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는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는 아브라함 계통의 일신교로, 전 세계적으로 2만 개 이상의 교단이 존재하며, 다양한 교리와 신학적 해석을 가지고 있다.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자 메시아로 믿는 것이 핵심이며, 성경과 성전통을 통해 가르침을 전한다.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에서 박해를 받다가 국교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동서 교회의 분열, 종교 개혁 등을 거치며 다양한 교파로 발전했다. 현대에는 과학, 사회 변화와 맞물려 신학적 논쟁과 발전을 겪고 있으며, 창조론과 진화론의 관계, 그리고 과학적 가치와 종교적 가치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한국에는 18세기 천주교가 전래된 이후 개신교, 정교회 등이 전파되어 다양한 형태로 신앙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 기독교 관련 문서 색인
기독교 관련 문서 색인은 기독교의 역사, 교리, 윤리, 문화, 사회적 영향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주제, 인물, 사건, 용어, 단체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련 위키 페이지로 연결하는 색인 페이지입니다. - 1세기 설립 - 포르투스
포르투스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물자 수송의 중심 역할을 한 고대 로마 제국의 주요 항구로,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확장되었으며 티베르 강과 연결되어 다양한 물품을 운송했으나 중세 시대에 쇠퇴하여 현재는 피우미치노 지역에 유적이 남아있다. - 1세기 설립 - 티베리아스
티베리아스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호수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유대교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갈릴리 지역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아브라함 종교
아브라함 종교는 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믿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의 일신교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이들은 아브라함의 계보와 신과의 언약을 공유하지만 종교적 차이점도 존재하고, 바하이교 등 여러 종파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독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독교 |
로마자 표기 | Christianitas |
그리스어 표기 | Χριστιανισμός |
주요 분류 | 아브라함 계통 |
창시자 | 예수 그리스도 |
설립일 | 1세기 |
설립 장소 | 유대, 로마 제국 |
분리된 종교 | 유대교 |
신자 수 | 23억 8천 202만 명 (추정치) |
신자 호칭 | 기독교인 |
주요 지역 | 전 세계 |
종교적 특징 | |
경전 | 성경 (구약 및 신약) |
신학 | 유일신교 |
예배 언어 | 히브리어, 아람어, 성경 그리스어 |
신앙 대상 | 삼위일체 |
주요 성지 | 예루살렘 |
교단 및 분파 | |
주요 교파 |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 개신교 성공회 재건주의 |
개신교 주요 교파 | 침례교 루터교 감리교 모라비아 교회/후스파 오순절교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교 개혁 기독교 비교파 기독교회 |
재건주의 주요 교파 | 어빙파 스웨덴보리교 그리스도 형제단 후기 성도 운동 여호와의 증인 라 루스 델 문도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
역사적 맥락 | |
기원 | 유대교에서 분리 |
전성기 | 중세 |
현대 | 르네상스, 종교개혁, 계몽주의 |
기타 | |
관련 문서 | 기독교 관련 주제 목록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기독교의 역사는 예수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활동하고 십자가에 처형된 이후, 사도들이 교회를 이끌던 1세기부터 시작되었다.[728] 초기 기독교는 베드로, 바울과 같은 사도와 선지자들이 회중을 순회했지만, 일치된 신학 없이 다양한 견해를 가진 집단들로 나뉘었다는 주장이 있다.[729] 그러나 신약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이미 1세기에 체계화된 조직과 교리가 형성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 곳곳으로 전파되었고, 유대인과 로마 제국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3세기경에는 로마 제국을 거의 장악하였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 박해를 중지시켰다.[731] 316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형성하였다.[734]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테살로니카 칙령을 선포하여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삼았다.[736]
기독교는 1세기에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유대 기독교파로서 제2성전 유대교 내에서 발전했다.[24] 바울(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세례를 통한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참여가 구원에 충분하다고 주장하여, 기독교가 유대교와는 별개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8]
그리스도교 박해는 유대인과 로마 당국 모두에 의해 발생했으며, 로마의 박해는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당시 시작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는 303년에 시작되어 특히 심했다. 로마의 박해는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종식되었다.
기독교는 지중해 연안을 따라 아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로마 제국 내륙 지역과 파르티아 제국, 사산 제국을 포함한 메소포타미아로 퍼져 나갔다.[34] 아프리카에서는 1세기 중반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2세기 말에는 카르타고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티리다테스 3세 왕은 4세기 초 아르메니아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만들어 아르메니아를 공식적으로 기독교 국가로 만든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38][39]
콘스탄티누스 1세는 임종 직전 세례를 받았고,[41]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기독교 박해는 종식되었다.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니케아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정립했다.[44] 니케아 공의회는 그리스도론에 관한 교회 신학의 중요한 요소를 공식적으로 정의했다.[47]
비잔티움 제국은 기독교 역사와 기독교 문명의 정점 중 하나였으며,[48] 콘스탄티노폴리스는 기독교 세계의 주요 도시로 남아 있었다.[49] 이후 이슬람의 부상으로 기독교 신자들의 규모와 수가 줄어들었다.
기독교는 유대교의 예언과 율법을 계승한다.[583] 예수의 죽음 이후, 제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로마 세계로 전파했다.[584]
연도 | 사건 |
---|---|
기원전 6년 또는 기원전 4년경 |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 |
예수 사형 3년 전경 | 예수는 갈릴리에서 전도 활동을 시작했다. 산상수훈의 핵심에 주기도문이 있다.[585] |
기원후 30년경[586] | 예수가 사형당했다. |
50년경 |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했고,[587] 예수가 죽은 후 부활했다는 부활 신앙을 시작했다. |
54년경 |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했고,[589] 고린도의 신자들은 예수가 죽은 후 부활했다는 부활 신앙을 시작했다. |
70년경 | 마가복음[592] 기록. 남시리아의 신자들은 예수의 생애를 복음적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다. |
80년대 | 마태복음[596]과 누가복음[598] 기록. 서시리아의 신자들은 죽은 자들 가운데서 나사렛 예수가 일으켜 세워졌다는 신앙을 시작했다. |
50년경 |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하여 임박한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예수가 구원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599] |
54년경 |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하여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며 우리의 죄를 위해 죽었다고 밝혔다.[600] |
80년대 | 마태복음, 산상수훈에 주기도문을 기록. 서시리아의 신자들은 신앙 행위로서 매일의 기도 속에서 진노의 하나님이 아닌 아버지 하나님의 신앙을 갖게 된다. |
60년대 | 야고보, 베드로, 바울이 사망하다. |
66년부터 70년 | 제1차 유대 전쟁의 결과로 예루살렘 성전이 붕괴될 무렵, 유대교로부터 기독교가 독립하였다. |
4세기 이후 | 신학 논쟁이 심화되면서 교회가 분열되기 시작하였다. |
301년 | 아르메니아 왕국이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였다. |
325년 | 제1 니케아 공의회.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
380년 |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였다. |
381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제1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채택하였다. |
392년 | 국교가 된 기독교 이외의 종교와 기독교 이단 종파의 신앙 활동이 제국 내에서 금지되었다.[619] |
405년경 | 히에로니무스가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를 완성하였다. |
5세기 전반 | 아우구스티누스가 『신의 도성』을 저술하였다. |
431년 | 에페소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파가 이단으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
451년 | 칼케돈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가 채택되었다. 단성론이 이단 교리로 규정. |
국교가 된 기독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 및 기독교 이단 종파의 주장을 배척함으로써 기독교 내에서 일신교적 세계관에 따른 정통 신앙을 확립하였다.
보편교회 시대인 4세기, 로마 제국의 수도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지고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가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1세기까지 기독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로마,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5개 지역 연합체였다.[744] 그러나 서로마 제국 지역의 왕권 강화, 동로마 제국에 대한 이슬람의 침략, 로마 교회의 독립적 활동으로 분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십자군 전쟁 과정에서 로마 교회의 제4차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략, 점령하면서 완전한 단절을 낳았다.[746]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과 함께 교황청은 정치적 세력으로 부상하였고,[52] 교회는 여러 부족들 사이에서 선교 활동과 확장을 시작하였다. 가톨릭은 헝가리인, 게르만족,[52] 켈트족, 발트족, 그리고 일부 슬라브족 사이로 확산되었다.
500년경에는 기독교가 비잔티움 제국과 이탈리아 왕국 문화에 완전히 통합되었고,[53] 수도원 운동은 유럽 전역에서 강력한 세력이 되었고,[52] 9세기 카롤링거 르네상스에 기여하였다.
7세기에는 무슬림들이 시리아(예루살렘 포함), 북아프리카, 스페인을 정복하여 일부 기독교 인구를 이슬람으로 개종시켰고, 나머지 기독교 인구는 별도의 지미 법적 지위를 부여받았다. 8세기부터 교황청은 프랑크 왕국에서 더 큰 정치적 지원을 추구하였다.
중세는 교회 내에서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54][55][56][57] 8세기 초, 성상 파괴 운동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가 되었다.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는 성상을 옹호하는 결정을 내렸다.[59] 10세기 초, 서방 기독교 수도원 운동은 클뤼니 수도원의 지도력을 통해 더욱 활기를 띠었다.[60]
서방에서는 11세기부터 일부 오래된 대성당 학교들이 중세 대학교로 발전했다(예: 옥스퍼드 대학교, 파리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61]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중세 기독교 환경에서 기원한 기관으로 여겨진다.[63][64][65]
유럽 전역의 "새로운 도시"의 부상과 함께 탁발 수도회가 설립되어 수도원 밖의 새로운 도시 환경으로 봉헌된 종교 생활을 가져왔다. 프란치스코회[66]와 도미니코회[67]는 유럽의 주요 대학교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시토회는 이전의 황무지를 정착시키는 데 앞장섰다. 이 기간 동안 교회 건축과 교회 건축술은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건축 양식으로 절정에 달하고 유럽의 위대한 대성당들이 건설되었다.[68]
1095년 우르바노 2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제1차 십자군이 시작되었다.[70] 십자군은 이슬람의 공격을 억제하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제4차 십자군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약탈하면서 기독교의 적대감에 기여하기도 했다.[71]
기독교 교회는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내부 갈등을 겪었고, 이는 서방 교회(현재 가톨릭 교회)인 서방 기독교와 주로 그리스계인 동방 기독교(즉, 동방 정교회) 사이의 분열로 이어졌다.[72][73]
13세기에는 프란치스코회의 설교에서 예시된 예수의 고난에 대한 새로운 강조가 예배자들의 관심을 유대인들에게 돌리게 했는데,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유대인들에게 돌렸습니다.[74][75]
1184년경부터 카타리파 이단에 대한 십자군 이후,[76] 종교 재판이라고 널리 알려진 여러 기관들이 설립되어 이단을 억압하고 기독교 내의 종교적이고 교리적인 통합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77]
16세기에 들어 서유럽과 북유럽에서 서방교회의 종교 개혁 지지파와 반대파 간의 대립과 분리가 발생하였다. 서방교회의 '개혁 반대파'는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혁 지지파'는 개신교회로 분리되어 서방교회는 여러 교단으로 구성되는 교단 교회가 되었다.[748]
16세기부터 유럽 각지에서는 서방교회 개혁 지지 세력인 복음 중심주의 개신교들이 형성되었고, 개혁 반대 세력인 교황 중심주의의 조직과 기구 중심의 천주교회와 서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가톨릭 성직자의 부패, 성경 해석에 대한 논란, '면벌부'(대사)의 폐단 등의 이유로 인해 종교 개혁이 발생하였다.[749]
1534년,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는 수장령(Acts of Supremacy)을 반포하여 “잉글랜드 국왕만이 잉글랜드 교회의 유일한 우두머리”라고 선포하였다.[751]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작성하여 당시 로마 가톨릭의 대사 남용을 비판하였고, 이후 종교 개혁 운동을 하게 되었다.[755]
프랑스 리용 출신의 장 칼뱅은 1533년 성경의 잘못된 해석을 이유로 교황에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교회를 떠나 칼뱅주의 교회의 신앙을 출발시켰다.[756] 칼뱅의 신학은 장로교회와 개혁교회의 모태가 되었으며, 영국 성공회의 신학(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을 정립하는데 사용되었다.
로마 가톨릭은 반종교 개혁으로 스스로 자정 노력을 하는 한편, 개신교의 확산에 탄압으로 대응하였다. 종교개혁에 반발하여 가톨릭 신앙 교리의 명확한 한계를 정립하기 위한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였다.[758] 그러나 트리엔트 공의회는 종교개혁 찬성파의 협상을 거절하고, 찬성파와 반대파를 구분지어 서방교회는 통합되지 못하게 되었다. 종교개혁 찬성파와 반대파들은 격렬한 갈등을 겪었고, 결국 위그노 전쟁[759], 30년 전쟁[760]과 같은 종교 전쟁을 치렀다.
15세기 르네상스는 고대와 고전 학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마르틴 루터는 1517년 면죄부 판매에 반대하는 ''95개조 논제''를 게시했다.[78]
츠빙글리, 외콜람파디우스, 칼뱅 등과 같은 다른 개혁가들은 가톨릭 교리와 예배를 더 비판했다. 이러한 도전은 프로테스탄티즘이라는 운동으로 발전하여 교황의 수위권, 전통의 역할, 칠 성사 및 기타 교리와 관행을 거부했다.[78] 잉글랜드 종교 개혁은 1534년 헨리 8세가 스스로 종교 최고 수장으로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으로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80]
토마스 뮌처는 가톨릭 교회와 주류 종교 개혁의 고백 모두를 타락했다고 인식했다. 그들의 활동은 급진 종교 개혁을 초래하여 다양한 재세례파 종파를 탄생시켰다.
부분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대한 반응으로 가톨릭 교회는 반종교 개혁에 참여했다. 트리엔트 공의회는 가톨릭 교리를 명확히 하고 재확인했다. 그 후 몇 세기 동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티즘 사이의 경쟁은 유럽 국가들 간의 정치적 투쟁과 깊이 얽히게 되었다.[84]
한편,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새로운 선교 활동의 물결을 가져왔다. 기독교는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동아시아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퍼져 나갔다.
유럽 전역에서 종교 개혁으로 인한 분열은 종교적 폭력의 발발과 유럽에서 별도의 국가 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루터교는 독일, 리보니아, 스칸디나비아로 퍼져 나갔다. 앵글리컨교는 1534년 잉글랜드에 설립되었다. 칼뱅주의는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헝가리, 스위스, 프랑스에 소개되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은 종교가 핵심 요소가 된 갈등의 발발로 이어졌다. 30년 전쟁, 잉글랜드 내전, 프랑스 종교 전쟁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기독교 박해와 관용에 대한 논쟁을 심화시켰다.[85]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의 여러 나라가 세계 각국과 무역을 하는 한편, 식민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독교 역시 세계로 전파되었다.[761]
16세기 이후 19세기까지 개신교에는 침례교, 퀘이커, 감리교, 재림교, 성결교, 오순절교 등 다양한 새로운 교파가 세워졌다. 소련 치하에서 억압을 받았던 러시아 정교회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았다.[76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결과 로마 가톨릭교회는 현대적인 모습으로 개혁되었다.[763]
19세기 동안 미국의 개신교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부흥운동이 있었다. 대각성운동이라고도 불리는 부흥운동은 D. L. 무디 등의 부흥운동가들에 의해 일어나 개신교의 여러 교파에 큰 영향을 주었다.[764]
20세기에 들어 기존의 신학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자유주의 신학[767], 해방 신학[768], 기독교 근본주의[769] 등의 신학들이 영향력을 키웠다.
