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루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루즈는 안티오키아 수비 당시 십자군에게 도시를 넘겨준 인물이다. 변절의 동기에 대해, 서방 측 기록은 신앙의 자유를, 이슬람 측 기록은 암거래 혐의, 아내의 불륜 소문으로 인한 원한을 주요 원인으로 설명한다. 또한, 보에몽의 식인에 대한 공포심이 변절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십자군 무슬림 - 킬리지 아르슬란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룸 셀주크 왕조의 술탄으로, 말리크샤 1세 사망 후 왕조를 재건하고 십자군 전쟁에 맞서 싸우며 영토를 확장했으나, 카부르 강 전투에서 패배 후 익사했다.
  • 제1차 십자군 무슬림 - 야기 시얀
    11세기 셀주크 제국의 장군이자 안티오크 총독이었던 야기 시얀은 말리크샤 1세 사후 시리아 분열기에 알레포를 통치하며 제1차 십자군 당시 안티오크 공방전에서 도시를 방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 기독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의 전직 프로 권투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며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세 번 등극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징병 거부와 복귀를 통해 인종차별 저항과 평화주의를 상징하며 문화, 스포츠,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 기독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지미 클리프
    1944년 자메이카에서 태어난 지미 클리프는 1962년 데뷔하여 "You Can Get It If You Really Want" 등의 히트곡과 영화 《더 하더 데이 컴》의 주연 및 사운드트랙 참여, 그리고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레게 음악의 세계적인 확산에 기여한 레게 음악의 선구자이자 배우이다.
피루즈
기본 정보
샤나메에 나오는 피루즈
샤나메에 나오는 피루즈
출생이란
사망636년
직업
직업군인
참여 전쟁
전투/전쟁알 카디시야 전투
다리 전투
기타 정보
종교조로아스터교

2. 변절의 동기

서방 측 연대기 작가들은 피루즈가 본래 아르메니아기독교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십자군에 협력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슬람 측 기록은 이와 다른 이유를 제시한다.

피루즈가 여러 가지 이유로 마음이 흔들리던 중, 보에몽이 조장한 공포 분위기가 변절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피루즈가 원래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종교에 크게 얽매이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2. 1. 개인적 원한

피루즈는 안티오키아 수성 과정에서 암거래 및 불법으로 곡식을 빼돌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었다. 또한, 안티오키아 성내에서는 피루즈의 아내가 한 투르크 장교와 불륜 관계라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피루즈는 자신의 상관들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고,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고 정치적인 영향력도 얻을 수 있다는 계산 하에 보에몽과 내통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에드워드 기번의 기술을 참고한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에서는 '보에몽의 식인'에 대한 소문으로 공포를 품은 것을 주요 동기로 비중있게 서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든 동기가 종합적으로 작용하였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2. 2. 경제적 이득과 정치적 영향력

피루즈는 안티오키아를 수성하는 동안 암거래와 함께 불법으로 곡식을 빼돌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었다. 또한 안티오키아 성내에서는 피루즈의 아내가 한 투르크 장교와 바람이 났다는 소문이 퍼져있었다. 이러한 정황으로 인해 피루즈는 자신의 상관들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고 일이 잘 될 경우 정치적인 영향력도 얻을 수 있다는 계산 하에 보에몽 1세와 내통을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2. 3. 종교적 배경

서방 측 연대기 작가들은 피루즈가 본래 아르메니아기독교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십자군에 협력했다고 주장한다.[2] 그러나 이슬람 측 기록에는 피루즈가 안티오키아 수성 중 곡식을 빼돌린 혐의와 아내의 불륜 소문으로 상관들에게 원한을 품고 보에몽과 내통했다는 보다 적나라한 이유가 전해진다.[2] 에드워드 기번의 기술을 참고한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에서는 '보에몽의 식인' 소문으로 인한 공포를 주요 동기로 비중 있게 서술하고 있다.[2] 이러한 여러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2]

2. 4. 보에몽의 책략과 공포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에서는 에드워드 기번의 기술을 참고해 보에몽이 퍼뜨린 '식인' 소문이 피루즈에게 공포감을 조성하여 변절을 결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한다.[3]

참조

[1] 간행물 The Moslem World, Volume 58, pg.63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for India,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Published for the Nile Mission Press by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for India 1911
[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the Crusades
[3] 서적 The far-farers: a journey from Viking Iceland to Crusader Jerusalem, Vol 2003, Part 2, pg. 459
[4] 서적 The Crusades
[5] 서적 The Armenian kingdom in Cilicia during the Crus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