명/km2 |
도시권 | 45,718명 |
도시권 밀도 | 2,537.68명/km2 |
거주민 명칭 | 프린스 앨버트 주민 |
행정 | |
국가 | 캐나다 |
주 | 서스캐처원 주 |
구역 | 15번 구역 |
시장 | 빌 포왈린스키 |
시 의회 | 프린스앨버트 시 의회 |
연방 하원 의원 | 랜디 호백 (CON) |
주의회 의원 | 케빈 카순 (SKP) 알라나 로스 (SKP) |
역사 | |
설립 | 1885년 (마을) |
시 승격 | 1904년 10월 8일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ST |
UTC 오프셋 | −06:00 |
우편 번호 | S6V - S6X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원래 이 지역은 크리족에 의해 "kistahpinanihk"로 불렸는데, 이는 "아름다운 곳에 앉아 있는 곳", "위대한 만남의 장소" 또는 "만남의 장소"로 번역된다.[5][6]
1776년, 피터 폰드가 이 지역에 최초의 무역 기지를 건설했다.[7] 1862년, 허드슨 베이 회사의 앵글로-메티스 직원이었던 제임스 이즈비스터가 가족과 함께 레드 강에서 칼프 힐스 지역으로 이주하여 현재 도시가 위치한 곳에서 북쪽으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이즈비스터는 칼프 힐스에 정착한 최초의 정착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는 농업과 무역을 통해 지역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정착지는 이후 프린스 앨버트 시의 기원이 되었다. 이즈비스터는 지역 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메티스와 유럽계 정착민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힘썼다. 1866년까지 이즈비스터 정착지에는 많은 가족들이 합류했다.
1866년, 캐나다 장로교 목사인 제임스 니즈벳 목사가 크리족을 위한 선교지를 설립하면서 지역 사회는 활기를 띠게 되었다. 니즈벳은 1861년에 사망한 빅토리아 여왕의 남편인 알버트 공의 이름을 따서 선교지의 이름을 지었으며,[8] 이것이 현재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1879년, 장로교회는 지역 선교 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루시 마가렛 베이커를 파견했다.[9] 같은 해, 지역 프리메이슨은 현재 서스캐처원주가 된 곳에 키니스티노 로지 1호를 설립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0] 중앙에 위치한 "The Mission" 정착지와 서쪽에 위치한 "Porter Town"은 현재 프린스 앨버트를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 두 개의 지역 사회였다.[2] 프린스 앨버트 동쪽의 정착지는 최종적으로 합병되기 전에 고센이라고 불렸지만, 동부 프린스 앨버트는 1924년 지도에도 여전히 나타난다.[2][11]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 당시 프린스앨버트는 정부군의 주요 기지 역할을 했다.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의용군은 로스트레이크 전투와 배틀퍼드 구출 작전에 참여했다. 반란 진압 후에는 루이 리엘 재판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
프린스 앨버트는 한때 서스캐처원 지구의 수도였다. 이 시기에 프린스 앨버트는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13]
20세기 초, 프린스앨버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를 유치하기 위해 레지나, 새스커툰과 경쟁했다. 1907년 서스캐처원 대학교는 새스커툰에 설립되었고, 프린스앨버트는 연방 교도소를 유치하는 데 집중했다. 1911년, 프린스앨버트는 연방 교도소 건설지로 선정되었다.[14]
윌리엄 라이언 맥켄지 킹은 프린스앨버트에서 하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후에 총리가 되어 캐나다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대공황 시기에 적극적인 정부 개입을 통해 경제를 안정시키고 복지 시스템을 확충하는 데 힘썼다.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왕족의 다음 구성원들을 환영했다.
- 마거릿 공주 - 1958년 및 1980년
- 요크 공작 및 요크 공작 부인 - 1989년
- 웨섹스 백작 - 2003년
2. 1. 초기 역사
이 지역은 크리족에 의해 ''kistahpinanihk''로 명명되었으며, 이는 "아름다운 곳에 앉아 있는 곳", "위대한 만남의 장소" 또는 "만남의 장소"로 번역된다.[5][6]1776년 피터 폰드가 이 지역에 최초의 무역 기지를 건설했다.[7] 1862년, 허드슨 베이 회사(Hudson's Bay Company)의 앵글로-메티스 직원인 제임스 이즈비스터는 현재 도시가 위치한 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지었다. 1866년까지 이즈비스터 정착지에는 많은 가족들이 합류했다.
1866년 제임스 니즈벳 목사가 크리족을 위한 선교지를 설립하기 위해 도착하면서 지역 사회는 활기를 띠었다. 캐나다 장로교(Canada Presbyterian Church) 목사였던 니즈벳은 1861년에 사망한 빅토리아 여왕의 남편인 알버트 공의 이름을 따서 선교지의 이름을 지었다.[8] 현재 도시의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했다. 1879년 장로교회는 지역 선교 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루시 마가렛 베이커를 데려왔다.[9] 같은 해, 지역 프리메이슨은 현재 서스캐처원주가 된 곳에 첫 번째 로지인 키니스티노 로지 1호를 설립했다.[10] 중앙에 위치한 "The Mission" 정착지와 서쪽에 위치한 "Porter Town"은 현재 프린스 앨버트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모인 두 개의 지역 사회였다.[2] 프린스 앨버트 동쪽의 정착지는 최종적으로 합병되기 전에 고센이라고 불렸지만, 동부 프린스 앨버트는 1924년 지도에도 여전히 나타난다.[2][11]
1884년, 호노레 잭슨과 제임스 이즈비스터는 루이 리엘을 캐나다로 데려오는 운동에 참여했다. 리엘은 1869~1870년에 발생한 레드 리버 반란으로 인한 정치적 망명에서 풀려나 미국에서 돌아왔다. 리엘이 돌아온 지 한 달 후, 500명이 그의 연설을 듣기 위해 모였다.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에서 프린스 앨버트 의용군은 덕 호수 전투에서 가장 큰 사상자를 냈다. 주변 정착민들은 가브리엘 뒤몽의 공격을 두려워하여 프린스 앨버트에 급하게 임시로 세운 울타리 안에서 노스웨스트 기마 경찰과 함께 피난했다. 바토쉬 전투 이후, 프레데릭 미들턴 소장은 도시를 구원하기 위해 프린스 앨버트로 진군했다. 인구 약 800명의 프린스 앨버트는 토마스 맥케이 초대 시장 아래 같은 해에 타운으로 통합되었다.[12]
1904년, 이 정착지는 프린스 앨버트 시로 통합되었으며, 시 정부는 시의회-시장 형태이다. 프린스 앨버트는 당시 노스웨스트 준주를 구성하는 지역 행정 구역인 서스캐처원 지구의 수도였다. 서스캐처원 지구는 1882년 5월 8일에 설립되었고, 프린스 앨버트를 수도로 지정했다.[13] 이는 1905년 서스캐처원이 주로 승격되고 레지나가 새로운 주도로 지정되면서 끝났다.
프린스 앨버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 또는 서스캐처원 연방 교도소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 후보 중 하나였다. 대학교는 서스캐툰에, 교도소는 1911년 프린스 앨버트에 건설되었다.[14]
프린스 앨버트 연방 선거구는 세 명의 캐나다 총리가 대표했는데, 그들은 다음과 같다.
- 존 디펜베이커, 제13대 총리(1957–1963)는 1940년 레이크 센터의 국회의원이 되었고, 1952년 해당 선거구가 폐지되면서 1953년부터 1979년 사망할 때까지 프린스 앨버트를 대표했다.[15]
- 윌리엄 라이언 맥켄지 킹 제10대 총리는 1926년부터 1945년까지 프린스 앨버트를 대표했다.[16]
- 윌프리드 로리에 경, 제7대 총리는 1896년 서스캐처원 임시 지구(여전히 노스웨스트 준주의 일부)에서 프린스 앨버트를 대표했으며, 그해 늦게 퀘벡 동부 선거구로 돌아갔다.[17]
2. 2. 이즈비스터 정착지
1862년, 허드슨 베이 회사의 앵글로-메티스 직원이었던 제임스 이즈비스터는 가족과 함께 레드 강에서 칼프 힐스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는 현재의 프린스앨버트 시에서 북쪽으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정착지를 건설했다. 이즈비스터는 칼프 힐스에 정착한 최초의 정착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이즈비스터의 정착은 칼프 힐스 지역에 유럽계 정착민들이 유입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농업과 무역을 통해 지역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정착지는 이후 프린스앨버트 시의 기원이 되었다. 이즈비스터는 지역 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메티스와 유럽계 정착민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도 힘썼다.2. 3. 선교 활동과 도시의 성장
크리족은 이 지역을 "kistahpinanihk"(키스타피나니크)라고 불렀는데, 이는 "아름다운 곳에 앉아 있는 곳", "위대한 만남의 장소" 또는 "만남의 장소"로 번역된다.[5][6]1776년 피터 폰드가 이 지역에 최초의 무역 기지를 건설했다.[7] 1862년에는 허드슨 베이 회사의 앵글로-메티스 직원인 제임스 이즈비스터가 현재 도시가 위치한 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지었다. 1866년까지 이즈비스터 정착지에는 많은 가족들이 합류했다.
