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러박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러박스는 텔레비전 화면에서 영상의 좌우에 검은색 막대나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4:3 화면비율의 영상을 16:9 와이드 화면으로 방송할 때 사용되며, 방송사들은 HD 로고나 그래픽을 활용하여 스타일리시 필러박싱을 구현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방송 전환 과정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HD 방송의 일반화로 인해 지상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케이블 채널에서는 SD 콘텐츠를 HD로 업스케일링하여 송출할 때 필러박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필러박스 | |
|---|---|
| 개요 | |
![]() | |
| 정의 | |
| 필러박스 | 더 넓은 화면에 맞도록 세로로 늘리지 않고 표준 가로 세로 비율의 영상을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 화면의 측면에 추가되는 검은색 막대 |
| 용도 |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4:3 화면비의 콘텐츠를 표시할 때 주로 사용 |
| 관련 기술 | 레터박스 윈도우박스 |
| 기술적 배경 | |
| 화면 비율 불일치 | 필러박스는 영상 콘텐츠의 원래 화면 비율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이 다를 때 발생 특히 4:3 비율의 콘텐츠를 16:9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볼 때 흔히 나타남 |
| 목적 |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고 원본 콘텐츠의 의도된 화면 비율을 유지 시청 경험을 보존하고, 영상이 부자연스럽게 보이거나 중요한 정보가 잘리는 것을 방지 |
| 방송에서의 사용 | |
| SD 방송 | SD 방송에서 4:3 비율의 영상을 16:9 화면에 표시할 때 필러박스가 사용됨 시청자는 TV 설정을 통해 필러박스를 제거하고 영상을 가로로 늘려 화면 전체에 맞출 수 있지만, 영상이 왜곡될 수 있음 |
| HD 방송 | HD 방송에서는 4:3 콘텐츠를 위해 필러박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여전히 필요할 수 있음 14:9 비율 콘텐츠의 경우, 측면에 좁은 필러박스가 추가될 수 있음 |
| 스마트폰 | 스마트폰에서 가로 모드로 영상을 시청할 때 화면 비율에 따라 필러박스가 나타날 수 있음 특히 오래된 4:3 비율의 영상이나 광고를 시청할 때 발생 |
| 디지털 사이니지 | |
| 디지털 사이니지 |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서 필러박스는 흔히 사용됨 광고 제작자는 4:3 비율의 콘텐츠를 16:9 화면에 맞추기 위해 필러박스를 활용 광고주가 필러박스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도 있음 |
| 추가 정보 | |
| 주의사항 | 필러박스는 때때로 시청 경험을 저해할 수 있지만, 원본 콘텐츠의 화면 비율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화면 비율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면서 필러박스의 필요성은 점차 감소하고 있음 |
2. 명칭의 유래
영상 좌우에 나타나는 세로 막대 모양이 배전탑·배전함과 비슷하여 필러박스라는 명칭이 붙었다. 일각에서는 기둥 모양의 우체통(Pillar box)과 유사하다는 설도 있지만, 이는 레터 박스나 윈도우 박스(액자 방송)처럼 기존의 "○○ 박스" 형식을 따른 것이 아니다. 필러박스는 "필러 (Pillar) 형태가 표시되는 화면"이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이다.[1]
4:3 표준 화면 비율의 영상을 16:9 와이드 화면 비율로 방송할 때, 영상 좌우에 검은색 막대를 추가하거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일부 고화질 방송사에서는 좌우 여백에 자체 HD 로고나 기타 정지 또는 동적 그래픽을 채우는 "스타일리시 필러박싱"을 사용하기도 한다.[1] 이는 시청자가 HD 채널임을 알 수 있게 하고, 와이드스크린 TV에서 화면 자동 맞춤 기능으로 인해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한다.[1] 일부 지역 방송국에서도 맞춤형 필러박스를 사용했으나, HD 방송이 보편화되고 PSIP 데이터 오류에 대한 시청자 불만이 증가하면서 대부분 사라졌다.[1]
4:3 표준 화면을 16:9 와이드 화면으로 방송할 때 좌우를 검은색으로 하거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1]
[1]
웹사이트
Sunrise (1927)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ww.imdb.com[...]
3.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필러박스

일부 TV 프로그램에서는 흐릿하게 처리된 영상 가장자리의 "에코"를 사이드바에 표시하기도 한다.[1] 미국의 지역 방송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자 뉴스 수집 패키지에 그래픽이나 간단한 색상 이미지 그라데이션을 사용하여 지역 뉴스 프로그램에서 보여준다.[1] 과거 CNBC HD+와 같이 주식 시세, 차트, 그래프 등 추가적인 정보를 측면에 표시하는 "향상된 HD" 형식을 사용하기도 했다.[1]
일부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는 방영 중 SD에서 HD로 전환되면서, SD 제작 장면을 회상해야 할 때 필러박스 형태로 영상을 송출하기도 했다. (예: 나루토)[1]
4. 한국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필러박스
참조
[2]
웹사이트
2 搬入する素材について
https://j-ba.or.jp/f[...]
日本民間放送連盟
2021-11-20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