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배포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과 함께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 유틸리티를 묶어 사용자가 쉽게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을 개발한 이후, 설치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배포판이 등장했다. 초기 배포판으로는 MCC 인테림 리눅스, SLS, Yggdrasil Linux 등이 있으며, Slackware와 Debian은 1993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현재 리눅스는 서버 및 임베디드 장치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데스크톱 시장에서도 다양한 배포판을 통해 사용되고 있다. 배포판은 자유 소프트웨어만 포함하는 무료 배포판과 상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거나 기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유료 배포판으로 나뉜다. 주요 배포판 계열로는 데비안, 레드햇, 슬랙웨어, SUSE, 아치 등이 있으며, 특정 목적에 특화된 배포판과 경량 배포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하모니카, 구름 플랫폼, 한컴 구름, 티맥스OS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누스 토르발스 - 리눅스 재단
리눅스 재단은 리눅스 운영체제 표준화 및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 리누스 토르발스 - 리눅스 커널
리눅스 커널은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을 시작한 UNIX에서 영감을 받은 운영 체제 커널로, GPLv2 라이선스를 채택하여 자유로운 사용과 배포를 허용하며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모듈형 구조를 통해 장치 드라이버 추가가 가능하다. -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리눅스 배포판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운영 체제 |
| 기반 | 리눅스 커널 |
| 패키지 관리자 | 패키지 관리자 |
| 라이선스 | 다양한 자유/오픈 소스 라이선스 |
| 특징 | |
| 사용 목적 | 다양한 용도 (서버, 데스크톱, 임베디드 시스템 등) |
| 사용자층 | 일반 사용자, 개발자, 기업 등 |
| 개발 모델 | 오픈 소스 |
| 비용 | 무료 (대부분) |
| 사용자 인터페이스 | GUI 또는 CLI |
| 시스템 요구 사항 | 다양함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다름) |
| 지원 아키텍처 | x86 x86-64 ARM 기타 |
| 개발 | |
| 개발 언어 | C 언어 C++ 쉘 스크립트 기타 |
| 커널 | 리눅스 커널 |
| 사용자 공간 | GNU |
| 초기 릴리스 | 1992년경 |
| 최신 안정화 버전 | (배포판마다 다름) |
| 업데이트 방법 | 패키지 관리자를 통한 업데이트 |
| 웹사이트 | (배포판마다 다름) |
| 종류 | |
| 주요 배포판 | 데비안 우분투 페도라 CentOS openSUSE 기타 |
| 파생 배포판 | (수많은 파생 배포판 존재) |
| 용도별 분류 | 서버용 데스크톱용 임베디드용 특수 목적용 (보안, 교육 등) |
| 기타 | |
| 관련 용어 | 리눅스 GNU 커널 패키지 관리자 데스크톱 환경 디스트로 |
| 참고 사항 | GNU/리눅스라고도 불림 |
2. 역사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고 배포하면서 리눅스 배포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소스 코드 형태로만 배포되었으나, 설치 절차가 복잡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배포판들이 등장했다.
1993년에는 가장 오래된 두 개의 활성 배포 프로젝트인 Slackware와 Debian이 시작되었다. 패트릭 볼커딩은 SLS 배포판이 제대로 유지 관리되지 않자 SL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배포판인 Slackware를 1993년 7월에 출시했다.[22] 이안 머독 또한 SLS에 불만을 품고 1993년 8월에 Debian을 설립하여 무료 배포판을 만들려고 시도했으며, 첫 번째 공개 베타는 1994년 1월에, 첫 번째 안정 버전은 1996년 6월에 출시되었다.[23][24]
초기 사용자들은 IBM PC 호환 기종 컴퓨터의 DOS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Apple Macintosh의 Mac OS, 그리고 독점 유닉스에 대한 대안으로 리눅스 배포판에 매료되었다. 이들은 주로 직장이나 학교에서 유닉스에 익숙했으며, 리눅스 배포판의 저렴한 (또는 무료) 비용과 대부분 또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 가용성에 매력을 느꼈다.
2024년 현재, 리눅스는 데스크톱 시장보다 서버 및 임베디드 장치 시장에서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웹 서버의 약 58.9%에서 사용되고 있으며,[25] 운영 체제 시장 점유율은 약 3.67%이다.[26]
리눅스 커널은 프로세스, 소켓 통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기초가 되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매우 기본적인 수준이다. 예를 들어 커널 자체에는 OS 부팅 시 데몬 자동 실행 기능이 없고, Bash와 같은 대화형 콘솔 기능도 없다. 이러한 기능은 GNU 등에서 개발된 개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다.
리눅스 배포판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리눅스 커널과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은 것이다. 무상, 유상 등 다양한 distribution 형태가 존재하며, 각 배포판은 그 이념과 목적에 따라 분기되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셸 기능, 패키지 관리 기능, 데스크톱 환경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 1. 초기 배포판
리누스 토르발스는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고 1991년에 0.01 첫 버전을 배포하였다. 리눅스는 처음에 소스 코드로만 배포되었다가 나중에 다운로드 가능한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 한 쌍으로 배포되었다. 하나는 리눅스 커널 자체를 포함한 부팅 가능한 이미지였고, 다른 하나는 파일 시스템 설정을 위한 GNU 유틸리티 및 도구들이 모여있는 이미지였다. 특히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양이 늘어나는 동안 설치 절차가 복잡했기 때문에 배포판들이 이를 단순화하기 위해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했다.[82]초기 배포판은 다음과 같다.