1866년 캐나다 장로교 목사인 제임스 니즈벳 목사가 크리족을 위한 선교지를 설립하면서 지역 사회는 활기를 띠게 되었다. 니즈벳은 1861년 사망한 빅토리아 여왕의 남편인 알버트 공의 이름을 따서 선교지의 이름을 지었으며,[8] 이것이 현재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1879년, 장로교회는 지역 선교 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루시 마가렛 베이커를 파견했다.[9] 같은 해에 지역 프리메이슨은 현재 서스캐처원주가 된 곳에 키니스티노 로지 1호를 설립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0] 중앙에 위치한 "The Mission" 정착지와 서쪽에 위치한 "Porter Town"은 현재 프린스 앨버트를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 두 개의 지역 사회였다.[2] 프린스 앨버트 동쪽의 정착지는 최종적으로 합병되기 전에 고센이라고 불렸지만, 동부 프린스 앨버트는 1924년 지도에도 여전히 나타난다.[2][11]
2. 4. 노스웨스트 반란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 당시 프린스앨버트는 정부군의 주요 기지 역할을 했다.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의용군은 로스트레이크 전투와 배틀퍼드 구출 작전에 참여했다. 반란 진압 후에는 루이 리엘 재판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2. 5. 서스캐처원 지구의 수도
프린스 앨버트는 한때 서스캐처원 지구의 수도였다. 이 시기에 프린스 앨버트는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2. 6. 20세기
프린스앨버트는 20세기 초 서스캐처원 대학교를 유치하기 위해 리자이나, 새스커툰과 경쟁했다. 1907년 서스캐처원 대학교는 새스커툰에 설립되었고, 프린스앨버트는 연방 교도소를 유치하는 데 집중했다. 1911년, 프린스앨버트는 연방 교도소 건설지로 선정되었다.20세기 동안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프린스앨버트에서 하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나중에 캐나다의 총리가 되었다. 그는 캐나다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2. 7. 왕족 방문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왕족의 다음 구성원들을 환영했다.- 마거릿 공주 - 1958년 및 1980년
- 요크 공작 및 요크 공작 부인(앤드루 왕자 및 세라) - 1989년
- 웨섹스 백작(에드워드 왕자) - 2003년
3. 지리
프린스앨버트는 서스캐처원 강 저지대의 화이트 폭스 평원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저지대는 중앙 저지대 지방의 서스캐처원 평원 지역의 지형에 위치한다.[18] 프린스앨버트의 자연 식생은 남쪽의 사시나무 공원과 북쪽의 노스 서스캐처원 강 북쪽의 남부 보레알 숲으로 나뉜다.[18] 북부의 산림 토양은 브루니솔릭과 모래질이며, 강 남쪽에는 검은 체르노젬 토양이 있다.[18]
노스 서스캐처원 강이 프린스앨버트의 중앙을 가로지른다. 시의 주요 토양은 계곡 복합체의 토양으로, 주로 레고솔릭 토양으로 구성되어 숲과 초원의 복합적인 식생을 이룬다.[18] 이곳은 서스캐처원의 수목 한계선이 시작되는 지점이며, 도시 북쪽에는 잭 소나무 ''(Pinus banksiana)'' 숲과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 니스베트 주립 삼림의 보레알 숲이 펼쳐진다. 특히 잭 파인이 많은 도시 북쪽 숲은 왜성 겨우살이에 감염되어 이를 막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8]
프린스앨버트 주변 농경지는 약 35%가 습지나 물웅덩이로 덮여 있어 제약이 있다. 레드 디어 힐 크릭과 맥팔레인 크릭 같은 하천은 사우스 서스캐처원 강으로 흘러간다. 과거에는 이 하천들이 말라 농부들이 건초를 벨 수 있었지만, 최근 겨울철 유출과 지하수위 상승으로 수로가 자주 범람한다.[18] 토지 이용은 도시 북쪽의 남부 삼림 지역과 남쪽의 경작지로 나뉜다.[18]
제4기 빙하 지질학에 따르면 이 지역은 애거시 호수로 덮였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해안선은 도시 북동쪽의 내로 힐스 주립공원 "에스커 트레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에서는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셸 강 강둑에서는 제4기 이매패류 연체동물 껍질층이 관찰되며, 2014년 셸 강 지역의 서스캐처원 폴리텍 학생들은 아메리카 들소 척추뼈와 뼈 조각을 발견하기도 했다. 러브 인근에서는 굴, 조개, 산호 등 다양한 해양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9] 기반암 지질은 현생대 분지의 일부이며 리 파크와 밀크 리버 지층에 속한다.[18]
도시 인구와 상업 지구는 대부분 강 남쪽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 산업 시설, 공항 등이 일부 공원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노스새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하며, 남쪽은 비옥한 농경지, 북쪽은 타이가 지대로 이어진다.
3. 1. 지형
프린스앨버트는 서스캐처원 강 저지대의 화이트 폭스 평원에 위치해 있다. 이 저지대는 중앙 저지대 지방의 서스캐처원 평원 지역의 지형 지역에 위치한다.[18] 자연 식생은 남쪽의 사시나무 공원과 북쪽의 노스 서스캐처원 강 북쪽의 남부 보레알 숲으로 구성된다.[18] 두 개의 생태 지역은 서로 다른 토양 유형을 가지고 있다. 북부의 산림 토양은 브루니솔릭과 모래질이며, 강 남쪽에는 검은 체르노젬 토양이 있다.[18] 노스 서스캐처원 강이 프린스앨버트의 중앙을 흐른다. 프린스앨버트 시의 주요 토양은 계곡 복합체의 토양으로, 주로 레고솔릭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숲도 초원도 아닌 복합적인 자연 식생을 생성한다.[18] 이곳은 서스캐처원의 수목 한계선이 시작되는 곳이며, 도시 북쪽에는 잭 소나무''((Pinus banksiana))''의 산림 성장과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 및 니스베트 숲의 다른 보레알 숲 성장이 시작된다. 도시 북쪽의 숲, 특히 잭 파인이 포함된 숲은 왜성 겨우살이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 기생 식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왔다.[18]프린스앨버트 주변의 농업 토양에는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으며, 토지의 약 35%가 습지나 물웅덩이로 덮여 있다. 레드 디어 힐 크릭과 맥팔레인 크릭과 같은 하천 시스템은 사우스 서스캐처원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과거에는 이러한 하천이 말라 농부들이 건초를 베어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양의 겨울철 유출과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수로가 넘쳐흐르고 있다.[18] 토지 사용은 프린스앨버트 북쪽의 남부 삼림 지역과 남쪽의 경작지로 나뉜다.[18]
제4기 빙하 지질학은 이 지역이 선사 시대 빙하 호수인 애거시 호수로 덮였을 가능성을 배제한다. 고대 해안선은 도시 북동쪽에 있는 내로 힐스 주립공원의 "에스커 트레일"을 따라 볼 수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셸 강의 강둑을 따라 제4기 이매패류 연체동물 껍질을 포함하는 층을 관찰할 수 있으며, 2014년에는 셸 강 지역의 서스캐처원 폴리텍에 다니는 지역 대학생들이 들소의 척추뼈와 뼈 조각을 발견했다. 다양한 지역(특히 침식된 강둑)에서 들소 두개골 및 기타 다양한 유형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브라는 작은 마을 근처의 도시 동쪽에서 화석 매트릭스에 섞여 있는 굴, 조개, 산호 및 기타 무척추 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해양 화석도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 기반암 지질은 현생대 분지의 일부이며 리 파크와 밀크 리버 지층에 속한다.[18]
도시 인구와 상업 지역의 대부분은 강의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몇몇 지역, 산업 지역, 공항(일부 공원 포함)만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노스새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하며, 남부는 비옥하고 농경에 적합한 토지이고, 그 북쪽에는 타이가가 펼쳐져 있다.
3. 2. 식생
프린스앨버트는 서스캐처원 강 저지대의 화이트 폭스 평원에 위치해 있다. 이 저지대는 중앙 저지대 지방의 서스캐처원 평원 지역의 지형 지역에 위치한다.[18]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은 남쪽의 사시나무 공원과 북쪽의 노스 서스캐처원 강 북쪽의 남부 보레알 숲으로 구성된다.[18] 이 두 개의 생태 지역은 서로 다른 토양 유형을 가지고 있다. 북부의 산림 토양은 브루니솔릭과 모래질이며, 강 남쪽에는 검은 체르노젬 토양이 있다.[18] 노스 서스캐처원 강이 프린스앨버트의 중앙을 흐른다.프린스앨버트 시의 주요 토양은 계곡 복합체의 토양으로, 주로 레고솔릭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숲도 초원도 아닌 복합적인 자연 식생을 생성한다.[18] 이곳은 서스캐처원의 수목 한계선이 시작되는 곳이며, 도시 북쪽에는 잭 소나무 ''(Pinus banksiana)''의 산림 성장과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 및 니스베트 숲의 다른 보레알 숲 성장이 시작된다. 도시 북쪽의 숲, 특히 잭 파인이 포함된 숲은 왜성 겨우살이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 기생 식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왔다.[18]
프린스앨버트 주변의 농업 토양에는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으며, 토지의 약 35%가 습지나 물웅덩이로 덮여 있다. 레드 디어 힐 크릭과 맥팔레인 크릭과 같은 하천 시스템은 사우스 서스캐처원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과거에는 이러한 하천이 말라 농부들이 건초를 베어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양의 겨울철 유출과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수로가 넘쳐흐르고 있다.[18] 토지 사용은 프린스앨버트 북쪽의 남부 삼림 지역과 남쪽의 경작지로 나뉜다.[18]
제4기 빙하 지질학은 이 지역이 선사 시대 빙하 호수인 애거시 호수로 덮였을 가능성을 배제한다. 고대 해안선은 도시 북동쪽에 있는 내로 힐스 주립공원의 "에스커 트레일"을 따라 볼 수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셸 강의 강둑을 따라 제4기 이매패류 연체동물 껍질을 포함하는 층을 관찰할 수 있으며, 2014년에는 셸 강 지역의 서스캐처원 폴리텍에 다니는 지역 대학생들이 들소의 척추뼈와 뼈 조각을 발견했다. 다양한 지역(특히 침식된 강둑)에서 들소 두개골 및 기타 다양한 유형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브라는 작은 마을 근처의 도시 동쪽에서 화석 매트릭스에 섞여 있는 굴, 조개, 산호 및 기타 무척추 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해양 화석도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 기반암 지질은 현생대 분지의 일부이며 리 파크와 밀크 리버 지층에 속한다.[18]
도시 인구와 상업 지역의 대부분은 강의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몇몇 지역, 산업 지역, 공항(일부 공원 포함)만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노스새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하며, 남부는 비옥하고 농경에 적합한 토지이고, 그 북쪽에는 타이가가 펼쳐져 있다.
3. 3. 토양
프린스앨버트는 노스새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해 있다. 강의 남쪽은 비옥하고 농경에 적합한 검은 체르노젬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 북쪽으로는 타이가의 산림 토양이 펼쳐져 있다.3. 4. 수계
프린스앨버트는 노스 서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해 있다. 도시의 남쪽은 비옥하고 농경에 적합한 토지이며, 북쪽으로는 타이가 지대가 펼쳐져 있다.3. 5. 지질
프린스앨버트는 서스캐처원 강 저지대의 화이트 폭스 평원에 위치한다. 이 저지대는 중앙 저지대 지방의 서스캐처원 평원 지역의 지형 지역에 속한다.[18] 자연 식생은 남쪽의 사시나무 공원과 북쪽의 노스 서스캐처원 강 북쪽의 남부 보레알 숲으로 구성된다.[18] 이 두 생태 지역은 서로 다른 토양 유형을 가지고 있는데, 북부의 산림 토양은 브루니솔릭과 모래질이며, 강 남쪽에는 검은 체르노젬 토양이 있다.[18] 노스 서스캐처원 강이 프린스앨버트의 중앙을 흐른다. 시의 주요 토양은 계곡 복합체의 토양으로, 주로 레고솔릭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숲도 초원도 아닌 복합적인 자연 식생을 생성한다.[18] 이곳은 서스캐처원의 수목 한계선이 시작되는 곳이며, 도시 북쪽에는 잭 소나무 ''(Pinus banksiana)''의 산림 성장과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 및 니스베트 주립 삼림의 다른 보레알 숲 성장이 시작된다. 도시 북쪽의 숲, 특히 잭 파인이 포함된 숲은 왜성 겨우살이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 기생 식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왔다.[18] 프린스앨버트 주변의 농업 토양에는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으며, 토지의 약 35%가 습지나 물웅덩이로 덮여 있다. 레드 디어 힐 크릭과 맥팔레인 크릭과 같은 하천 시스템은 사우스 서스캐처원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과거에는 이러한 하천이 말라 농부들이 건초를 베어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양의 겨울철 유출과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수로가 넘쳐흐르고 있다.[18] 토지 사용은 프린스앨버트 북쪽의 남부 삼림 지역과 남쪽의 경작지로 나뉜다.[18]제4기 빙하 지질학적으로 이 지역은 애거시 호수로 덮였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해안선은 도시 북동쪽에 있는 내로 힐스 주립공원의 "에스커 트레일"을 따라 볼 수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셸 강의 강둑을 따라 제4기 이매패류 연체동물 껍질을 포함하는 층을 관찰할 수 있으며, 2014년에는 셸 강 지역의 서스캐처원 폴리텍에 다니는 지역 대학생들이 아메리카 들소의 척추뼈와 뼈 조각을 발견했다. 다양한 지역(특히 침식된 강둑)에서 들소 두개골 및 기타 다양한 유형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브라는 작은 마을 근처의 도시 동쪽에서 화석 매트릭스에 섞여 있는 굴, 조개, 산호 및 기타 무척추 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해양 화석도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 기반암 지질은 현생대 분지의 일부이며 리 파크와 밀크 리버 지층에 속한다.[18]
도시 인구와 상업 지역의 대부분은 강의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몇몇 지역, 산업 지역, 공항(일부 공원 포함)만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노스새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하며, 남부는 비옥하고 농경에 적합한 토지이고, 그 북쪽에는 타이가가 펼쳐져 있다.