또한 갈라진 교파간 대화와 일치를 위한 에큐메니컬 운동이 지속되고 있다.[770]
1784년 조선에 천주교가 전래되면서 한반도에 기독교가 처음으로 전파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인들이 예수회의 전교로 기독교인이 되었다는 설과,[772] 경교가 신라에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으나,[773] 정설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한국 천주교는 이승훈이 북경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후 자발적으로 전파되었다.
1885년 개신교 장로교회 선교사 언더우드와 감리교회 선교사 아펜젤러가 선교를 시작했고, 20세기 초에는 침례교, 구세군, 성공회, 재림교, 정교회 등이 전래되었다.
2. 1. 고대 기독교
초기 크리스트교는 예수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활동하였다는 때와 그의 십자가 처형 이후[728] 사도들이 교회를 이끌던 1세기 무렵부터 동서교회의 분열 이전까지의 기독교를 말한다. 초기 기독교에 대해서 베드로, 파울로스와 같은 사도와 선지자들이 회중을 순회하고 다녔지만 특정한 조직이나, 교리, 건물 등이 없었고 따라서 일치된 신학도 없었으며 매우 다양한 견해를 갖는 집단들로 나뉘어 있었다[729]는 주장이 있는 반면,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지역마다 많은 회중이 형성되었고, 사도들이 신자들에게 성경의 가르침과 예수의 새로운 가르침을 따를 것을 교훈하였으며 배교자 혹은 부도덕한 신자에 대해서는 경고하거나 제명해야 됨을 각 회중들에 권고하고 편지한 내용 그리고 교리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교회 연로자들의 회의가 소집된 일, 또한 요한에 의해 기록된 요한의 묵시록에서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의 교리 일치 여부와 역사, 행위들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는 등 신약 성경의 정립 과정을 보면, 이미 기원 1세기에 매우 체계화된 조직과 교리가 형성되었으며 완성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초기 기독교는 고대 그리스-로마 세계 곳곳으로 전파되었다.또한 로마제국 곳곳에서 유대인들의 박해와 64년부터 시작된 로마제국의 여러 박해로 많은 순교자가 나왔지만, 더 체계적으로 결속해지면서 3세기경에는 로마제국을 거의 다 장악하였다.
사도들이 회중을 이끌었던 시기의 교회를 초대교회(Apostolic church)라고 한다.[730]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에 대한 박해를 중지하였다.[731]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는 기독교 신자였으며[732],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비우스 다리 전투 전날 꾼 꿈의 지시대로 병사의 방패에 카이 로(
316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열고 그 동안 다양한 사상으로 분화되어 있던 기독교의 교리를 정리하도록 하였다. 이 공의회에서는 예수를 반신적 존재, 하느님으로부터 창조된 존재로 본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형성하였다.[734]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와 하느님을 동일본질로 보는 교리를 확정했으며[735], 부활절 시기 및 성직자의 서품과 본분 등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를 이루어 교회 규범을 제정했다.
380년 2월 27일 테오도시우스 1세는 테살로니카 칙령을 선포하고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삼았다.[736]

기독교는 서기 1세기에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유대 기독교파로서 제2성전 유대교 내에서 발전했다.[24] [25] [26] 초기 유대 기독교 공동체는 예수의 형제인 야고보(야고보 공정한 자), 베드로(성 베드로), 그리고 요한 등, 이른바 교회의 기둥들의 지도 아래 예루살렘에 설립되었다.[27]
유대 기독교는 곧 이방인 경건자들을 끌어들였고, 이는 유대 계명의 준수를 강조하는 유대교의 종교적 관점에 문제를 제기했다. 바울(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세례를 통한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참여가 충분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28] 그는 처음에는 초기 기독교인들을 박해했지만, 회심 경험 이후에는 이방인들에게 전파했으며, 유대교와는 별개의 독자적인 기독교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결국 그의 유대 관습으로부터의 이탈은 기독교가 독립적인 종교로서 확립되는 결과를 가져왔다.[29]

이 형성기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사도들의 계승자로 여기는 초기 주교들을 따라 이어졌다. 150년부터 그리스도교 교사들은 신앙을 옹호하기 위한 신학적 및 변증론적 저술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저자들은 교부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을 연구하는 것을 교부학이라고 한다. 주목할 만한 초기 교부로는 안티오크의 이냐시오, 폴리카르푸스, 유스티누스 순교자, 이레네우스, 터툴리아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및 오리게네스가 있다.
그리스도교 박해는 유대인과 로마 당국 모두에 의해 간헐적이고 소규모로 발생했으며, 로마의 박해는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당시 시작되었다. 신약 성서에 보고된 유대 당국의 초기 처형의 예로는 스데반[30]과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31]의 죽음이 있다. 데키우스 박해는 최초의 제국 전역의 갈등[32]이었는데, 서기 250년 데키우스의 칙령에 따라 로마 제국 내 모든 사람(유대인 제외)은 로마 신들에게 제사를 드려야 했다. 서기 303년에 시작된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도 특히 심했다. 로마의 박해는 서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종식되었다.
원시 정통 그리스도교가 우세해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근본적으로 다른 신앙을 가진 이단 종파들도 존재했다. 영지주의 기독교는 죄의 용서가 아니라 환상과 깨달음을 기반으로 하는 이신론적 교리를 발전시켰다. 발전하는 정통 교리와 일부 경전만 겹치는 몇몇 경전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영지주의 경전과 영지주의 복음서는 결국 이단으로 간주되어 주류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억압되었다. 이방 그리스도교의 점진적인 분리로 유대 그리스도교는 모세의 율법을 포함하여 할례와 같은 관습을 계속 따랐다. 5세기까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우세한 종파들에 의해 그들과 유대-그리스도교 복음서는 대부분 억압되었다.

기독교는 지중해 연안을 따라 아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로마 제국 내륙 지역과 그 너머 파르티아 제국과 후대의 사산 제국을 포함한 메소포타미아로 퍼져 나갔다. 이 지역들은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정도로 이 제국들의 지배를 받았다.[34] 아프리카에서 기독교가 나타난 것은 1세기 중반 이집트에서 시작되었고, 2세기 말에는 카르타고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마가복음 저자는 기원후 43년경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콥트 정교회를 포함한 여러 후대 교회들이 이를 자신의 전통으로 여긴다.[35][36][37] 초기 기독교 발전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아프리카 인물로는 터툴리아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 키프리아누스, 아타나시우스, 그리고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있다.

티리다테스 3세 왕은 4세기 초 아르메니아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만들어 아르메니아를 공식적으로 기독교 국가로 만든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38][39] 아르메니아에서는 적어도 3세기부터 기독교가 전파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종교는 아니었지만,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40]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젊은 시절 기독교에 노출되었고, 그의 일생 동안 기독교에 대한 그의 지지는 점점 커져 임종 직전 세례를 받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다.[41] 그의 통치 기간 동안 311년의 관용 칙령과 313년의 밀라노 칙령으로 국가가 승인한 기독교 박해는 종식되었다. 그 당시 기독교는 여전히 소수 종교였으며, 로마 인구의 5%에 불과했을 것이다.[42] 그의 조언자 마르도니우스의 영향을 받은 콘스탄티누스의 조카 율리아누스는 기독교를 억압하려 했지만 실패했다.[43] 380년 2월 27일, 테오도시우스 1세, 그라티아누스, 그리고 발렌티니아누스 2세는 니케아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정립했다.[44] 기독교가 국가와 연결되자마자 부유해졌고, 교회는 부자들로부터 기부를 받았고 이제 토지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45]
콘스탄티누스는 또한 325년에 열린 니케아 공의회의 소집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 공의회는 아리우스파 문제를 해결하고 오늘날 가톨릭, 동방 정교회, 루터교, 성공회, 그리고 다른 많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니케아 신조를 만들었다.[46][119] 니케아 공의회는 일련의 전례 공의회 중 첫 번째였으며, 교회 신학의 중요한 요소, 특히 그리스도론에 관한 것을 공식적으로 정의했다.[47] 동방 교회는 세 번째와 그 이후의 전례 공의회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오늘날에도 그 후계자들(동방 아시리아 교회)과는 별개로 남아 있다.
번영과 문화 생활 측면에서 비잔티움 제국은 기독교 역사와 기독교 문명의 정점 중 하나였으며,[48]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크기, 부, 문화 면에서 기독교 세계의 주요 도시로 남아 있었다.[49] 고전 그리스 철학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고, 구어 그리스어로 된 문학 작품도 증가했다.[50] 비잔틴 예술과 문학은 유럽에서 탁월한 지위를 차지했고, 이 시대 비잔틴 예술의 서구에 대한 문화적 영향은 엄청났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중요성을 지녔다.[51] 나중에 북아프리카에서 이슬람의 부상으로 기독교 신자들의 규모와 수가 줄어들었고, 이집트의 콥트 교회, 아프리카 뿔 지역의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 그리고 수단(노바티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누비아 교회만 다수 남게 되었다.
기독교는 유대교의 예언과 율법을 계승한다.[583] 예수의 죽음 이후, 제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당시 로마 세계로 전파했다.[584]
연도 | 사건 |
---|---|
기원전 6년 또는 기원전 4년경 |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 |
예수 사형 3년 전경 | 예수는 갈릴리에서 전도 활동을 시작했다. 산상수훈의 핵심에 주기도문이 있다.[585] |
기원후 30년경[586] | 예수가 사형당했다. |
50년경 |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했고,[587] 살아 계신 참 하나님에 의해 죽었던 나사렛 예수가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으켜 세워졌음을 선포했다.[588] 데살로니가의 신자들은 예수가 죽은 후 부활했다는 부활 신앙을 시작했다. |
54년경 |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했고,[589] 하나님에 의해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사흘 만에 나사렛 예수가 부활했음을 선포했다.[590] 고린도의 신자들은 예수가 죽은 후 부활했다는 부활 신앙을 시작했다. |
70년경 | 익명의 저자는 마가복음을 기록했고,[592] 나사렛 예수 사후 여성 신자들에게 어떤 사건이 일어났음을 선포한다.[593] 빈 무덤을 보았다는 기록 이후는 후대의 첨가로 여겨진다.[594] 남시리아의 신자들은 이로부터 예수의 생애를 복음적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다. |
80년대 | 마태복음[596]과 누가복음[598]의 저자들은 죽은 자들 가운데서 나사렛 예수가 일으켜 세워졌음을 선포하고 예수의 부활 신앙을 확립했다. 서시리아의 신자들은 죽은 자들 가운데서 나사렛 예수가 일으켜 세워졌다는 신앙을 시작했다. |
50년경 |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하여 임박한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예수가 구원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599] 데살로니가의 신자들은 예수가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해 준다는 신앙을 갖게 되었다. |
54년경 |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하여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며 우리의 죄를 위해 죽었다고 밝혔다.[600] 고린도의 신자들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며 우리의 죄를 위해 죽었다는 속죄 신앙을 갖게 되었다. 또한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는 것처럼 그리스도 안에서도 모든 사람이 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린도의 신자들은 예수를 통해 아담의 죄로 인한 자신의 죽음이 하나님의 아들에 의해 부활로 전환되었다는 신앙을 갖게 되었다.[601] |
80년대 | 마태복음의 저자는 예수는 요셉의 아들이 아니라 성령으로 잉태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밝혔다.[602] 그리고 그의 백성을 온갖 죄로부터 구원할 것이라고 밝혔다.[603] 서시리아의 신자들은 예수는 요셉의 아들이 아니라 성령으로 잉태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의 백성을 온갖 죄로부터 구원한다는 신앙을 갖게 되었다. 또한 마태복음 저자는 산상수훈에 주기도문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서시리아의 신자들은 신앙 행위로서 매일의 기도 속에서 진노의 하나님이 아닌 아버지 하나님의 신앙을 갖게 된다. 신자들은 개인적으로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더욱 깊게 하게 되고, 예수의 죽음을 통한 속죄 신앙을 더욱 깊게 하게 된다. 누가복음에도 예수의 죽음을 통한 속죄 신앙이 확립되었다. |
60년대 | 야고보, 베드로, 바울이 사망하다. |
66년부터 70년 | 제1차 유대 전쟁의 결과로 예루살렘 성전이 붕괴될 무렵, 유대교로부터 기독교가 독립하였다. |
4세기 이후 | 신학 논쟁이 심화되면서 교회가 분열되기 시작하였다. 폭력을 사용하는 급진적인 종파가 등장하였다. |
301년 | 아르메니아 왕국이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였다. |
325년 | 기독교도들의 폭력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동시에 기독교 세력을 이용하여 로마 제국의 원심력 저하 문제 해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
380년 |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였다. |
381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제1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채택하였다. |
392년 | 국교가 된 기독교 이외의 종교와 기독교 이단 종파의 신앙 활동이 제국 내에서 금지되었다.[619] |
405년경 | 히에로니무스가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타』를 완성하였다. |
5세기 전반 | 아우구스티누스가 『신의 도성』을 저술하였다. |
431년 | 에페소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파가 이단으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
451년 | 칼케돈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가 채택되었다. 또한, 단성론이 이단 교리로 규정되었으나, 이집트, 시리아 및 아르메니아를 중심으로 양성론(정통파에서는 단성론의 일종으로 간주되었으나, 양성론파는 그러한 견해를 부정하였다)을 지지하는 교회가 많았기 때문에, 각 교회에서 대립하는 주교가 설 정도로 분열이 발생하였다(비칼케돈파 정교회의 분립). |
이처럼 국교가 된 기독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 및 기독교 이단 종파의 주장을 배척함으로써 기독교 내에서 일신교적 세계관에 따른 정통 신앙을 확립하였다.
2. 2. 중세 기독교

보편교회 시대인 4세기, 로마 제국의 수도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지고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가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1세기까지 기독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로마,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5개 지역 연합체였다.[744] 그러나 서로마 제국 지역의 왕권 강화, 동로마 제국에 대한 이슬람의 침략, 로마 교회의 독립적 활동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중심의 연합체와 로마 교회의 분열이 발생하였다. 분열의 기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대주교(대감독)와 로마 교회 대주교 간의 상호 파문 사건이 있었다.[745] 이후 십자군 전쟁 과정에서 로마 교회의 제4차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략, 점령하면서 로마 제국 연합 교회 네 지역 교회와 로마 지역 교회의 완전한 단절을 낳았다.[746]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과 함께 교황청은 정치적 세력으로 부상하였고, 레오 1세 교황이 훈족과 반달족과의 외교적 교섭에서 그 모습을 처음으로 드러냈다.[52] 교회는 여러 부족들 사이에서 장기간에 걸친 선교 활동과 확장을 시작하였다. 가톨릭은 헝가리인, 게르만족,[52] 켈트족, 발트족, 그리고 일부 슬라브족 사이로 확산되었다.
500년경에는 기독교가 비잔티움 제국과 이탈리아 왕국 문화에 완전히 통합되었고,[53] 베네딕토 수도원장은 수도원 설립과 운영에 대한 규정 체계를 확립하는 수도원 규칙을 제정하였다.[52] 수도원 운동은 유럽 전역에서 강력한 세력이 되었고,[52] 특히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갈리아 등 여러 초기 학문의 중심지를 탄생시켜 9세기 카롤링거 르네상스에 기여하였다.