- H. J. Lu의 Boot-root
- MCC 인테림 리눅스 - 1992년 2월에 다운로드 이용이 가능해졌다.
- 소프트랜딩 리눅스 시스템(SLS) - 1992년 출시되었다.
- Yggdrasil Linux/GNU/X - 1992년 12월 처음 출시된 상용 배포판이다.

| 배포판 | 설명 |
|---|---|
| 토르발스의 "Boot-Root" 이미지 | 커널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도구를 갖춘 디스크 이미지 쌍 (1991년 11월 4일)[12][13][14][15] |
| MCC Interim Linux | 1992년 3월 3일[16] |
| 소프트랜딩 리눅스 시스템(SLS) | X 윈도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잠시 동안 가장 포괄적인 배포판이었다 (1992년 8월 15일)[17] |
| H.J. 루의 "부팅 가능한 루트 디스크" | 1992년 9월 23일[18][19] |
| "Linux Base System" | 1992년 10월 5일[20][21] |
| Yggdrasil Linux/GNU/X | 상업용 배포판 (1992년 12월 8일) |
3. 구성 요소
많은 리눅스 배포판은 다른 현대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젠투 리눅스를 포함한 다른 배포판은 기본 커널, 컴파일 도구 및 설치 프로그램의 바이너리만 제공하며, 설치 프로그램은 이러한 도구와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의 특정 CPU 아키텍처에 대해 요청된 모든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한다.[27]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종류 구성 요소 리눅스 커널 리눅스 커널 및 커널 모듈 필수 도구 및 유틸리티 {{lang, GNU Core Utilities, Bourne Shell 호환 셸, 유닉스 셸, glibc 부팅 관련 init, /etc 등 기본적인 파일 그룹, GRUB나 LILO와 같은 부트 로더 에디터 Emacs, nano, vim 컴파일러 GNU Binutils, GCC 기타 각종 설정을 하는 소프트웨어, 스크립트 언어 (awk, perl, python, sed)
이 외에도 GUI 관련 요소, 데스크톱 및 서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다.[27]
3. 1. 핵심 구성 요소
리눅스 커널은 프로세스, 소켓 통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27] 이러한 기능들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기초가 되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사용자가 이용하기에는 매우 기본적인 수준이다. 예를 들어 커널 자체에는 OS 부팅 시 데몬 자동 실행 기능이 없고, Bash와 같은 대화형 콘솔 기능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리눅스 GNU 등에서 개발된 개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다.[27]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리눅스 커널과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은 것이 리눅스 배포판이다.[27] 무상, 유상 등 다양한 distribution 형태가 존재하며, 각 배포판은 그 이념과 목적에 따라 분기되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를 패키지에 포함하고 있다.[27]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셸 기능, 패키지 관리 기능, 데스크톱 환경 등을 이용할 수 있다.[27]
커널 외에도 기본적인 UNIX 도구, 유틸리티, 그 외 서버용 및 데스크톱 환경용 소프트웨어를 모아 빌드하여 바이너리 패키지를 생성하고 제공한다.[27] 그 외, 최초 설치 시 필요한 설치 프로그램 등 보조 시스템이 부속된다.[27] 바이너리 패키지를 이용하는 형태 때문에 rpm, deb 등 어떤 바이너리 패키지 시스템의 채용이 거의 필수적이며, 어떤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지가 배포판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된다.[27] apt나 dnf 등 상위 패키지 관리 시스템도 현대에는 거의 필수적이다.[27]
핵심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3. 2. 추가 구성 요소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위에 언급된 것들은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시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4. 배포 방식
배포판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는 것과, 상용 소프트웨어 또는 기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유료로 제공되는 것으로 나뉜다. 두 경우 모두 CD-ROM 등으로 입수할 수 있다. GNU/Linux 배포자 중에는 두 가지를 모두 준비하거나, 지원만 유료로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4. 1. 무료 배포판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따라 무료로 배포된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다운로드, 설치, 사용, 수정, 재배포할 수 있다. 이러한 배포판은 FTP 등으로 공개되며, 토렌트를 이용해 배포하기도 한다.[63]4. 2. 유료 배포판
일부 리눅스 배포판은 상용 소프트웨어나 기업 지원 서비스를 포함하여 유료로 제공된다.[63] 이러한 유료 배포판은 사용자 수 등에 제한이 있는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제공되며, 주로 기업 환경에서 안정성과 기술 지원을 위해 사용된다.[63]5. 주요 배포판 계열