4. 기후
프린스앨버트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띈다. 5월과 9월의 평균 기온이 10°C를 약간 넘어서 아한대 기후(''Dfc'')에 가까운 기후를 보인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22.8°C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24.2°C이다. 프린스앨버트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1941년 7월 19일에 39.4°C였고[20], 최저 기온은 1893년 2월 1일에 -56.7°C였다.[21] 겨울은 1년 중 5개월 동안 지속되며, 1월의 일 평균 기온은 -17.2°C로, 7월의 평균 기온인 17.9°C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보인다. 기후의 변동성은 4월에 32°C 이상과 -33°C 이하를 기록하는 짧은 과도기에서도 나타난다.
프린스앨버트 공항에서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연간 강수량은 427.7 mm이다. 월별 강수량은 1월 16.2 mm, 2월 11.8 mm, 3월 18.1 mm, 4월 27.4 mm, 5월 44.7 mm, 6월 68.6 mm, 7월 76.6 mm, 8월 61.6 mm, 9월 43.4 mm, 10월 26.1 mm, 11월 16.6 mm, 12월 16.7 mm이다.[61][62][63][64] 연간 강우량은 327.2 mm이며, 월별 강우량은 1월 0.6 mm, 2월 0.1 mm, 3월 1.4 mm, 4월 17.3 mm, 5월 41.5 mm, 6월 68.6 mm, 7월 76.6 mm, 8월 61.6 mm, 9월 41.9 mm, 10월 14.7 mm, 11월 2.4 mm, 12월 0.7 mm이다. 연간 강설량은 113.9 cm이며, 월별 강설량은 1월 19.4 cm, 2월 13.6 cm, 3월 19.2 cm, 4월 10.5 cm, 5월 3.1 cm, 6월 0.0 cm, 7월 0.0 cm, 8월 0.0 cm, 9월 1.5 cm, 10월 11.6 cm, 11월 16.3 cm, 12월 18.8 cm이다. 강수일은 연간 121.3일 (0.2 mm 이상), 강우일은 연간 74.8일 (0.2 mm 이상), 강설일은 연간 54.7일 (0.2 cm 이상)이다.
프린스앨버트 공항에서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도 참고할 수 있다. 연간 강수량은 432.3 mm이며, 월별 강수량은 1월 18.6 mm, 2월 11.5 mm, 3월 14.5 mm, 4월 27.7 mm, 5월 43.1 mm, 6월 86.4 mm, 7월 77.2 mm, 8월 50.4 mm, 9월 41.9 mm, 10월 29.7 mm, 11월 16.0 mm, 12월 15.5 mm이다.[22][23][24][21][20] 연간 강우량은 344.3 mm, 월별 강우량은 1월 0.3 mm, 2월 0.1 mm, 3월 1.7 mm, 4월 19.2 mm, 5월 40.3 mm, 6월 86.4 mm, 7월 79.0 mm, 8월 51.2 mm, 9월 41.5 mm, 10월 21.6 mm, 11월 2.5 mm, 12월 0.6 mm이다. 연간 강설량은 111.5 cm이고, 월별 강설량은 1월 23.4 cm, 2월 14.4 cm, 3월 15.3 cm, 4월 10.2 cm, 5월 2.1 cm, 6월 0.0 cm, 7월 0.0 cm, 8월 0.0 cm, 9월 0.3 cm, 10월 9.9 cm, 11월 16.1 cm, 12월 19.9 cm이다. 강수일은 연간 118.4일 (0.2 mm 이상), 강우일은 연간 74.2일 (0.2 mm 이상), 강설일은 연간 55.3일 (0.2 cm 이상)이다.
월별 평균 습도는 1월 70.0%, 2월 65.5%, 3월 60.4%, 4월 47.4%, 5월 40.9%, 6월 51.0%, 7월 54.1%, 8월 50.8%, 9월 51.0%, 10월 58.3%, 11월 71.3%, 12월 73.8%이며, 연 평균 습도는 57.9%이다. 습도 측정 시간은 오후 3시(LST) 기준이다.
월별 일조 시간은 1월 93.9시간, 2월 126.5시간, 3월 175.9시간, 4월 225.1시간, 5월 269.2시간, 6월 275.0시간, 7월 297.7시간, 8월 289.7시간, 9월 187.1시간, 10월 136.1시간, 11월 78.0시간, 12월 74.7시간이며,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229.0시간이다. 월별 일조율은 1월 37.2%, 2월 45.7%, 3월 47.9%, 4월 53.8%, 5월 54.8%, 6월 54.3%, 7월 58.5%, 8월 63.3%, 9월 49.0%, 10월 41.3%, 11월 29.9%, 12월 31.6%이며, 연간 일조율은 47.3%이다.
4. 1. 기온
프린스앨버트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보인다. 5월과 9월의 평균 기온이 10 °C를 약간 넘어서 아한대 기후(''Dfc'')에 가까운 기후를 보인다. 평균적으로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22.8 °C이고, 7월은 가장 더운 달로 평균 최고 기온은 24.2 °C이다. 프린스앨버트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1941년 7월 19일에 39.4 °C였다.[20] 기록된 최저 기온은 1893년 2월 1일에 -56.7 °C였다.[21] 겨울은 1년 중 5개월 동안 지속되며, 1월의 일 평균 기온은 -17.2 °C로, 7월의 평균 기온인 17.9 °C와 비교할 때 큰 온도 진폭을 보인다. 기후의 변동성은 4월에 각각 32 °C 이상과 -33 °C 이하를 기록하는 짧은 과도기에서도 잘 나타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일 최고기온 (°C) | -11.6 | -7.9 | -1.4 | 9.1 | 17.3 | 21.5 | 24.2 | 23.4 | 17.6 | 8.5 | -2.0 | -9.2 | 7.4 |
일 평균기온 (°C) | -17.2 | -14.1 | -7.4 | 2.7 | 10.1 | 15.2 | 17.9 | 16.7 | 10.9 | 3.1 | -6.5 | -14.4 | 1.4 |
일 최저기온 (°C) | -22.8 | -20.3 | -13.4 | -3.8 | 2.7 | 8.7 | 11.6 | 9.8 | 4.2 | -2.4 | -10.9 | -19.4 | -4.7 |
최고 습도 | 11.7 | 10.6 | 19.4 | 30.8 | 35.1 | 41.3 | 41.8 | 40.6 | 36.0 | 29.9 | 18.5 | 8.3 | 41.8 |
기록 최고기온 (°C) | 12.8 | 12.8 | 20.0 | 32.2 | 35.6 | 38.8 | 39.4 | 36.7 | 36.1 | 30.6 | 19.4 | 11.1 | 39.4 |
기록 최저기온 (°C) | -55.0 | -56.7 | -45.6 | -33.9 | -16.1 | -4.4 | 0.6 | -5.6 | -15.6 | -26.1 | -45.0 | -49.4 | -56.7 |
체감온도 | -59.7 | -57.9 | -50.0 | -43.1 | -18.3 | -9.2 | 0.0 | -3.2 | -16.0 | -28.2 | -49.7 | -54.1 | -59.7 |
강수량 (mm) | 18.6 | 11.5 | 14.5 | 27.7 | 43.1 | 86.4 | 77.2 | 50.4 | 41.9 | 29.7 | 16.0 | 15.5 | 432.3 |
강우량 (mm) | 0.3 | 0.1 | 1.7 | 19.2 | 40.3 | 86.4 | 79.0 | 51.2 | 41.5 | 21.6 | 2.5 | 0.6 | 344.3 |
강설량 (cm) | 23.4 | 14.4 | 15.3 | 10.2 | 2.1 | 0.0 | 0.0 | 0.0 | 0.3 | 9.9 | 16.1 | 19.9 | 111.5 |
강수일수 | 10.6 | 7.6 | 7.6 | 8.7 | 10.0 | 13.3 | 13.7 | 10.0 | 9.4 | 9.4 | 8.4 | 9.5 | 118.4 |
강우일수 | 0.5 | 0.3 | 2.0 | 6.1 | 9.9 | 13.3 | 13.8 | 10.1 | 9.2 | 7.3 | 1.2 | 0.6 | 74.2 |
강설일수 | 11.7 | 9.1 | 7.1 | 4.3 | 0.9 | 0.0 | 0.0 | 0.0 | 0.3 | 2.8 | 8.0 | 11.1 | 55.3 |
상대 습도 (%) | 70.0 | 65.5 | 60.4 | 47.4 | 40.9 | 51.0 | 54.1 | 50.8 | 51.0 | 58.3 | 71.3 | 73.8 | 57.9 |
일조시간 | 93.9 | 126.5 | 175.9 | 225.1 | 269.2 | 275.0 | 297.7 | 289.7 | 187.1 | 136.1 | 78.0 | 74.7 | 2229.0 |
일조율 (%) | 37.2 | 45.7 | 47.9 | 53.8 | 54.8 | 54.3 | 58.5 | 63.3 | 49.0 | 41.3 | 29.9 | 31.6 | 47.3 |
출처: 캐나다 환경 기후 변화(일조량 1981–2010)[22][23][24][21][20]
4. 2. 강수량
프린스앨버트의 강수 패턴은 다음과 같다. 프린스앨버트 공항에서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강수량, 그리고 1884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61][62][63][64]- 연간 강수량: 427.7 mm
- 월별 강수량:
- * 1월: 16.2 mm
- * 2월: 11.8 mm
- * 3월: 18.1 mm
- * 4월: 27.4 mm
- * 5월: 44.7 mm
- * 6월: 68.6 mm
- * 7월: 76.6 mm
- * 8월: 61.6 mm
- * 9월: 43.4 mm
- * 10월: 26.1 mm
- * 11월: 16.6 mm
- * 12월: 16.7 mm
- 연간 강우량: 327.2 mm
- 월별 강우량:
- * 1월: 0.6 mm
- * 2월: 0.1 mm
- * 3월: 1.4 mm
- * 4월: 17.3 mm
- * 5월: 41.5 mm
- * 6월: 68.6 mm
- * 7월: 76.6 mm
- * 8월: 61.6 mm
- * 9월: 41.9 mm
- * 10월: 14.7 mm
- * 11월: 2.4 mm
- * 12월: 0.7 mm
- 연간 강설량: 113.9 cm
- 월별 강설량:
- * 1월: 19.4 cm
- * 2월: 13.6 cm
- * 3월: 19.2 cm
- * 4월: 10.5 cm
- * 5월: 3.1 cm
- * 6월: 0.0 cm
- * 7월: 0.0 cm
- * 8월: 0.0 cm
- * 9월: 1.5 cm
- * 10월: 11.6 cm
- * 11월: 16.3 cm
- * 12월: 18.8 cm
- 강수일: 연간 121.3일 (0.2 mm 이상)
- 강우일: 연간 74.8일 (0.2 mm 이상)
- 강설일: 연간 54.7일 (0.2 cm 이상)
프린스앨버트 공항에서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강수량, 그리고 1884년부터 현재까지의 극한값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22][23][24][21][20]
- 연간 강수량: 432.3 mm
- 월별 강수량:
- * 1월: 18.6 mm
- * 2월: 11.5 mm
- * 3월: 14.5 mm
- * 4월: 27.7 mm
- * 5월: 43.1 mm
- * 6월: 86.4 mm
- * 7월: 77.2 mm
- * 8월: 50.4 mm
- * 9월: 41.9 mm
- * 10월: 29.7 mm
- * 11월: 16.0 mm
- * 12월: 15.5 mm
- 연간 강우량: 344.3 mm
- 월별 강우량:
- * 1월: 0.3 mm
- * 2월: 0.1 mm
- * 3월: 1.7 mm
- * 4월: 19.2 mm
- * 5월: 40.3 mm
- * 6월: 86.4 mm
- * 7월: 79.0 mm
- * 8월: 51.2 mm
- * 9월: 41.5 mm
- * 10월: 21.6 mm
- * 11월: 2.5 mm
- * 12월: 0.6 mm
- 연간 강설량: 111.5 cm
- 월별 강설량:
- * 1월: 23.4 cm
- * 2월: 14.4 cm
- * 3월: 15.3 cm
- * 4월: 10.2 cm
- * 5월: 2.1 cm
- * 6월: 0.0 cm
- * 7월: 0.0 cm
- * 8월: 0.0 cm
- * 9월: 0.3 cm
- * 10월: 9.9 cm
- * 11월: 16.1 cm
- * 12월: 19.9 cm
- 강수일: 연간 118.4일 (0.2 mm 이상)
- 강우일: 연간 74.2일 (0.2 mm 이상)
- 강설일: 연간 55.3일 (0.2 cm 이상)
4. 3. 습도 및 일조량
프린스앨버트의 월별 평균 습도는 다음과 같다. 1월 70.0%, 2월 65.5%, 3월 60.4%, 4월 47.4%, 5월 40.9%, 6월 51.0%, 7월 54.1%, 8월 50.8%, 9월 51.0%, 10월 58.3%, 11월 71.3%, 12월 73.8%이며, 연 평균 습도는 57.9%이다. 습도 측정 시간은 오후 3시(LST) 기준이다.프린스앨버트의 월별 일조 시간은 다음과 같다. 1월 93.9시간, 2월 126.5시간, 3월 175.9시간, 4월 225.1시간, 5월 269.2시간, 6월 275.0시간, 7월 297.7시간, 8월 289.7시간, 9월 187.1시간, 10월 136.1시간, 11월 78.0시간, 12월 74.7시간이며,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229.0시간이다.[22][23][24][21][20] 월별 일조율은 1월 37.2%, 2월 45.7%, 3월 47.9%, 4월 53.8%, 5월 54.8%, 6월 54.3%, 7월 58.5%, 8월 63.3%, 9월 49.0%, 10월 41.3%, 11월 29.9%, 12월 31.6%이며, 연간 일조율은 47.3%이다.
