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레노모나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레노모나스과는 크립토조류강에 속하는 과로, 1898년 로도모나스속이 처음 기술된 이후 다양한 속들이 분류되어 왔다. 20세기 동안에는 다른 분류군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 전자 현미경 및 분자 기반 연구를 통해 단일 계통성이 지지받았다. 현재 피레노모나스과는 피레노모나스속, 리노모나스속, 로도모나스속, 스토레아툴라속의 4개의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편모조류 - 스토레아툴라속
스토레아툴라속은 세균에 속하는 속이다. - 은편모조류 - 은편모조강
은편모조강은 분출소체라는 압출체를 가진 조류의 한 종류로, 다양한 색깔의 엽록체와 핵형질체를 가지며,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을 모두 수행하고,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어 생태적 틈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류 - 스토레아툴라속
스토레아툴라속은 세균에 속하는 속이다. - 조류 - 규조토
규조토는 규조류의 화석 잔해로 구성된 퇴적암으로, 여과 보조제, 연마재, 단열재,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 편모충류 - 스토레아툴라속
스토레아툴라속은 세균에 속하는 속이다. - 편모충류 - 메타모나다
메타모나다는 흰개미 창자에 서식하며 목재 내 셀룰로스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진핵생물군으로, 미토콘드리아가 없거나 변형된 수소소체 또는 마이토솜을 가지며, 엑스카바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피레노모나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역 | 진핵생물 |
미분류 | 쌍편모생물 |
계 | 크로말베올라타계 |
미분류 | 하크로비아 |
문 | 은편모조문 |
강 | 은편모조강 |
목 | 피레노모나스목 |
과 | 피레노모나스과(Pyrenomonadaceae) |
과 명명 | G.Novarino & I.A.N.Lucas |
하위 분류 | 속 |
속 | |
속 | 프로테오모나스 피레노모나스 리노모나스 로도모나스 스토레아툴라 |
2. 분류
로도모나스속(Rhodomonas)은 1898년에 피레노모나스과 내에서 가장 먼저 확인된 속으로 기술되었다.[2] 20세기 대부분 동안, 현재 피레노모나스과로 인정되는 다른 모든 속들은 다양한 다른 분류군에 속해 있었다.[3] 1967년 R.W. 부처는 당시 알려진 모든 크립토조류의 계통 발생에서 ''로도모나스속''을 인정하지 않고, 이전에 기술된 모든 로도모나스 종을 크로오모나스속(Chroomonas)으로 재분류했다.[5]
1982년부터 1986년 사이에 우베 J. 산토레(Uwe J. Santore)의 초미세 구조 연구를 통해 1984년에 새로운 속인 피레노모나스속(Pyrenomonas)이 확인되었고,[6][7] 2년 후 ''로도모나스속''이 부활했다.[8][9] 1988년 D.R.A. 힐(D.R.A. Hill)과 R. 웨더비(R. Wetherbee)는 새로운 속인 리노모나스속(Rhinomonas)을 도입했고,[3] 1991년 힐은 스토레아툴라속(Storeatula)을 확인했다.[10] 1989년 힐과 웨더비는 ''로도모나스속''이 ''피레노모나스속''과 동의어라고 주장하며 학술적 논쟁을 촉발시켰다.[11]
피레노모나스과에 대한 가장 초기의 현대적 언급은 1993년 잔프랑코 노바리노(Gianfranco Novarino)와 이안 루카스(Ian Lucas)가 크립토조류강에 대한 분류 체계에서 이루어졌으며,[1] 이들은 ''리노모나스속''과 ''피레노모나스속''을 포함시켰다. 1999년에 업데이트된 체계에서는 ''스토레아툴라속''을 추가했다.[13]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전자 현미경 및 분자 기반 연구는 피레노모나스과의 단일 계통성을 보편적으로 지지했다.[12] 2002년의 18s rDNA 계통 발생 연구는 피레노모나스과 자체는 단일 계통성을 갖지만, ''로도모나스속''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했다.[14] 2014년의 포괄적인 계통 발생 연구는 이전의 발견을 대체로 동의하고 확장했다.[15]
2. 1. 하위 속
2. 2. 계통 분류
로도모나스속(''Rhodomonas'')은 1898년에 피레노모나스과 내에서 가장 먼저 확인된 속이다.[2] 20세기 대부분 동안, 현재 피레노모나스과로 인정되는 다른 모든 속들은 다양한 다른 분류군에 속했다(예: ''Rhinomonas fulva''는 ''Cryptochrysis fulva''로 분류).[3] 1913년에 아돌프 파셰르는 로도모나스속을 자신의 아과인 Cryptochrysideae에 포함시켰다.[4] 1967년에 R.W. 부처가 발표한 당시 알려진 모든 크립토조류의 계통 발생은 ''로도모나스속''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이전에 기술된 모든 로도모나스 종을 ''크로오모나스속''(Chroomonas)으로 재분류했다.[5]피레노모나스과에 대한 가장 초기의 현대적 언급은 1993년 잔프랑코 노바리노와 이안 루카스가 크립토조류강에 대한 분류 체계에서 이루어졌다.[1] 이 분류 체계에서 피레노모나스과는 리노모나스속과 피레노모나스속을 포함했다.
