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닉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닉스는 1999년 시작된 리눅스 배포판으로, 부팅 가능한 CD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초기에는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2005년 데비안 기반으로 전환되었다. 핀닉스는 파일 시스템 복구 및 네트워크 관찰 등 시스템 관리 작업에 주로 사용되며, 작은 부팅 가능한 CD ISO 이미지 형태로 배포된다. 핀닉스는 x86을 주 아키텍처로 사용하며, x86-64 커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PowerPC 지원은 별도로 제공된다. 핀닉스는 평균 3개월마다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며, 데비안 "테스팅" 트리의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와 핀닉스 고유의 새로운 기능이 포함된다.
핀닉스는 1999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부팅 가능한 CD에서 완전히 실행되도록 설계된 가장 오래된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이다.[3] 초기에는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2005년 개발 재개 이후 데비안 기반으로 전환되었다.
핀닉스는 작은 부팅 가능한 CD ISO 이미지 형태로 배포된다. 사용자는 ISO를 내려받아 CD에 기록한 뒤 텍스트 모드 리눅스 환경으로 부팅할 수 있다. 핀닉스는 제대로 실행하려면 최소 32MiB RAM이 필요하지만, 더 많은 RAM이 있는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다.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카드, USB 장치 등 대부분의 하드웨어 장치가 자동으로 감지되고 처리된다.[7] UnionFS나 AUFS 파일 시스템을 통해 실행 중인 CD의 거의 모든 파일을 수정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은 RAM에 투명하게 기록되고 종료 시 삭제된다. 핀닉스는 SquashFS를 사용하여 배포판 크기를 작게 유지한다.[8]
핀닉스는 여러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주 아키텍처는 x86이며, x86-64 커널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릴리스에서는 PowerPC 지원을 x86 버전과 별도의 CD로 제공한다.[10] 핀닉스는 User Mode Linux 및 Xen 가상화 시스템을 인식하며, Linode와 같은 UML 및 Xen 가상 사설 서버 제공업체는 핀닉스를 고객에게 복구/유지 관리 배포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11]
핀닉스는 주로 파일 시스템 복구, 네트워크 관찰 등 시스템 관리 작업에 사용된다.[16] 리노데와 같은 유저 모드 리눅스 및 젠 가상 개인 서버 제공자는 고객에게 핀닉스를 복구 및 관리용으로 제공하기도 한다.[17]
핀닉스의 새로운 버전은 평균 3개월마다 출시되며, 데비안 "테스팅" 트리의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와 핀닉스 고유의 새로운 기능이 포함된다. 버전 86.0부터 93.0까지는 주/부 버전 체계를 사용했으며, 주요 릴리스는 일반적으로 주요 기능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부 릴리스는 핀닉스의 패키지를 데비안의 "테스팅" 트리에 맞춰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소한 수정 사항과 데비안 업데이트를 포함했다. 버전 100부터 릴리스는 단순히 증가하는 정수로 번호가 매겨진다.[12] 개발 빌드는 위스콘신의 도시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1]
문서
Linux Complete Backup Recovery and HOWTO
http://tldp.org/HOWT[...]
2. 역사
2. 1. 초기 개발 (1999-2005)
1999년 핀닉스 제작이 시작되었으며, 첫 판인 0.01은 레드햇 리눅스 6.0을 바탕으로 했다. 이는 리안 핀니의 사무실 주변 리눅스 워크스테이션들을 고치기 위해 만들어졌다.[3] 2000년 초에 첫 공식 출시된 0.03은 판올림된 레드햇 리눅스 6.1을 바탕으로 했다.[4][5] 300메비바이트 ISO 크기와 RAM 32메비바이트 요구사항은 당시 RAM 가격과 고속 인터넷 보급 부족을 고려하면 부담스러웠지만, 10,000회 이상 다운로드되었다.[4][5] 핀닉스 제작은 2005년까지 중단되었다.
