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고는 기업, 제품, 브랜드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상징으로, 어원은 그리스어 '로고튀포스'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문명의 인장, 동전 등에서 시작되어 산업 혁명과 모더니즘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고 디자인은 픽토그램, 로고타입, 표상 기호 등을 결합하여 제작되며, 색상은 브랜드 차별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동적 로고와 같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디자인은 상표 및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스포츠 팀의 로고는 팀의 역사와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고 - 불끈 쥔 주먹
    불끈 쥔 주먹은 노동 운동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정치·사회 운동에서 저항, 연대, 투쟁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온 강력한 이미지이다.
  • 로고 - 로고라마
    로고라마는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상업 브랜드 로고로 뒤덮인 세상을 묘사하며, 도시 붕괴를 통해 로고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단편 영화이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로고

2. 어원

더글러스 하퍼의 온라인 어원 사전에 따르면, 1937년에 사용된 '로고'라는 용어는 "아마도 로고그램의 축약형일 것"이라고 한다.[4] 그리스어 로고튀포스(λογότυποςel)에서 유래했으며, 로고는 단어, 튀포스는 활자를 의미하여, 원래는 한 단어를 위한 연자 활자를 의미했다.

3. 역사

기원전 6세기 초 리디아에서 사자 머리와 태양 광선을 새긴 동전


상표 등록된 최초의 로고는 1876년의 배스 빨간색 삼각형이다.


로고의 역사에는 원통형 인장 (기원전 2300년경), 동전 (기원전 600년경),[5][6] 문장[7] 등 다양한 발명품과 기술이 기여했다.

산업 혁명 시기(18~19세기)에 사진술과 석판술의 발전은 타이포그래피와 이미지를 통합한 광고 산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동시에, 타이포그래피 자체도 책에 사용되던 소박한 세리프체에서 벗어나 대형 포스터에 사용되는 굵고 장식적인 서체로 발전하면서 형태와 표현의 혁명을 겪었다.

19세기 말 미술 공예 운동은 빅토리아 시대의 과도한 장식에 대한 반발로, 대량 생산된 상품에 장인 정신과 품질을 되살리고자 했다. 이는 예술가와 회사에게 독창적인 로고와 마크를 제작하도록 이끌었다.

1950년대 모더니즘은 유럽의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에서 벗어나 미국 등지에서 상업화된 국제적인 운동이 되었다. 시각적 단순성과 개념적 명확성을 강조한 모더니즘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강력한 도구를 제공했으며, 그들의 로고는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의 "Less is more"라는 격언을 구현했다. 모더니즘 로고는 텔레비전, 인쇄 및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대량 시각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성공을 거두었다.

4. 현대 로고

현대 로고는 기업, 제품, 브랜드, 서비스, 기관 등을 대표하며, 기호(아이콘)나 엠블럼(상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된다. 효과적인 로고는 이름(로고타입)과 시각적 요소(이데올로기)를 결합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구현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현대 로고 디자인은 1870년대 최초의 추상 로고인 배스(Bass)사의 빨간색 삼각 로고가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국제화 시대에 로고는 언어와 문화를 초월하여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적십자 및 적신월 엠블럼은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로고이며, 국제 적십자 위원회를 포함하여 각국 적십자 및 적신월 사회와 그 연맹에서 로고에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다.[8]

적십자 및 적신월 엠블럼


브랜드는 언어 간 마케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 로고는 표준 색상과 "리본 물결" 디자인으로 인해 다른 알파벳으로 쓰인 이름을 식별할 수 있다. 코카콜라 로고는 디자인될 당시 인기 있는 필기체 스타일이었던 스펜서체로 쓰였다.

코카콜라 로고는 다른 문자로도 식별 가능하며, 여기서는 키릴 문자로 작성되었다.


그리스어의 로고튀포스 (λογότυποςel)에서 유래했으며, 로고 = 단어, 타입 = 활자로, 원래는 1단어를 위한 연자 활자를 의미했다. 로고타입과 마크를 함께 도안화한 것은 '''로고마크'''라고 불린다.

