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드 변광 성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드 변광 성운(NGC 2261)은 외뿔소자리 방향에 있는 변광 성운으로, 윌리엄 허셜에 의해 1783년 처음 관측되었다. 이 성운은 외뿔소자리 R에서 나오는 빛을 받아 밝게 빛나며,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모양과 밝기가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에드윈 허블은 예르키스 천문대와 윌슨 산 천문대에서 이 성운을 연구했으며,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되기도 했다. 변광성에 대한 가설로는 외뿔소자리 R 근처의 먼지 구름이 별빛을 차단하여 그림자를 만드는 현상이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발견한 천체 - 네레이드 (위성)
    네레이드는 1949년 제러드 카이퍼가 발견한 해왕성의 위성으로, 궤도 이심률이 크고 표면은 회색을 띠며 물 얼음이 검출되었다.
  • 1949년 발견한 천체 - 4001 프톨레마이오스
    플로라족에 속하는 S형 소행성 4001 프톨레마이오스는 소행성대 내부 주띠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약 3년 6개월 주기로 돌고, 2세기 그리스-로마 천문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그의 알마게스트는 오랫동안 천문학계를 지배했다.
  • 팔로마 천문대 - 새뮤얼 오스친 망원경
    새뮤얼 오스틴 망원경은 다양한 CCD 카메라를 활용하여 천체 관측을 수행하고, 대형 유리 건판 사진 자료실을 보유하며, 왜행성 세드나와 에리스 등을 발견했다.
  • 팔로마 천문대 - 헤일 망원경
    헤일 망원경은 1948년 캘리포니아 팔로마 산에 완공된 5.08미터 반사 망원경으로, 천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현대 망원경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외뿔소자리 - 장미 성운
    장미 성운은 외뿔소자리에 있는 지구로부터 약 5,200 광년 떨어진 지름 약 130 광년의 발광 성운으로, NGC 2237, NGC 2238, NGC 2239, NGC 2246 영역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산개 성단 NGC 2244를 포함하며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이 일어나고, 2019년 오클라호마주의 주 천문 객체로 지정되었다.
  • 외뿔소자리 - 외뿔소자리 V838
    외뿔소자리 V838은 2002년 외뿔소자리에서 발견된 변광성으로, 특이한 광도 변화와 빛의 메아리 현상을 통해 기존 신성과는 다른 현상임이 밝혀졌으며, 폭발 원인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인드 변광 성운
기본 정보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NGC 2261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NGC 2261 (HST/NASA/JPL/Judy Schmidt 제공)
명칭NGC 2261
다른 이름허블의 변광 성운
Caldwell 46
유형반사 성운
유형 2변광 성운
별자리외뿔소자리
거리2,500 광년
겉보기 등급9.0
크기2'
반지름~0.5 광년
추가 정보
영문 명칭HUBBLE'S VAR NEB

2. 역사

1783년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한 이후,[11] 하인드 변광 성운(NGC 2261)은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관측 및 연구되었다.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상세한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12] 외뿔소자리 R 별 근처의 밀집된 먼지 구름이 주기적으로 별빛을 방해하여 변광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2. 1. 발견 및 초기 관측

1783년 12월 26일 윌리엄 허셜이 처음으로 NGC 2261을 관측하고, 상당히 밝고 '부채꼴' 모양이라고 묘사했다.[2] 허셜은 자신의 성운 및 성단 목록에서 네 번째 범주의 두 번째 항목으로 지정하여 오랫동안 H IV 2로 지정했다.[3][11]

1949년 1월 26일 에드윈 허블팔로마 천문대헤일 망원경퍼스트 라이트로 NGC 2261을 촬영했다.[4] 허블은 이전에 예르키스 천문대와 윌슨산 천문대에서 성운을 연구했으며,[4] 1916년 예르키스 24인치(60.96cm) 반사 망원경으로 사진 건판을 촬영했다.[5] 1908년 F.C. 조던이 같은 망원경으로 촬영한 건판을 통해 허블은 블링크 비교기를 사용하여 성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검색할 수 있었다.[5]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된 NGC 2261의 이미지가 공개되었다.[6][12]

