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리 키르베스니에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리 키르베스니에미는 핀란드의 은퇴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1980년부터 1998년까지 6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6개의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198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내 마르야-리사 키르베스니에미와 함께 동반 우승을 달성했다.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지 약물 복용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고, 이후 위증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은퇴 후에는 스키 용품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는 1980년대 전성기를 누린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올림픽 3관왕, 월드컵 2회 우승, 세계 선수권 금메달, 홀멘콜렌 메달 수상 등의 업적을 달성하고 은퇴 후 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했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군데 스반
군데 스반은 1980년대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6개의 올림픽 메달과 5회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한 스웨덴의 은퇴한 스키 선수이자 랠리크로스 선수로, 은퇴 후에는 랠리크로스 선수, 방송 진행자, 국가대표팀 감독 등으로 활동했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는 1980년대 전성기를 누린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올림픽 3관왕, 월드컵 2회 우승, 세계 선수권 금메달, 홀멘콜렌 메달 수상 등의 업적을 달성하고 은퇴 후 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했다. - 미켈리 출신 - 사리 에사야
사리 에사야는 핀란드 육상 경보 선수 출신으로, 세계 선수권 및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한 후 기독교 민주당 소속으로 핀란드 및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하고 현재 기독교 민주당 대표이며, 2023년 농림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했다. - 미켈리 출신 - 유시 얘스켈래이넨
유시 얘스켈래이넨은 핀란드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동하며 VPS 바사에서 프로 데뷔 후 볼턴 원더러스 등 여러 클럽과 핀란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고, 렉섬 AFC에서 골키퍼 코치로 지도자 경력도 쌓았다.
하리 키르베스니에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하리 타파니 키르베스니에미 |
국적 | 핀란드 |
출생일 | 1958년 5월 10일 |
출생지 | 미켈리, 핀란드 |
배우자 | 마르야-리사 하말라이넨(1984년 결혼, 2011년 이혼) |
신장 | 183cm |
클럽 | 미켈린 히흐태얘트 |
경력 | |
시즌 | 1982–2001 |
우승 | 6회 |
포디움 | 16회 |
팀 우승 | 7회 |
팀 포디움 | 23회 |
개인 시작 | 127회 |
팀 시작 | 37회 |
월드컵 종합 | 0회 (3위: 1982년, 1984년) |
월드컵 타이틀 | 0회 |
올림픽 메달 (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 |
올림픽 | 동메달 6개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 |
총합 |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0개 |
올림픽 메달 상세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동메달, 4 × 10 km 계주 |
1984 사라예보 | 동메달, 15 km |
1984 사라예보 | 동메달, 4 × 10 km 계주 |
1992 알베르빌 | 동메달, 4 × 10 km 계주 |
1994 릴레함메르 | 동메달, 4 × 10 km 계주 |
1998 나가노 | 동메달, 4 × 10 km 계주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상세 | |
1989 라흐티 | 금메달, 15 km 클래식 |
1989 라흐티 | 은메달, 4 × 10 km 계주 |
1995 선더베이 | 은메달, 4 × 10 km 계주 |
1997 트론헤임 | 은메달, 4 × 10 km 계주 |
1982 오슬로 | 동메달, 15 km |
1982 오슬로 | 동메달, 4 × 10 km 계주 |
1985 제펠트 | 동메달, 30 km |
1991 발 디 피엠메 | 동메달, 4 × 10 km 계주 |
2001 라흐티 | 실격, 4 × 10 km 계주 |
2. 경력
키르베스니에미는 선수 시절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1989년 15km), 은메달 3개(1989년, 1995년, 1997년 4 × 10km 계주), 동메달 4개(1982년 15km, 1985년 30km, 1982년, 1991년 4 × 10km 계주)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4 × 10km 계주는 동독과 공동 수상했다.
2. 1. 선수 경력
키르베스니에미는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15km에서 8위, 30km에서 18위를 기록했고,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5km와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50km는 9위를 기록했다. 1982년 3월 19일, 스트르프스케 플레소의 15km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 첫 승리를 거두었다.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서는 15km 클래식과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50km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올림픽 후, 이 대회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한 마르야-리사 해맬래이넨과 결혼했다.