5. 인구
프린스앨버트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캐나다 통계청의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린스앨버트의 인구는 2016년 35,926명에서 5.1% 증가하여 37,756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중 14,308가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총 가구 수는 15,490가구이다. 시의 면적은 67.17km2이며, 인구 밀도는 562.1명/km2이다.[25]
프린스앨버트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01 | 1785 |
1911 | 6254 |
1921 | 7558 |
1931 | 9905 |
1941 | 12299 |
1951 | 17149 |
1961 | 24168 |
1971 | 28464 |
1981 | 31380 |
1991 | 34181 |
1996 | 34771 |
2001 | 34291 |
2006 | 34138 |
2011 | 35129 |
2016 | 35926 |
2021 | 37756 |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원주민 인구 비율이 높은 도시 중 하나로, 44.65%를 차지한다.[26] 다양한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범민족 그룹 | 2021[26] | 2016[27] | 2011[28] | 2006[29] | 2001[30] | |||||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
원주민 | 16,120 | 44.65% | 14,830 | 42.44% | 13,930 | 40.83% | 12,140 | 36.29% | 10,180 | 30.45% |
유럽계 | 15,765 | 43.66% | 17,280 | 49.45% | 19,210 | 55.89% | 20,420 | 61.04% | 22,640 | 67.72% |
동남아시아인 | 1,750 | 4.85% | 1,250 | 3.58% | 395 | 1.16% | 115 | 0.34% | 140 | 0.42% |
남아시아 | 1,045 | 2.90% | 660 | 1.89% | 170 | 0.50% | 165 | 0.49% | 100 | 0.30% |
아프리카 | 805 | 2.23% | 475 | 1.36% | 190 | 0.56% | 165 | 0.49% | 120 | 0.36% |
동아시아 | 210 | 0.58% | 180 | 0.52% | 235 | 0.69% | 250 | 0.74% | 115 | 0.34% |
중동 | 170 | 0.47% | 120 | 0.34% | 35 | 0.10% | 95 | 0.28% | 15 | 0.04% |
라틴 아메리카 | 155 | 0.43% | 75 | 0.21% | 50 | 0.15% | 85 | 0.25% | 100 | 0.30% |
기타/다민족 | 60 | 0.17% | 90 | 0.26% | 0 | 0.00% | 10 | 0.03% | 20 | 0.06% |
총 응답 | 36,105 | 95.63% | 34,945 | 97.27% | 34,270 | 97.55% | 33,445 | 97.97% | 33,430 | 97.49% |
총 인구 | 37,756 | 100.00% | 35,926 | 100.00% | 35,129 | 100.00% | 34,138 | 100.00% | 34,291 | 100.00% |
참고: 여러 출신에 대한 응답으로 인해 총계가 100%를 초과합니다. |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린스앨버트 거주자의 58.8%는 기독교를 믿고, 36.1%는 종교가 없거나 세속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26]
25세 이상 거주자의 경우 82.7%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55.3%는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자격증, 졸업장 또는 학위가 없는 경우는 17.3%이다.
5. 1. 인구 추이
1901년부터의 프린스앨버트의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
1901년: 1,785명
1911년: 6,254명
1921년: 7,558명
1931년: 9,905명
1941년: 12,299명
1951년: 17,149명
1961년: 24,168명
1971년: 28,464명
1981년: 31,380명
1991년: 34,181명
1996년: 34,771명
2001년: 34,291명
2006년: 34,138명
2011년: 35,129명
2016년: 35,926명
2021년: 37,756명
캐나다 통계청에서 실시한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린스 앨버트의 인구는 총 15,490가구 중 14,308가구에 거주하는 37,756명으로, 2016년 인구 35,926명에서 5.1% 증가했다. 면적 67.17km2인 이 지역의 2021년 인구 밀도는 562.1명/km2이었다.[25]
25세 이상 거주자의 경우 82.7%가 고등학교 졸업장(또는 동등)을, 55.3%가 대학교 졸업장을, 17.3%가 자격증, 졸업장 또는 학위가 없다.
5. 2. 인구 조사 결과
프린스앨버트의 인구 역사:연도 | 인구 |
---|---|
1901 | 1785 |
1911 | 6254 |
1921 | 7558 |
1931 | 9905 |
1941 | 12299 |
1951 | 17149 |
1961 | 24168 |
1971 | 28464 |
1981 | 31380 |
1991 | 34181 |
1996 | 34771 |
2001 | 34291 |
2006 | 34138 |
2011 | 35129 |
2016 | 35926 |
2021 | 37756 |
캐나다 통계청에서 실시한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린스 앨버트의 인구는 총 15,490가구 중 14,308가구에 거주하는 37,756명으로, 2016년 인구 35,926명에서 5.1% 증가했다. 면적 67.17km2인 이 지역의 2021년 인구 밀도는 562.1명/km2이었다.[25]
25세 이상 거주자의 경우 82.7%가 고등학교 졸업장(또는 동등)을, 55.3%가 대학교 졸업장을, 17.3%가 자격증, 졸업장 또는 학위가 없다.
5. 3. 민족 구성
프린스 앨버트는 캐나다 도시 중 원주민 인구 비율이 44.65%로 높은 편에 속한다.[26]범민족 그룹 | 2021[26] | 2016[27] | 2011[28] | 2006[29] | 2001[30] | |||||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인구 | 백분율 | |
원주민 | 16,120 | 44.65% | 14,830 | 42.44% | 13,930 | 40.83% | 12,140 | 36.29% | 10,180 | 30.45% |
유럽계 | 15,765 | 43.66% | 17,280 | 49.45% | 19,210 | 55.89% | 20,420 | 61.04% | 22,640 | 67.72% |
동남아시아인 | 1,750 | 4.85% | 1,250 | 3.58% | 395 | 1.16% | 115 | 0.34% | 140 | 0.42% |
남아시아 | 1,045 | 2.90% | 660 | 1.89% | 170 | 0.50% | 165 | 0.49% | 100 | 0.30% |
아프리카 | 805 | 2.23% | 475 | 1.36% | 190 | 0.56% | 165 | 0.49% | 120 | 0.36% |
동아시아 | 210 | 0.58% | 180 | 0.52% | 235 | 0.69% | 250 | 0.74% | 115 | 0.34% |
중동 | 170 | 0.47% | 120 | 0.34% | 35 | 0.10% | 95 | 0.28% | 15 | 0.04% |
라틴 아메리카 | 155 | 0.43% | 75 | 0.21% | 50 | 0.15% | 85 | 0.25% | 100 | 0.30% |
기타/다민족 | 60 | 0.17% | 90 | 0.26% | 0 | 0.00% | 10 | 0.03% | 20 | 0.06% |
총 응답 | 36,105 | 95.63% | 34,945 | 97.27% | 34,270 | 97.55% | 33,445 | 97.97% | 33,430 | 97.49% |
총 인구 | 37,756 | 100.00% | 35,926 | 100.00% | 35,129 | 100.00% | 34,138 | 100.00% | 34,291 | 100.00% |
참고: 여러 출신에 대한 응답으로 인해 총계가 100%를 초과합니다. |
5. 4. 종교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린스앨버트 거주자의 58.8%가 기독교의 어떤 교파든 기독교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36.1%는 무교이거나 세속적인 신념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26]6. 경제
프린스앨버트는 노스 사스캐처원 강 둑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비옥한 농지가, 북쪽으로는 보레알림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농업, 임업, 관광,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초기에는 대륙 횡단 철도가 에드먼턴 방면으로 건설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남쪽 노선을 선택하면서 성장이 주춤했다.[34] 1914년에는 4개의 철도 지선의 종착역이 되었지만, 계획했던 "북쪽으로 가는 관문"으로서의 역할은 축소되었다. thumb 라 콜 폭포 수력 발전 댐 건설은 산업 유치를 위한 시도였으나,[31] 1927년 시가 파산 직전에 이르러 중단되었다.