7세기에는 무슬림들이 시리아(예루살렘 포함), 북아프리카, 스페인을 정복하여 일부 기독교 인구를 이슬람으로 개종시켰고, 나머지 기독교 인구는 별도의 지미 법적 지위를 부여받았다. 8세기부터 카롤링거 지도자들의 부상과 함께 교황청은 프랑크 왕국에서 더 큰 정치적 지원을 추구하였다.


중세는 교회 내에서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54][55][56][57]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은 교회 조직과 행정을 극적으로 개혁하였다.[58] 8세기 초, 성상 파괴 운동은 비잔티움 황제들이 후원하면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가 되었다.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는 마침내 성상을 옹호하는 결정을 내렸다.[59] 10세기 초, 서방 기독교 수도원 운동은 클뤼니 수도원의 지도력을 통해 더욱 활기를 띠었다.[60]
서방에서는 11세기부터 일부 오래된 대성당 학교들이 중세 대학교로 발전했다(예: 옥스퍼드 대학교, 파리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 이전에는 고등 교육은 기독교 대성당 학교 또는 수도원 학교(Scholae monasticae)의 영역이었으며, 수도사와 수녀들이 이끌었다. 이러한 학교들의 증거는 서기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1] 이 새로운 대학교들은 성직자, 법률가, 공무원, 의사를 위한 학업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교육과정을 확장했다.[62]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중세 기독교 환경에서 기원한 기관으로 여겨진다.[63][64][65]
유럽 전역의 "새로운 도시"의 부상과 함께 탁발 수도회가 설립되어 수도원 밖의 새로운 도시 환경으로 봉헌된 종교 생활을 가져왔다. 두 가지 주요 탁발 수도회 운동은 프란치스코회[66]와 도미니코회[67]였으며, 각각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와 도미니크에 의해 설립되었다. 두 수도회 모두 유럽의 주요 대학교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또 다른 새로운 수도회는 시토회였는데, 그들의 크고 고립된 수도원들은 이전의 황무지를 정착시키는 데 앞장섰다. 이 기간 동안 교회 건축과 교회 건축술은 새로운 차원에 도달하여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건축 양식으로 절정에 달하고 유럽의 위대한 대성당들이 건설되었다.[68]
1095년 우르바노 2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제1차 십자군이 시작되었다.[70] 이것은 성지 및 기타 지역에서 일어난 일련의 군사 원정으로, 비잔티움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요청에 따라 튀르크의 확장에 맞서 돕기 위해 시작되었다. 십자군은 궁극적으로 이슬람의 공격을 억제하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제4차 십자군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약탈하면서 기독교의 적대감에 기여하기도 했다.[71]
기독교 교회는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내부 갈등을 겪었고, 이는 서방 교회(현재 가톨릭 교회)인 서방 기독교와 주로 그리스계인 동방 기독교(즉, 동방 정교회) 사이의 분열로 이어졌다. 양측은 행정, 예배, 교리 문제, 특히 교황의 최고 권위에 대한 동방 정교회의 반대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72][73] 리용 제2차 공의회(1274년)와 피렌체 공의회(1439년)는 교회를 재통합하려고 시도했지만, 두 경우 모두 동방 정교회는 결정을 이행하는 것을 거부했고, 두 주요 교회는 현재까지도 분열된 상태로 남아 있다.
13세기에는 프란치스코회의 설교에서 예시된 예수의 고난에 대한 새로운 강조가 예배자들의 관심을 유대인들에게 돌리게 했는데,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유대인들에게 돌렸습니다. 기독교의 유대인에 대한 제한적인 관용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유대인들에 대한 증가하는 반감은 1290년 영국에서 유대인 추방(유럽에서 일어난 많은 추방 중 최초)으로 이어진 요인이었다.[74][75]
1184년경부터 카타리파 이단에 대한 십자군 이후,[76] 종교 재판이라고 널리 알려진 여러 기관들이 설립되어 이단을 억압하고 개종과 기소를 통해 기독교 내의 종교적이고 교리적인 통합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77]
다음은 중세 기독교의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301년 | 아르메니아 왕국이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 |
325년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소집, 아리우스파 이단으로 규정 |
380년 |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 |
381년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채택 |
392년 | 기독교 이외 종교 및 기독교 이단 종파 신앙 활동 금지[619] |
405년경 | 히에로니무스,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 『불가타』 완성 |
5세기 전반 | 아우구스티누스, 『신의 도성』 저술 |
431년 | 에페소 공의회, 네스토리우스파 이단으로 규정 |
451년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신경 채택, 단성론 이단으로 규정 |
6세기 전반 | 유스티니아누스 1세, 로마법 대전 편찬 |
800년 | 카롤루스 대제, 교황 레오 3세로부터 대관식, 기독교 수호자 자칭 |
927년 | 불가리아 정교회에 총대주교직 인정 |
1054년 | 동서 교회 분열 |
13세기 후반 |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저술 |
1415년 | 콘스탄츠 공의회, 존 위클리프 이단 선고, 얀 후스 화형 |
1448년 | 러시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사실상 독립 |
1453년 |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동로마 제국 멸망 |
2. 3. 종교 개혁과 근대 기독교
16세기에 들어 서유럽과 북유럽에서 서방교회의 종교 개혁 지지파와 반대파 간의 대립과 분리가 발생하였다. 서방교회의 '개혁 반대파'는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혁 지지파'는 개신교회로 분리되어 서방교회는 여러 교단으로 구성되는 교단 교회가 되었다.[748]
16세기부터 유럽 각지에서는 서방교회 개혁 지지 세력인 복음 중심주의 개신교들이 형성되었고, 개혁 반대 세력인 교황 중심주의의 조직과 기구 중심의 천주교회와 서로 분리되었다. 이들은 초대 교회의 신앙 전통을 따랐지만, 로마 가톨릭 성직자들의 부정부패에 대한 인문주의자들과 지식인들의 비판을 탄압하여 자정 능력을 상실하였고, 로마 교황청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각국 군주의 불만이 쌓여 있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가톨릭 성직자의 부패, 성경 해석에 대한 논란, '면벌부'(대사)의 폐단 등의 이유로 인해 종교 개혁이 발생하였다.[749] 특히 당시 가장 큰 논란을 부른 것은 교황청의 정치적 자금과 바티칸 증축을 위한 면벌부 판매 문제였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죄는 고해성사로 용서받고, 잠벌은 보속을 통해 갚아야 한다고 믿는다. 이 보속을 면제해 주는 것을 면벌(대사)이라고 하는데, 현대에는 주로 기도나 선행 등을 보속으로 한다. 그러나 당시 독일 지방에 선포되었던 면죄(대사)의 조건 중 가장 논란이 된 것은 헌금이었다. 가난한 자는 헌금을 대신할 수단이 있다고 명시되었고, 교황 역시도 "헌납자는 각자의 형편에 따라 헌납 ."라고 언급했으나, 대사를 악용하여 부를 축적하는 성직자가 등장하고 곳곳에서 면벌부 전문 판매원이 출현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750]
1534년,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는 수장령(Acts of Supremacy)을 반포하여 “잉글랜드 국왕만이 잉글랜드 교회의 유일한 우두머리”라고 선포하였다.[751] 헨리 8세의 수장령은 같은 해 잉글랜드 교회 내의 주교에 대한 임명권이 국왕에게 있다고 선포한 주교서임법과 함께 교황과의 단절을 공식화한 것이었다.[752]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 수사 신부였다.[753] 그는 다섯 솔라에 의지하여 오직 성서와 진실한 믿음만이 구원을 줄 수 있다고 믿었다.[754]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작성하여 당시 로마 가톨릭의 대사 남용을 비판하였고, 이후 종교 개혁 운동을 하게 되었다.[755]
프랑스 리용 출신의 장 칼뱅은 1533년 성경의 잘못된 해석을 이유로 교황에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교회를 떠나 칼뱅주의 교회의 신앙을 출발시켰다.[756] 1536년 3월 칼뱅은 《기독교 강요》를 출판하여 칼뱅주의 신학을 정리하였다.[757] 칼뱅의 신학은 장로교회와 개혁교회의 모태가 되었으며, 영국 성공회의 신학(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을 정립하는데 사용되었다.
로마 가톨릭은 반종교 개혁으로 스스로 자정 노력을 하는 한편, 개신교의 확산에 탄압으로 대응하였다. 종교개혁에 반발하여 가톨릭 신앙 교리의 명확한 한계를 정립하기 위한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였다.[758] 그러나 트리엔트 공의회는 종교개혁 찬성파의 협상을 거절하고, 찬성파와 반대파를 구분지어 서방교회는 통합되지 못하게 되었다. 종교개혁 찬성파와 반대파들은 격렬한 갈등을 겪었고, 결국 위그노 전쟁[759], 30년 전쟁[760]과 같은 종교 전쟁을 치렀다.
15세기 르네상스는 고대와 고전 학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마르틴 루터는 1517년 면죄부 판매에 반대하는 ''95개조 논제''를 게시했다.[78] 인쇄된 사본은 곧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521년 보름스 칙령은 루터와 그의 추종자들을 단죄하고 파문하여 서구 기독교 세계가 여러 갈래로 분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79]
츠빙글리, 외콜람파디우스, 칼뱅, 녹스, 아르미니우스와 같은 다른 개혁가들은 가톨릭 교리와 예배를 더 비판했다. 이러한 도전은 프로테스탄티즘이라는 운동으로 발전하여 교황의 수위권, 전통의 역할, 칠 성사 및 기타 교리와 관행을 거부했다.[78] 잉글랜드 종교 개혁은 1534년 헨리 8세가 스스로 종교 최고 수장으로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으로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 1536년부터 잉글랜드, 웨일즈, 아일랜드 전역의 수도원이 해체되었다.[80]
토마스 뮌처,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및 기타 신학자들은 가톨릭 교회와 주류 종교 개혁의 고백 모두를 타락했다고 인식했다. 그들의 활동은 급진 종교 개혁을 초래하여 다양한 재세례파 종파를 탄생시켰다.

부분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대한 반응으로 가톨릭 교회는 반종교 개혁 또는 가톨릭 개혁으로 알려진 상당한 개혁 및 갱신 과정에 참여했다. 트리엔트 공의회는 가톨릭 교리를 명확히 하고 재확인했다. 그 후 몇 세기 동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티즘 사이의 경쟁은 유럽 국가들 간의 정치적 투쟁과 깊이 얽히게 되었다.[84]
한편,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새로운 선교 활동의 물결을 가져왔다. 부분적으로 선교 열정에서 비롯되었지만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의 추진력 아래 기독교는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동아시아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퍼져 나갔다.
유럽 전역에서 종교 개혁으로 인한 분열은 종교적 폭력의 발발과 유럽에서 별도의 국가 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루터교는 오늘날 독일, 리보니아, 스칸디나비아의 북부, 중부, 동부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앵글리컨교는 1534년 잉글랜드에 설립되었다. 칼뱅주의와 장로교와 같은 그 변종은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헝가리, 스위스, 프랑스에 소개되었다. 아르미니우스파는 네덜란드와 프리슬란트에서 추종자들을 얻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은 종교가 핵심 요소가 된 갈등의 발발로 이어졌다. 30년 전쟁, 잉글랜드 내전, 프랑스 종교 전쟁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기독교 박해와 관용에 대한 논쟁을 심화시켰다.[85]
신플라톤주의의 부흥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은 기독교를 거부하지 않았다. 오히려 르네상스의 가장 위대한 작품 중 많은 수가 기독교에 헌정되었으며, 가톨릭 교회는 르네상스 미술의 많은 작품을 후원했다.[86] 새로운 예술의 상당 부분, 아니 대부분은 교회의 의뢰로 또는 교회에 헌정되었다.[86] 일부 학자와 역사가들은 기독교가 과학 혁명의 부상에 기여했다고 생각한다.[87] 서구 과학에 영향을 미친 많은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88] 갈릴레오 갈릴레이,[89] 요하네스 케플러,[90] 아이작 뉴턴[91] 및 로버트 보일[92]과 같이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여겼다.
2. 4. 현대 기독교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의 여러 나라가 세계 각국과 무역을 하는 한편, 식민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독교 역시 세계로 전파되었다.[761]16세기 이후 19세기까지 개신교에는 침례교, 퀘이커, 감리교, 재림교, 성결교, 오순절교 등 다양한 새로운 교파가 세워졌다. 소련 치하에서 억압을 받았던 러시아 정교회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았다.[76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결과 로마 가톨릭교회는 현대적인 모습으로 개혁되었다.[763]
19세기 동안 미국의 개신교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부흥운동이 있었다. 대각성운동이라고도 불리는 부흥운동은 D. L. 무디, R. A. 토레이, J. W. 체프만 등의 부흥운동가들에 의해 일어나 개신교의 여러 교파에 큰 영향을 주었다.[764] 이들은 초교파적 부흥운동을 바탕으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선교사를 파견하였다.[765][766]
20세기에 들어 기존의 신학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자유주의 신학[767], 해방 신학[768], 기독교 근본주의[769] 등의 신학들이 영향력을 키웠다.
또한 갈라진 교파간 대화와 일치를 위한 에큐메니컬 운동이 지속되고 있다.[770]
2. 5. 한반도 전파
1784년 조선에 천주교가 전래되면서 한반도에 기독교가 처음으로 전파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인들이 예수회의 전교로 기독교인이 되었다는 설과,[772] 경교가 신라에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으나,[773] 정설로 인정받지는 못한다.한국 천주교는 이승훈이 북경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후 자발적으로 전파되었다. 선교사나 성직자의 선교활동 없이 자발적으로 천주교를 받아들인 사례는 조선이 유일하다.
1885년 개신교 장로교회 선교사 언더우드와 감리교회 선교사 아펜젤러가 선교를 시작했고, 20세기 초에는 침례교, 구세군, 성공회, 재림교, 정교회 등이 전래되었다.
3. 교리와 신학
"기독교"(基督)라는 용어는 16세기 가톨릭 예수회 선교사들이 그리스어 "그리스도"(Χριστός, 크리스토스)를 중국어로 음역한 '기리사독'(基利斯督)의 줄임말이다. '기리사독'은 현대 베이징어로는 '지리쓰두'로 발음되지만, 구개음화 이전의 옛 발음은 '기리스도'에 가까웠다. 청나라 때 '기'가 '지'로 구개음화된 것은 만주족 발음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727]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부터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까지 일곱 번의 공의회를 통해 기독교의 주요 신학적 문제가 논의되었다. 주교들이 공의회에 참석하여 교회신학적 배경, 교리, 교회 조직, 예식 등을 정비했다.[737]
초기 일곱 번의 공의회를 통해 보편교회주의(공교회주의)가 형성되면서, 이와 다른 신학을 가진 교파들은 이단으로 배척되어 분화되었다.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가 이단으로 배척되었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공인되자 단성설을 주장한 콥트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보편교회와 결별했다. 6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종교회의에서 네스토리우스파가 이단으로 배척되자 아시리아 동방교회가 분리되었고, 당나라까지 전파되어 경교(景敎)로 알려졌다.[738]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분파를 거듭하여 전 세계에 2만 개 이상의 교단이 있으며, 대한민국에도 장로교, 천주교, 감리교 등 여러 교단이 있다. 교파마다 교리는 다양하지만, 공통된 가장 큰 특징은 '''메시아 및 속죄 사상'''이다.