리눅스 배포판은 패키지 관리 시스템, 개발 철학 등에 따라 여러 계열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64]
- 상업용 또는 비상업용
- 기업 사용자, 파워 유저 또는 홈 유저를 위해 설계됨
- 여러 유형의 하드웨어에서 지원되거나 플랫폼별로 지원되며, 심지어 플랫폼 공급업체의 인증을 받기도 함
- 서버, 데스크톱 또는 임베디드 장치용으로 설계됨
- 범용 또는 특정 머신 기능(예: 방화벽, 네트워크 라우터 및 컴퓨터 클러스터)에 특화됨
- 언어 국제화 및 지역화를 통해 또는 많은 음악 제작 또는 과학 컴퓨팅 패키지를 포함하여 특정 사용자 그룹을 타겟팅함
- 주로 컴퓨터 보안, 사용성, 이식성 또는 포괄성을 위해 구축됨
- 표준 릴리스 또는 롤링 릴리스
리눅스 배포판의 다양성은 공급업체와 사용자 간의 기술적, 조직적 및 철학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자유 소프트웨어의 허가 라이선스는 충분한 지식과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기존 배포판을 사용자 정의하거나 자신의 요구에 맞게 배포판을 설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이름 | 만든이 | 첫 판이 나온 날 | 기반이 되는 배포판 | 권장되는 장치 | 다운로드 |
|---|---|---|---|---|---|
| SLS | 피터 맥도널드 | 1992년 5월 | 독립 | 데스크톱 | |
| Yggdrasil Linux | Yggdrasil Computing, Incorporated | 1992년 11월 24일 | 독립 | 데스크톱 | |
| 오픈수세 | 노벨 | 2006년 | SUSE | 데스크톱 | 오픈수세 |
| 페도라 | 페도라 계획/레드햇 | 2003년 11월 5일 | RHEL | 데스크톱 | 페도라 프로젝트 |
| 리눅스 민트 | 리눅스 민트 커뮤니티 | 2006년 8월 27일 | 우분투 | 데스크톱 | 리눅스 민트 |
| 우분투 | 캐노니컬 | 2004년 10월 20일 | 데비안 | 데스크톱, 서버 | 우분투 |
| CentOS | CEntOS 계획 | 2004년 3월 | RHEL | 서버 | CentOS |
| 젠투 리눅스 | 다니엘 로빈스 | 2002년 3월 | 독립 | 데스크톱 | 젠투 리눅스 |
| 데비안 | 이안 머독 | 1993년 8월 16일 | 독립 | 데스크톱 | 데비안 |
| 슬랙웨어 | 패트릭 볼커딩 | 1993년 7월 17일 | SLS | 데스크톱 | 슬랙웨어 |
| 맨드리바 리눅스 | 맨드리바 | 1998년 7월 23일 | 맨드리바 리눅스 | 데스크톱 | |
| 64 스튜디오 | 다니엘 제임스, 프리 에카나야카 | 2005년 5월 9일 | 데비안 | 멀티미디어 | |
| ALT 리눅스 | ALT 리눅스 팀 | 2001년 3월 21일 | 독립 | 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 서버 | |
| 아치 리눅스 | 주드 비넷 | 2002년 8월 9일 | 독립 | 특별히 없음 | 아치 리눅스 |
| 아크 리눅스 | 베른하르드 로센크라엔저 | 2003년 1월 25일 | 독립 | 데스크톱 | |
| 아시아눅스 | 훙치 리눅스, 미라클 리눅스, 한글과컴퓨터 | 2004년 6월 | RHEL | 워크스테이션, 서버 | 아시아눅스 |
| BLAG | 브릭스톤 리눅스 액션 그룹 | 2002년 10월 22일 | 페도라 | 데스크톱 | |
| 크런치뱅 리눅스 | 필립 뉴보로우 | 2008년 1월 30일 | 우분투 | 데스크톱 | |
| 크럭스 | 펠 리덴 | 2001년 1월 20일 | 독립 | 특별히 없음 | |
| 댐 스몰 리눅스 | 존 안드레우스 | 2003년 | 크노픽스 | 휴대 | 댐 스몰 리눅스 |
| 델리 리눅스 | 헨리 젠센 | 2002년 10월 | 독립 | 데스크톱 | |
| 디네:볼릭 | 자로밀 | 2001년 6월 | 독립 | 소리 및 영상 편집 | |
| 이지 피지 | 존 람비 | 2008년 7월 4일 | 우분투 | 넷북 | |
| 이라이브 | 트하나텔메싯 | 2005년 1월 1일 | 데비안 | 데스크톱 | |
| 차이싸 마기차 | 차이싸 마기차 소프트웨어 | 2000년 10월 28일 | 맨드리바 리눅스 | 데스크톱, 서버 | |
| 엔갈데 세큐어 리눅스 | 가디안 디지털 | 2001년 | 독립 | 서버 | |
| 핀닉스 | 리안 핀니에 | 2000년 3월 22일 | 데비안 | 서버 | |
| 포어사이트 리눅스 | 켄 반디네 | 2004년 12월 | 알패스 리눅스 | 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 그놈 전시 | |
| 프루갈웨어 | 미클로스 바즈나 | 2004년 9월 2일(추정) | 슬랙웨어 | 특별히 없음 | |
| 그뉴센스 | 브리안 브라질, 폴 O'말레이 | 2006년 11월 2일 | 우분투 | 데스크톱 | |
| 고보리눅스 | 히샴 무함마드, 안드레 데트스츠흐 | 2002년 3월 20일 | 독립 | 데스크톱 | |
| gOS | 굿 OS LLC | 2007년 11월 1일 | 우분투 | 데스크톱 | |
| 임피 리눅스 | 가어텡 리눅스 사용자 모임 | 2003년 11월 | 데비안 | 데스크톱 | |
| PCLinuxOS | 빌 레이놀드 | 2005년 7월 7일 | 맨드리바 리눅스 | 데스크톱 | PCLinuxOS |
| 미고 | 인텔, 노키아 | 2010년 5월 26일 | 독립 | 넷북, 태블릿, 모바일기기 | |
| 드라고라 | Matias A. Fonzo | 2009년 3월 13일 | 슬랙웨어 | 데스크톱 | |
| 칼리 리눅스 | Offensive Secrety | YYYY년 MM월 DD월 | kali.org | ||
5. 1. 데비안 계열
데비안 계열은 데비안 GNU/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배포판들이다. 이들은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deb 형식과 APT를 사용한다. 자유 소프트웨어 정신을 강조하며, 안정성과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데비안 GNU/리눅스: 100% 자유 소프트웨어를 추구하는 커뮤니티 기반 배포판이다.