1945년 프린스 앨버트 국립공원 설립 이후 관광 산업이 다시 활성화되었다.[34]
최근에는 다이아몬드 광업이 포트 알라 코르네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바이오 연료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은 농업이 발달하여 바이오 연료 기술에 대한 정부 지원에 힘입어 경제 성장이 기대된다. 우라늄 광산과의 근접성 또한 부가가치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서비스 부문도 중요하며, 특히 교도소 시설이 다수 위치해 노동력의 약 11%를 차지한다. 프린스앨버트에는 프린스앨버트 교정 센터, 파인 그로브 교정 센터, 서스캐처원 연방 교도소 등 3개의 교도소가 있으며, 도시 근처에는 조셉 커스터 추장, 키스타피나니크 231 등의 인디언 보호구역이 있다.[42]
임업 산업 역시 프린스앨버트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주 임업 센터가 위치하며, 목재 및 임업 관련 기업과 협회가 활발히 활동 중이다. 프린스앨버트 펄프 회사는 한때 지역 최대 고용주였으나,[33][34] 2006년 웨이어하우저에 의해 폐쇄되었다.[35] 이후 페이퍼 엑셀런스가 인수하여 용해 펄프 공장을 운영하려 했으나,[36] 2014년 다시 폐쇄되었다.
6. 1. "북쪽으로 가는 관문"
프린스앨버트는 노스 사스캐처원 강둑에 위치하며, 남쪽은 비옥한 농지, 북쪽은 보레알림이 펼쳐진 지리적 이점을 가진다. 서스캐처원 주 중앙에 위치하며, 메도우 레이크에 이어 주에서 두 번째로 북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러한 위치 덕분에 "북쪽으로 가는 관문"이라는 별칭을 얻었다.초기에는 대륙 횡단 철도가 에드먼턴까지 북쪽으로 지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았다.[49] 하지만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더 남쪽 노선을 선택하면서 프린스앨버트의 성장은 정체되었다.[34] 1914년까지 4개의 철도 지선이 연결되었지만, 도시가 계획했던 "북쪽으로 가는 거대한 관문"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thumb
산업 유치를 위해 라 콜 폭포에 수력 발전 댐 건설을 시도했으나,[31] 1927년, 도시는 파산 직전에 이르러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1945년 프린스 앨버트 국립공원이 설립되면서 관광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34]
이후 농업, 임업, 관광, 광업, 소매 및 서비스업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총 14만 명의 배후 시장과 플린 플론, 더 파스를 포함하면 1만 2천 명이 추가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이아몬드 광업이 도시 동쪽 포트 알라 코르네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바이오 연료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서스캐처원 북부의 우라늄 광산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우라늄 관련 사업도 주목받고 있다.
정부 서비스 부문도 여전히 중요하며, 프린스앨버트에는 3개의 교도소, 프린스앨버트 교정 센터, 파인 그로브 교정 센터, 서스캐처원 연방 교도소가 있다.
도시에서 20km 이내에는 조셉 커스터 추장, 키스타피나니크 231, 노던 라이츠 220, 머스코데이 99, 와페톤 94B 인디언 보호구역이 위치한다.[42]
임업 또한 지역 경제에 중요한 산업이며, 주 임업 센터가 위치해 있다.
과거 프린스앨버트 펄프 회사는 지역 최대 고용주였으나,[33][34] 2006년 웨이어하우저에 의해 폐쇄되었다.[35] 이후 페이퍼 엑셀런스가 2011년 돔타로부터 인수하여 용해 펄프 공장을 운영할 계획을 세웠으나,[36] 2014년 무기한 폐쇄되었다.
6. 2. 주요 산업
프린스앨버트는 노스 사스캐처원 강 둑에 위치하며, 남쪽에는 비옥한 농지가, 북쪽에는 보레알림이 펼쳐져 있다. 이 도시는 주변 시장과 북부 지역 사회를 위한 농업, 임업, 관광, 광업, 소매 및 서비스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14]thumb
초기에는 대륙 횡단 철도가 에드먼턴까지 북쪽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49]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남쪽 노선을 선택하면서 성장이 둔화되었다.[34] 1914년에는 4개의 철도 지선의 종착역이 되었지만, 계획했던 "북쪽으로 가는 관문" 역할은 축소되었다. 라 콜 폭포 수력 발전 댐 건설은 산업 유치를 위한 시도였으나,[31] 1927년 시가 파산 직전에 이르러 중단되었다. 1945년 프린스 앨버트 국립공원 설립 후 관광 산업이 다시 활성화되었다.[34]
최근에는 다이아몬드 광업이 포트 알라 코르네 지역에서 진행 중이며, 바이오 연료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프린스앨버트 지역은 농업이 발달하여 바이오 연료 기술에 대한 정부 지원에 힘입어 경제 성장이 기대된다. 우라늄 광산과의 근접성 또한 부가가치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서비스 부문도 중요하며, 특히 교도소 시설이 다수 위치해 있다. 또한 도시 근처에는 조셉 커스터 추장, 키스타피나니크 231 등의 인디언 보호구역이 있다.[42]
임업 산업 역시 프린스앨버트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주 임업 센터가 위치하며, 목재 및 임업 관련 기업과 협회가 활발히 활동 중이다. 프린스앨버트 펄프 회사는 한때 지역 최대 고용주였으나,[33][34] 2006년 웨이어하우저에 의해 폐쇄되었다.[35] 이후 페이퍼 엑셀런스가 인수하여 용해 펄프 공장을 운영하려 했으나,[36] 2014년 다시 폐쇄되었다.
6. 3. 정부 서비스
프린스앨버트는 정부 서비스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 부문은 노동력의 약 11%를 차지한다. 프린스앨버트에는 프린스앨버트 교정 센터, 파인 그로브 교정 센터, 서스캐처원 연방 교도소 등 3개의 교도소가 위치해 있다.이 외에도 조셉 커스터 추장, 키스타피나니크 231, 노던 라이츠 220, 머스코데이 99 및 와페톤 94B 인디언 보호구역이 도시에서 20km 이내에 위치한다.[42]
6. 4. 임업
프린스앨버트는 주 임업의 중심지로, 주요 목재 및 임업 관련 기업과 협회들이 위치해 있다.프린스앨버트 펄프 회사는 1968년 개업 이후 지역 내 가장 큰 고용주였으나,[33][34] 2006년 당시 소유주였던 웨이어하우저에 의해 제재소가 폐쇄되었다.[35] 이후 제재소는 매각되었고, 페이퍼 엑셀런스는 2011년 4월 돔타로부터 오랫동안 폐쇄되었던 프린스앨버트 펄프 Inc.를 인수하여 하루 1,000톤을 생산하고 약 250명을 고용하는 용해 펄프 공장을 운영할 계획을 세웠다.[36] 그러나 펄프 제재소는 2014년 8월 29일에 무기한 폐쇄되었고 42명의 직원이 해고되었다.
6. 5. 펄프 산업
프린스앨버트 펄프 회사는 1968년 개업 이후 이 지역의 가장 큰 고용주였다.[33][34] 하지만 2006년 당시 소유주였던 웨이어하우저에 의해 제재소가 폐쇄되었다.[35] 이후 제재소는 매각되었다. 페이퍼 엑셀런스는 2011년 4월 돔타로부터 장기간 폐쇄된 프린스앨버트 펄프 Inc.를 인수하여 하루 1,000톤을 생산하고 약 250명을 고용하는 용해 펄프 공장을 운영할 계획을 세웠다.[36] 그러나 펄프 제재소는 2014년 8월 29일 무기한 폐쇄되었고 42명의 직원이 해고되었다.7. 볼거리
프린스앨버트에는 다양한 볼거리가 존재한다.
문화 유산프린스앨버트에는 3개의 역사 박물관이 있는데, 교육의 진화 박물관과 경찰 및 교정 로터리 박물관은 서스캐처원 2번 고속도로에서 약간 떨어진 관광 안내 센터에 위치한다. 역사 협회 박물관은 리버 스트리트의 센트럴 애비뉴 북쪽 끝에 있는 오래된 소방서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19번가 서쪽 249번지에 위치한 존 G. 디펜베이커 하우스는 일반에 공개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프린스앨버트 헤리티지 박물관(1911년경)은 캐나다 역사 유적지에 등록된 시립 문화 유산이다.[37]
역사 협회 박물관 맞은편에는 디펜베이커의 지역구 사무실 부지가 있지만 일반에 공개되지는 않는다. 프린스앨버트의 다른 문화 유산, 역사 유적 및 보호 구역으로는 1885년 반란의 블록하우스 & 첫 번째 장로교회/학교, 역사적인 성 바울 장로교회, 허니우드(A.J. 포터 박사) 헤리티지 묘목장, 키홀 성, 라콜 폭포 수력 발전 댐, 가장 오래된 시내 상점, 프린스앨버트 예술 센터, 성 알반 순교자 대성당(성공회) 등이 있다.[38] 시내 근처에는 1914년에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진 성심 대성당(로마 가톨릭)이 있으며, 이곳에는 베르톨트 임호프의 그림이 소장되어 있다.[39] 캐나다의 스테인드 글라스 연구소는 프린스앨버트의 6개 건물에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기록했다.[40]
자연 명소 및 기타 볼거리프린스앨버트에서는 자연 현상과 관련된 명소도 찾아볼 수 있다. 도시 남쪽에서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현상인 세인트 루이스 라이트는 많은 방문객이 찾는 곳이다. 포르 드 라 코르네는 프린스앨버트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 제국의 최서단 기지였다(누벨 프랑스 참고).
이 외에도 1930년에 완공되어 결핵 환자를 치료했던 프린스앨버트 요양소,[41] 시내에서 4 km 이내에 위치한 벅랜드 야생동물 관리 구역,[42] 리틀 레드 리버 공원의 킨스멘 스키 & 스노우보드 센터,[43]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 등이 있다. 특히 디펜베이커 하우스는 캐나다 진보 정치의 상징인 존 디펜베이커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장소로, 그의 정치적 철학과 캐나다 복지 시스템에 대한 기여를 엿볼 수 있다.
7. 1. 박물관
프린스앨버트에는 역사, 교육, 경찰/교정 관련 박물관을 포함하여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 교육의 진화 박물관과 경찰 및 교정 로터리 박물관은 서스캐처원 2번 고속도로에서 약간 떨어진 관광 안내 센터에 함께 위치한다. 프린스앨버트 역사 협회 박물관은 리버 스트리트의 센트럴 애비뉴 북쪽 끝에 있는 오래된 소방서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존 G. 디펜베이커 하우스는 19번가 서쪽 249번지에 위치한 역사적인 장소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프린스앨버트 헤리티지 박물관(1911년경)은 캐나다의 역사 유적지로 등록된 시립 문화 유산이다.[37] 역사 협회 박물관 맞은편에는 디펜베이커의 지역구 사무실 부지가 있지만, 일반에 공개되지는 않는다.
그 외 프린스앨버트의 문화 유산, 역사 유적 및 보호 구역으로는 1885년 반란의 블록하우스 & 첫 번째 장로교회/학교, 역사적인 성 바울 장로교회, 허니우드(A.J. 포터 박사) 헤리티지 묘목장, 키홀 성, 라콜 폭포 수력 발전 댐, 가장 오래된 시내 상점, 프린스앨버트 예술 센터, 성 알반 순교자 대성당(성공회) 등이 있다.[38] 시내 근처의 성심 대성당(로마 가톨릭)은 1914년에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베르톨트 임호프의 그림이 소장되어 있다.[39] 캐나다의 스테인드 글라스 연구소는 프린스앨버트의 6개 건물에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기록했다.[40]
다른 볼거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세인트 루이스 라이트: 도시 남쪽에서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현상.
