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로마 천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로마 천문대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가 운영하는 천문대로, 1948년에 완공되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헤일 망원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별의 기원, 진화, 구성 성분 등을 연구한다. 헤일 망원경과 슈미트식 망원경, 반사망원경 등 다양한 망원경을 갖추고 있으며, 퀘이사, 소행성 발견 등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일반인에게도 일부 구역이 공개되며, 가상 투어와 온라인 자료를 통해 천문대를 접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로마 천문대 - 새뮤얼 오스친 망원경
    새뮤얼 오스틴 망원경은 다양한 CCD 카메라를 활용하여 천체 관측을 수행하고, 대형 유리 건판 사진 자료실을 보유하며, 왜행성 세드나와 에리스 등을 발견했다.
  • 팔로마 천문대 - 헤일 망원경
    헤일 망원경은 1948년 캘리포니아 팔로마 산에 완공된 5.08미터 반사 망원경으로, 천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현대 망원경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캘리포니아주의 건축물 - 허스트 캐슬
    허스트 캐슬은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가 줄리아 모건에게 의뢰하여 캘리포니아주 샌 시미언 근처에 지중해 리바이벌 양식으로 건설한 호화로운 저택으로, 한때 사교계 중심지였으며 영화 '시민 케인'의 모티브가 된 관광 명소이다.
  • 캘리포니아주의 건축물 - 샌 머테이오 퍼시픽 림 인터내셔널 스쿨
    샌 머테이오 퍼시픽 림 인터내셔널 스쿨은 1989년 캘리포니아주 샌머테이오에 설립되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국제적 교육 과정, 개별 맞춤 교육, 체험 학습,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공하며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국제 학교이다.
팔로마 천문대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팔로마 천문대
로마자 표기Palomar Observatory
위치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
관리 기관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고도1,713 m
홈페이지팔로마 천문대
주요 망원경
망원경 1 이름헤일 망원경
망원경 1 유형200 인치 (5.08 m) 반사망원경
망원경 2 이름60 인치 (1.52 m) 반사망원경
망원경 3 이름새뮤얼 오스친 망원경
망원경 3 유형48 인치 (1.22 m) 슈미트 망원경
망원경 4 이름JPL 팔로마 시험용 간섭계
망원경 4 유형간섭계
추가 망원경 정보
18 인치 망원경30 cm 망원경
게티니 IR게티니 IR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즈위키 과도현상 시설 웹사이트
국가 천문대국가 천문대
예일 대학교예일 대학교 천문대

2. 역사

팔로마 천문대는 1948년에 완공되었으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가 운영을 맡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남서쪽에 있는 팔로마산 위에 위치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헤일 망원경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곳의 과학자들은 별의 기원과 진화, 별의 구성 성분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천문대에는 헤일 망원경과 슈미트 망원경 두 대, 그리고 일반 용도로 쓰이는 반사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슈미트 망원경은 하늘의 지도를 그리고 천체 위치를 찾는 데 사용된다. 가장 큰 슈미트 망원경은 반사경 지름이 122cm로, 헤일 망원경보다 300배나 더 넓은 지역의 하늘을 촬영할 수 있지만, 사진의 상세함은 헤일 망원경이 더 뛰어나다.[41]

1948년 미국 우표에 등장한 팔로마 산 천문대


역대 책임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아이라 스프래그 보언1948년 ~ 1964년
호레이스 웰컴 배벗1964년 ~ 1978년
마르텐 슈미트1978년 ~ 1980년
제리 뉴게바우어1980년 ~ 1994년
제임스 웨스트팔1994년 ~ 1997년
월리스 레슬리 윌리엄 사전트1997년 ~ 2000년
리처드 엘리스2000년 ~ 2006년
슈리니바스 쿨카르니2006년 ~ 2018년
요나스 즈무이지나스2018년 ~ 현재