기독교의 성경은 유대교에서 계승한 구약성경과 기독교 고유의 신약성경으로 구성된다. "구약"과 "신약"은 각각 신과 인간 사이의 "옛 계약"과 그리스도를 통해 맺어진 "새 계약"을 의미한다.
신약성경은 복음서(예수의 전기, 총 4권, 내용 중복), 바울서신(바울이 여러 지역 신자들에게 쓴 편지), 공동서신(기독교 신자 일반에게 신앙을 설파한 서신), 요한계시록(묵시문학 문서, 종말론에 대해 쓰여짐) 등의 문서들을 포함한다. 이 문서들은 1세기에서 2세기경에 쓰여졌고, 4세기 중엽에 현재 형태로 편찬되었다고 추정된다.
고등 비평에 따르면 성경의 원래 저자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 마태복음: 80년대, 서시리아, 익명의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695]
- 마가복음: 70년대, 남시리아(추정), 익명의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마가라는 이름 사용).[696]
- 누가복음: 80년대, 지중해 연안 도시(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제외), 익명의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누가"라고 부름).[697]
- 요한복음: 90년대, 시리아 또는 에페소, 익명의 저자(다른 사람이 완성).[698]
- 사도행전: 90년대, 지중해 연안 도시, 익명의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누가"라고 함).[699]
- 바울 서신: 바울 저작 추정 서신: 데살로니가전서(50년경),[700] 고린도전서(54년경),[701] 고린도후서(54-55년 사이),[702] 갈라디아서(54년경),[703] 빌립보서(54년 후반경),[704] 빌레몬서(54-55년경),[705] 로마서(55-56년경).[706] 그 외는 위서 가능성.[707]
- 공동 서신: 사도 이름을 붙였지만, 익명의 저자.[708]
- 요한계시록: 95-96년경, 소아시아에 정착한 익명의 팔레스타인 유대인.[709]
성경에 속한다고 인정되는 문서들을 '''성경 정경'''이라 하며, 정경의 범위는 교파마다 다르다. 신약성경은 교파별 차이가 거의 없으며, 가톨릭, 개신교, 동방 정교회 등이 동일한 27권을 정경으로 한다.
구약성경은 교파별 차이가 크다. 개신교(39권)보다 가톨릭(46권)이, 가톨릭보다 동방 정교회(51권)나 동방 교회들이 더 많은 문서를 포함한다.[710] 개신교의 구약성경은 히브리어 성경만을 정경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유대교의 타나크와 같다. 각 교파에서 성경 정경에 포함되지 않은 문서들은 '''제2정경, 속편, 외경, 위경''' 등으로 불린다.
3. 1. 주요 교리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믿고 속죄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이다. 역사적으로 많은 교파로 분리되었으며, 대한민국에는 장로교, 천주교, 감리교 등 다양한 교단이 존재한다.기독교의 주요 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신관(神觀):''' 기독교는 유일신 야훼(여호와, 주님)를 믿는다. 천주교, 대한성공회, 한국 정교회는 '하느님', 개신교는 '하나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믿는 교파가 많으며, 이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자와 성부는 동일한 실체다"라는 결론을 통해 정립되었다. 아리우스파부터 현대의 반삼위일체파까지 삼위일체론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 '''인간관:''' 모든 인간은 아담과 하와의 후손으로 원죄를 물려받았다고 믿는다. 예수가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으므로, 그를 믿는 사람은 구원받아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믿는다. 영혼의 불멸을 믿으며,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나 여호와의 증인처럼 영혼 불멸과 지옥을 믿지 않는 교파도 있다.
- '''구원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을 '구원'이라 하며, 대부분의 교파에서 예수의 부활과 십자가 대속을 믿음으로써 구원을 받는다고 믿는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10장 9절이 그 근거이다. 일부 교단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계명 준수를 통한 참된 신앙을 강조하기도 한다. 구원받은 사람은 예수의 부활처럼 부활할 것을 믿는다.
- '''역사관:''' 성경 예언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을 다스리러 다시 올 것을 믿으며, 이때 천년왕국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다(전천년왕국설). 후천년왕국설, 무천년왕국설도 존재한다. 심판을 통해 세계가 새롭게 될 것이라는 종말론적 역사관을 갖는다.
기독교의 믿음(belief) 또는 신앙(faith)은 히브리서의 "희망하는 것에 대한 확신, 보지 않은 것에 대한 확신"으로 정의된다.[776] 이는 신의 자비로운 의지와 인간에 대한 계획, 초월적 영역과 다가올 세계를 믿는 것을 포함한다.
기독교는 예수가 고난과 예수의 부활을 통해 입증된 구원자라는 믿음을 중심으로 한다.[777] 대부분의 기독교 전통에서 신앙은 예수가 성령에 의해 부활했음을 믿는 것을 포함한다.[777]
“믿음”이란 단어는 그리스어 '피스티스'(πιστις)에서 유래하며, 신약성경에서 다양한 의미(충실함, 신의, 충성심, 약속, 신뢰, 믿음, 증명 등)로 사용되었다.[778]
3. 2. 예수의 신성과 인성
요한 복음서 1장에서는 태초에 말씀이 계셨다는 선언을 통해 예수를 "말씀"(로고스)으로 표현하였는데, 이 시기 그리스 철학에서 로고스는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질서와 힘을 뜻했다. 이와 같은 표현을 통해서 예수는 사람이 되신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론을 강조하는 경향은 기독교 초기부터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신약성경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사도 바울로의 서신서(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 역시 예수를 주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사람이 되신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론과 그리스도의 부활을 중요하게 여긴다. 천주교회 신학자 존 도미니크 크로산과 성공회 신학자인 마커스 보그는 바울로의 그리스도론을 로마 제국 신학, 즉 로마 제국의 황제를 주님, 그리스도, 사람이 되신 하느님, 하느님의 아들로 우상화함으로써 로마 제국의 정치 사상과 질서를 옹호하는 다분히 현실 순응적인 신학에 대한 저항으로 이해한다.
장로교 신학자 김회권도 바울로가 자신의 복음을 하느님의 아들 예수가 십자가에서 처형되었지만 부활했다는 신앙 고백으로 이해한 것은, 로마 제국이라는 현실 권력의 무력함을 말하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파울로가 보기에 예수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은 갈릴래아의 예수가 로마 제국에 의해 십자가형을 받고 죽었지만, 하느님은 그를 부활하게 함으로써 현실 권력이 얼마나 무력한 것인가를 보여준 것이다.[774] 이러한 기독교의 저항적인 교의는 당연히 기독교가 반국가적인 종교로 인식되어 로마 제국의 탄압을 받게 하였다.[775]
초기 기독교의 분파 중에서는 인간 예수가 하느님의 양자가 되었다는 에비온주의처럼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고 요한복음서 역시 부정하는 종파도 있었으나, 이는 극히 소수였고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로 인정된 후에는 이단으로 지목되어 그나마 남아 있던 세력도 극소수로 줄어들었다.
반대로 가현설을 주장하는 그노시스파나 카타리파처럼 예수의 인성을 부정하는 종파들도 있었다. 영지주의 및 가현설주의자들은 육체는 악하다는 이분법을 갖고 있었으므로, 예수는 완전한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탈을 썼을 뿐이라는 주장으로 예수가 완전한 사람임을 부정하였다. 이에 사도 요한은 '예수께서 사람으로 오셨음을 부정하는 자들은 적그리스도'라고 단죄했으며, 복음서 저자 루가는 루가의 복음서에서 예수의 탄생 이야기를 적음으로써 예수가 여자의 몸에서 잉태된 완전한 사람임을 단언한다. 초대 교회 이후의 신앙 고백인 칼케돈 신경, 니케아 신경, 사도신경 등에서도 예수를 완전한 인간이자 하느님으로 묘사한다.
3. 3. 기독교의 교파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교파 분류는 크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전통으로 나뉜다. 동방교회는 현재 동방 정교회가 가장 큰 교단이며 각 국가별 동방정교회가 있다. 서방교회는 16세기 분리되어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각 교파로 나뉜다.[779] '가톨릭 교회'는 본래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 전승을 따라 거룩하고, 단일하고, 보편성을 지닌, 즉 공의회의 교리를 따르는 교회 전체를 의미하지만 현재에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가리킬 때 많이 사용한다.기독교는 현대에 많은 교파로 나뉘어 있다. 이를 역사적으로 보면, 교리상의 차이로 325년에 이단으로 간주된 아리우스파[666] 등을 제외하면, 우선 동방정교회를 대표로 하는 동방 기독교와 가톨릭 교회를 대표로 하는 서방 기독교로 크게 나눌 수 있다.[667] 이것은 고대에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던 로마 제국이 395년에 동서 두 제국으로 분리된[668] 것 등에 그 시초를 둔다. 동방에서는 451년의 칼케돈 공의회를 기점으로 정통으로 인정받은 교회와 이단으로 간주된 교회가 분리되었다.[669] 분리된 교회는 동방 교회라고 불린다.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통으로 인정받은 교회에서는 동서 간에 그 교리에 관하여 성령의 발출[670]이라는 신학적 문제 등을 원인으로 중세에 동방과 서방의 기독교회의 균열이 심해지면서 1054년에 분열되었다.[671] 그 후 1204년에 제4차 십자군이 동방 기독교의 중심지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여 점령·약탈하고[672] 분열이 결정적이 되었다.[673] 이후, 동방의 교회는 정교회, 서방의 교회는 가톨릭 교회가 되었다.
서방에서는 1077년의 카노사의 굴욕[674]으로 알려진 사건에 상징적으로 나타나듯이 가톨릭 교회와 그 수장인 교황이 종교적으로만 아니라 세속 권력에서도 국가나 왕을 능가하는 권력을 갖게 되었다. 가톨릭 교회는 그 후 타락과 부패가 문제가 된다. 가톨릭 교회를 비판한 얀 후스는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간주되어 1415년에 화형에 처해졌다.[675] 16세기가 되어 1517년의 루터의 95개조 논문을 계기로 시작된 종교 개혁에 의해 서방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탄생하였다.[676]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재위: 1509년 - 1547년)가 자신의 이혼 문제를 계기로 영국의 교회를 가톨릭 교회로부터 분리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만들었다.[677][678] 잉글랜드 국교회 계통의 교회는 일본 등에서는 성공회라고 한다.[679] 그 후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분열·분리를 거듭하여 많은 다양한 교파가 나타났다. 즉, 루터교, 개혁교회, 침례교, 감리교, 침례파, 재세례파, 오순절파,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등이다.
기독교 각 교파는 용어 사용에 있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단, 교파마다 교리의 차이가 있으므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4. 과학과 기독교
과거에는 종교적 믿음을 과학적 사실과 연결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나, 과학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믿음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지동설의 발견은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했고, 18세기에는 진화론이 등장하여 종교와 과학 간의 갈등이 시작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진화론은 기독교 교리 자체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종교를 과학적 사실로 여기던 과거의 관습과 충돌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신학은 오히려 발전하게 되었다.[784]
과학의 발전으로 진화가 관찰 가능한 사실로 밝혀지면서, 축자영감설에 기반한 근본주의 기독교와 과학은 충돌하게 되었다. 이러한 충돌은 근본주의적 움직임을 강화하여 기독교와 현대 지식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한편, 기독교가 원시적이고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믿음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던지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진화를 인정하면서 신앙을 추구하는 현대적인 신앙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785] 유신진화론과 같이 진화를 창조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신학적 발전도 이루어졌다.
서구에서는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인한 사회 변화, 즉 대분기 시대에 기독교는 회의주의, 사회주의, 자유주의와 같은 현대 이데올로기에 직면했다.[93] 반교권주의에서부터 프랑스 혁명 중 기독교 말살,[94] 스페인 내전,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연방의 기독교 박해를 비롯한 일부 마르크스주의 운동과 같이 기독교에 대한 폭력적인 반발까지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났다.[95][96][97][98] 국가무신론하에 말이다.
유럽에서는 나폴레옹 시대 이후 국가 형성이 중요했다. 유럽 국가들에서 기독교 종파들은 서로, 그리고 국가와 경쟁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우르스 알터맷(Urs Altermatt)은 유럽의 가톨릭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99]
모델 | 국가 예시 | 특징 |
---|---|---|
종교 및 국가 공동체 동일 | 벨기에, 스페인, 오스트리아 | 종교와 국가가 거의 동일시됨 |
문화적 공생과 분리 | 폴란드, 아일랜드 공화국, 스위스 | 경쟁하는 종파가 존재하며, 문화적 공생과 분리가 나타남 |
경쟁 |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 소수 가톨릭 인구를 가진 국가에서 경쟁이 나타남. 국가는 종교와 다소 동일시됨 |
분리 | 프랑스, 이탈리아 | 국가가 가톨릭 교회의 권위에 적극적으로 반대 |
극단적 교황 중심주의와 국가 형성의 결합은 가톨릭 교회, 조직, 신자들이 국가의 요구와 교황청의 권위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강요했다. 이러한 갈등은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최고조에 달했고, 독일에서는 ''문화투쟁''으로 이어졌다.[101]
근대성과 세속주의가 자리 잡으면서 유럽에서의 기독교 신앙은 감소했고,[102] 특히 체코와 에스토니아에서 그러했다.[103] 반면 미국의 종교적 신앙은 유럽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았다. 1900년 이후 기독교는 글로벌 사우스와 제3세계 국가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104] 20세기 후반에는 기독교 신앙이 제3세계와 남반구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났고,[105][106] 서구는 더 이상 기독교의 중심지가 아니었다. 약 7~10%의 아랍인이 기독교인이며,[107]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4. 1. 과학과 종교의 가치
자연과학적 가치와 종교의 가치는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어서 비교하기 어렵다. 자연과학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으로 예외를 없애는 가치를 추구한다. 반면 종교는 의미의 가치를 다루기 때문에, 자연과학적으로 예외적인 경우에도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다.예를 들어, 장애를 안고 태어난 아기의 경우, 자연과학적 관점에서는 정상적인 인간 기준에서 벗어나므로 생명을 유지하도록 도울 필요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종교에서는 아기의 생명에 의미를 부여하고,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고귀한 존재로 여겨 돕고자 한다. 즉, 자연과학은 존재의 기능적 가치에, 종교는 존재의 의미적 가치에 기준을 둔다.
근대적 인권, 장애인 및 아동 보호 개념은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나왔다. 기독교 윤리는 때때로 자연과학과 충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930~1940년대 독일 나치는 자연과학적 인간 가치를 근거로 인종개조, 인종차별, 장애인 차별을 자행했다. 이에 독일 개신교회 중 고백 교회 참여자들은 기독교적 인간 가치를 바탕으로 나치에 맞섰고, 체포되거나 처형당하기도 했다.
근대 유럽인들이 아프리카인들을 노예로 삼았을 때, 유럽의 자연과학자들은 아프리카인들이 열등하다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했다. 하지만 노예제에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은 피조물의 평등성을 주장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다.
현대에는 극단적 예정론을 믿는 일부 사람들이 전염병 예방 조치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을 막기 위해 자연과학적 조치를 강제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자연과학과 종교적 가치는 대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다. 자연과학은 실제 인간이 느끼는 가치관과 윤리적 행동 양식을 담지 못하고, 종교는 수치를 바탕으로 기능 예측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둘은 대립하기보다는 더 나은 인류의 미래를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한다.