로고는 상표로 등록함으로써 상표적(자타 상품·역무의 식별 표지로서) 무단 사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4. 1. 로고 디자인의 중요성

로고는 조직을 나타내는 시각적 실체이므로, 로고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의 중요한 분야이다.[10] 로고는 조직의 모든 커뮤니케이션으로 기능적으로 확장되어야 하는 복잡한 식별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로고 디자인과 시각적 아이덴티티 시스템에의 통합은 그래픽 디자인에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 손꼽힌다. 로고는 회사의 브랜드나 기업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 즉각적인 고객 인식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므로, 로고를 자주 재설계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다.[10]

로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표상 기호: 체이스 은행처럼 완전히 추상적인 형태를 띤다.
  • 픽토그램: 상징적이고 표현적인 디자인을 활용한다.
  • 로고 타입(워드마크): 이름이나 회사 이니셜을 묘사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로고 락업에서 정해진 위치와 상대적 크기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이 함께 "고정"되어 개별적으로 분리하거나 크기를 조정할 수 없도록 디자인된다.[10]

5. 로고 디자인

로고는 조직을 나타내는 시각적 실체이자, 그래픽 디자인의 중요한 분야이다. 로고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0]


  • 표상 기호: 체이스 은행처럼 완전히 추상적인 형태이다.
  • 픽토그램: 상징적이고 표현적인 디자인이다.
  • 로고 타입 (워드마크): 회사 이름이나 이니셜을 묘사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로고 락업에서 정해진 위치와 크기로 결합될 수 있다. 로고는 회사의 브랜드나 기업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 즉각적인 고객 인식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주 재설계하는 것은 좋지 않다.

로고 디자인은 1950년대 미국에서 모더니즘 운동이 부상하면서 전문직으로 발전했다.[10] 로고 및 기업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선구자로는 세 명의 디자이너가 꼽힌다.[10]

  • 체르마예프 앤 게이즈마(Chermayeff & Geismar): 체이스 은행, 모빌 오일, 공영 방송 서비스(PBS), NBC,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다수의 상징적인 로고를 제작했다.
  • 폴 랜드(Paul Rand): 그래픽 디자인의 스위스 스타일 창시자 중 한 명으로, IBM, 유나이티드 파슬 서비스(UPS), 아메리칸 방송 회사(ABC) 등의 로고를 디자인했다.
  • 소울 바스(Saul Bass): 벨 전화 로고(1969)와 AT&T 지구본(1983), 컨티넨탈 항공(1968), 유나이티드 웨이(1972) 등의 로고를 제작했다.


좋은 로고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팀과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의 협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로고 디자인 과정은 일반적으로 조사, 개념화, 대체 후보 검토, 선택된 디자인 개선, 제품 전반에 걸친 테스트, 최종 마크 채택 및 제작 단계를 거친다.

그리스어의 로고튀포스(λογότυποςel)에서 유래했으며, 로고는 단어, 타입은 활자를 의미한다. 원래는 1단어를 위한 연자 활자를 의미했다. 로고타입과 마크를 함께 도안화한 것은 '''로고마크'''라고 불리며, 이는 logo와 mark를 조합한 일본식 영어로 여겨진다.[16]

기업 등의 조직은 기업 아이덴티티(CI)의 일환으로 로고타입을 사용하기도 한다. 로고 주변의 여백은 아이솔레이션 영역이라고 한다.[19] 로고는 상표로 등록하여 무단 사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5. 1. 로고 색상

색상은 로고 디자인의 핵심 요소이며 브랜드 차별화에 중요하고 잠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색상은 사람들의 기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람들의 관점, 감정 및 반응을 심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지배적이다.[12] 이러한 맥락에서 색상의 중요성은 인간의 시각적 인지 메커니즘 때문인데, 여기서 색상과 대비는 시각적 세부 사항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사람들은 사회적, 문화적 조건화를 통해 다양한 색상 연상과 색상 연관성을 얻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로고 색상을 해독하고 평가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색상이 브랜드 인지도와 로고 디자인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반면, 로고 기능과 충돌해서는 안 되며, 색상 연상과 연관성이 모든 사회적 및 문화적 그룹에서 일관되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빨간색, 흰색, 파란색이 종종 애국심을 표현하려는 회사의 로고에 사용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국가적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는 다른 색상 조합을 갖게 된다.

조직의 로고 색상을 선택하는 것은 장기적인 영향과 경쟁사 로고 간의 차별화를 창출하는 역할 때문에 중요한 결정이다. 산업 부문 내에서 잠재적인 로고 색상을 식별하는 방법은 색상 매핑인데, 기존 로고 색상을 체계적으로 식별, 매핑 및 평가하는 것이다.[13]

5. 2. 동적 로고

동적 로고는 상황에 따라 형태나 색상 등이 변화하는 로고를 의미한다. 1898년,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 미슐랭은 다양한 상황에 맞춰 표현되는 만화 캐릭터인 미슐랭 맨을 소개했는데,[14] 이는 동적 로고의 초기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21세기 초가 되면서, MTV, 니켈로디언, 구글, 모튼 솔트, 삭스 피프스 에비뉴와 같은 대기업들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로고를 채택했다.[14]

