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시쿠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렉시쿠션은 테니스 코트 표면의 한 종류이다. 플렉시페이브사의 제품으로, 프리스티지, 컴피티션, 토너먼트, 2000의 네 가지 종류가 있다. 라텍스, 고무, 플라스틱 입자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하층과 100% 아크릴 소재의 플렉시페이브 표면층으로 제작되어 충격 흡수 및 공의 안정적인 바운드를 제공한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호주 오픈에서 사용되었으며, 이후 그린셋으로 대체되었다.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는 플렉시페이브라는 유사한 하드코트 표면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플렉시쿠션 | |
---|---|
플렉시쿠션 정보 | |
종류 | 테니스 코트 표면 |
제조사 | 로민 앤드 하스 (현재 다우 주식회사의 자회사) |
개발 연도 | 1970년대 후반 |
특징 | 쿠션 기능, 다양한 색상, 내구성 |
적용 | |
주요 사용 코트 | 호주 오픈 윔블던 선수권 대회 (2023년부터) |
기타 사용 코트 | US 오픈 (과거) 파리 마스터스 상하이 롤렉스 마스터스 스톡홀름 오픈 비엔나 오픈 ATP 월드 투어 파이널 (과거) |
역사 | |
최초 사용 | 1978년, 미국 동부 지역 실내 코트 |
호주 오픈 사용 시작 | 1988년 |
US 오픈 사용 중단 | 2020년 이후 하드 트루 코트로 변경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사용 시작 | 2023년 |
기타 정보 | |
특징 | 충격 흡수 기능으로 선수 부상 위험 감소 다양한 색상 선택 가능 내후성 및 내마모성 우수 |
논란 | 코트 속도 변화에 따른 선수 적응 문제 |
2. 종류
플렉시쿠션에는 프리스티지, 컴피티션, 토너먼트, 2000 이렇게 네 가지 종류가 있다.[4]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하나인 호주 오픈을 주최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테니스 협회인 테니스 오스트레일리아(Tennis Australia)는 2007년 5월 30일부터 플렉시쿠션 프리스티지를 호주 오픈의 공식 코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호주 오픈 및 호주 오픈 직전의 리드업(lead-up) 대회들에서 2008년 대회부터 플렉시쿠션을 사용하게 되었다.[1][2][3]
플렉시쿠션 시스템은 라텍스, 고무, 플라스틱 입자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플렉시쿠션 하층과 100% 아크릴 소재의 플렉시페이브[5] 표면층으로 제작된다. 하층은 선수들의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렉시페이브 표면층은 일정하고 안정적인 공의 바운드를 만들어내는 효과를 발휘하며, 색상이 오래 지속되고, 코트 설치시 공의 바운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3. 호주 오픈
3. 1. 멜버른 파크
2007년 5월 30일, 호주 오픈과 테니스 호주(Tennis Australia)는 1988년 멜버른 파크 개장 이후 사용해 온 리바운드 에이스 표면을 대체하여 플렉시쿠션을 새로운 호주 오픈 표면으로 발표했다. 이 표면은 2008년 호주 오픈에 맞춰 설치되었으며, 호주 오픈의 전초전에서도 표면이 변경되었다.[1][2][3] 플렉시쿠션은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호주 오픈에서 사용되었고, 2020년 대회부터 그린셋으로 대체되었다.
4.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는 "플렉시페이브"라고 불리는 유사한 하드코트 표면이 사용된다.
참조
[1]
뉴스
On-court blues for Aussie tennis?
http://news.bbc.co.u[...]
BBC
2008-01-11
[2]
뉴스
Shades of blue for summer
http://www.theaustra[...]
2007-10-03
[3]
뉴스
On the surface, Australian Open gets a new bounce
https://www.nytimes.[...]
2008-01-13
[4]
웹사이트
Plexipave::Sport Surfacing Systems
http://www.plexipave[...]
2009-04-27
[5]
웹사이트
Plexipave
http://www.plexipave[...]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