2. 1. 헤일의 비전과 팔로마 천문대

천문학자 조지 엘러리 헤일은 팔로마 천문대를 건설한 비전을 가지고 세계 최대 망원경을 네 번이나 연이어 건설했다.[5] 1928년에 그는 200인치 팔로마 반사 망원경이 될 것을 제안하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미국 대중에게 대형 망원경이 우주의 근본적인 본질에 관한 질문에 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초대였다. 헤일은 1928년 4월 16일자로 록펠러 재단의 일반 교육 위원회(후에 흡수됨) 국제 교육 위원회에 보낸 편지에서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요청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과학을 발전시키는 방법 중 새로운 더 강력한 연구 장비와 방법을 개발하는 것만큼 생산적인 것은 없습니다. 더 큰 망원경은 빛의 공간 투과력과 사진 분해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최근 물리학과 화학의 근본적인 발전에서 주로 파생된 아이디어와 장치의 적용을 허용할 것입니다."

2. 2. 헤일 망원경

200인치 망원경은 천문학자이자 망원경 제작자인 조지 엘러리 헤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망원경은 록펠러 재단에서 60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에서 건설했으며, 조지 매코리의 지휘 아래 코닝 글래스 웍스에서 제작한 파이렉스 블랭크를 사용했다. 1930년대 초 J.A. 앤더슨 박사가 최초의 프로젝트 매니저로 배정되었다.[6] 이 망원경(당시 세계 최대 규모)은 1949년 1월 26일 NGC 2261을 목표로 최초 관측을 했다.[7] 미국의 천문학자인 에드윈 허블이 이 망원경을 처음 사용했다.

1949년부터 1975년까지 러시아의 BTA-6 망원경이 최초 관측을 할 때까지 200인치 망원경은 세계 최대의 망원경이었다. 헤일 망원경을 사용한 천문학자들은 우주론적 거리에 있는 퀘이사(나중에 활동은하핵으로 알려지게 된 것들의 하위 집합)를 발견했다. 그들은 항성 집단의 화학적 구성을 연구하여 우주에서 관측된 풍부도에 따른 원소 기원에 대한 항성 핵합성에 대한 이해를 이끌어냈으며, 수천 개의 소행성을 발견했다. 코닝 글래스 웍스(현재 코닝 인코퍼레이티드)의 본거지인 뉴욕주 코닝의 코닝 커뮤니티 칼리지에 있는 망원경의 1/10 축소판 모형은 적어도 한 개의 소행성인 34419 코닝을 발견하는 데 사용되었다.

2. 3. 건축 및 디자인

헤일 망원경 돔


러셀 W. 포터는 200인치 헤일 망원경 돔을 포함한 천문대 건물의 아르데코 양식 건축을 설계했다.[8][9][10] 그는 헤일 망원경과 슈미트 카메라의 기술 설계에도 많은 부분을 담당하여 일련의 단면 공학 도면을 제작했으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위원들과 여러 엔지니어들과의 협력을 통해 설계 작업을 진행했다.

맥스 메이슨은 건설을 감독했고, 시어도어 폰 카르만은 공학 분야에 참여했다.

2. 4. 역대 책임자

이름재임 기간
아이라 스프래그 보언1948년 ~ 1964년
호레이스 웰컴 배벗1964년 ~ 1978년
마르텐 슈미트1978년 ~ 1980년
제리 뉴게바우어1980년 ~ 1994년
제임스 웨스트팔1994년 ~ 1997년
월리스 레슬리 윌리엄 사전트1997년 ~ 2000년
리처드 엘리스2000년 ~ 2006년
슈리니바스 쿨카르니2006년 ~ 2018년
요나스 즈무이지나스2018년 ~ 현재


3. 주요 망원경 및 장비

팔로마 천문대에는 헤일 망원경, 슈미트식 망원경 등 여러 대의 망원경과 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곳의 과학자들은 별의 기원과 진화, 별의 구성 성분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41]


  • 헤일 망원경: 1948년에 완공되어 1949년부터 가동되었으며, 1975년까지 26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이었다.[12]
  • 사무엘 오신 망원경: 1948년에 첫 관측을 시작했으며, 왜소행성 에리스와 세드나를 발견했다.[17] 에리스의 발견은 명왕성의 행성 지위 재분류에 영향을 주었다.[18]
  • 1.5m 반사 망원경: 1970년에 가동을 시작했으며, 최초의 갈색왜성 발견에 기여했다.[13] 현재는 ZTF의 과도 현상 추적 관측 및 분류에 사용되는 SED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14][15]
  • 1m WINTER 망원경: 2021년부터 가동된 광시야 적외선 과도 현상 탐색기로, 적외선 영역에서 관측을 수행하며, 특히 중성자별 합병 잔해에서 r-과정 물질을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19]