- * Astra Linux|아스트라 리눅스영어: 러시아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공식 OS 중 하나이다.[65]
- * 칼리 리눅스: 침투 테스트에 특화된 배포판으로, 백트랙에서 파생되었다.
- * KNOPPIX: 데비안 기반으로 CD 부팅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MX Linux: 데비안을 기반으로 한 중량급 배포판이다.
- * 라즈베리파이 OS: 라즈베리 파이용 데비안 배포판이다.
- * Tails: 프라이버시와 익명성에 특화된 데비안 기반 배포판이다. 라이브 CD·라이브 USB를 지원한다.
- 우분투: 데비안에서 파생되었으며, 6개월마다 릴리스되고 상업적 지원을 제공한다. 데스크톱 환경으로 GNOME을 채택하고 있다.
- * 백트랙: 칼리 리눅스의 전신으로, 침투 테스트에 특화되어 있었다.
한국의 구름 플랫폼, 한컴구름도 데비안 계열에 속한다.
5. 1. 1. 우분투 파생 배포판
우분투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배포판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기본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다른 환경으로 대체한다.
이 외에도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공식 포크도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 사용자를 위한 우분투 Kylin이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우분투 스튜디오가 있다.[73][74]
리눅스 민트는 우분투를 기반으로 하며 호환되는 배포판이다. 시나몬(GNOME Shell 포크)과 MATE(GNOME 2 포크)를 포함한 여러 데스크톱 환경을 지원한다.
System76에서 개발한 Pop!_OS는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COSMIC으로 알려진 맞춤형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우분투 기반 배포판들은 다음과 같다.
- 보디 리눅스: Enlightenment에서 파생된 윈도우 매니저인 Moksha를 채택한 경량 버전.
- 에듀분투: 교육용으로 커스터마이징.
- elementary OS: 독자적인 데스크톱 환경인 "Pantheon"을 채택한 macOS 스타일.
- Gobuntu|고분투영어: 자유 소프트웨어만 사용.
- 리눅스 민트: MATE나 Cinnamon을 채택하여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환경을 개선하고, 멀티미디어 관련 코덱을 충실하게 갖추고 있다.
- 페퍼민트 OS: Chromium을 탑재한 경량 배포판. 웹 앱과의 연동도 강하다.
- Linux Lite|리눅스 라이트영어: 우분투 LTS(장기 지원 버전)를 기반으로 개발. Xfce를 채택하여 아이콘과 배경화면이 아름답다. 앱 추가 및 삭제, 웹 브라우저의 캐시 삭제 등도 용이.
- nUbuntu|nUbuntu영어: 보안 도구를 다수 포함.
- 트리스켈 GNU/리눅스: GNU FSDG에 적합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서버에서 사용. 펌웨어 수준까지 100%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
- 우분투 스튜디오: 하이엔드 데스크톱용. 디지털 콘텐츠 제작 도구가 다수 사전 설치. 실시간 커널 패치도 적용.
- 우분투 유니티: 데스크톱 환경으로 Unity를 채택.
- 주분투 파생 배포판:
- ChaletOS: 윈도우와 유사한 조작성으로, 윈도우 앱을 실행하는 Wine도 기본 탑재.
- Voyager: 프랑스산 OS. Xfce를 채택했지만, macOS 스타일의 화면이 아름답다. 32bit 버전과 64bit 버전이 있다.
- 조린 OS: 윈도우 스타일의 조작성을 제공. Wine을 추가하면 윈도우 앱도 실행.
- 플럭스분투: 윈도우 매니저로 플럭스박스를 채용.
- 우분투 GNOME: 데스크톱 환경에 GNOME 셸을 채용.
- 구분투: 구글이 사내에서 개발·이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공개.
5. 2. 레드햇 계열
레드햇 계열은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배포판들이다. RPM 형식과 Yum, DNF를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한다. 기업 환경에 적합한 안정성과 상용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페도라: 레드햇 리눅스의 후계로, 커뮤니티에서 개발되며 실험적인 요소가 강하다.
- CentOS Stream: RHEL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실험 공개판이다.
- RHEL: 커뮤니티에서 테스트된 페도라를 기반으로 안정화된 상용 배포판이다.
- MIRACLE LINUX: Oracle 지원을 제공하는 일본산 RHEL 클론이다.
- Scientific Linux: RHEL 클론이다.
- Rocky Linux: CentOS 창립자인 Gregory Kurtzer가 만든 RHEL 클론이다.
- AlmaLinux: CentOS의 정신적 후계로 불리는 RHEL 클론이다.
- Amazon Linux 2: Amazon.com에서 개발했으며, RHEL7 / CentOS7을 기반으로 한다.
- Berry Linux: 일본인 나카타 유이치로가 페도라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 마게이아: 만드리바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 소스 배포판이다.