5. 3. 인터넷 환경과 로고

인터넷 시대에 로고는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짧은 로고타입의 경우, 여러 회사가 동일한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인터넷 도메인 이름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A" 로고는 프랑스 은행 크레디 아그리콜, 네덜란드 의류 소매업체 C&A,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 CA 테크놀로지스에서 사용하지만, CA.com이라는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가질 수 있는 회사는 하나뿐이다.[8]

오늘날 로고는 대형 모니터에서 소형 휴대 기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조절되고 재구성되어야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환경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로고 디자이너들은 굵고 단순한 접근 방식을 선호하며, 굵은 선과 모양, 단색을 사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른 로고와 섞이거나 다양한 매체 간에 크기를 조절할 때 혼란을 줄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 구글+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사용되는 로고는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다.

6. 디자인 보호

로고와 디자인은 전 세계의 다양한 지적 재산권 기구를 통해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으며, 법적으로 보호를 받기 위해 디자인을 등록하는 신청 절차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영국 지적 재산청이 등록된 디자인, 특허, 상표를 관리한다.[15] 일반적으로 상표 등록은 사용된 색상에 대해 '청구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색상이나 배경으로 재현되더라도 시각적 디자인이 보호된다는 의미이다.

일부 국가, 특히 민법 국가에서는 저작권 보호에 필요한 창작성 기준이 매우 높을 수 있으므로, 단순한 기하학적 도형이나 텍스트가 포함된 로고는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없지만 상표로 보호받을 수 있다.

로고는 상표로 등록함으로써 상표(자타 상품·역무의 식별 표지)로서 무단 사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문자를 장식한 정도의 디자인이라면 저작권으로 보호 대상 외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저작권으로 보호받고 있다는 오해가 자주 보인다.[20][21]

7. 스포츠와 로고

많은 스포츠 팀에게 로고 또는 "크레스트"는 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방법이며, 상대 팀에게 위협감을 줄 수도 있다.

특정 팀의 경우, 로고와 색상은 팀의 정체성과 동일하게 여겨진다. 예를 들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뉴욕 양키스는 해당 스포츠 팬이라면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로고를 가지고 있다.

참조

[1] 사전 log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Basic Copyfitting Studio Vista
[3] 서적 Designing Brand Identity John Wiley & Sons, Inc.
[4] 웹사이트 logo https://www.etymonli[...] 2022-12-13
[5] 서적 Histories
[6] 서적 Golden Sardis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Monumental Effigies of Great Britain Penguin
[8] 웹사이트 TICoRD'13: Global Product Development https://www.springer[...] Springers 2016-11-26
[9] 웹사이트 The Coca-Cola logo story https://web.archive.[...] The Coca-Cola Company 2016-01-28
[10]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logotype, logomark, and logo lockup? https://designtlc.co[...] Design TLC 2020-08-01
[11] 문서 Les Marques Francaises 1824–1974
[12] 학술지 What Color is Your Anger? Assessing Color-Emotion Pairings in English Speakers
[13] 학술지 Logo Colour and Differentiation: A New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Colour Mapping
[14] 뉴스 The new corporate logo: Dynamic and changeable are all the rage http://www.iht.com/b[...] 2007-02-11
[15]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United Kingdom) http://www.ipo.gov.u[...] UK Patent Office
[16] 웹사이트 ロゴマーク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 웹사이트 Logo Guidelines (Idaho Power) & VISUAL IDENTITY GUIDELINES (Georgetown University) http://www.idahopowe[...] 2015-04-02
[18] 문서 소니와 소니 뮤직, 동경급행전철과 동경백화점 등의 예시
[19] 웹사이트 「おとう飯ロゴ使用マニュアル」内閣府男女共同参画局 https://www.gender.g[...] 2021-09-02
[20] 웹사이트 裁判所 | 裁判例情報:検索結果詳細画面 https://www.courts.g[...]
[21] 웹사이트 商標権取得による効果及び商標制度の活用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jpo.go.j[...] 特許庁 2019-03
[22] 웹인용 logo: definition of logo in Oxford dictionary (British & World English)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Logo http://www.encyber.c[...]
[24] 웹사이트 로고타이프 http://www.encyber.c[...]
[25]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 Wiley & Sons, Inc.
[26] 웹인용 7가지 로고 종류: 어떤 로고를 선택해야 하는가 https://www.logaster[...] 2020-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