2. 2. 허블의 연구

에드윈 허블은 1916년 예르키스 천문대 24인치(60.96cm) 반사 망원경으로 NGC 2261의 사진 건판을 촬영했다.[5] F.C. 조던이 1908년에 같은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허블은 블링크 비교기를 사용하여 성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연구했다.[5]

1949년 1월 26일, 허블은 팔로마 천문대헤일 망원경퍼스트 라이트 대상으로 NGC 2261을 촬영했다.[4] 이는 1928년에 팔로마 천문대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약 20년 후였다. 허블은 이전에 예르키스 천문대와 윌슨 산 천문대에서 성운을 연구했다.[4]

2. 3.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허블 우주 망원경은 1999년에 NGC 2261(하인드 변광 성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공개했다.[12][6]

2. 4.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의 관측

2021년 10월부터 2022년 4월까지 20명이 넘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빅 아마추어 망원경에서 NGC 2261의 타임랩스 영상을 6개월 동안 촬영했다. 2022년 8월, NGC 2261이 태양 뒤에서 나오면서 프로젝트가 다시 시작되었다.[7]

빅 아마추어 망원경에서 촬영한 6개월 간의 NGC 2261 타임랩스. 빛의 강도가 변하고 주변 성운을 비추면서 빛의 속도로 전파되는 '잔물결'을 볼 수 있다

3. 묘사

허블 변광 성운은 외뿔소자리 R 별 근처의 밀집된 먼지 구름이 주기적으로 별로부터 오는 빛을 방해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근처 구름에 일시적인 그림자가 드리워진다.[10] 1949년 1월 26일, 에드윈 허블팔로마 천문대헤일 망원경 퍼스트 라이트로 NGC 2261을 사용했다. 허블은 이전에 예르키스 천문대와 윌슨 산 천문대에서 이 성운을 연구한 바 있다.

3. 1. 외형적 특징

사진 속 왼쪽 하단의 별 외뿔소자리 R에서 나오는 빛을 받아 빛나며, 모양과 밝기는 몇 주 혹은 몇 달에 걸쳐 눈에 띄게 변한다. 성운은 작은 혜성처럼 보인다.[13] 변광성에 대한 하나의 가설은 외뿔소자리 R 근처의 짙은 먼지 구름이 주기적으로 별의 빛을 차단하며,[14] 이로 인해 성운에 일시적으로 그림자가 생긴다는 것이다.[15] 외뿔소자리 R 별은 근처의 가스와 먼지 구름을 밝히고 있지만, 모양과 밝기는 몇 주, 몇 달에 걸쳐 작은 망원경에서도 서서히 변한다.[8]

3. 2. 변광성 가설

변광성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외뿔소자리 R 근처의 짙은 먼지 구름이 주기적으로 별의 빛을 차단하며,[14] 이로 인해 성운에 일시적으로 그림자가 생긴다는 것이다.[15]

참조

[1] simbad NGC 2261 http://simbad.u-stra[...] 2007-04-11
[2] 저널 Catalogue of One Thousand New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By William Herschel, LL.D. F. R. S. https://www.jstor.or[...] 1786
[3] 저널 Lampland's Study of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1956
[4] 웹사이트 Citizen Science http://365daysofastr[...] 2009-01-26
[5] 저널 The variable nebula NGC 2261
[6] 웹사이트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https://www.spacetel[...] 2018-07-25
[7] 웹사이트 Hubble's variable nebula Project https://bigamateurte[...] 2022-12-24
[8] 뉴스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http://www.psi.edu/a[...] 2018-07-25
[9] 저널 A model for the cometary nebula NGC 2261
[10] 웹사이트 NGC 2261: Hubble's Variable Nebula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https://science.nasa[...] 2018-07-25
[11] 웹인용 Hubble’s Variable Nebula http://www.nightskyi[...]
[12] 웹인용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https://www.spacetel[...]
[13] 뉴스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https://www.psi.edu/[...] Planetary Science Institute 2010-10-15
[14] 저널 A model for the cometary nebula NGC 2261 https://ui.adsabs.ha[...]
[15] 웹인용 NGC 2261: Hubble's Variable Nebula https://science.na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