- PCLinuxOS: 만드리바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데스크톱 환경에 중점을 둔 배포판이다.
- RedHawk Linux: RHEL 커널을 실시간 Linux 커널로 대체한 상용 배포판이다.
- Oracle Linux: 오라클 제품에 최적화된 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UEK)을 채용했다.
- CentOS: Red Hat Enterprise Linux의 클론이었으나, 개발 중단으로 인해 10년간 지원될 예정이었던 CentOS 8의 지원이 2년여 만에 중단 발표되어 논란이 되었다.[75]
- Vine Linux: 일본산 리눅스 배포판이다.
- PS2 Linux: PlayStation 2에서 동작하며, Kondara MNU/Linux를 기반으로 한다.
- HOLON Linux: 인터채널・호론사(インターチャネル・ホロン社)에서 제조했다.
- Caldera OpenLinux: 상용 배포판이었다.
- Haansoft Linux: 2006 Workstation은 Asianux를 기반으로 한다.
- Kondara MNU/Linux: 개발자 일부가 Momonga Linux를 시작했다.
- Lycoris Desktop/LX: 윈도우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했다.
- Momonga Linux: Kondara MNU/Linux의 후계 배포판이다.
- Red Star OS: 북한의 국책 배포판이다.
- 紅旗Linux|훙치 리눅스중국어: 중국산 배포판으로, Asianux를 기반으로 한다.
- White Box Enterprise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의 클론 배포판이었다.
- Mandriva Linux: 구 명칭은 Mandrakelinux였으며, 상용 버전과 무료 버전이 있었다.
- StartCom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기반의 GNU/Linux 배포판이다.
- Yellow Dog Linux: Fedora 기반이며, PowerPC 전용으로 PlayStation 3를 공식 지원했다.
- Asianux: 아시아 5개국 기업이 공동 개발했으며, Red Hat Enterprise Linux를 기반으로 한다.
- Red Hat Linux: 상용 및 개인용으로 배포되었으나, Fedora Core로 사실상 개발이 계승되었다.

5. 3. 슬랙웨어 계열
슬랙웨어는 1993년 7월 17일 패트릭 볼커딩이 SLS (Softlanding Linux System)를 기반으로 만든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 보급 초기에 유명했다.슬랙웨어 계열 리눅스 배포판은 다음과 같다.
| 배포판 | 설명 |
|---|---|
| 드라고라 GNU/리눅스-리브레 | 완전한 자유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GNU/리눅스 배포판이다. 심플함을 컨셉으로 한다. |
| 플라모 리눅스 | 슬랙웨어를 일본어화하여, 프라모델처럼 다룰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3.3 버전까지는 PC-9800 시리즈를 지원했다. |
| 퍼피 리눅스 | 라이브 CD 및 HD 설치가 가능하다. 일본어화도 가능하다.[76][77] deb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 |
| Yara OSX | 퍼피 리눅스 파생 배포판이다. Xfce를 채용한 MacOS풍 화면을 제공한다.[78][79] |
| 프루갈웨어 | 슬랙웨어 기반의 배포판이다. |
5. 4. SUSE 계열
SUSE Linux를 기반으로 하는 배포판들은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RPM 형식과 YaST를 사용한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openSUSE, SUSE Linux Enterprise 등이 대표적이다.- openSUSE: 원래 상업용이었던 SUSE Linux가 오픈 소스화된 것이다.
- SUSE Linux Enterprise: 커뮤니티에서 테스트를 거친 openSUSE를 기반으로 안정화된 상용 배포판이다.
- SUSE Linux Enterprise Desktop: SUSE Linux Enterprise의 데스크톱 버전이다.
- SUSE Linux: SUSE가 개발한 배포판이다. SUSE는 독일 기업이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강세를 보였다.
- United Linux: SUSE Linux를 기반으로 TurboLinux, SUSE(현:Novell), Caldera(현:SCO), Connectiva(현:Mandriva)의 4개 사에서 공동 개발했다.
5. 5. 아치 계열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Pacman을 사용한다. 롤링 릴리스 모델을 채택하여 항상 최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64] 주요 배포판은 다음과 같다.- 아치 리눅스: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진 배포판이다.
- Asahi Linux: M1 칩이 탑재된 Mac에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배포판이다.
- Audiophile Linux: Fluxbox를 채택한 오디오 애호가를 위한 운영체제이다.
- BlackArch Linux: 보안 테스트용으로 개발된 배포판이다.
- EndeavourOS: 2019년에 개발이 중단된 Antergos의 후속 배포판이다.
- Manjaro: 아치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며, 미리 설치된 데스크톱 환경과 GUI 기반 설치 프로그램을 갖춘 배포판이다.
- Parabola GNU/Linux-libre: 아치 리눅스에서 자유롭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제거하고 100%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배포판이다.
- SteamOS: 게임 배포 서비스 Steam의 운영 주체가 개발한 게이밍 PC용 운영체제이다. Debian 계열에서 이주하였다.