19세기에 “scientist(과학자)”라는 용어가 휴얼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과학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바로 높아진 것은 아니었다. 과학자들은 “가톨릭교회를 대표하는 낡은 관습에 맞서 근대 과학을 발전시켜 왔다”는 식으로 설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례를 강조하며, “기독교(가톨릭)는 과학을 억압했다”는 단순화된 주장이 퍼져나갔다.
하지만 기독교와 과학의 실제 관계는 훨씬 복잡하다. 무라카미 요이치로는 유럽 근대 과학을 지탱한 것이 기독교 정신이었다고 지적한다.[715] 실용성 여부를 떠나 “진리” 자체를 추구하는 것이 유럽 근대 과학의 특징이며, 이는 기독교의 일신교 신학에 대한 열정이 과학으로 이어진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신이 계시한 책으로서 자연계와 성서가 있다”는 기독교 신자로서의 의식이 과학 발전의 배경에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716]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 등 서양 근대 과학의 선구자들은 모두 열렬한 기독교 신앙을 가졌다. 앙페르, 아인슈타인 등 많은 위대한 과학자들도 창조주인 신의 존재를 믿었다.[717] 가톨릭교회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수도사이자 사제였고, 수도원장을 역임한 그레고어 요한 멘델은 멘델의 법칙(1865년)을 발견했다. 우주 창생 이론인 빅뱅 이론을 제창한 조르주 르메트르는 가톨릭 사제였다. 『네이처』의 설문 조사에서는 물리학자나 수학자 등 1000명 중 39%가 “신을 믿는다”고 답했다.[718]
수도원이 첨단 기술 발전에 기여한 예도 많다. 14세기·15세기 전란으로 농업 기술 혁신이 늦어진 러시아에 서구의 윤작 기술을 도입한 것은 러시아 정교회의 황야 수도원으로 추정된다.[719]
그러나 현대에는 창조론과 진화론, 유전자 기술, 뇌과학, 동성애 등의 연구 분야에서 프로테스탄트 일부의 성서주의 입장이나 기독교적 생명관을 이어받은 자유주의로부터 반대 운동이 일어나 과학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도 있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법안이나 운동이 존재하며, 재판으로 이어지는 경우(진화론 재판)도 있다. 사람이 자신의 상식에 반하는 것을 종교를 근거로 억압하는 문제는 모든 종교나 사상, 문화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기독교는 규모와 정치력이 커서 세계적인 문제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지동설을 주장한 조르다노 브루노는 화형에 처해졌다.
4. 2. 창조론과 자연과학
창조론은 모든 인간과 자연 생태계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는 종교적 역사성을 지닌다. 그러나 기독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창조론을 자연과학적 역사성을 가진 사건으로 보는 입장과, 자연과학의 범주를 벗어난 종교적 의미를 지닌 사건으로 이해하는 입장으로 나뉜다.[786] 전자는 근본주의 신학을 배경으로 성경을 자연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입장이며, 후자는 주류 기독교 신학을 배경으로 성경을 의미적으로 이해하려는 입장이다.창조론의 자연과학적 역사성을 주장하는 관점은 진화를 비롯한 과학적 사실과의 관계에서 과학과 종교의 관계를 다음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눈다.
- 충돌론: 과학과 신앙의 충돌을 당연시하며, 과학 전반을 부정하고 창조론에 역사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근본주의 신학에 기반한 남침례교, 제칠일 안식교 등이 이 입장을 지지한다.
- 분리론: 과학과 신앙은 서로 분리된 영역이라고 생각하며, 진화를 포함한 대부분의 과학적 사실을 인정하지만 창조론과는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NOMA를 옹호하는 과학자들과 대부분의 감리교, 침례교, 장로교, 천주교 등의 기독교인들이 이 입장에 속한다.
- 친구론: 진화를 포함한 대부분의 과학적 사실로부터 창조의 방식을 인정하며, 과학이 밝혀낸 것을 기반으로 한 창조론이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감리교, 침례교, 장로교 등의 신앙인들과 신학교, 그리고 유신진화론 및 바이오 로고스가 이 입장을 지지한다.
과학 학회에서는 창조론의 자연과학적 역사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에 동의하며, 이는 주류 신학 학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창조론의 자연과학적 역사성을 주장하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창조과학 및 지평설 등 유사과학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19세기에 “scientist(과학자)”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과학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곧바로 향상된 것은 아니었다. 일부 과학 관계자들은 “가톨릭교회를 대표하는 구습에 과학자들이 맞서 근대 과학을 발전시켜 왔다”는 도식을 내세우며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례를 강조했다. 그 결과 “기독교(가톨릭)는 과학에 대해 끊임없이 억압적이었다”는 단순화된 설명이 퍼지게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와 과학의 실제 관계는 훨씬 복잡하다. 무라카미 요이치로는 유럽 근대 과학을 지탱한 것은 기독교 정신이었다고 지적한다.[715] 또한 근세 과학 발전의 배경에는 “신에 의한 계시의 책으로서 자연계와 성서가 있다”는 기독교 신자로서의 의식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716]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 등 많은 과학자들이 열렬한 기독교 신자였으며, “신의 업적”을 추구했다.[717] 가톨릭교회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수도사이자 사제였던 그레고어 요한 멘델은 멘델의 법칙을 발견했고, 빅뱅 이론을 제창한 조르주 르메트르는 가톨릭 사제였다.
수도원이 첨단 기술 발전에 기여한 예도 많다. 14세기·15세기 러시아에 윤작 기술을 도입한 것은 러시아 정교회의 황야 수도원 무리였다.[719]
그러나 현대에 창조론과 진화론, 유전자 기술, 뇌과학, 동성애 등의 연구 분야에서 프로테스탄트 일부의 성서주의 입장이나 기독교적 생명관을 이어받은 자유주의로부터 반대 운동이 일어나 과학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참조
[1]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20
[2]
서적
How on Earth Did Jesus Become a God? Historical Questions about Earliest Devotion to Jesus
Wm. B. Eerdmans
2021-07-20
[3]
서적
A New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Yale University Press
2021-01-20
[4]
서적
The First Thousand Years: A Global History of Christianity
Yale University Press
2021-01-20
[5]
서적
Paul, John, and Apocalyptic Eschatology: Studies in Honour of Martinus C. de Boer
Brill
2021-02-13
[6]
백과사전
Christianity | Definition, Origin, History, Beliefs, Symbols, Typ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3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Christianity - The Oxford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6
[9]
서적
Western Civilization: A Brief History, Volume I: To 1789
https://books.google[...]
Cengage
[10]
서적
Christianity and Wester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Infobase
[12]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24,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24-05-23
[13]
서적
The Future of Protestant Religious Educ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Waxmann Verlag
[14]
서적
Remembering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4
[15]
서적
What's So Liberal about the Liberal Arts?: Integrated Approaches to Christian Formation
Wipf & Stock
2016-04-27
[16]
서적
Reformation and Modern Rituals and Theologies of Baptism: From Luther to Contemporary Practices
Routledge
2017-03-02
[17]
웹사이트
Motivations in Faith-Based Organizations
https://hc.edu/cente[...]
Houston Christian University
2023-02-07
[18]
웹사이트
Acts 19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15-10-08
[19]
성경
Jubilee Bible 2000
[20]
성경
American King James Version
[21]
성경
Douai-Rheims Bible
[22]
웹사이트
Online Bible Study Suite Gill, J., ''Gill's Exposition of the Bible'', commentary on Acts 19:23
https://biblehub.com[...]
2015-10-08
[23]
서적
Christianus
Herder
[24]
백과사전
Evodius of Antioch → Antioch, Church of
2018
[25]
서적
Christian Theolog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Pagan Rome and the Early Christian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7]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Wiley-Blackwell
[28]
서적
Justification by Fait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 Central Pauline Theme
Brill
[29]
서적
The Romans: From Village to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성경
[31]
성경
[32]
Youtube
The "Afterlife" of the New Testament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https://www.youtube.[...]
Yale University
[33]
웹사이트
Monastère de Mor Mattai – Mossul – Irak
https://cso-france.v[...]
[34]
서적
Christian Persecution, Martyrdom and Orthodoxy
https://www.questia.[...]
[35]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36]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n Western North Africa
https://www.bethel.e[...]
[37]
웹사이트
Allaboutreligion.org
https://www.allabout[...]
Allaboutreligion.org
2010-11-19
[38]
웹사이트
2011-10-08
[39]
서적
Time Almanac with Information Please 2007
https://archive.org/[...]
Time Home Entertainment
[40]
학술지
The Formation of Armenian Identity in the First Millennium
[41]
서적
Constantinople: Capital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42]
서적
Christianity: A Global History
HarperOne
[43]
참고자료
[44]
웹사이트
Theodosian Code XVI.i.2
https://www.fordham.[...]
Bettenson
[45]
서적
Empires in World History: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서적
A Theological Miscellany: 160 Pages of Odd, Merry, Essentially Inessential Facts, Figures, and Tidbits about Christianity
Thomas Nelson
[47]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48]
참고자료
[49]
참고자료
[50]
참고자료
[51]
참고자료
[52]
참고자료
[53]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Penguin Random House
[54]
서적
Religions in Global Society
[55]
서적
An Essay on Western Civilization in Its Economic Aspects
Cambridge University Historical Series
[56]
서적
Christianity and Wester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Dialogue Among Civilizations: Some Exemplary Voices
[58]
참고자료
[59]
참고자료
[60]
참고자료
[61]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62]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1100–1914
[63]
서적
Culture, enseignement et société en Occident aux XIIe et XIIIe siècles
https://openlibrary.[...]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14-06-17
[64]
서적
The Universities and Scholasticism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V c. 1198–c. 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서적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참고자료
[67]
참고자료
[68]
참고자료
[69]
서적
Parole de l'Orient
Université Saint-Esprit
[70]
참고자료
[7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rusades
[72]
웹사이트
The Great Schism: The Estrangement of Eastern and Western Christendom
https://www.orthodox[...]
Orthodox Information Centre
2007-05-26
[73]
서적
Saints and Sinners
[74]
서적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
https://books.google[...]
Penguin
[75]
서적
Jewish Literac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76]
논문
[77]
논문
[78]
서적
Great Ages of Man: The Reformation
[79]
서적
Great Ages of Man: The Reformation
[80]
서적
A History of Britain
[81]
간행물
National Geographic
[82]
서적
Renaissance Europe
[83]
서적
Early Renaissance
Penguin
[84]
서적
Great Ages of Man: The Reformation
[85]
서적
Persecution and Toleration in Protestant England 1558–1689
[86]
웹사이트
Looking at the Renaissance: Religious Context in the Renaissance
https://www.open.ac.[...]
Open University
2007-05-10
[87]
웹사이트, 논문, 서적
Christianity and the rise of western science, Science, Religion, and A.D. White: Seeking Peace in the "Warfar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God & Nature: Historical Essays on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8, World Christianities c. 1815 – c. 1914,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88]
서적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Polish Academy of Sciences
[89]
서적
Galileo: Decisive Innova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뉴스
Biography of Kepler shows man of rare integrity. Astronomer saw science and spirituality as one.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04-10-08
[91]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https://galileo.rice[...]
Rice University
2008-07-05
[92]
웹사이트
The Boyle Lecture
https://www.stmaryle[...]
2022-02-18
[93]
서적
Catholic social thought and liberal institutions: Freedom with justic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94]
서적
The Western Experience
[95]
서적
Religion and the State in Russia and China: Suppression, Survival, and Revival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96]
서적
Inside Central Asia: A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Penguin
[97]
서적
Religion and the Cultural Crisis in India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Intercultural Publications
[98]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99]
서적
Religion und Nation: Katholizismen im Europa des 19. und 20. Jahrhundert
Kohlhammer Verlag
[100]
서적
Catholic Devotion in Victorian England
Clarendon
[10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odern German History
OUP Oxford
[102]
뉴스
Religion may become extinct in nine nations, study says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3-22
[103]
웹사이트
図録▽世界各国の宗教
https://www2.ttcn.ne[...]
.ttcn.ne.jp
2012-08-17
[104]
서적
The Next Christendom: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Continuum
[106]
서적
Beyond Christendom: Globalization, African Mig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est
https://books.google[...]
Orbis
[107]
서적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Middle East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웹사이트
Christianity in the Middle East
https://www.gordonco[...]
2020-02-26
[109]
서적
The Mosaic of Christian Belief
[110]
서적
Why Do Bad Things Keep on Happening?
CSS Publishing
[111]
서적
Creeds and Confessions of Faith in the Christian Tradition
[112]
웹사이트
"We Believe in One God....": The Nicene Creed and Mass
https://www.cuf.org/[...]
Catholics United for the Fath
2005-02
[113]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Religion
[114]
백과사전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newadven[...]
[115]
웹사이트
First Meeting of the Council of Chalcedon
https://archive.toda[...]
Christian History Institute
[116]
학술지
The Oriental Orthodox Rejection of Chalcedon
https://www.britisho[...]
2006-02
[117]
웹사이트
Letter to Flavian
https://www.dailycat[...]
[118]
백과사전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newadven[...]
[119]
웹사이트
Our Common Heritage as Christians
https://archives.umc[...]
The United Methodist Church
[12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Church
https://www.appiusfo[...]
[121]
서적
A handbook for Today's Disciples in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https://archive.org/[...]
Chalice
[122]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hristian Denominations
Harvest House Publishers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126]
성경
[127]
문서
Nicene Creed
[128]
성경
[129]
서적
Mary and the Fathers of the Church: The Blessed Virgin Mary in Patristic Thought
https://books.google[...]
Ignatius
[130]
서적
Resurrection: The Capstone in the Arch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131]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for the Christian
https://dlibrary.acu[...]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National
[132]
성경
[133]
성경
[134]
성경
[135]
문서
This is drawn from a number of sources, especially the early Creeds,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ertain theological works, and various Confessions drafted during the Reformation including the Thirty Nine Articles of the Church of England, works contained in the Book of Concord.
[136]
서적
The Foundations of New Testament Christology
[137]
문서
A Jesus Seminar conclusion held that "in the view of the Seminar, he did not rise bodily from the dead; the resurrection is based instead on visionary experiences of Peter, Paul, and Mary."
[138]
서적
The Acts of Jesus: What Did Jesus Really Do?
[139]
서적
Resurrection, Discipleship, Justice: Affirming the Resurrection Jesus Christ Today
[140]
성경
[141]
서적
The Essential Jesus
[142]
웹사이트
John 3:16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2-10-21
[143]
논문
A Remedy for Having Been Born of Woman: Jesus, Gentiles, and Genealogy in Romans
https://www.sbl-site[...]
2004-12-01
[144]
성경
Galatians 3:29
[145]
서적
What Saint Paul Really Said: Was Paul of Tarsus the Real Founder of Christianity?
Oxford
[146]
성경
Romans 8:9,11,16
[147]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4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49]
웹사이트
Chapter X
https://www.spurgeon[...]
[150]
웹사이트
Grace and Justification
https://www.vatican.[...]
[151]
교리서
Fourth Lateran Council
[152]
웹사이트
Monotheism
https://www.newadven[...]