- 포르 드 라 코르네: 프린스앨버트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북아메리카 내 프랑스 제국의 최서단 기지 (누벨 프랑스 참조).
- 1930년에 완공되어 결핵 환자를 치료했던 프린스앨버트 요양소.[41]
- 시내에서 4 km 이내에 위치한 벅랜드 야생동물 관리 구역.[42]
- 리틀 레드 리버 공원의 킨스멘 스키 & 스노우보드 센터[43]
- 프린스앨버트 미술관
- 프린스앨버트 역사 박물관
7. 2. 문화 유산
프린스앨버트에는 3개의 역사 박물관이 있다. 교육의 진화 박물관과 경찰 및 교정 로터리 박물관은 서스캐처원 2번 고속도로에서 약간 떨어진 관광 안내 센터에 위치한다. 역사 협회 박물관은 리버 스트리트의 센트럴 애비뉴 북쪽 끝에 있는 오래된 소방서에 있다. 존 G. 디펜베이커 하우스는 19번가 서쪽 249번지에 위치하며 일반에 공개된다. 프린스앨버트 헤리티지 박물관(1911년경)은 캐나다 역사 유적지에 등록된 시립 문화 유산이다.[37]
역사 협회 박물관 맞은편에는 디펜베이커의 지역구 사무실 부지가 있지만 일반에 공개되지는 않는다. 프린스앨버트의 다른 문화 유산, 역사 유적 및 보호 구역으로는 1885년 반란의 블록하우스 & 첫 번째 장로교회/학교, 역사적인 성 바울 장로교회, 허니우드(A.J. 포터 박사) 헤리티지 묘목장, 키홀 성, 라콜 폭포 수력 발전 댐, 가장 오래된 시내 상점, 프린스앨버트 예술 센터 및 성 알반 순교자 대성당(성공회)이 있다.[38] 시내 근처의 성심 대성당(로마 가톨릭)은 1914년에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여기에는 베르톨트 임호프의 그림이 있다.[39] 캐나다의 스테인드 글라스 연구소는 프린스앨버트의 6개 건물에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기록했다.[40]
그 외 볼거리는 다음과 같다.
- 세인트 루이스 라이트는 도시 남쪽에서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현상이다.
- 포르 드 라 코르네는 프린스앨버트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 제국의 최서단 기지이다. (누벨 프랑스 참고).
- 1930년에 완공되어 결핵 환자를 치료했던 프린스앨버트 요양소.[41]
- 시내에서 4 km 이내에 위치한 벅랜드 야생동물 관리 구역.[42]
- 리틀 레드 리버 공원의 킨스멘 스키 & 스노우보드 센터[43]
- 프린스앨버트 미술관
- 프린스앨버트 역사 박물관
7. 3. 자연 명소
- 세인트 루이스 라이트는 도시 남쪽에서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 포르 드 라 코르네는 프린스앨버트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북아메리카에서 프랑스 제국의 최서단 기지였다(누벨 프랑스 참고).
- 1930년에 완공되어 결핵 환자를 치료했던 프린스앨버트 요양소가 있다.[41]
- 시내에서 4km 이내에 위치한 벅랜드 야생동물 관리 구역이 있다.[42]
- 리틀 레드 리버 공원의 킨스멘 스키 & 스노우보드 센터가 있다.[43]
- 프린스앨버트 국립공원도 빼놓을 수 없는 명소이다.
- 디펜베이커 하우스도 방문할 가치가 있다. 존 디펜베이커는 캐나다의 진보적인 정치인으로, 총리를 역임하며 캐나다의 복지 시스템 강화에 기여했다.
8.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프린스 앨버트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시설을 제공한다.
웨스턴 하키 리그 소속의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는 3,571석 규모의 아트 하우저 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 레이더스는 1985년 메모리얼컵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44] 서스캐처원 미제트 AAA 하키 리그 소속의 프린스 앨버트 민토스 역시 아트 하우저 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2006 텔러스 컵, 2007 텔러스 컵, 2014 텔러스 컵에서 우승했다.[45]
프린스 앨버트는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한 도시이기도 하다. 1993년에는 북미 원주민 게임이 개최되었으며, 2018 U-18 남자 소프트볼 월드컵 또한 프린스 앨버트에서 열렸다. 더불어, 2025 남자 소프트볼 월드컵을 개최할 예정이며, 조별 예선은 2024년 7월, 결선은 2025년 7월에 총리 공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46] 2014년 2월에는 제11회 서스캐처원 동계 게임이 개최되어, 프린스 앨버트 지역 사회는 서스캐처원의 9개 지역에서 온 1,800명 이상의 아마추어 선수들을 유치했다.
8. 1. 하키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는 웨스턴 하키 리그 소속이며, 1985년 메모리얼컵에서 우승했다. 레이더스는 3,571석 규모의 아트 하우저 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44] 서스캐처원 미제트 AAA 하키 리그 소속의 프린스 앨버트 민토스도 아트 하우저 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 민토스는 2006 텔러스 컵, 2007 텔러스 컵, 2014 텔러스 컵에서 우승했다.[45]8. 2. 주요 스포츠 행사
웨스턴 하키 리그 소속의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가 있다. 1985년 메모리얼컵에서 우승한 레이더스는 3,571석 규모의 아트 하우저 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44] 또한 서스캐처원 미제트 AAA 하키 리그 소속의 프린스 앨버트 민토스도 있다. 민토스는 2006 텔러스 컵, 2007 텔러스 컵, 2014 텔러스 컵에서 우승했다. 민토스 역시 아트 하우저 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45]프린스 앨버트는 다음과 같은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9. 정부
프린스앨버트의 정부는 프린스앨버트 시의회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프린스앨버트는 과거 철도 교통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화물 철도 서비스만 제공된다. 1890년 퀘스펠, 롱 레이크 앤 서스캐처원 철도 및 증기선 회사(QLSRSC)가 프린스앨버트에 도착하여 철도를 부설했지만,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캐나다 태평양 철도(Canadian Pacific Railway)에 임대되었다가 곧 계약이 해지되었다.[50] 이후 1906년 캐나다 노던 철도(CNoR)가 노선을 매입하여 북부 지역으로 향하는 철도 서비스의 허브가 될 예정이었으나, 경제 활동이 미미하여 패덕우드 지선 외에는 확장되지 못했다. 그랜드 트렁크 퍼시픽(GTP) 역시 영에서 프린스앨버트로 향하는 지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CNoR과 GTP는 국유화되어 캐나다 국립 철도(CN)가 되었다.[51] 1991년 CPR은 프린스앨버트와 주변 지역의 철도 노선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CN에 노선을 매각하거나 폐쇄했다.
현재는 미국의 단거리 철도 회사인 옴니트랙스(OmniTRAX)가 구 캐나다 국립 철도(CN) 노선을 인수하여 칼튼 트레일 철도(Carlton Trail Railway, CTRW 또는 CTR)로 운영하고 있다.[52] 칼튼 트레일은 증가하는 비용과 열악한 선로 상태로 인해 단거리 노선의 여러 부분을 폐쇄하는 것을 논의하기도 했다.
프린스앨버트는 SK 2, SK 3, SK 11, SK 55, SK 302에 위치하며, SK 2번 고속도로의 명칭 변경 지점이기도 하다.[54] 무스 조에서 프린스앨버트까지의 2번 고속도로 구간은 2005년에 참전용사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SK 11은 리자이나, 새스커툰, 프린스앨버트를 연결하며, 루이 리엘 트레일로 개명되었다.[57]
한편, 1866년 프린스 앨버트는 선교 기지로 설립되었으며, 칼턴 요새로 이어지는 길이 생겨났다. 이 길은 칼턴 트레일과 연결되었으며, 퀘파옐 - 프린스 앨버트 트레일은 1883년부터 우편물과 화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49] 또한, 몬트리올 호수–PA, 그린 레이크–PA, 포트 알라 콘–PA 트레일의 서비스도 받았다.[19]
현재 프린스 앨버트에는 디펜베이커 다리만이 북쪽과 남쪽을 연결하고 있으며[47], 2011년 균열 발견으로 부분 폐쇄되면서 지역 사회의 우려를 낳았다.[48]
시내 버스 서비스는 프린스앨버트 교통이 제공하며, 도시 간 버스 서비스는 서스캐처원 교통 공사에서 담당한다. 글래스 필드 공항은 서스캐툰과 리자이나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제공하며, 프린스앨버트 공항도 존재한다. 1899년에는 최초의 병원이 건설되었고, 1945년에는 약 12년 동안 운영된 산부인과가 세워졌다.[18]
10. 사회 기반 시설
프린스 앨버트의 사회 기반 시설은 도로, 철도, 대중교통, 항공 교통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디펜베이커 다리는 프린스 앨버트의 유일한 도로 다리로, 도시의 남북을 연결하며 서스캐처원 주의 남부와 북부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47] 2011년 8월, 이 다리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부분적으로 폐쇄되면서 유지 보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48]
1866년 프린스 앨버트는 선교 기지로 설립되었으며, 칼턴 요새로 이어지는 길이 생겨났다. 이 길은 칼턴 트레일과 연결되어 19세기 서부 캐나다의 주요 육상 교통로 역할을 했다. 또한, 퀘파옐(트로이) - 프린스 앨버트 트레일은 1883년부터 퀘파옐의 철도 기지에서 세인트루이스를 거쳐 프린스 앨버트로 우편물과 화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49] 이 외에도 몬트리올 호수–PA, 그린 레이크–PA, 포트 알라 콘–PA 트레일이 있었다.[19]
과거 프린스 앨버트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CPR)와 캐나다 국립 철도(CN)가 모두 지나가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여객 철도 서비스는 중단되었고 화물 철도 서비스만 이용 가능하다. 퀘스펠, 롱 레이크 앤 서스캐처원 철도 및 증기선 회사(QLSRSC)는 1890년 프린스 앨버트에 도착했으나, 캐나다 태평양 철도에 임대되었다가 곧 계약이 해지되었다.[50] 이후 1906년 캐나다 노던 철도(CNoR)에 매각되었고, 그랜드 트렁크 퍼시픽(GTP)도 영에서 프린스 앨버트로 향하는 지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했다.[51] CNoR과 GTP는 국유화되어 캐나다 국립 철도(CN)가 되었다.
1991년 CPR은 프린스 앨버트와 주변 지역의 철도 노선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CN에 메도우 레이크 노선을 매각하고, 초이슬랜드까지의 미스 파크 지선을 폐쇄했다. 1990년대에는 비효율적인 작은 CN 지선들이 폐쇄되었고, 곡물 저장 및 선별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프린스 앨버트 북쪽에 최첨단 내륙 엘리베이터가 건설되었다. 1997년 12월, CN은 생산성 부족으로 인해 지선 매각을 발표했다. 미국의 단거리 철도 회사인 옴니트랙스(OmniTRAX)는 구 캐나다 국립 철도(CN) 노선을 인수하여 칼튼 트레일 철도(Carlton Trail Railway, CTRW 또는 CTR)로 명명했다.[52] 2008년 칼튼 트레일은 메도우 레이크 노선을 2009년 4월 1일까지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3]
프린스 앨버트는 SK 2, SK 3, SK 11, SK 55, 그리고 SK 302에 위치해 있으며, SK 11은 리자이나, 새스커툰, 프린스 앨버트를 연결한다.