5. 6. 독립 계열
다른 배포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개발된 배포판들이다.| 이름 | 만든이 | 첫 판이 나온 날 | 권장되는 장치 | 다운로드 |
|---|---|---|---|---|
| 젠투 리눅스 | 다니엘 로빈스 | 2002년 3월 | 데스크톱 | [http://www.gentoo.org 젠투 리눅스] |
| 고보 리눅스 | 히샴 무함마드, 안드레 데트스츠흐 | 2002년 3월 20일 | 데스크톱 | |
| 타이니 코어 리눅스 | 로버트 슁글데커 | - | - | |
| 슬리타즈 | - | - | - | |
| ALT 리눅스 | ALT 리눅스 팀 | 2001년 3월 21일 | 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 서버 | |
| 아치 리눅스 | 주드 비넷 | 2002년 8월 9일 | 특별히 없음 | [https://www.archlinux.org 아치 리눅스] |
| 아크 리눅스 | 베른하르드 로센크라엔저 | 2003년 1월 25일 | 데스크톱 | |
| 크럭스 | 펠 리덴 | 2001년 1월 20일 | 특별히 없음 | |
| 델리 리눅스 | 헨리 젠센 | 2002년 10월 | 데스크톱 | |
| 디네:볼릭 | 자로밀 | 2001년 6월 | 소리 및 영상 편집 | |
| 엔갈데 세큐어 리눅스 | 가디안 디지털 | 2001년 | 서버 | |
| 미고 | 인텔, 노키아 | 2010년 5월 26일 | 넷북, 태블릿, 모바일기기 |
- 젠투 리눅스: BSD 계열 OS의 포트와 유사한 포티지라고 불리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 크롬 OS: 구글이 개발하고 있는 OS. 2010년 2월, 기반이 되는 OS를 우분투에서 젠투 리눅스로 변경했다.
- 크로미움 OS: 크롬 OS의 오픈 소스 버전이다.
- 사바욘 리눅스: 젠투 리눅스 기반의 라이브 DVD GNU/Linux.
- 고보 리눅스: 파일 시스템 계층 표준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한 리눅스이다.
- 타이니 코어 리눅스: 댐 스몰 리눅스 개발자 중 한 명이었던 로버트 슁글데커가 중심이 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크기가 10MB 정도 밖에 안 되는 것이 특징이다.
- 슬리타즈: 댐 스몰 리눅스와 공통되는 목적을 많이 공유하지만, 보다 최신의 Linux 2.6 커널을 기반으로 하며, 더 작다.
- 타이니 슬리타즈: 슬리타즈의 파생으로, uClibc를 사용하며, 플로피 디스크에서 부팅이 가능하다.
- 솔루스: 큐레이티드 롤링 릴리스를 특징으로 하는 OS.
- 안드로이드: 구글이 개발 운영하고 있는 상용 OS.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 셋톱 박스 등 다수의 기기에서 이용되고 있다.
- CBL-마리너: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 운영하고 있는 자유-오픈 소스 OS.
6. 설치 없는 배포판 (라이브 CD/USB)
라이브 배포판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 시동하지 않고 광 디스크나 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이동식 기억 매체로부터 부팅할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이다.
"라이브" 배포판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하고 부팅하는 대신 광 디스크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이동식 저장 매체에서 부팅할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설치가 필요 없는 배포판은 데모, 다른 사람의 컴퓨터 사용, 복구 작업 또는 표준 배포판의 설치 미디어와 같은 응용 분야에 유리하다.
운영 체제가 CD 또는 DVD와 같은 읽기 전용 매체에서 부팅될 때, 세션 간에 보존해야 하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는 부팅 장치에 저장될 수 없으며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저장 장치에 기록되어야 한다.[36]
많은 리눅스 배포판은 설치용으로만 사용하도록 설계된 네트워크 기반 또는 이동식 미디어 이미지인 일반적인 형태 외에도 "라이브" 형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포판에는 SUSE, 우분투, 리눅스 민트, MEPIS 및 페도라 리눅스가 있다. Knoppix, 퍼피 리눅스, Devil-Linux, SuperGamer, SliTaz GNU/Linux 및 dyne:bolic을 포함한 일부 배포판은 주로 라이브 사용을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일부 최소 배포판은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용을 변경할 필요 없이 플로피 디스크 하나 정도의 작은 공간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37]
7. 대한민국의 리눅스 배포판
한국에서는 여러 리눅스 배포판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 배포판 이름 | 개발 주체 | 특징 및 현황 |
|---|---|---|
| 알짜 리눅스 | (불명) | 2000년에 개발 및 지원 중단 |
| 미지 리눅스 | (불명) | 2001년에 개발 중단 |
| 다이나 리눅스 | 다이나 시스템 | 자사 사이트에 무상 배포, 자사 데스크톱 컴퓨터에 탑재 |
| 마루 | (불명) | (정보 부족) |
| 한소프트 리눅스 | (불명) | (정보 부족) |
| 안녕 리눅스 | (불명) | (정보 부족) |
| 지눅스 | SK C&C | SK C&C 제작 및 지원 |
| 넘버원리눅스OS | (불명) | (정보 부족) |
| 코분투 | (불명) | 2012년 개발 중단 |
| SU리눅스 | (불명) | (정보 부족) |
| Allix 리눅스 | (불명) | (정보 부족) |
| 와우 리눅스 | (불명) | 2016년 개발 중단 |
| 아시아눅스 | 훙치 리눅스, 미라클 리눅스, 한글과컴퓨터 | (정보 부족) |
| 하모니카(HamoniKR) | 대한민국 정부 | 리눅스 민트 기반, 공식 홈페이지 |
| 구름 플랫폼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데비안 기반 개방형 OS |
| 한컴 구름 | 한글과컴퓨터 | 데비안 기반 배포판 |
| 티맥스OS | 티맥스A&C | 독립 기반 배포판 |
| 티맥스구름 | 티맥스A&C | 데비안 기반 배포판 |
8. 기타 배포판
리눅스 배포판은 기술, 조직, 철학적 차이로 인해 매우 다양하다.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덕분에 사용자는 기존 배포판을 수정하거나 필요에 맞게 새로 만들 수 있다. DistroWatch는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 목록과 인기 순위를 제공한다. 위키미디어 재단도 2015년까지 웹사이트 방문자의 브라우저 정보를 분석하여 인기 운영 체제와 일부 리눅스 배포판 정보를 공개했다.[38]
8. 1. 특정 목적의 배포판
- 컴퓨터 보안, 디지털 포렌식, 침투 테스트에 특화된 배포판으로는 칼리 리눅스와 Parrot Security OS가 있다.