[153]
서적
Early Christian Doctrines
[154]
서적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155]
서적
Historical Theology
[156]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157]
서적
The Athanasian Creed
[158]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9]
서적
Interpreting Christian Art: Reflections on Christian art
Mercer University Press
[160]
문서
Examples of ante-Nicene statements
[161]
서적
The Tri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162]
서적
World Religions: An Introduction for Students
[163]
사전
LSJ
[164]
어원사전
OEtymD
[165]
사전
L&S
[166]
서적
Apologia ad Autolycum
[167]
사전
L&S
[168]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169]
문서
De Pudicitia
[170]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171]
서적
The Trinity and the Kingdom: The Doctrine of God
Fortress Press
[172]
서적
History of Dogma
https://www.ccel.org[...]
[173]
서적
Pocket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174]
서적
Summa Theologicum, Supplementum Tertiae Partis
https://www.newadven[...]
[175]
웹사이트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ook Three, Ch. 25
https://www.reformed[...]
reformed.org
2008-01-01
[176]
웹사이트
Particular Judgment
https://www.newadven[...]
[177]
서적
Grundriß der Dogmatik
[178]
웹사이트
What the Orthodox believe concerning prayer for the dead
https://www.orthodox[...]
[179]
웹사이트
What Happens to Me When I Die?
https://www.kencolli[...]
[180]
웹사이트
Audience of 4 August 1999
https://www.vatican.[...]
Vatican.va
1999-08-04
[181]
웹사이트
The Communion of Saints
https://www.newadven[...]
[182]
뉴스
What is God's Purpose for the Earth?
Watchtower
2002-07-15
[183]
서적
No Strings Attached: Boundary Lines in Pleasant Places: A History of Warren Street / Pleasant Oaks Mennonite Church
Wipf & Stock
[184]
서적
Paradise and Paradigm: Key Symbols in Persian Christianity and the Baha'i Fait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85]
서적
Saving Paradise: How Christianity Traded Love of this World for Crucifixion and Empire
Beacon
[186]
서적
The Rowman & Littlefield Handbook of Christianity in the Middle East
Rowman & Littlefield
[187]
서적
Comparative Christianity: A Student's Guide to a Religion and Its Diverse Tradi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188]
웹사이트
First Apology
https://www.earlychr[...]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The Biblical Psalms in Christian Worship: A Brief Introduction and Guide to Resource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2020-06-24
[192]
웹사이트
The Purpose of a Hymn Book
https://jlg.org.uk/w[...]
Joint Liturgical Group of Great Britain
2020-06-24
[193]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020-06-25
[194]
서적
Bread and Wine
[195]
서적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ts Thought and Lif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96]
웹사이트
Understanding Closed Communion
https://web.archive.[...]
[197]
카테고리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1 1415
[198]
웹사이트
An open table: How United Methodists understand communion
https://www.umc.org/[...]
United Methodist Church
2020-06-24
[199]
웹사이트
Order of Worship
https://wilmorefmc.o[...]
Wilmore Free Methodist Church
2023-06-21
[200]
웹사이트
Canon B28 of the Church of England
https://www.churchof[...]
[20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202]
웹사이트
Ordinances
https://gameo.org/in[...]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203]
문서
Holy Apostolic Catholic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rchdiocese of Australia, New Zealand and Lebanon.
[204]
뉴스
Love Feast of the Dunkards; Peculiar Ceremonies of a Peculiar Sect of Christia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891-04-26
[205]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 Liturgy
Fortress
[206]
백과사전
CATHOLIC ENCYCLOPEDIA: Christian Calendar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2014-07-18
[207]
서적
Handbook of the Christian Year
[208]
학술지
The Cult of Images in the Age before Iconoclasm
[209]
서적
Iconoclasm
Centre for Byzantine Studies, University of Birmingham
[210]
웹사이트
ANF04. Fathers of the Third Century: Tertullian, Part Fourth; Minucius Felix; Commodian; Origen, Parts First and Second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Ccel.org
2005-06-01
[211]
웹사이트
Octavius of Minucius Felix, chapter XXIX
https://www.ccel.org[...]
[212]
웹사이트
De Corona, chapter 3
https://www.ccel.org[...]
[213]
서적
The Symbols of the Church
[214]
간행물
Symbolism of the Fish
[215]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16]
웹사이트
Holy Baptism
https://anglicansonl[...]
Book of Common Prayer, 1979, Episcopal
2022-02-19
[217]
웹사이트
By Water and The Spirit – The Official United Methodist Understanding of Baptism (PDF)
https://www.backrive[...]
2016-03-13
[218]
웹사이트
Doing Baptism Baptist StyleBeliever's Baptism
https://www.baptisth[...]
2010-01-07
[219]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in America: Baptism
https://www.oca.org/[...]
2010-10-12
[220]
웹사이트
Baptism
https://www.greekort[...]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ustralia
2014-09-30
[221]
웹사이트
Why infant baptism?
https://www.livinglu[...]
Living Lutheran
2022-05-11
[222]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3]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4]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5]
웹사이트
Early Anabaptist Positions on Believer's Baptism and a Challenge for Today
https://www.pilgrimm[...]
Pilgrim Mennonite Conference
2022-05-11
[226]
서적
The Essential Handbook of Denominations and Ministries
Baker
2017-03-14
[22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28]
서적
Through Fire and Water: An Overview of Mennonite History
MennoMedia
[2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adical Christianity
Scarecrow
2012-05-03
[230]
웹사이트
Matthew 6:9–13 Evangelical Heritage Version (EHV)
https://www.biblegat[...]
2020-03-10
[231]
서적
Christianity
Nelson Thornes
[232]
서적
The Didache: Faith, Hope, & Life of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ies, 50–70 C.E.
Paulist
[233]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Brill
[234]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235]
서적
The Early Church: History and Memory
A&C Black
[236]
웹사이트
"Seven Times a Day I Praise You" – The Shehimo Prayers
https://www.ds-wa.or[...]
Malankara Orthodox Diocese of Southwest America
2020-08-02
[237]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238]
웹사이트
Apostolic Tradition
https://www.stjohnsa[...]
St. John's Episcopal Church
2020-09-05
[239]
성경
[240]
성경
[241]
성경
[242]
백과사전
Prayer
Intervarsity
[243]
웹사이트
What We Believe
http://www.orgsites.[...]
Evangelical Community Church-Lutheran
2007-05-18
[244]
백과사전
Saints
Intervarsity
[245]
서적
The Protestant Reformation
Sussex Academic Press
[246]
문서
Cite CCC
[247]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020-06-24
[248]
서적
Hermeneutics: Principles and Process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Baker
[249]
웹사이트
Inspiration and Truth of Sacred Scripture
https://www.vatican.[...]
[250]
웹사이트
Of the Holy Scripture Being the True Word of God
https://web.archive.[...]
[251]
웹사이트
online text
https://www.reformed[...]
[252]
서적
Orthodox And Wesleyan Scrip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53]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254]
서적
The Message and the Book
Atlantic Books
[255]
서적
Early Christian Doctrines
[256]
웹사이트
The Holy Spirit, Interpreter of Scripture
https://www.vatican.[...]
[257]
성경
1 Corinthians 10:2
[258]
웹사이트
Whether in Holy Scripture a word may have several senses
https://www.newadven[...]
[259]
웹사이트
The Holy Spirit, Interpreter of Scripture
https://www.vatican.[...]
[260]
웹사이트
Dei Verbum
https://www.vatican.[...]
[261]
웹사이트
The Holy Spirit, Interpreter of Scripture
https://www.vatican.[...]
[262]
웹사이트
The Interpretation of the Heritage of Faith
https://www.vatican.[...]
[263]
웹사이트
Sola Scriptura?
https://wayback.arch[...]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06-05-15
[264]
서적
The Shape of Sola Scriptura
Canon Press
[265]
웹사이트
Methodist Beliefs: In what ways are Lutherans different from United Methodists?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66]
서적
Scripture and Tradition
Baker
2013-04-15
[267]
웹사이트
Martin Luther and Scripture
https://web.archive.[...]
Quodlibet Journal
[268]
웹사이트
Commentaries on the Catholic Epistles
https://www.ccel.org[...]
[269]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270]
서적
Knowing Scripture
[271]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https://archive.org/[...]
Baker
[272]
서적
Expository hermeneutic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Academie Books
[273]
서적
Biblical hermeneutics: a treatis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Zondervan
[274]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
https://biblehub.com[...]
[275]
웹사이트
Christianity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22-03-02
[276]
백과사전
Christianity | Definition, Origin, History, Beliefs, Symbols, Typ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3
[277]
웹사이트
World's largest religion by population is still Christianity
https://www.pewresea[...]
2017-04-05
[278]
웹사이트
All Religions (global totals)
https://worldreligio[...]
Brill, Boston University
[279]
CIA World Factbook
2021-12-14
[280]
웹사이트
World's largest religion by population is still Christianity
https://www.pewresea[...]
2017-04-05
[281]
웹사이트
All Religions (global totals)
https://worldreligio[...]
Brill, Boston University
[282]
웹사이트
Global religious landscape: Christians
https://assets.pewre[...]
Pewforum.org
2011-12-19
[28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Conver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4]
서적
Christianity in Sub-Saharan Africa: Edinburgh Companions to Global Christian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85]
서적
The Decline of Christendom in (Western) Europe, 1750–20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6]
웹사이트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Population Growth Projections, 2010–2050
https://www.pewforum[...]
[28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us Conversio
Oxford University Press
[288]
서적
Evangelicalism and Conversion: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Research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89]
서적
The Future of the Global Church: History, Trends and Possibiliti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290]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291]
문서
A flexible term, defined as all forms of Protestantism with the notable exception of the historical denominations deriving directly from the Protestant Reformation.
[292]
서적
Spirit and Power: The Growth and Global Impact of Pentecostalism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92]
서적
Studying Global PentecostalismTheories and Methods
https://california.u[...]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Scholarship
[292]
웹사이트
Pentecostalism—the fastest growing religion on earth
https://www.abc.net.[...]
ABC
2021-05-30
[292]
웹사이트
Pentecostalism: Massive Global Growth Under the Radar
https://pulitzercent[...]
Pulitzer Center
2015-03-09
[292]
웹사이트
Max Weber and Pentecostals in Latin America: The Protestant Ethic, Social Capital and Spiritual Capital Ethic, Social Capital and Spiritual Capital
https://scholarwork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6-05-09
[293]
서적
Religion in Global Civil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4]
웹사이트
Engendering Charismatic Economies: Pentecostalism,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https://www.allacad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95]
간행물
Christianity 2016: Latin America and Projecting Religions to 2050
[296]
문서
Barrett, 29.
[297]
뉴스
Fear of a Black Continent
2018-10-21
[298]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s://assets.pewre[...]
Pew Research Center
[299]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table of religions, by region
https://www.britanni[...]
[300]
웹사이트
American Religious Identification Survey 2008
https://b27.cc.trinc[...]
B27.cc.trincoll.edu
[301]
웹사이트
Australian 2006 census – Religion
https://www.censusda[...]
Censusdata.abs.gov.au
[302]
웹사이트
Table 28, 2006 Census Data – QuickStats About Culture and Identity – Tables
https://www.stats.go[...]
[303]
웹사이트
New UK opinion poll shows continuing collapse of 'Christendom'
https://www.ekklesia[...]
Ekklesia.co.uk
2006-12-23
[304]
웹사이트
The Canadian census: A rich portrait of the country's religious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ttps://www150.statc[...]
Government of Canada
2022-10-26
[305]
문서
Barrett/Kurian.World Christian Encyclopedia, p. 139 (Britain), 281 (France), 299 (Germany).
[306]
뉴스
Christians in the Middle East
https://news.bbc.co.[...]
2005-12-15
[307]
웹사이트
Is Christianity dying in the birthplace of Jesus?
https://www.chron.co[...]
Chron.com
2006-12-25
[308]
뉴스
A Gambling-Fueled Boom Adds to a Church's Bane
https://www.nytimes.[...]
2007-12-26
[309]
웹사이트
American Religious Identification Survey (ARIS) 2008
https://b27.cc.trinc[...]
Trinity College
[310]
웹사이트
Eastern and Western Europeans Differ on Importance of Religion, Views of Minorities, and Key Social Issues
https://www.pewforum[...]
2018-10-29
[311]
웹사이트
Religious Belief and National Belonging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www.pewforum[...]
2017-05-10
[312]
저널
Chinese Conversion to Evangelical Christianity: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20
[313]
서적
The Next Christendom: The Rise of Global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314]
서적
Scriptures, Shrines, Scapegoats, and World Politics: Religious Source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Modern Era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15]
웹사이트
Being Christian in Western Europe
https://www.pewforum[...]
2018-05-29
[316]
서적
Is Latin America Turning Protesta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7]
웹사이트
Pentecostalism
https://religiousmov[...]
2008-09-24
[318]
웹사이트
Moved by the Spirit: Pentecostal Power and Politics after 100 Years
https://pewforum.org[...]
2008-09-24
[319]
백과사전
Pentecostalism
https://www.encyclop[...]
2008-12-21
[320]
웹사이트
The CT Review: Pie-in-the-Sky Now
https://www.christia[...]
2000-11-13
[321]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322]
서적
Know the Truth: A Handbook of Christian Belief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323]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Penguin Random House
[324]
학술지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10-30
[325]
서적
Living among the Breakage: Contextual Theology-Making and Ex-Muslim Christians
Edinburgh University Press
[326]
학술지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era.ed.ac.uk[...]
[327]
서적
Muslim Nationalism and the New Turk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3-18
[328]
웹사이트
Christian Converts in Morocco Fear Fatwa Calling for Their Execution
https://www.christia[...]
2013-05-09
[329]
웹사이트
'House-Churches' and Silent Masses —The Converted Christians of Morocco Are Praying in Secret
https://www.vice.com[...]
2015-03-23
[330]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Tunisia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07-09-14
[331]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rapid rise of Charismatic Christianity in Southeast Asia
https://cmp.smu.edu.[...]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2017-10-27
[332]
웹사이트
Christianity, non-religious register biggest growth: Census 2010
https://newnation.sg[...]
Newnation.sg
2011-01-13
[333]
웹사이트
More People Claim Christian Faith in Japan
https://www.christia[...]
2006-03-19
[334]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Protestant Education
Springer
[335]
웹사이트
The State Of Pentecostalism In Southeast Asia: Ethnicity, Class And Leadership – Analysis
https://www.eurasiar[...]
Eurasia Review
2015-09-28
[336]
서적
Democracies in Flux: The Evolution of Social Capital in Contemporary Society
[337]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338]
서적
Money Changes Everything: How Global Prosperity Is Reshaping Our Needs, Values and Lifestyles
[339]
서적
God's Continent
Oxford University Press
[340]
뉴스
The future of the world's most popular religion is African
https://www.economis[...]
2015-12-25
[341]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committed Christians live in Africa, Latin America – and the U.S.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18-08-22
[342]
백과사전
Argentina
https://www.britanni[...]
2008-05-11
[343]
백과사전
Costa Rica
https://www.britanni[...]
2008-05-11
[344]
백과사전
Denmark
https://www.britanni[...]
2008-05-11
[345]
웹사이트
Church and State in Britain: The Church of privilege
https://www.centrefo[...]
Centre for Citizenship
2008-05-11
[346]
백과사전
El Salvador
https://www.britanni[...]
2008-05-11
[347]
백과사전
Iceland
https://www.britanni[...]
2008-05-11
[348]
웹사이트
Liechtenstein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5-11
[349]
백과사전
Malta
https://www.britanni[...]