3. 1. 헤일 망원경 (Hale Telescope)

200인치(5.1m) 헤일 망원경은 천문학자이자 망원경 제작자인 조지 엘러리 헤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록펠러 재단에서 600만달러를 지원받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가 건설했으며, 코닝 글래스 웍스에서 제작한 파이렉스 블랭크를 사용했다. J.A. 앤더슨 박사가 1930년대 초에 최초의 프로젝트 매니저였다.[6] 1949년 1월 26일 NGC 2261을 대상으로 최초 관측을 했으며[7],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처음으로 사용했다.

헤일 망원경은 1949년부터 1975년 러시아의 BTA-6 망원경이 가동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이었다. 헤일 망원경을 통해 천문학자들은 우주론적 거리에 있는 퀘이사를 발견했으며, 항성 집단의 화학적 구성을 연구하여 항성 핵합성을 통해 우주에서 관측된 원소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수천 개의 소행성을 발견했다. 코닝에 위치한 코닝 커뮤니티 칼리지에는 헤일 망원경의 1/10 크기 모형이 있으며, 이 모형은 34419 코닝을 포함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행성을 발견하는 데 사용되었다.

헤일 망원경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제트추진연구소, 코넬 대학교의 공동체가 운영하고 있다.

3. 2. 사무엘 오신 망원경 (Samuel Oschin Telescope)

1948년에 완공된 지름 1.2m (48인치) 슈미트 망원경은 처음에는 그냥 슈미트식 망원경으로 불렸으나, 이후 사무엘 오신의 이름을 따서 사무엘 오신 망원경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망원경은 하늘의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어, 헤일 망원경보다 300배나 더 넓은 지역을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진의 자세함은 헤일 망원경이 더 뛰어나다.[41]

사무엘 오신 망원경은 국립지리학회가 지원한 '''팔로마 천문대 스카이 서베이'''(''Palomar Observatory Sky Survey'', '''POSS''')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948년 11월부터 1958년 4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적위 +90°에서 -27°까지의 모든 적경을 촬영하여 +22등급까지의 천체를 기록했다. 1957년부터 1958년에는 촬영 범위를 남쪽으로 확장하여 적위 -33°까지 촬영하였다.

최근에는 지구근접소행성 추적 프로그램(NEAT)에 사용되어 수많은 소행성을 발견했다. 2001년부터는 팔로마 천문대의 QUEST 변광 탐사에 활용되었으며, 2003년에는 새로운 카메라를 장착하여 관측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 망원경을 통해 세드나를 비롯한 약 40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가 발견되었고, 감마선 폭발 탐색, 초신성을 이용한 우주 가속 팽창 테스트, 퀘이사 탐색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3. 3. 1.5m 반사 망원경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이 1948년에 완공한 반사 망원경이 팔로마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다.[41]

3. 4. 퇴역 장비

1936년 팔로마 천문대에서 최초로 가동된 망원경은 46cm 슈미트 카메라였다. 1930년대에 프리츠 츠비키와 발터 바아데는 팔로마 천문대에 탐사용 망원경을 추가하는 것을 주장했고, 46cm 망원경은 슈미트 개념을 시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츠비키는 이 46cm 망원경을 사용하여 다른 은하계에서 100개가 넘는 초신성을 발견했다. 슈메이커-레비 9 혜성도 1993년 이 장비를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이후 퇴역하여 소규모 박물관/방문자 센터에 전시되어 있다.[20][21]

팔로마 시험 간섭계(PTI)는 별의 겉보기 크기와 상대 위치를 고각분해능으로 측정하는 다중 망원경 장비였다. 밝은 별들의 겉보기 크기와 어떤 경우 모양은 PTI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다중 항성계의 겉보기 궤도도 측정되었다. PTI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가동되었다.[22]

팔로마 행성 탐색 망원경(PPST), 또는 슬루스(Sleuth)라고도 알려진 이 망원경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가동된 10cm 크기의 로봇 망원경이었다. 이 망원경은 통과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별 주위의 행성을 탐색하는 데 전념했다. 로웰 천문대카나리아 제도의 망원경과 함께 대서양횡단 외계행성 탐사(TrES)의 일부로 운영되었다.[23]

4. 주요 연구 업적

팔로마 천문대는 1948년 완공 이후 세계적인 천문학 연구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헤일 망원경과 오슈인 망원경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 업적을 달성했다.