198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0km에서 동메달, 계주 4위, 15km 6위, 50km 7위를 기록했다. 198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0km 4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는 15km와 계주에서 8위를 기록했다.
자국에서 개최된 1989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5k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아내 마르야-리사와 함께 동반 우승을 달성했다. 계주에서는 은메달, 30km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199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라흐티에서 열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40세로 출전했지만,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히드록시에틸 전분(HES) 양성 반응을 보였다.[1] 핀란드 대표팀은 계주에서 처음으로 골인 테이프를 끊었지만 메달이 박탈되었다. 카리-페카 카이로 남자 팀 감독은 기자 회견에서 조직적인 도핑을 인정했고, 팀 닥터 2명과 여자 팀 감독도 관여했으며, 자국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얻기 위해 잘못된 방법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키르베스니에미도 도핑 사실을 인정했다.[1] 결국 4명의 남자 선수 (얀네 이모넨, 야리 이소메사, 하리 키르베스니에미, 미카 뮬레) 및 2명의 여자 선수 (미라 야우호, 빌피 쿠이투넨)는 2년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키르베스니에미는 그대로 은퇴했다.[1]
1998년에는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으며, 1989년에 수상한 아내와 함께 부부가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 2. 은퇴 후 경력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지 약물 복용으로 은퇴한 후, 요코 스키의 공장 관리자 겸 이사회 임원으로 근무했으며, 현재 스키 용품 제조 회사인 KSF 스포츠를 운영하고 있다.[1] 2013년에는 1990년대 도핑 사용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증언하여 위증 혐의로 헬싱키 지방 법원에서 6개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 현재는 핀란드의 스포츠 용품 브랜드 카르후 스키(Karhu Ski)의 이사 및 공장장 직을 맡고 있다.3. 도핑 스캔들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기간에 그는 금지된 혈관 확장기 헤모헤스를 동료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5명과 함께 사용하여 양성 반응을 보였다.[1] 이로 인해 계주 종목 금메달을 획득한 핀란드팀이 실격 처리되었다. 이 스캔들 이후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1]
200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 40세로 출전했지만,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히드록시에틸 전분(HES) 양성 반응을 보였다. 계주에서는 처음으로 골인 테이프를 끊었지만 그 메달은 박탈되었다. 카리-페카 카이로 남자 팀 감독은 기자 회견에서 조직적인 도핑을 인정했고, 팀 닥터 2명과 여자 팀 감독도 관여하고 있으며, 자국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얻기 위해 잘못된 방법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키르베스니에미도 사용을 인정했다. 결국 4명의 남자 선수 (얀네 이모넨, 야리 이소메사, 하리 키르베스니에미, 미카 뮬레) 및 2명의 여자 선수 (미라 야우호, 빌피 쿠이투넨)가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키르베스니에미는 그대로 은퇴했다.
2013년, 그는 2011년 법정에서 1990년대의 도핑 사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고 증언하여 위증을 범한 혐의로 헬싱키 지방 법원에서 6개월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
4. 개인사
1984년에 동료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인 마리아리사 해맬래이넨과 결혼했다. 슬하에 1985년에 태어난 장녀 엘리사와 1990년에 태어난 차녀 아니타를 두었다. 2011년에 이혼했으며, 2015년에 아니타 누르미스토페랜과 재혼했다.
1998년에는 홀멘콜렌 메달을 획득했는데, 1989년에 이 메달을 수상한 마르야-리사 키르베스니에미와 함께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한 세 번째 부부가 되었다.
2001년 라흐티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5명과 함께 금지된 혈액 증량제인 헤모헤스 사용에 양성 반응을 보여 핀란드 계주팀은 금메달을 박탈당했다. 이 사건 이후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 2013년, 헬싱키 지방 법원에서 1990년대의 도핑 사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고 증언하여 위증을 범한 혐의로 6개월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
현재 키르베스니에미는 요코 스키의 공장 관리자 겸 이사로 일하고 있으며, 카르후 스키의 이사 및 공장장 직도 맡고 있다.