2. 2. 1. Clay et al, 1999
1999년에 잔프랑코 노바리노(Gianfranco Novarino)와 이안 루카스(Ian Lucas)가 업데이트한 분류 체계는 스토레아툴라속(Storeatula)을 추가했다.[13]2. 2. 2. Deane et al, 2002
1982년에서 1986년 사이, 우베 J. 산토레(Uwe J. Santore)의 초미세 구조 연구는 부처의 ''크로오모나스속''(Chroomonas) 내에 상당한 형태학적 불일치가 있음을 발견했고, 그 결과 1984년에 새로운 속인 피레노모나스속(Pyrenomonas)을 확인했다.[6][7] 2년 후, 그는 ''로도모나스속''(Rhodomonas)을 부활시키고 "적갈색 크립토모나드"로 구성된 클레이드의 존재를 제안했다.[8][9] 산토레의 연구를 확장하여, 1988년에 D.R.A. 힐(D.R.A. Hill)과 R. 웨더비(R. Wetherbee)는 20세기 초 연구자들이 ''크립토크리시스속''(Cryptochrysis)으로 취급했던 다양한 크립토모나드를 분석했다. 이로부터 그들은 몇 가지 새로운 ''로도모나스속'' 종을 확인하고, 새로운 속인 ''리노모나스속''(Rhinomonas)을 도입했다.[3] 힐은 1991년에 또 다른 "적갈색 크립토모나드" 속인 ''스토레아툴라속''(Storeatula)을 확인했다.[10] 1989년에 힐과 웨더비는 ''로도모나스속''이 ''피레노모나스속''과 동의어라고 주장하며, 각 속을 별도로 취급해야 하는지에 대한 학술적 논쟁을 촉발시켰다.[11] 이 논쟁은 2019년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12]2002년의 18s rDNA의 계통 발생 연구는 피레노모나스과 자체가 단일 계통성을 갖는 반면, ''로도모나스속''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했으며, ''R. abbreviata''는 ''스토레아툴라속''과 클레이드를 형성하는 반면, 조사된 다른 모든 ''로도모나스속'' 종은 ''리노모나스속''과 클레이드를 형성했다.[14]
2. 2. 3. Majaneva et al, 2014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전자 현미경 및 분자 기반 연구를 통해 피레노모나스과의 단일 계통성은 보편적으로 지지받았다.[12] 2002년의 18s rDNA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피레노모나스과 자체는 단일 계통성을 갖지만, 로도모나스속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R. abbreviata''는 스토레아툴라속과 분기군(클레이드)을 형성하는 반면, 조사된 다른 모든 로도모나스속 종은 리노모나스속과 분기군을 형성했다.[14]2014년의 더 포괄적인 계통 발생 연구는 이전의 발견에 대체로 동의하고 확장하여, 세 개의 이름 없는 분기군을 가진 예비 분류 체계를 제시했다.[15]
{| class="wikitable"
|-
! 피레노모나스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이분홍조류''
|-
| ''해양홍조류''
|-
|
스토레아툴라속(Storeatula) sp. |
단축홍조류 |
|}
|-
|
{| class="wikitable"
|-
|
렌즈홍조류 |
로도모나스속(Rhodomonas) sp. |
|-
|
발트해홍조류 |
로도모나스속(Rhodomonas) sp. |
|}
|-
|
{| class="wikitable"
|-
|
작은리노모나스조류 |
대형스토레아툴라조류 |
|-
|
그물리노모나스조류 |
노트베키리노모나스조류 |
|}
|}
|}
참조
[1]
논문
Some proposals for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ryptophyceae
[2]
논문
Rhodomonas baltica, n.g. et sp.
Abteilung Kiel
1898
[3]
논문
The structure and taxonomy of Rhinomonas pauca gen. et sp. nov. (Cryptophyceae)
[4]
논문
Die Süsswasser-Flora: Deutschlands, Österreichs und der Schweiz
[5]
논문
An Introductory Account of the Smaller Algae of British Coastal Waters.
[6]
논문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two members of the Cryptophyceae assigned to the genus Chroomonas — with comments on their taxonomy
1982
[7]
논문
Some aspects of taxonomy in the Cryptophyceae
1984
[8]
논문
A cytological survey of the genus Cryptomonas (Cryptophyceae) with comments on its taxonomy
1985
[9]
논문
The Ultrastructure of Pyrenomonas heteromorpha comb. nov. (Cryptophyceae)
1986
[10]
논문
A revised circumscription of Cryptomonas (Cryptophyceae) based on examination of Australian strains
1991-03-01
[11]
논문
A reappraisal of the genus Rhodomonas (Cryptophyceae)
1989
[12]
논문
Cryptomonad taxonomy in the 21st century: The first 200 years
https://www.research[...]
2018-10-16
[13]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Cryptophyta
1999-10
[14]
논문
Cryptomonad Evolution: Nuclear 18S rDNA phylogeny versus cell morphology and pigmentation
[15]
논문
Rhinomonas nottbecki n. sp. (Cryptomonadales) and Molecular Phylogeny of the Family Pyrenomonadaceae
[16]
웹인용
Pyrenomonadaceae
https://www.algaebas[...]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1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