2008-05-11
[350]
백과사전
Monaco
https://www.britanni[...]
2008-05-11
[351]
뉴스
Løsere bånd, men fortsatt statskirke
https://www.abcnyhet[...]
ABC Nyheter
2014-01-08
[352]
뉴스
Constitutional Amendment Passes; Samoa Officially Becomes 'Christian State'
http://www.pireport.[...]
Pacific Islands Report
2017-06-08
[353]
백과사전
Vatican
https://www.britanni[...]
2008-05-11
[354]
웹사이트
Cyprus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5-11
[355]
웹사이트
Religion Information Data Explorer {{!}} GRF
http://www.globalrel[...]
2022-10-13
[356]
웹사이트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in Percentages
https://www.pewforum[...]
Pewforum.org
2011-12-19
[357]
간행물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24,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24-05-23
[358]
서적
Feminism and Christianity: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Third Wave
Wipf & Stock
2009-10-01
[359]
웹사이트
Christian Denominations by Dr. Lynn Mitchell
http://www.dialogues[...]
Dialogue Society
2010-12-08
[360]
웹사이트
The LDS Restorationist movement, including Mormon denominations
https://www.religiou[...]
Religious Tolerance
2007-12-31
[361]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62]
웹사이트
Why the Churches of Christ are Not a Denomination
https://www.thecra.o[...]
[363]
백과사전
https://www.britanni[...]
2007-12-31
[364]
문서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Second Vatican Council
2014-09-06
[365]
서적
Saints and Sinners
[366]
서적
Geography of Religion
[367]
서적
The Roman Catholic Church an Illustrated History
[368]
문서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Second Vatican Council
2014-09-06
[369]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2015-08-12
[370]
서적
Introducing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raditional Themes and Contemporary Issues
[371]
웹사이트
Laetamur Magnopere
https://www.usccb.or[...]
Vatican
2008-03-09
[372]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73]
저널
Deus Vult: The Geopolitics of Catholic Church
2010-02-12
[374]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375]
서적
Manual of Canon Law
[376]
서적
Law and Revolution
[377]
웹사이트
CanonLaw.info Home Page
https://canonlaw.inf[...]
2013-06-11
[378]
서적
Law: A Very Short Introduction,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379]
서적
The New Shape of World Christianity
IVP Academic
[380]
서적
[381]
서적
Annuario Pontificio
[382]
서적
One Faith, One Lord
[383]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384]
웹사이트
Religions by Adherents'
https://web.archive.[...]
[385]
웹사이트
Number of Catholics and Priests Rises
https://www.zenit.or[...]
Zenit.org
2008-02-25
[386]
서적
Eastern Churches Journal: A Journal of Eastern Christendom
https://books.google[...]
Society of Saint John Chrysostom
[38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Cross/Livingstone
[388]
웹사이트
The Orthodox Faith – Volume I – Doctrine and Scripture – The Symbol of Faith – Church
https://www.oca.org/[...]
2020-07-27
[389]
서적
Byzantine Theology: Historical Trends and Doctrinal Themes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390]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19,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391]
서적
The Orthodox Church
Penguin
[392]
뉴스
Orthodox Church split: Five reasons why it matters
https://www.bbc.com/[...]
2018-10-17
[393]
서적
Christianity and the State in Asia: Complicity and Conflict
Taylor & Francis
[394]
웹사이트
Oriental Orthodox Churches
https://web.archive.[...]
Wcc-coe.org
2010-11-19
[395]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https://web.archive.[...]
Pluralism.org
2005-03-15
[396]
웹사이트
Syrian Orthodox Resources – Middle Eastern Oriental Orthodox Common Declaration
https://web.archive.[...]
Sor.cua.edu
2010-11-19
[397]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98]
학술지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17-11-08
[399]
웹사이트
Orthodox churches (Oriental)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400]
학술지
Christian Traditions
https://www.pewforum[...]
2011-12-19
[401]
서적
Christians in the Arab East: A Political Study
https://books.google[...]
Lycabettus
[402]
서적
Imperial unity and Christian divisions: The Church 450-680 A.D.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403]
서적
Armenian Christians in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4]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urch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405]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406]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407]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408]
서적
Judged by the Law of Freedom: A History of the Faith-works Controversy, and a Resolution in the Thought of St. Thomas Aquina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09]
서적
Orthodox and Wesleyan Scrip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410]
서적
The Church of the East: An Illustrated History of Assyria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Tauris
[411]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412]
서적
Eastern Christianit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13]
웹사이트
CNEWA: Ronald G. Roberson, C.S.P. –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https://web.archive.[...]
2018-08-15
[414]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4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Eerdmans
[416]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417]
웹사이트
Evangelical Catholic
https://web.archive.[...]
Church of the Apostles, Lutheran
2013
[418]
서적
The Study of Anglicanism
Sykes/Booty/Knight
[419]
웹사이트
Whither the Branch Theory?
https://web.archive.[...]
[420]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421]
백과사전
https://www.britanni[...]
2022-08-13
[422]
웹사이트
Outsider's Guide to America's Anabaptists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 Today
2021-05-20
[423]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24]
서적
The Anabaptist View of the Church
The Baptist Standard Bearer
[425]
웹사이트
Who We Are: A Quick Visual Guide
https://mennoniteusa[...]
Mennonite Church US
2018-04-26
[426]
웹사이트
About The Methodist Church
https://web.archive.[...]
Methodist Central Hall Westminster
2007-12-31
[427]
웹사이트
Christianity: Pentecostal Churches
https://web.archive.[...]
GodPreach
2007-12-31
[428]
웹사이트
Statement of Belief
https://web.archive.[...]
Cambridge Christ United Methodist Church
2007-12-31
[429]
웹사이트
The New Birth by John Wesley (Sermon 45)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GBGM
2007-12-31
[430]
웹사이트
God's Preparing, Accepting, and Sustaining Grace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GBGM
2007-12-31
[431]
웹사이트
Total Experience of the Spirit
https://web.archive.[...]
Warren Wilson College
2007-12-31
[432]
웹사이트
Pewforum: Christianity (2010)
https://web.archive.[...]
2014-05-14
[433]
서적
Protestan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4]
문서
This branch was first called Calvinism by Lutherans who opposed it, and many within the tradition would prefer to use the word Reformed.
[435]
웹사이트
World Council of Churches: Evangelical churches
https://www.oikoumen[...]
[436]
문서
Confessionalism is a term employed by historians to refer to "the creation of fixed identities and systems of beliefs for separate churches which had previously been more fluid in their self-understanding, and which had not begun by seeking separate identities for themselves—they had wanted to be truly Catholic and reformed." (MacCulloch, The Reformation: A History, p. xxiv.)
[437]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s
https://web.archive.[...]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2009-09-27
[438]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439]
웹사이트
The Restorationist Movements
https://www.religiou[...]
Religious Tolerance
2007-12-31
[440]
서적
The Holy Spirit: Works Gifts
InterVarsity Press
2005-12-02
[441]
뉴스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Statistics and Church Facts Total Church Membership
https://newsroom.chu[...]
2020-11-03
[442]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443]
서적
Melton's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444]
문서
Manuscript History of the Church, LDS Church Archives, book A-1, p. 37; reproduced in Dean C. Jessee(comp.) (1989). The Papers of Joseph Smith: Autobiographical and Historical Writings(Salt Lake City, Utah: Deseret Book) 1:302–303.
[445]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44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 5
Wm. B. Eerdmans
[447]
서적
Transforming Faith Communities: A Comparative Study of Radical Christianity in Sixteenth-Century Anabaptism and Late Twentieth-Century Latin America
Wipf & Stock
2013-03-14
[448]
서적
God, Land & Freedom: The True Story of ICAB
The Apocryphile Press
[449]
서적
The Many Paths of the Independent Sacramental Movement
The Apocryphile Press
2004
[450]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451]
서적
Folk Furniture of Canada's Doukhobors, Hutterites, Mennonites and Ukrainia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berta
[452]
서적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Greenwood
2015-09-09
[453]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454]
문서
Western Esotericism and the Science of Religion: Selected Papers Presented at the 17th Congress
[455]
서적
Esoteric Christianity or the Lesser Mysteries
Adamant Media
[45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Compact Edition,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457]
서적
Dictionary of Gnosis & Western Esotericism
Brill
[458]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esotericism
https://www.webster.[...]
Webster.com
2010-08-13
[459]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esoteric
https://www.webster.[...]
Webster.com
[460]
간행물
The Journal of Amer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61]
웹사이트
Who are the Churches of Christ
https://www.southsid[...]
Southside Church of Christ
2020
[462]
웹사이트
Why the Churches of Christ Are Not A Denomination
https://www.thecra.o[...]
The Christian Restoration Association
[463]
서적
The Churches of Christ
Greenwood
[464]
서적
Debating for God: Alexander Campbell's Challenge to Skepticism in Antebellum America
ACU Press
2011-06-14
[465]
서적
Crisis in Western Education
CUA Press
[466]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467]
웹사이트
Review of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zation'' by Thomas Woods Jr.
http://www.nrbookser[...]
[468]
서적
The Jews of Medieval Western Christendom: 1000–15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9]
백과사전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470]
서적
The Byzantine Legacy in the Orthodox Church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82
[471]
참고자료
[472]
서적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Psychia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3]
서적
God, Justice, and Society: Aspects of Law and Legality in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474]
서적
The Encyclicals of John Paul II: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Rowman & Littlefield
[475]
서적
World Christianities c. 1815–c.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6]
서적
Faithful to Science: The Role of Science i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477]
웹사이트
Christian Influences in the Sciences
https://www.rae.org/[...]
1998-07-07
[478]
웹사이트
50 Nobel Laureates and Other Great Scientists Who Believe in God
https://www.adherent[...]
[479]
서적
Clinical and Experimental Hypnosis in Medicine, Dentistry and Psychology
Pickle Partners Publishing
[480]
웹사이트
Religious Affiliation of the World's Greatest Artists
https://www.adherent[...]
[48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and World Christian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482]
웹사이트
Wealthy 100 and the 100 Most Influential in Business
https://www.adherent[...]
[483]
서적
Religion, Art, and Money: Episcopalians and American Culture from the Civil War to the Great Depress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84]
서적
100 Years of Nobel Prizes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485]
서적
Jews, Antisemitism, and the Middle East
Routledge
[486]
서적
Cultural Politics and Asian Values
Routledge
[487]
서적
Islamic Science and Engineering
Edinburgh Univ. Press
[488]
서적
The Legend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9]
서적
Pythagoras: His Lives and the Legacy of a Rational Universe
https://books.google[...]
Icon
[490]
서적
The Balkans and the Near East: Introduction to a Shared Histor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491]
웹사이트
Assyrians contributions to the Islamic civilization
https://www.christia[...]
[492]
웹사이트
Nestorian
https://www.britanni[...]
[493]
서적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ab Middle East: The Challenge of the Future
https://books.google[...]
Clarendon
[494]
서적
Crisis in Western Education
CUA Press
[495]
서적
The Catholic Church: Journey, Wisdom, and Mission
https://archive.org/[...]
St. Mary's Press
[496]
서적
Richter's Scale: Measure of an Earthquake, Measure of a Ma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7]
서적
God's Soldiers: Adventure, Politics, intrigue and Power: A History of the Jesuits
HarperCollins
[498]
백과사전
Jesuit | History, Definition, Order, Catholic, Slave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16
[499]
서적
For the Glory of God: How Monotheism Led to Reformations, Science, Witch-Hunts and the End of Slave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0]
서적
Prelude, Galileo and his Sources. The Heritage of the Collegio Romano in Galileo's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1]
서적
God & Nature: Historical Essays on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02]
서적
Puritanism and the rise of modern science: the Merton thesis
Rutgers University Press
[503]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 historiographical inqui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04]
서적
Science and religion: a historical introdu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05]
서적
From Monastery to Hospital: Christian Monasticism & the Transformation of Health Care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06]
백과사전
Christianity - Church, State,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3
[507]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508]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4-volume Set
Pickle Partners Publishing
[509]
서적
Architectural Styles: A Visual Guide
Laurence King
[510]
간행물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511]
서적
Children's Health Issues in Historical Perspective, Children's Health Issues in Historical Perspective, Water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Italy, AD 400–1000, Parti 400–1000, Water: A Spiritual History, The Forger's Tale: The Search for Odeziaku, Evangelising the Nation: Religion and the Formation of Naga Political Identity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roud, England: Sutton, Bloomsbury, Indiana University Press, Routledge
[512]
서적
Christianity in Acti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Salvation Army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513]
서적
A Companion to Families in the Greek and Roman Worlds
John Wiley & Sons
[514]
서적
Mental Health Social Work: Evidence-Based Practice
Routledge
[515]
서적
The kink and I: a psychiatrist's guide to untwisted living
https://books.google[...]
[516]
서적
Postchristianity in Africa
C Hurst & Co Publishers Ltd
[517]
뉴스
Orthodox Church split: Five reasons why it matters
https://www.bbc.com/[...]
BBC
2018-10-17
[518]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519]
서적
Receptive Ecumenism and the Renewal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e Path of Ecclesial Conversion
Brill
[520]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521]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522]
간행물
Resolution
Religious Publicity Service of the Federal Council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America
[52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24]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Oxford
[525]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526]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527]
웹사이트
Methodist Statement
https://web.archive.[...]
2010-11-19
[528]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J
[529]
서적
Jews and Christians: The Parting of the Ways, A.D. 70 to 135
[530]
서적
Twenty-six Reasons why Jews Don't Believe in Jesus
Feldheim Publishers
[531]
서적
The Lost Religion of Jesus: Simple Living and Nonviolence in Early Christianity
Lantern Books
[532]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533]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Orige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00-00
[534]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Orige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35]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536]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537]
학술지
Why Were the Early Christians Persecuted? – An Amendment
1964-04-00
[53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Volume 1
[539]
서적
Apologetic Discourse and the Scribal Tradition
[540]
서적
A Dictionary of Jewish-Christian Relations
[54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Nietzsche
[542]
서적
Russell on Religion: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Bertrand Russell
[543]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544]
서적
The Christ Myth Theory and its Problems
American Atheist Press
[545]
서적
Turkish Atrocities: Statements of American Missionaries on the Destruction of Christian Communities in Ottoman Turkey, 1915–1917
Gomidas Institute
[546]
학술지
"Religious Nationalism": A Textbook Case from Turkey
[547]
뉴스
Christian persecution 'at near genocide levels'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5-03
[548]
뉴스
Persecution of Christians coming close to genocide' in Middle East – repor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5-02
[549]
뉴스
'Worst year yet': the top 50 countries where it's hardest to be a Christian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 Today
2017-01-11
[550]
뉴스
North Korea is the world's worst persecutor of Christians
https://www.forbes.c[...]
Forbes
2017-01-25
[551]
웹사이트
Serving Persecuted Christians – Open Doors USA
https://web.archive.[...]
2020-03-24
[552]
간행물
Interim report
https://christianper[...]
Bishop of Truro's Independent Review for the Foreign Secretary of FCO Support for Persecuted Christians
2019-04-00
[553]
뉴스
Our politicians may not care, but Christians are under siege across the world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19-05-08
[554]
간행물
Final Report and Recommendations
https://christianper[...]