5. 주요 대회 성적
하리 키르베스니에미는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1989년 대회 15k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89년, 1995년, 1997년 대회 4 × 10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1982년 대회 15km, 1985년 대회 30km, 1982년과 1991년 대회 4 × 10k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특히 1982년 4 × 10km 계주에서는 동독과 공동으로 동메달을 수상했다.[1]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서 15km 8위, 30km 18위를 기록했고, 1982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15km와 계주에서 동메달, 50km는 9위를 기록했다. 1982년 3월 19일에는 스트르프스케 플레소의 15km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 첫 승을 거두었다.
198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0km에서 동메달, 계주 4위, 15km는 6위, 50km는 7위를 기록했다. 198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0km 4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1989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5km에서 금메달, 계주 은메달, 30km 4위를 기록했다.
199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계주에서 은메달을, 199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계주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1]
200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히드록시에틸 전분(HES) 양성 반응을 보여 핀란드 계주팀은 실격 처리되었고, 키르베스니에미는 은퇴했다.[1]
5. 1. 올림픽
하리 키르베스니에미는 6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동메달 6개를 획득했다.연도 | 나이 | 10 km | 15 km | 추적 | 30 km | 50 km | 4 × 10 km 계주 |
---|---|---|---|---|---|---|---|
1980 | 21 | 8 | 18 | — | 동메달 | ||
1984 | 25 | 동메달 | 7 | 4 | 동메달 | ||
1988 | 29 | 8 | 9 | 22 | 8 | ||
1992 | 33 | 6 | 11 | 10 | — | 동메달 | |
1994 | 35 | 9 | — | 12 | 동메달 | ||
1998 | 39 | 13 | 6 | — | 동메달 |
-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올림픽에서 15km 8위, 30km 18위, 계주 동메달을 획득했다.[1]
- 1984년 사라예보 올림픽에서 15km 클래식과 계주 동메달을 획득하고, 50km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
- 1988년 캘거리 올림픽에서는 15km와 계주에서 8위를 기록했다.[1]
-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 1998년 나가노 올림픽에서 모두 계주 동메달을 획득했다.[1]
5. 2. 세계 선수권 대회
키르베스니에미는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메달 1개 (1989년: 15km)
- 은메달 3개 (4 × 10km 계주: 1989년, 1995년, 1997년)
- 동메달 4개 (1982년: 15km, 동독과 공동 수상), 1985년: 30km, 1991년: 4 × 10km 계주)
연도 | 나이 | 10 km | 15 km 클래식 | 15 km 프리스타일 | 추적 | 30 km | 50 km | 스프린트 | 4 × 10 km 계주 | ||
---|---|---|---|---|---|---|---|---|---|---|---|
1982 | 23 | 동메달 | — | 9 | 동메달 | ||||||
1985 | 26 | 6 | 동메달 | 7 | 4 | ||||||
1987 | 28 | 12 | 4 | 7 | 6 | ||||||
1989 | 30 | 금메달 | — | 4 | 23 | 은메달 | |||||
1991 | 32 | 6 | — | 5 | — | 동메달 | |||||
1993 | 34 | 18 | — | 10 | — | 4 | |||||
1995 | 36 | 5 | 7 | 6 | — | 은메달 | |||||
1997 | 38 | 8 | — | 은메달 | |||||||
1999 | 40 | 13 | — | 13 | 5 | ||||||
2001 | 42 | 4 | — | 8 | — | — | style="background:#000000; color:white;"| |
2001년 라흐티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그는 다섯 명의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들과 함께 금지된 혈액 증량제인 헤모헤스 사용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1] 이로 인해 금메달을 획득한 핀란드 계주팀은 실격 처리되었다.
참조
[1]
뉴스
Ex-hiihtäjille ehdollista dopingjupakasta – oikeuden mukaan kolmikko käytti kiellettyjä aineita
http://www.hs.fi/urh[...]
2013-10-19
[2]
웹사이트
Athlete : KIRVESNIEMI Harri
https://data.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8-02-27
[3]
웹사이트
Harry Kirvesniemi innrømmer bruk av dopingmiddelet HES
http://www.vg.no/pub[...]
2001-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0000-00-00으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