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란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란만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공유하는 아드리아해의 만으로, 피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만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간의 해상 및 육상 국경 분쟁 지역으로, 두 나라는 해양 경계선에 대한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슬로베니아는 역사적 권원과 자국의 영해를 공해에 연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크로아티아는 국제법에 따라 양국 해안에서 등거리에 경계선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쟁은 1991년 양국 독립 이후 본격화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협상과 중재 시도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고 있다.
피란만은 피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해안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공유한다. 남쪽의 사부드리아 곶에서 북쪽의 마도나 곶을 잇는 선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면적은 약 19km2이다. 피란만 지역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이의 해상 및 육상 국경 분쟁의 장이었다.
피란만은 피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해안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공유한다. 남쪽의 사부드리아 곶(''사부드리스키 르트'')에서 북쪽의 마도나 곶(''르트 마도나'')을 잇는 선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면적은 약 19km2이다.
2. 지리
2. 1. 주요 지역
피란만은 피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해안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공유한다. 남쪽의 사부드리아 곶(''사부드리스키 르트'')에서 북쪽의 마도나 곶(''르트 마도나'')을 잇는 선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면적은 약 19km2이다.
동쪽 슬로베니아 해안에는 피란, 포르토로주, 루치야 정착지가 있다. 남쪽 크로아티아 해안에는 1980년대에 건설된 크르베니 브르흐와 카네그라 관광 캠프가 있다. 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은 국경에 하구가 있는 드라곤야 강이다. 드라곤야 강 하구에는 650ha 면적의 세초블레 소금 생산지가 있다.
피란만 지역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이의 해상 및 육상 국경 분쟁의 장이었다.
2. 2. 드라곤야 강
드라곤야강은 피란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으로, 하구는 국경에 있다. 드라곤야 강 하구에는 650ha 면적의 세초블레 소금 생산지가 있다.
피란만 지역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이의 해상 및 육상 국경 분쟁의 장이었다.
2. 3. 세초블레 소금 생산지
피란 만 동쪽 슬로베니아 해안에는 피란 마을과 포르토로주 및 루치야 정착지가 있다. 남쪽 크로아티아 해안에는 1980년대에 건설된 크르베니 브르흐와 카네그라의 관광 캠프가 있다. 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은 국경에 하구가 있는 드라곤야 강이며, 드라곤야 강 하구에는 650ha 면적의 세초블레 소금 생산지가 있다.
3. 분쟁
동쪽 슬로베니아 해안에는 피란, 포르토로주, 루치야 정착지가 있다. 남쪽 크로아티아 해안에는 1980년대에 건설된 크르베니 브르흐와 카네그라 관광 캠프가 있다. 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은 국경에 하구가 있는 드라곤야 강이며, 하구에는 650ha 면적의 세초블레 소금 생산지가 있다.
피란만 지역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이의 해상 및 육상 국경 분쟁의 장이었다.
1991년 이후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피란 만 해상 경계선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두 나라는 경계선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경계선이 정해지지 않았다.[2] 슬로베니아는 역사적 경위에 의해 만 전체가 슬로베니아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크로아티아는 양국 해안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경계선을 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1. 크로아티아의 주장
크로아티아는 양국 해안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경계선을 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 제15조에 근거한 것이다.[1]。 만약 슬로베니아가 역사적 권리를 주장하고, 그것이 정당하다고 증명된다면, 이 크로아티아 측의 주장은 같은 조항에 의해 부정될 것이다.
3. 2. 슬로베니아의 주장
슬로베니아는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 제15조를 근거로 주장을 펼치고 있다.[3] 이 조항은 역사적 주장과 해양 통치, 그리고 양국 모두가 승인하는 조약이 다른 주장에 우선한다고 규정한다. 슬로베니아는 이 조항에 따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해상 국경은 양국이 독립을 선언한 1991년 6월 25일에 설정되었다고 본다.