프린스앨버트 교통은 시내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시 간 버스 서비스는 서스캐처원 교통 공사에서 담당한다. 글래스 필드 공항은 서스캐툰과 리자이나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제공하며, 프린스 앨버트 북쪽 지역 사회와 광산 운영을 위한 관문 역할을 한다. 프린스앨버트 공항도 존재한다.
10. 1. 의료
1899년에 최초의 병원이 건설되었고, 1945년에는 약 12년 동안 운영된 산부인과가 세워졌다.[18]10. 2. 다리
현재 프린스 앨버트에는 단 하나의 도로 다리인 디펜베이커 다리만이 북쪽과 남쪽을 연결하고 있다[47]. 이 다리는 서스캐처원 주의 남부와 북부를 잇는 유일한 강 교차로이기도 하다. 다른 교차로를 이용하려면 동쪽이나 서쪽으로 수 킬로미터를 이동해야 한다.
디펜베이커 다리는 2011년 8월 검사 과정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부분적으로 폐쇄되면서 지역 사회의 오랜 우려 사항으로 부각되었다[48]. 이는 지역 교통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리 유지 보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건이었다.
10. 3. 역사적인 도로
1866년, 프린스 앨버트는 선교 기지로 설립되었으며, 칼턴 요새로 이어지는 길이 생겨났다. 이 길은 성장하는 지역 사회를 19세기 서부 캐나다의 주요 육상 교통로였던 칼턴 트레일과 연결했다. 이 길은 현재의 서스캐처원주 릴리 플레인 격자형 도로를 따라 릴리 플레인 우체국의 페리 서비스까지 이어졌다.퀘파옐(트로이) - 프린스 앨버트 트레일은 1883년부터 퀘파옐의 철도 기지에서 세인트루이스의 페리를 건너 프린스 앨버트로 우편물과 화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49]
이 두 길 외에도 프린스 앨버트는 몬트리올 호수–PA, 그린 레이크–PA, 포트 알라 콘–PA 트레일의 서비스를 받았다.[19]
10. 4. 철도
프린스앨버트는 철도 교통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과거에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와 캐나다 국영 철도가 모두 이 도시를 지나갔다. 하지만 현재는 여객 철도 서비스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캐나다 국영 철도는 1976년에 여객 서비스를 중단했고, 캐나다 태평양 철도는 1960년대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현재는 화물 철도 서비스만 이용 가능하다.10. 4. 1. 캐나다 노던 철도 및 그랜드 트렁크 퍼시픽
1890년 10월, 퀘스펠, 롱 레이크 앤 서스캐처원 철도 및 증기선 회사(QLSRSC)는 서스캐처원의 세 주요 도시를 철도로 연결하기 위해 프린스 앨버트에 도착했다. 그러나 이 노선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자본 조달을 위해 캐나다 태평양 철도(Canadian Pacific Railway)에 임대되었다.[50] 캐나다 태평양 철도는 곧 이 노선의 경제적 불확실성을 깨닫고 임대 계약을 해지했다.1906년, 노선이 완공된 지 20년이 채 안 되어 캐나다 노던 철도(CNoR)에 매각되었다. 캐나다 노던 철도는 노스 서스캐처원 강을 건너 쉘브룩 방향으로 서쪽으로 향했다. 프린스 앨버트는 북부 지역으로 향하는 철도 서비스의 북부 허브가 될 예정이었으나, 이 지역의 경제 활동이 미미하여 패덕우드 지선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지선이 확장되지 않았고, 이마저도 1990년대에 폐선되었다.
그랜드 트렁크 퍼시픽(GTP) 또한 영에서 북쪽으로 뻗어 세인트 루이스를 거쳐 프린스 앨버트로 향하는 지선을 통해 프린스 앨버트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후 CNoR과 GTP는 국유화되어 결국 캐나다 국립 철도(CN)가 되었다.[51]
10. 4. 2. 캐나다 국립 철도 및 캐나다 태평양 철도
오랫동안 캐나다 태평양 철도와 캐나다 국립 철도는 프린스앨버트 시를 지배하며, 15번가 양쪽에서 운영되었다. 캐나다 태평양 철도는 라니간에서 분기되어 헤이건까지 북쪽으로 이동한 다음 CN과의 궤도 사용권을 통해 프린스앨버트 북동쪽으로 곡선을 그렸다. 이곳은 CPR의 주요 북부 거점이었으며, 많은 지선들이 프린스앨버트로 다시 연결되었다. 이러한 지선들은 주로 목재 공장과 곡물 엘리베이터를 주요 상품으로 취급했다.1991년 CPR은 프린스앨버트와 주변 지역의 철도 노선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CPR은 메도우 레이크 노선을 CN에 매각하고, 초이슬랜드까지의 미스 파크 지선을 폐쇄했다. 많은 작은 CN 지선들이 주로 곡물을 수송하며 프린스앨버트를 지나갔지만, 더 크고 접근성이 좋은 곡물 엘리베이터 때문에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결과, 1990년대에 많은 노선이 폐쇄되었다. 폐쇄된 노선에는 패독우드 스퍼(CN), CPR에서 미스 파크까지, CPR에서 라니간까지, CN에서 셸브룩까지, CN에서 세인트루이스까지가 포함된다. 곡물 저장 및 선별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최첨단 내륙 엘리베이터가 프린스앨버트 북쪽에 건설되었다. 이 시설은 서스캐처원 밀 풀이 소유했으며, 이후 Viterra에 인수되었다. CN 야드에 위치한 더 작은 엘리베이터는 유나이티드 그레인 그로워스가 소유했으며, 이후 애그리코어 유나이티드에 인수되었고, 다시 Viterra에 인수되었다. Viterra가 2008년 4월 1일에 운영 중단을 발표할 때까지 프린스앨버트에서 운영되었다. 오늘날에는 비테라가 소유한 화이트 스타에 위치한 내륙 터미널만 계속 운영되고 있다.
1997년 12월, CN은 생산성 부족으로 인해 지선 매각을 발표했다. 당시 CN이 주로 사용하던 기관차는 단거리 운송 및 야드 셔틀용 GMD1과 장거리 운송용 EMD SD40-2W/EMD SD40-2였다. CP는 많은 지선의 경량 철도로 인해 스위처를 활용했다. 이러한 스위처는 몬트리올 로코모티브 웍스(봄바디어)에서 제조되었으며 RS-23으로 지정되었다.
10. 4. 3. 칼턴 트레일 철도
미국의 단거리 철도 회사인 옴니트랙스(OmniTRAX)는 구 캐나다 국립 철도(CN) 노선을 인수하여 칼튼 트레일 철도(Carlton Trail Railway, CTRW 또는 CTR)로 명명했다. 현재 칼튼 트레일 철도는 구 CN 야드에 위치해 있으며, CN을 위해 탱크차를 보관하고, 곡물을 운송하며, 다른 옴니트랙스 노선을 위해 디젤 엔진을 개조하고 있다. 칼튼 트레일은 증가하는 비용과 열악한 선로 상태로 인해 단거리 노선의 여러 부분을 폐쇄하는 것을 최근 논의했다. 프린스앨버트의 철도 다리는 페리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었다.[52]
2001년 CTRW는 비치 힐스 지선을 폐쇄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프린스앨버트 시는 에탄올 공장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개입했다. 2008년 칼튼 트레일은 메도우 레이크 노선을 2009년 4월 1일까지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3] 칼튼 트레일은 주로 입환 및 장거리 운송을 위해 EMD GP10을 운용한다.
10. 5. 고속도로
프린스앨버트는 SK 2, SK 3, SK 11, SK 55, 그리고 SK 302에 위치해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SK 2번 고속도로의 명칭 변경 지점을 나타낸다. 무스 조에서 프린스앨버트까지의 2번 고속도로 구간은 2005년에 참전용사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으며, 명칭 변경은 2005년 참전용사 주간과 일치했다.[54]프린스앨버트와 라 론지 사이의 CanAm 고속도로에 서스캐처원 2번 고속도로 283.7 km가 포함된다.[55][56] 프린스앨버트 남쪽의 CanAm 고속도로는 멜포트와 프린스앨버트 사이의 SK 3로 지정되어 있다.[56]
SK 11은 서스캐처원의 세 개 주요 도시인 리자이나, 새스커툰, 그리고 프린스앨버트를 연결한다. 2001년 6월 20일, SK 11번 고속도로 전 구간은 덕 레이크 지역 해석 센터에서 열린 기념식을 통해 루이 리엘 트레일로 개명되었다. 루이 리엘 트레일은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의 주요 지역들을 연결한다.[57]
10. 6. 대중교통
프린스앨버트에서는 프린스앨버트 교통이 시내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는 도시의 남쪽 해안 지역에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시 간 버스 서비스는 서스캐처원 교통 공사에서 담당한다.10. 7. 항공 교통
글래스 필드 공항은 서스캐툰과 리자이나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제공하며, 프린스 앨버트 북쪽 지역 사회와 광산 운영을 위한 관문 역할을 한다. 프린스 앨버트 주민들은 더 먼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서스캐툰으로 통근하여 항공편을 이용하기도 한다. 프린스앨버트 공항도 존재한다.11. 교육
프린스앨버트의 교육은 다양한 공립 및 사립 학교와 고등 교육 기관을 통해 제공된다. 1879년 11월 1일, 성공회 주교 존 맥린이 서스캐처원 구역 최초의 대학교인 엠마누엘 칼리지를 개교했다. 이후 연방법에 따라 엠마누엘 칼리지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 통합되었으며, 1907년 새스커툰으로 이전하여 서스캐처원 주립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58]
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은 33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59],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은 9개의 학교를 운영한다. 도시에는 5개의 고등학교가 있는데,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와 리비에 아카데미(사립, 남녀공학)는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 소속이며, 칼턴 종합 고등학교(서스캐처원에서 가장 큰 고등학교), 웨스모어, P.A.C.I(프린스앨버트 컬리지 학교)는 서스캐처원 강 교육청 소속이다. É콜 발루아는 유치원에서 12학년까지 프랑스어 교육을 제공하며, 프린스앨버트 유일의 프랑스어 학교이다.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서스캐처원 폴리텍(구 서스캐처원 응용 과학 기술 연구소)의 우드랜드 캠퍼스와 레지나 대학교와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분교가 있다. 또한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 대학교(북부 캠퍼스), 가브리엘 뒤몽 연구소, 서스캐처원 인디언 기술 연구소(SIIT) 및 서스캐처원 도시 원주민 교사 교육 프로그램(SUNTEP)의 지부가 위치해 있다.
11. 1. 초기 교육
존 맥린 성공회 주교는 1879년 11월 1일 서스캐처원 구역 최초의 대학교인 엠마누엘 칼리지를 개교했다. 이후 연방 법에 따라 엠마누엘 칼리지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 통합되었다. 엠마누엘 칼리지는 1905년 서스캐처원이 주로 설립된 후 1907년 새스커툰으로 이전하여 서스캐처원 주립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58]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은 33개의 학교[59]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은 9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5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와 리비에 아카데미(사립, 남녀공학)는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에 속해 있으며, 칼턴 종합 고등학교(서스캐처원에서 가장 큰 고등학교), 웨스모어(Wildrose, East Central, Spruce Home, Meath Park, Osborne 및 Redwing의 시골 초등학교의 약자), P.A.C.I(프린스앨버트 컬리지 학교)는 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에 속해 있다.