Bishop of Truro's Independent Review for the Foreign Secretary of FCO Support for Persecuted Christians
2019-07-00
[555]
사전
LSJ
[556]
서적
A History of Apologetics
Ignatius
[557]
서적
Classical Readings in Christian Apologetics
Zondervan
[558]
웹사이트
Why I Believe in Christianity – Society of Gilbert Keith Chesterton
https://www.chestert[...]
2010-12-06
[559]
학술지
Faith and Paradox: G.K. Chesterton's Philosophy of Christian Paradox
https://web.archive.[...]
2011-09-00
[560]
웹사이트
Christianity
https://www.chestert[...]
2010-12-06
[561]
서적
Objecting to Go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2]
웹사이트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5-04-02
[563]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1-01-13
[564]
웹사이트
Christianity | Definition, Origin, History, Beliefs, Symbols, Types, & Fact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26
[565]
서적
キリスト教
東京大学出版会
[566]
서적
キリスト教
小学館
[567]
웹사이트
教皇ベネディクト十六世の2006年6月11日の「お告げの祈り」のことば
https://www.cbcj.cat[...]
[568]
웹사이트
英国聖公会の39箇条(聖公会大綱)一1563年制定一
http://www5.ocn.ne.j[...]
[569]
웹사이트
私たちルーテル教会の信仰
http://jelc.or.jp/be[...]
[570]
웹사이트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基準
https://www.ogaki-ch[...]
[571]
웹사이트
Of God and of the Holy Trinity.
https://www.ccel.org[...]
[572]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基本用語集
教文館
[573]
웹사이트
信仰-信経: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s://www.orthodox[...]
[574]
웹사이트
■信仰と教義(シリア正教会)
http://www.syrian.jp[...]
[575]
사전
767 宗教【キリスト教】
KADOKAWA
2022-11-11
[576]
문서
歴史および教派の概要
[577]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578]
성경
ガラテヤ人への手紙1:11
[579]
성경
ルカによる福音書21:15
[580]
성경
新約聖書
岩波書店
[581]
성경
新約聖書
岩波書店
[582]
웹사이트
日本聖書協会、聖書を知る
https://www.bible.or[...]
[583]
문서
高橋 1980
[584]
문서
高橋 1980
[585]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86]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global.brita[...]
[587]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88]
성경
テサロニケ人への第一の手紙 1:9
[589]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90]
성경
コリント人への第一の手紙 15:4
[591]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92]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93]
성경
マルコによる福音書 16:5
[594]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95]
성경
新約聖書翻訳委員会
[596]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597]
성경
マタイ福音書 28:9
[598]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599]
성경
テサロニケ人への第一の手紙 1:10
[600]
성경
コリント人への第一の手紙 15:3
[601]
성경
コリント人への第一の手紙 15:20
[602]
성경
マタイ福音書 1:18
[603]
성경
マタイ福音書 1:21
[604]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05]
성경
テサロニケ人への第一の手紙 3:13
[606]
성경
コリント人への第一の手紙 15:27
[607]
성경
マタイ福音書 1:1
[608]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09]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0]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1]
성경
使徒行伝 7:54
[612]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3]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4]
성경
テサロニケ人への第一の手紙 4:15
[615]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6]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7]
성경
ヨハネ黙示録 12:10
[618]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岩波委員会訳
2004
[619]
웹사이트
キリスト教「教会とローマ帝国」
https://kotobank.jp/[...]
小学館、朝日新聞社
2020-04-01
[620]
웹사이트
43.キリスト教のメッセージとは何ですか?
https://opusdei.org/[...]
2020-09-23
[621]
서적
(제목 없음)
2012
[622]
웹사이트
教え-聖伝: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s://www.orthodox[...]
[623]
웹사이트
Armenian Apostolic Church (The Sacraments)
http://www.armenianc[...]
[624]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The Transmission of Divine Revelation
https://www.vatican.[...]
[625]
웹사이트
Tradition - St. Peter's Episcopal Church
https://stpeterswest[...]
[626]
웹사이트
聖公会とは? 聖公会の特徴
http://www.nskk.org/[...]
[627]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28]
웹사이트
Scripture and Tradition |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http://ww1.antiochia[...]
[629]
서적
(제목 없음)
2012
[630]
웹사이트
The Orthodox Faith - Volume I - Doctrine - Sources of Christian Doctrine - Tradition -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www.oca.org/[...]
[631]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32]
書籍
2012
[633]
ウェブサイト
現代神学小史 序章 近代神学以前
http://sky.geocities[...]
[634]
ウェブサイト
聖書信仰――その歴史と可能性
http://www.evangelic[...]
2014-10-11
[635]
ウェブサイト
What do Presbyterians believe about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 Presbyterians Today Magazine — Mission and Ministry — Presbyterian Mission Agency
https://www.presbyte[...]
[636]
ウェブサイト
The Reformed Tradition
https://www.rts.edu/[...]
[637]
書籍
2010
[638]
ウェブサイト
53.ニケア公会議で何が起こりましたか?
https://opusdei.org/[...]
2020-09-23
[639]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40]
ウェブサイト
信仰-信経
https://www.orthodox[...]
[641]
ウェブサイト
日本聖公会 日本聖公会とは
http://www.nskk.org/[...]
[642]
ウェブサイト
ルーテル教会の信仰
http://jelc.or.jp/be[...]
[643]
書籍
2012
[644]
書籍
リフォームド神学事典
[645]
ウェブサイト
Why do we say creeds?
https://www.umc.org/[...]
[646]
ウェブサイト
Ecclesial Theology: Do Real Baptists Recite Creeds?
https://ecclesialthe[...]
[647]
ウェブサイト
ニケア・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信条
https://www.cbcj.cat[...]
[648]
書籍
祈祷書
日本聖公会
1991-06-20
[649]
ウェブサイト
ニカイア・コンスタンティノポリス信条(381)
http://www.kaichokyo[...]
[650]
ウェブサイト
ΛΕΙΤΟΥΡΓΙΑ ΚΥΡΙΑΚΗ
http://glt.xyz/texts[...]
[651]
書籍
The Moody Handbook of Theology
1989
[652]
ウェブサイト
信仰-神
https://www.orthodox[...]
[653]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54]
書籍
リフォームド神学事典
[655]
書籍
2010
[656]
ウェブサイト
信仰-神
https://www.orthodox[...]
[657]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58]
ウェブサイト
信仰-イイスス・ハリストス
https://www.orthodox[...]
[659]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60]
書籍
1978
[661]
書籍
2010
[662]
ウェブサイト
CATHOLIC ENCYCLOPEDIA: Monarchians
http://www.newadvent[...]
[663]
書籍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664]
書籍
1978
[665]
書籍
キリスト教大事典 改訂新版
教文館
昭和52年
[666]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カトリック教会の成立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67]
웹사이트
キリスト教、中世のキリスト教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68]
웹사이트
東ローマ帝国
https://kotobank.jp/[...]
2020-05-27
[669]
웹사이트
単性説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0]
웹사이트
聖霊発出論争
https://kotobank.jp/[...]
2020-05-27
[671]
웹사이트
東西両教会の分裂
https://kotobank.jp/[...]
2020-05-27
[672]
웹사이트
イスタンブール、歴史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3]
웹사이트
東方正教会、歴史と本質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4]
웹사이트
カノッサの屈辱
https://kotobank.jp/[...]
2020-05-27
[675]
웹사이트
フス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6]
웹사이트
宗教改革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7]
웹사이트
ヘンリー8世
https://kotobank.jp/[...]
2020-05-27
[678]
웹사이트
イングランド教会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27
[679]
웹사이트
聖公会
https://kotobank.jp/[...]
2020-05-27
[680]
웹사이트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in Percentages
https://www.pewresea[...]
Pewforum.org
2011-12-19
[681]
뉴스
中国で急増するキリスト教徒 共産党監視下なのになぜ?
https://www.msn.com/[...]
Forbes JAPAN
2020-12-19
[682]
웹사이트
日本国政府外務省HP:大韓民国
https://www.mofa.go.[...]
[683]
뉴스
HERE’S POPE FRANCIS' SCHEDULE FOR HIS THAILAND VISIT
https://www.khaosode[...]
Khaosod English
2019-10-02
[684]
웹사이트
Interactive, colour-coded maps
https://tuthai.org/h[...]
Church Cloud Solutions
2021-01-27
[685]
웹사이트
日本国政府外務省HP:フィリピン共和国
https://www.mofa.go.[...]
[686]
웹사이트
日本国政府外務省HP: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
https://www.mofa.go.[...]
[687]
블로그
日本においてクリスチャンが増えない理由?
http://www.kohara.ac[...]
KOHARA BLOG
[688]
웹사이트
異文化交流の開拓者たち 第18回「なぜ日本ではキリスト教が広がらなかったのか」
https://www.elec.or.[...]
[689]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が日本で広まらなかった理由
https://web.archive.[...]
[690]
웹사이트
クリスマスを祝う日本でキリスト教が広まらない理由
https://www.gentosha[...]
幻冬舎plus
[691]
뉴스
AERA「日本の聖域」で卞氏続報 “韓国への弱さ”指摘
http://www.kirishin.[...]
キリスト新聞
2010-02-06
[692]
논문
キリスト教の結婚式:現代日本における無宗教
[693]
웹사이트
『キリスト教年鑑』が統一協会の掲載をやめた理由 【再録】『キリスト教年鑑』と世界基督教統一神霊協会
http://www.kirishin.[...]
キリスト新聞
2022-12-27
[694]
웹사이트
日本の最新のキリスト教人口は? 『宗教年鑑』2019年版教団別・都道府県別ランキング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22-12-27
[695]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696]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697]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698]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699]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700]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701]
서적
コリント人への第一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2]
서적
コリント人への第二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3]
서적
ガラテヤ人へ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4]
서적
フィリピ人へ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5]
서적
フィレモンへ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6]
서적
ローマ人への手紙解説
岩波書店
[707]
서적
コロサイ、テサロニケ第二、テモテ第一、第二、ヘブルにおける各解説
岩波書店
[708]
서적
ヤコブ、ヨハネ、ペトロ第一、第二、ユダにおける各解説
岩波書店
[709]
서적
ヨハネ黙示録の解説
岩波書店
[710]
웹사이트
Biblical canon
[710]
웹사이트
Old Testament
[711]
서적
日本人の信仰
扶桑社新書
[712]
서적
西洋音楽史 「クラシック」の黄昏
中央公論新社
[713]
서적
ロシア音楽の原点 ボルトニャンスキーの生涯
新読書社
[714]
서적
黄金伝説抄
新泉社
[715]
서적
科学史からキリスト教をみる
創文社
[716]
서적
科学者とキリスト教 ガリレイから現代まで
講談社
[717]
웹사이트
神を信じる著名な科学者たち - Opus Dei
https://opusdei.org/[...]
2018-04-06
[718]
서적
おもしろキリスト教質問箱Q&A77
教文館
[719]
서적
ロシアの源流
講談社選書メチエ
[720]
문서
高尾 1996
[721]
서적
サンタクロースの秘密
せりか書房
[722]
문서
高尾 1996
[723]
서적
カトリックとプロテスタント どこが同じで、どこが違うか
教文館
[724]
서적
聖事経
https://dl.ndl.go.jp[...]
大日本正教会
[725]
웹인용
2020년 세계 기독교 인구는 33.3% 고든 콘웰대 연구소 종교인구 전망 발표
http://www.kidok.com[...]
2014-01-03
[726]
서적
Orthodox and Wesleyan Scrip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727]
웹인용
言葉の世界・伝言板 1998年9月(일본어)
http://www.asahi-net[...]
2007-06-01
[728]
문서
기독교의 신학에 따르면 부활과 승천이후
[729]
서적
성서의 구조인류학 에드먼드 리치
한길사
[730]
서적
Medieval Worlds
Houghton Mifflin Company
[731]
웹사이트
Galerius and Constantine: Edicts of Toleration 311/313
http://www.fordham.e[...]
[732]
서적
Medieval Worlds
Houghton Mifflin Company
[733]
서적
Medieval Worlds
Houghton Mifflin Company
[734]
웹사이트
니케아 공회의
[735]
웹사이트
Homoousios
https://www.britanni[...]
2024-11-16
[736]
서적
지중해 문명의 바다를 가다
한길사
[737]
서적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나무
[738]
서적
세계사 이야기 1
가람기획
[739]
서적
In Search of Ancient Ireland
Ivan R Dee
[740]
서적
Readings in Medieval History: Gregory of Tours History of the Franks
Broadview Press Ltd.
[741]
서적
Dictionary of Saints, Second Edition
Doubleday
[742]
서적
세계 선교 역사 100장면
평단문화사
[743]
서적
나만 모르는 유럽사
모멘토
[744]
서적
그리스도교
분도출판사
[745]
서적
세계사 이야기 1
가람기획
[746]
서적
비잔티움 연대기 제3권
바다출판사
[747]
뉴스
교황, 정교회에 "십자군전쟁 유감" , 800년만의 사과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2-01-29
[748]
서적
그리스도교
분도출판사
[749]
서적
교양-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들녘
[750]
서적
교부들의 신앙
[751]
웹사이트
Henry VIII 's Act of Supremacy (1534) - original text
http://www.britainex[...]
[752]
웹사이트
THE ACT OF SUPREMACY
http://www.tudorplac[...]
[753]
웹사이트
루터 수도원에 가다
http://lck.or.kr/lut[...]
[754]
서적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기독교 역사
평단문화사
[755]
서적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서해문집
[756]
서적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http://www.ccel.org/[...]
Eerdmans
[757]
서적
기독교 강요
크리스천다이제스트
[758]
서적
가톨릭 교회
을유문화사
[759]
서적
The French Civil Wars
Longman
[760]
서적
세계사 이야기 2
가람기획
[761]
서적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기독교 역사
평단문화사
[762]
서적
세계사 이야기 2
가람기획
[763]
웹사이트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50주년을 맞이하며
http://saitama-kyoku[...]
[764]
서적
아레오바고 법정에서 들려오는 저 소리
삼인
[765]
서적
지구지역 시대의 문화경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66]
문서
[767]
서적
평신도를 위한 신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68]
서적
세계 선교 역사 100장면
평단문화사
[769]
서적
미국을 파국으로 이끄는 세력에 대한 보고서
교양인
[770]
웹인용
에큐메니컬 운동
http://theology.ac.k[...]
2012-06-11
[771]
문서
종교신문 - 야소교 전래시기 유교의 반발과 갈등
[772]
서적
일본개신교회사
홍성사
[773]
서적
우리역사의 수수께끼
김영사
[774]
서적
청년설교
복있는 사람
[775]
서적
첫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교연구소
[776]
백과사전
Faith
W. Benton
1964
[777]
성경
고린도전서 15:1-4, 고린도전서 15:14, 사도행전 2:32, 빌립보서 3:10, 요한복음 11:25
[778]
서적
Moral Transformation: The Original Christian Paradigm of Salvation
Bridgehead
2011
[779]
문서
가톨릭교회 전통을 공유하는 교파
[780]
서적
평신도신학
대한성공회 선교교육원
[781]
웹사이트
https://www.oikoumen[...]
[782]
웹인용
여호와의 증인 워치타워성서책자협회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http://www.watchtowe[...]
2011-03-10
[783]
서적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784]
서적
창조론자들
[78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ewsnjoy.[...]
2016-12-21
[786]
서적
창조론자들
새물결플러스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