- 개인 정보 보호 및 익명성에 특화된 배포판으로는 Tails와 Whonix가 있다.
- 교육용 배포판으로는 Edubuntu가 있다.
- 음악 제작을 위한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에 특화된 배포판으로는 Ubuntu Studio가 있다.
8. 2. 경량 배포판
경량 배포판은 오래된 하드웨어나 저사양 시스템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된 배포판이다. 이러한 배포판은 구형 하드웨어를 여전히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거나, 최신 하드웨어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더 많은 리소스를 활용하여 최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1]대표적인 경량 배포판으로는 다음이 있다.
- 타이니 코어 리눅스
- 퍼피 리눅스
- 슬리태즈[1]
참조
[1]
웹사이트
Explaining Why We Don't Endorse Other Systems
https://www.gnu.org/[...]
2014-06-30
[2]
웹사이트
Linux Operating Systems: Distributions
https://web.archive.[...]
2014-11-27
[3]
웹사이트
HTG Explains: How Software Installation & Package Managers Work On Linux
http://www.howtogeek[...]
2012-06-27
[4]
웹사이트
The status of CentOS mirrors
http://mirror-status[...]
2015-01-15
[5]
웹사이트
How to install Ubuntu Touch on your Android phone or tablet
http://www.pcadvisor[...]
2015-10-29
[6]
웹사이트
Install Linux on your x86 tablet: five distros to choose from
http://www.techradar[...]
2015-10-29
[7]
웹사이트
The Top 7 Best Linux Distributions for You
https://web.archive.[...]
2010-02-03
[8]
웹사이트
Mobile Linux Distros Keep on Morphing
https://web.archive.[...]
2014-11-04
[9]
웹사이트
Debian and Other Distros
https://wiki.debian.[...]
2013-12-07
[10]
웹사이트
Linux Distributions Timeline
https://github.com/F[...]
FabioLolix
2020-12-23
[11]
논문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early history of Linux, Part 2, Re: distribution
http://oldlinux.org/[...]
2001-04-01
[12]
웹사이트
linux-0.11 available
https://www.kclug.or[...]
[13]
웹사이트
RELNOTES-0.95a
http://kernel.org/pu[...]
[14]
웹사이트
kernel/git/nico/archive.git - Archive of old Linux versions since v0.01
https://git.kernel.o[...]
[1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Linux Distributions [LWN.net]
https://lwn.net/Arti[...]
2018-09-30
[16]
웹사이트
interim release
https://www.tech-ins[...]
[17]
웹사이트
SLS: Free Linux Distribution
https://www.tech-ins[...]
[18]
웹사이트
Anyone wants a bootable rootdisk?
https://www.kclug.or[...]
[19]
웹사이트
bootable root disks are on tsx-11
https://www.kclug.or[...]
[20]
웹사이트
Anyone interested in Linux Base System
https://www.kclug.or[...]
[21]
웹사이트
ANNOUNCE: The Linux Base System
https://www.kclug.or[...]
[22]
웹사이트
The Slackware Linux Project: Slackware Release Announcement
http://www.slackware[...]
Slackware.com
1993-07-16
[23]
웹사이트
debian-0.91-ChangeLog
https://www.ibiblio.[...]
[2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Debian - Debian Releases
https://www.debian.o[...]
2013-05-04
[25]
웹사이트
Usage statistics and market share of Unix for websites
https://w3techs.com/[...]
2024-10-26
[26]
웹사이트
Browser & Platform Market Share September 2024
https://www.w3counte[...]
2024-10-26
[27]
웹사이트
half-rolling development model
https://web.archive.[...]
chakra-project-org
2019-05-18
[28]
웹사이트
The Chakra Project Wiki: FAQs
https://web.archive.[...]
chakra-project-org
[29]
웹사이트
Fedora Release Life-cycle Proposals
https://fedoraprojec[...]
fedoraproject.org
2019-05-18
[30]
웹사이트
Fedora Development Mailing List
https://web.archive.[...]
fedoraproject.org
2010-03-05
[31]
웹사이트
Linux Certification – Preparation
http://www.walkingwi[...]
walkingwithzen.com
2019-05-18
[32]
웹사이트
Why openSUSE
http://en.opensuse.o[...]
opensuse.org
2019-05-18
[33]
웹사이트
Linux Distribution Basics: Rolling Releases vs. Standard Releases
https://www.howtogee[...]