2. 2. 개발 재개 및 데비안 기반 전환 (2005-)
2005년 10월 23일, 핀닉스 86.0 버전이 출시되면서 개발이 재개되었다.[13] 86.0 이전의 미출시 버전들(84, 85.0 ~ 85.3)은 크노픽스를 재구성한 버전이었으며, LVM (Linux Logical Volume Manager) 및 dm-crypt 지원이 주요 개발 동기였다.[6] 86.0 버전부터는 크노픽스와의 차별화를 위해 데비안 "테스팅" 트리를 직접 파생하여 개발되었다.[6]
3. 특징
"toram" 옵션을 사용하면 CD의 내용 대부분을 RAM 디스크에 복사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최소 192MiB RAM이 필요하다.[9] 이 경우, CD를 꺼내고 다른 CD를 사용할 수 있다. 핀닉스는 부팅 가능한 USB 썸 드라이브에 넣거나 하드 드라이브에 영구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여전히 LiveCD처럼 작동한다.
x86 버전에서는 유저 모드 리눅스를 통해 "핀닉스 온 핀닉스(Finnix on Finnix)"라는 기능을 제공하여, 여러 개의 핀닉스 환경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15]
4. 지원 아키텍처
5. 활용
핀닉스는 작은 부팅 가능한 CD ISO로 출시된다. 사용자는 ISO를 다운로드하여 이미지를 CD로 굽고 텍스트 모드 Linux 환경으로 부팅할 수 있다. 핀닉스는 제대로 실행하려면 최소 32MiB RAM이 필요하지만, 더 많은 RAM이 있는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다.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카드, USB 장치 등 대부분의 하드웨어 장치가 자동으로 감지되고 처리된다.[7] 사용자는 union mount 파일 시스템(UnionFS 또는 AUFS, 핀닉스 릴리스에 따라 다름)을 통해 실행 중인 CD의 거의 모든 파일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읽기-쓰기 파일 시스템(이 경우 동적 램디스크)을 읽기 전용 파일 시스템(CD 미디어) 위에 쌓는다. 핀닉스 세션 중에 이루어진 모든 변경 사항은 투명하게 RAM에 기록되고 종료 시 삭제된다. 또한, 핀닉스는 SquashFS를 사용하여 배포판 크기를 작게 유지한다.[8]
핀닉스는 시스템에 최소 192MiB RAM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RAM 내에서 완전히 실행될 수 있다. "toram" 옵션이 핀닉스에 전달되면 CD의 내용 대부분이 RAM 디스크로 복사되고 CD가 꺼내져 CD-ROM 드라이브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9] 핀닉스는 부팅 가능한 USB 썸 드라이브에 넣거나 하드 드라이브에 영구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하지만 여전히 LiveCD처럼 작동).
핀닉스는 여러 프로세서 아키텍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주 아키텍처는 x86이며, 추가 x86-64 커널이 포함되어 있다. PowerPC 지원은 대부분의 릴리스에서 x86 버전에 맞춰 별도의 CD로 제공된다.[10] 또한 핀닉스는 User Mode Linux 및 Xen 가상화 시스템을 인식한다. Linode와 같은 UML 및 Xen 가상 사설 서버 제공업체는 핀닉스를 고객에게 복구/유지 관리 배포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11]
6. 버전 관리
참조
[2]
서적
Linux Samba Server Administration
Sybex
[3]
뉴스
A tale of two Linux bootable business cards
http://www.linux.com[...]
Linux.com
[4]
웹사이트
Original Finnix site archive
http://www.finnix.or[...]
2007-10-03
[5]
SourceForge
SourceForge Finnix 0.03 download page
http://sourceforge.n[...]
[6]
웹사이트
Finnix project history
http://www.finnix.or[...]
2007-10-03
[7]
간행물
Rapid Trust Establishment for Pervasive Personal Computing
http://doi.ieeecompu[...]
2008-06-28
[8]
웹사이트
Finnix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finnix.or[...]
2007-10-03
[9]
문서
Finnix "cheat codes"
http://www.finnix.or[...]
[10]
웹사이트
Finnix 86.1 for x86/PowerPC/UML/Xen Released
http://blog.finnix.o[...]
2005-11-21
[11]
웹사이트
Finnix available for use with Linode
http://www.linode.co[...]
2008-05-30
[12]
웹사이트
Finnix 100 released
http://blog.finnix.o[...]
2010-10-28
[13]
웹인용
핀닉스가 걸어온 길
http://www.finnix.or[...]
2009-04-22
[14]
웹인용
"8"
http://www.finnix.or[...]
2009-04-22
[15]
웹인용
"2.1"
http://www.finnix.or[...]
2009-04-22
[16]
문서
7.3을 보세요.
http://tldp.org/HOWT[...]
[17]
웹인용
Linode.com Forum :: New Feature - Finnix LiveCD Recovery Distribution Support
http://www.linode.co[...]
2009-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