  • 헤일 망원경을 이용한 주요 연구:
  • 허블 흐름의 우주론적 측정: 우주의 팽창 속도를 측정하여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추정하는 데 기여했다.[12]
  • 퀘이사 발견: 활동 은하핵의 전구체인 퀘이사를 발견하여 은하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12]
  • 항성 집단과 항성 핵합성 연구: 별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12]

  • 오슈인 망원경을 이용한 주요 연구:
  • 팔로마 천문대 스카이 서베이 (POSS-I, POSS-II): 광범위한 천체 목록을 작성하여 천문학 연구의 기반을 제공했다. 국립지리학회가 후원한 최초의 팔로마 천문대 하늘 관측(POSS-I)은 1958년에 완료되었으며, 디지털 하늘 관측(DSS)의 기반이 되었다.[24] 1980년대1990년대에 수행된 제2 팔로마 천문대 전천탐사(POSS II)는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여 더 넓은 범위의 하늘을 탐사했다.[25]
  • 퀘이사 및 변광성 탐사 (QUEST): 근지구 소행성 추적(Near-Earth Asteroid Tracking, NEAT) 프로젝트 등 여러 프로젝트에 활용되었으며, 세드나(90377 Sedna)와 같은 천체를 발견했다.[27]
  • 츠비키 과도 현상 시설(ZTF): 천체 현상을 탐색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3]


이 외에도 팔로마 천문대에서는 소행성, 외계 태양계 행성, 카이퍼 벨트 천체, 별 생성, 외계 행성,[29] 블랙홀엑스선 쌍성, 초신성, 퀘이사/활동 은하핵 등 다양한 천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30] 지구근접소행성 추적 프로그램(NEAT)을 통해 수많은 소행성을 발견했다.

4. 1. 팔로마 천문대 스카이 서베이 (POSS-I, POSS-II)

국립지리학회가 후원한 최초의 팔로마 천문대 하늘 관측(POSS-I)은 1958년에 완료되었다. 최초의 사진 건판은 1948년 11월에 노출되었고, 마지막 사진 건판은 1958년 4월에 노출되었다. 이 관측은 오슈인 망원경을 사용하여 14제곱인치(6제곱도)의 청색 감광(코닥 103a-O) 및 적색 감광(코닥 103a-E) 사진 건판으로 수행되었다. 이 관측은 +90°(천구 북극)에서 −27°까지의 적위와 모든 적경을 포함했으며, +22등급(인간의 시력 한계보다 약 100만 배 더 어두운 천체)까지 감지할 수 있었다. POSS의 하늘 관측 범위를 −33° 적위까지 확장하는 남쪽 확장 관측은 1957년~1958년년에 수행되었다. 최종 POSS I 데이터셋은 937쌍의 건판으로 구성되었다.[24]

디지털 하늘 관측(DSS)은 POSS-I 과정에서 개발된 사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전파 천문학자인 J.B. 화이트오크는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POSS-I 데이터를 남쪽으로 −42° 적위까지 확장했다. 화이트오크의 관측은 해당 북쪽 적위 영역과 같은 시야 중심을 사용했다. POSS-I과 달리, 화이트오크 확장은 적색 감광(코닥 103a-E) 사진 건판만으로 구성되었다.