2014-07-14
[34]
웹사이트
Point-release vs rolling-release: developer, user and security considerations
https://web.archive.[...]
techrepublic.com
2010-08-02
[35]
웹사이트
The pros and cons of a rolling release
http://kmandla.wordp[...]
kmandla.wordpress.com
2007-03-09
[36]
웹사이트
Debating overlayfs
https://lwn.net/Arti[...]
LWN.net
2011-06-15
[37]
웹사이트
PiTuX – a micro serial terminal distro
http://www.asashi.ne[...]
[38]
웹사이트
Wikimedia Traffic Analysis Report - Operating Systems
https://stats.wikime[...]
[39]
웹사이트
Ask AC: Is Android Linux?
http://www.androidce[...]
Android Central
[40]
웹사이트
Google: "Android is the Linux desktop dream come true" - Suchmaschinen - derStandard.at " Web
http://derstandard.a[...]
Derstandard.at
[41]
웹사이트
Dream(sheep++): A developer's introduction to Google Android
https://arstechnica.[...]
2009-02-24
[42]
서적
Introducing Linux Distros
Apress
2016
[43]
웹사이트
2.4. Installation Media
https://www.debian.o[...]
[44]
웹사이트
Network install from a minimal CD
http://www.debian.or[...]
Debian
[45]
웹사이트
WindowsDualBoot
https://help.ubuntu.[...]
2015-06-29
[46]
웹사이트
How I stopped distro hopping
http://www.linuxtoda[...]
[47]
웹사이트
Thoughts on Linux distro-hopping
https://www.theregis[...]
[48]
웹사이트
Debian - Details of package win32-loader in Lenny
http://packages.debi[...]
Packages.debian.org
[49]
웹사이트
Steam for Linux tops 1,500 games as launch of Valve's Steam Machines nears
http://www.pcworld.c[...]
2015-09-21
[50]
웹사이트
Steam's living room hardware blitz gets off to a muddy start
https://arstechnica.[...]
2015-10-15
[51]
웹사이트
Affordy - TITAN Computers
http://shop.affordy.[...]
Shop.affordy.com
[52]
웹사이트
Laptops/Notebooks with Linux Preinstalled
http://mcelrath.org/[...]
McElrath.org
2010-06-10
[53]
웹사이트
Microsoft Software License Terms: Windows 7 Professional
http://download.micr[...]
[54]
웹사이트
Getting a Windows Refund in California Small Claims Court
http://www.linuxjour[...]
Linuxjournal.com
[55]
웹사이트
Windows Refund Day
http://marc.merlins.[...]
Marc.merlins.org
1999-02-15
[56]
웹사이트
Detaxe.org
http://www.detaxe.or[...]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 petition | AFUL
https://no.more.rack[...]
2014-04-29
[58]
웹사이트
Counter-Debunking the 1% myth
http://dasublogbypra[...]
dasublogbyprashanth.blogspot.com
2010-09-10
[59]
웹사이트
Linux Users: How Many People Use Linux in 2024?
https://earthweb.com[...]
2023-08-10
[60]
웹사이트
Debunking the 1% myth
http://broadcast.ore[...]
oreilly.com
2010-09-07
[61]
웹사이트
The Linuxcounter project is closed!
https://www.linuxcou[...]
[62]
웹사이트
Linux Hardware Trends
https://linux-hardwa[...]
[63]
웹사이트
Ubuntu
http://www.ubuntulin[...]
[64]
웹사이트
AudioPhile Linux | Quality audio on Linux
https://www.ap-linux[...]
[65]
웹사이트
www.astralinux.ru
[66]
웹사이트
Elementary OS
https://elementary.i[...]
[67]
웹사이트
ChaletOS - Google Sites
https://sites.google[...]
[68]
웹사이트
ChaletOS - DistroWatch.com
https://distrowatch.[...]
[69]
웹사이트
ChaletOS download | SourceForge.net
https://sourceforge.[...]
[70]
웹사이트
Live Voyager
https://voyagerlive.[...]
[71]
웹사이트
DistroWatch.com: Voyager Live
https://distrowatch.[...]
[72]
웹사이트
Voyager 日本語情報トップページ - OSDN
https://ja.osdn.net/[...]
[73]
웹사이트
The Register: Google at work on desktop Linux
http://www.theregist[...]
2006-04-25
[74]
웹사이트
Slashdot: Google working on Desktop Linux
http://slashdot.org/[...]
2006-04-25
[75]
웹사이트
「CentOS Linux」終了へ 開発者の動揺と救済の動き
https://cloud.watch.[...]
2024-09-22
[76]
웹사이트
日本語サポートパッケージ - sakurapup.browserloadofcoolness.com
http://sakurapup.bro[...]
[77]
웹사이트
日本語化ファイル入手先
http://shinobar.serv[...]
[78]
웹사이트
Yara OSX - Home
https://yara-osx.wee[...]
[79]
웹사이트
Puppy Linux Discussion Forum :: View topic - Yara OSX 3
http://www.murga-lin[...]
[80]
뉴스
A New Open Source Model?
https://distrowatch.[...]
DistroWatch
2010-12-11
[81]
웹사이트
GNU/Linux Distribution Timeline
http://futurist.se/g[...]
Futurist.se
2014-03-25
[82]
저널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early history of Linux, Part 2, Re: distribution
http://oldlinux.org/[...]
2013-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