É콜 발루아는 유치원에서 12학년까지의 교육을 제공하며 프린스앨버트 유일의 프랑스어 학교이다.
프린스앨버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서스캐처원 폴리텍 (구 서스캐처원 응용 과학 기술 연구소)의 우드랜드 캠퍼스와 레지나 대학교와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분교가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 대학교(북부 캠퍼스), 가브리엘 뒤몽 연구소, 서스캐처원 인디언 기술 연구소(SIIT) 및 서스캐처원 도시 원주민 교사 교육 프로그램(SUNTEP)의 지부가 있는 곳이다.
11. 2. 공립 및 사립 학교
1879년 11월 1일, 성공회 주교 존 맥린은 서스캐처원 구역 최초의 대학교인 엠마누엘 칼리지를 개교했다. 이후 연방 법에 따라 엠마누엘 칼리지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 통합되었다. 엠마누엘 칼리지는 1905년 서스캐처원이 주로 설립된 후 1907년 새스커툰으로 이전하여 서스캐처원 주립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58]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은 33개의 학교[59]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은 9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5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와 리비에 아카데미(사립, 남녀공학)는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에 속해 있으며, 칼턴 종합 고등학교(서스캐처원에서 가장 큰 고등학교), 웨스모어, P.A.C.I(프린스앨버트 컬리지 학교)는 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에 속해 있다.
É콜 발루아는 유치원에서 12학년까지의 교육을 제공하며, 프린스앨버트 유일의 프랑스어 학교이다.
프린스앨버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서스캐처원 폴리텍 (구 서스캐처원 응용 과학 기술 연구소)의 우드랜드 캠퍼스와 레지나 대학교와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분교가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 대학교(북부 캠퍼스), 가브리엘 뒤몽 연구소, 서스캐처원 인디언 기술 연구소(SIIT) 및 서스캐처원 도시 원주민 교사 교육 프로그램(SUNTEP)의 지부가 있는 곳이다.
11. 3. 고등 교육 기관
성공회 주교 존 맥린은 1879년 11월 1일 서스캐처원 구역 최초의 대학교인 엠마누엘 칼리지를 개교했다. 이후 연방 법에 따라 엠마누엘 칼리지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 통합되었다. 엠마누엘 칼리지는 1905년 서스캐처원이 주로 설립된 후 1907년 새스커툰으로 이전하여 서스캐처원 주립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58]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은 33개의 학교[59]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은 9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5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와 리비에 아카데미(사립, 남녀공학)는 프린스앨버트 가톨릭 교육청에 속해 있으며, 칼턴 종합 고등학교(서스캐처원에서 가장 큰 고등학교), 웨스모어(Wildrose, East Central, Spruce Home, Meath Park, Osborne 및 Redwing의 시골 초등학교의 약자), P.A.C.I(프린스앨버트 컬리지 학교)는 서스캐처원 강 교육청에 속해 있다.
É콜 발루아는 유치원에서 12학년까지의 교육을 제공하며 프린스앨버트 유일의 프랑스어 학교이다.
프린스앨버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서스캐처원 폴리텍(구 서스캐처원 응용 과학 기술 연구소)의 우드랜드 캠퍼스와 레지나 대학교와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분교가 있다. 프린스앨버트는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 대학교(북부 캠퍼스), 가브리엘 뒤몽 연구소, 서스캐처원 인디언 기술 연구소(SIIT) 및 서스캐처원 도시 원주민 교사 교육 프로그램(SUNTEP)의 지부가 있는 곳이다.
- 서스캐처원 응용 과학 기술 연구소(SIAST, The Saskatchewan Institute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우드랜드 캠퍼스
12. 미디어
프린스 앨버트는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프린스앨버트 미디어 문서를 참고한다.
13. 프린스 앨버트 출신 인물
이 문서는 프린스앨버트 출신 인물 목록으로 연결된다.
참조
[1]
뉴스
Saskatchewan slang
http://www.canada.co[...]
Postmedia Network Inc.
2013-12-21
[2]
웹사이트
"the Voice of the People" Captain Richard Deacon (1850–1935)
http://freepages.gen[...]
2009-05-18
[3]
서적
What's In A Name?
Western Producer Prairie Books
[4]
웹사이트
Prince Albert
https://toponymes.rn[...]
Government of Canada
2024-02-26
[5]
서적
People Places contemporary Saskatchewan Place Names
People Places Publishing Ltd.
[6]
간행물
Prince Albert
http://esask.uregina[...]
Canadian Plai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Regina
2008-03-16
[7]
웹사이트
Did You Know?
http://www.jmcpl.ca/[...]
Prince Albert Patriot Website
2008-03-12
[8]
웹사이트
Prince Albert: The First Century 1866–1966
http://www.citypa.ca[...]
2010-12-13
[9]
웹사이트
Metis Culture 1866–1868
http://www.telusplan[...]
Complete History of the Canadian Metis Culture
2008-03-12
[10]
웹사이트
Grand Lodge of Saskatchewan, Kinistino Lodge No. 1
http://www.saskmason[...]
2008-05-31
[11]
웹사이트
Saskatchewan, Canada, Rand McNally 1924 Indexed Pocket Map Tourists' and Shippers' Guide
http://www.rootsweb.[...]
Rand McNally
2009-05-15
[12]
간행물
McPhillips' alphabetical and business directory of the district of Saskatchewan, N.W.T.: Together with brief historical sketches of Prince Albert, Battleford and the other settlements in the district, 1888 (p. 65)
http://peel.library.[...]
Henry Thomas McPhillips
2014-04-10
[13]
웹사이트
Map Info
http://www.rootsweb.[...]
Rootsweb
2008-03-16
[14]
웹사이트
A History of Planning and Development in Prince Albert, Saskatchewan
http://www.citypa.ca[...]
City of Prince Albert
2008-03-16
[15]
간행물
Diefenbaker, John George
https://www.thecanad[...]
Historica Foundation of Canada
2008-03-16
[16]
웹사이트
PARLINFO — Parliamentarian File — Federal Experience — KING, The Right Hon. William Lyon Mackenzie, P.C., O.M., C.M.G., B.A., M.A., A.M., LL.B., PhD
http://www2.parl.gc.[...]
Government of Canada
2008-03-16
[17]
간행물
Prince Albert
https://www.thecanad[...]
Historica Foundation of Canada
2008-03-16
[18]
간행물
Natural Vegetation
University of Saskatchewan
[19]
간행물
Natural Vegetation of Saskatchewan
University of Saskatchewan
[20]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July 1941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21]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February 1893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22]
웹사이트
Prince Albert 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2013-09-25
[23]
웹사이트
Prince Albert
https://climate.weat[...]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2024-01-30
[24]
웹사이트
Prince Albert (1884−194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2011-10-31
[25]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Profile table - Prince Albert, City (CY): Saskatchewan ;[Census subdivision]; Prince Albert: Saskatchewan [Census agglomeration]; Prince Albert: Saskatchewan [Population centr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4-04-15
[26]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https://www12.statca[...]
2023-04-08
[27]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23-04-08
[28]
웹사이트
NHS Profile
https://www12.statca[...]
2023-04-08
[29]
웹사이트
2006 Community Profiles
https://www12.statca[...]
2023-04-08
[30]
웹사이트
2001 Community Profiles
https://www12.statca[...]
2023-04-08
[31]
웹사이트
Saskatchewan Settlement Experience
http://www.sasksettl[...]
2008-03-16
[32]
웹사이트
prince albert (sic)
http://www.saskbiz.c[...]
Government of Saskatchewan
2008-03-16
[33]
웹사이트
Top News Stories-Beginnings and Landmarks (Giant Sask. mill opened) page 50
http://library.usask[...]
1968-10-11
[34]
서적
The Canadian Encyclopedia
Hurtig Publishers
[35]
웹사이트
Rail traffic faces boost with pulp mill re-opening
http://www.paherald.[...]
[36]
웹사이트
Prince Albert Pulp
https://paperexcelle[...]
[37]
웹사이트
HistoricPlaces.ca - Recherche
http://www.historicp[...]
2017-01-03
[38]
웹사이트
Tourism Prince Albert Attractions
http://www.patourism[...]
2008-03-16
[39]
웹사이트
Roman Catholic Cathedrals
http://esask.uregina[...]
Encyclopedia of Saskatchewan
2015-07-15
[40]
웹사이트
Institute for Stained Glass in Canada (Prince Albert)
http://www.stainedgl[...]
2015-07-15
[41]
웹사이트
Prince Albert Patriot Website
http://www.jmcpl.ca/[...]
David Krahn
2008-03-16
[42]
웹사이트
Querying Geographical Names of Canada
http://geonames2.nrc[...]
Government of Canada
2009-05-22
[43]
웹사이트
Kinsmen Ski and Snowboard Centre
https://www.tourisms[...]
Government of Saskatchewan
2024-03-10
[44]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Prince Albert Raiders: Featured Stories
http://www.raiderhoc[...]
2008-03-16
[45]
웹사이트
Coupe Telus Cup (All-time champions)
http://cdn.agilitycm[...]
2015-05-18
[46]
웹사이트
Prince Albert to host WBSC Men's Softball World Cup in 2024 and 2025!
https://www.citypa.c[...]
2023-04-06
[47]
웹사이트
NDP promise new bridge and new hospital for Prince Albert
https://paherald.sk.[...]
2022-12-18
[48]
뉴스
Crack in girder closes part of P.A. bridg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01-20
[49]
서적
Historic Land Trails of Saskatchewan
Evvard Publications
[50]
웹사이트
QLSRSC
http://railways-atla[...]
2009-05-25
[51]
웹사이트
Grand Trunk Pacific
http://esask.uregina[...]
2008-12-26
[52]
웹사이트
Carlton Trail Abandonment
http://www.citypa.ca[...]
2008-12-27
[53]
웹사이트
Meadow Lake Track Abandonment
http://www.meadowlak[...]
2008-12-27
[54]
웹사이트
Highway 2 Designated "Veterans Memorial Highway"
http://www.gov.sk.ca[...]
Government of Saskatchewan
2007-07-20
[55]
웹사이트
Western Canada Group Travel Planner: Getting to Western Canada
http://www.grouptrav[...]
2008-02-17
[56]
지도
Microsoft Streets and Tips
Microsoft Corp.
[57]
웹사이트
Louis Riel Trail — Saskatchewan, Canada
http://louisrieltrai[...]
M.R. Internet
2007-12-30
[58]
웹사이트
Education Capitol
http://www.jmcpl.ca/[...]
David Krahn
2008-03-16
[59]
웹사이트
Saskatchewan Rivers School Division
http://www.srsd119.c[...]
[60]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Prince Albert, City (CY) [Census subdivision], Saskatchewan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3-11-15
[61]
웹인용
Prince Albert 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4-05-14
[62]
웹인용
Prince Albert (1884−194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63]
웹인용
Daily Data Report for February 1893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64]
웹인용
Daily Data Report for July 1941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