슬로베니아는 사부드리아(Savudrija)가 수 세기 동안 피란과 연관되어 왔으며, 슬로베니아 경찰이 1954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해체 시)부터 1991년 (유고슬라비아 붕괴 시)까지 피란 만 전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역사적 경위에 의해 만 전체가 슬로베니아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크로아티아는 슬로베니아의 역사적 통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2]
슬로베니아는 만 분할보다 더 많은 영역을 주장하는 것 외에도, 슬로베니아의 영해가 국제 수역(공해)에 연결되어야 하며, 국제 수역에 배타적 경제 수역(EEZ)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슬로베니아가 1996년 6월 16일에 비준한[3]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 따르면, 배타적 경제 수역은 영해에 접해야 하며, 영해는 12해리까지 확장할 수 있다. 슬로베니아의 영해는 국제 수역까지 15해리 정도 떨어져 있어, 슬로베니아가 국제 수역에 배타적 경제 수역을 설정할 수 있다는 주장은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 위배된다. 만약 슬로베니아의 배타적 경제 수역(Slovenian EEZ)이 인정된다면, 그 범위 내 모든 지점은 거리상 슬로베니아보다 크로아티아나 이탈리아에 더 가깝다. 이 역시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 위배된다.
3. 3. 분쟁 경과
1991년 이후,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피란만 해상 경계선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두 나라는 경계선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경계선이 정해지지 않았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트리에스테 북부 미르나강(Mirna) 이남 지역은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에 속했다. 1954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가 해체되면서 이 지역은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에 의해 잠정적으로 분할되었고, 1975년 오시모 조약을 통해 유고슬라비아로의 편입이 공식적으로 합의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이 지역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할했다. 당시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모두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국이었다. 양국 독립 이후 피란만 영유권 문제는 양국 어민과 경찰 사이에서 갈등을 야기했다.[2]
양국 독립 직후, 만의 중앙에 국경선을 긋는 크로아티아 측 초안에 슬로베니아 측도 동의했다. 그러나 이듬해 슬로베니아는 입장을 바꿔 초안을 거부했다.[2]
1992년 6월 5일, 슬로베니아는 피란만 전체가 자국 영토라는 주장을 처음으로 제시했고, 이후 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2]
2001년 6월 20일, 슬로베니아 총리 야네즈 드르보브셰크와 크로아티아 총리 이비차 라찬은 드르보브셰크-라찬 합의를 체결했다. 이 합의는 해상 국경을 포함한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모든 국경을 정의하는 것이었다.[4] -- 이 합의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만 전체의 3분의 1 영역을 확보하여 이탈리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고, 슬로베니아는 공해로 이어지는 회랑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의회는 이 합의를 비준하지 않았다.[4]
4. 국제 중재 노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주어진 입력만으로는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 결과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5. 기타
크로아티아는 아드리아해에서 이탈리아와의 중간선보다 크로아티아 쪽에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설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2008년 1월, 크로아티아는 아드리아해의 중간선 동쪽을 "어업·환경 보호 수역"으로 선언하여 실질적으로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삼았다. 그러나 슬로베니아는 이 결정에 반발했다. 슬로베니아는 당시 유럽 연합의 의장국이기도 했으며, 크로아티아의 유럽 연합 가입 절차 지연도 우려되었다. 그 때문에 같은 해 3월에는 크로아티아 측이 이 수역의 유럽 연합 가입국에 대한 적용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海洋法に関する国際連合条約
http://www.un.org/De[...]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rder in Gulf of Piran
http://www.pravnadat[...]
[3]
웹사이트
hronological lists of ratifications of, accessions and successions to the Convention and the related Agreements as at 16 July 2008
http://www.un.org/De[...]
UN
[4]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brill.nl/[...]
Damir Arnaut, David Caron & Harry Scheiber, Eds., Bringing New Law to Ocean Waters, Klüwer 2004
2009-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