'''제2 팔로마 천문대 전천탐사'''( '''POSS II''' )는 1980년대1990년대에 수행되었으며, 더 나은 고속 필름과 업그레이드된 망원경을 사용했다. 오슈인 슈미트 망원경은 단색수차 보정기와 자동유도 장치를 장착하여 업그레이드되었다. 영상은 세 가지 파장: 청색(IIIaJ, 480 nm), 적색(IIIaF, 650 nm), 근적외선(IVN, 850 nm) 필름에 기록되었다. POSS II 관측자에는 C. Brewer, D. Griffiths, W. McKinley, J. 데이브 멘덴홀, K. Rykoski, 제프리 L. 피니, 그리고 진 뮬러가 포함된다. 뮬러는 POSS II 과정에서 여러 개의 혜성과 소행성도 발견했으며, 밝은 윌슨 혜성 1986년은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C. 윌슨이 조사 초기에 발견했다.[25]

2MASS(Two Micron All Sky Survey, 이중 마이크론 전천 탐사)가 완료될 때까지 POSS II는 가장 광범위한 광시야 전천 탐사였다. 슬론 디지털 전천 탐사(Sloan Digital Sky Survey)가 완료되면 깊이 측면에서 POSS I과 POSS II를 능가할 것이지만, POSS는 하늘에서 거의 2.5배 더 넓은 영역을 덮는다.

POSS II는 디지털 전천 탐사(Digitized Sky Survey, DSS)의 일부로 디지털화된 형태(즉, 사진 건판이 스캔됨)로도 존재한다.[26]

4. 2. 퀘이사 및 변광성 탐사 (QUEST)

팔로마 퀘이사 적도 탐사팀(Quasar Equatorial Survey Team, QUEST) 변광성 탐사는 다년간 진행된 POSS 프로젝트 이후에 진행되었다.[27] 이 탐사는 근지구 소행성 추적(Near-Earth Asteroid Tracking, NEAT)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결과를 산출했다. QUEST 결과를 사용한 또 다른 프로그램은 2003년 11월 14일에 세드나(90377 Sedna)와 약 40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를 발견했다. 카메라를 공유하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슈리 쿨카르니(Shri Kulkarni)의 감마선 폭발 탐색, 리처드 엘리스의 초신성 탐색, 그리고 S. 조지 조르고브스키(S. George Djorgovski)의 퀘이사 탐색이 있다.

팔로마 QUEST 탐사의 카메라는 슈미트 망원경의 전체 시야(4° × 4°)를 덮는 112개의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 모자이크였다. 제작 당시에는 천문 카메라에 사용된 가장 큰 CCD 모자이크였다.[28]

4. 3. 츠비키 과도 현상 시설 (ZTF)

48인치 새뮤얼 오신 슈미트 망원경은 로봇으로 작동되며 새로운 천체 현상 탐사인 츠비키 일시적 시설(ZTF)을 지원한다.[3] 60인치 망원경도 로봇으로 작동되며 특수 목적의 분광 에너지 분포 기계(SEDM)[31] 적분장 분광기를 사용하여 초기 일시적 천체 현상 분류를 위한 빠르고 저분산 광학 분광을 제공함으로써 ZTF를 지원한다.

4. 4. 기타 연구

현재 200인치 헤일 망원경에서는 근지구 소행성, 외계 태양계 행성, 카이퍼 벨트 천체, 별 생성, 외계 행성,[29] 블랙홀엑스선 쌍성, 초신성 및 기타 일시적 천체 현상 추적 관측, 퀘이사/활동 은하핵 등 관측 가능한 우주를 다루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30]

48인치 새뮤얼 오슈인 슈미트 망원경은 로봇으로 작동되며 새로운 천체 현상 탐사인 츠비키 일시적 시설(ZTF)을 지원한다.[3] 60인치 망원경도 로봇으로 작동되며, 특수 목적의 분광 에너지 분포 기계(SEDM)[31] 적분장 분광기를 사용하여 초기 일시적 천체 현상 분류를 위한 빠르고 저분산 광학 분광을 제공하여 ZTF를 지원한다.

팔로마 천문대에서 수행된 연구 중에는 수많은 소행성을 발견한 지구근접소행성 추적 프로그램(NEAT)이 있다.

2001년 가을부터는 천구의 적도 부근을 관측하는 팔로마 천문대의 QUEST 변광 탐사를 이용하고 있다. 이 탐사에서는 2003년 여름에 48인치(1.22m) 사무엘 오신 슈미트 망원경에 새로운 카메라를 장착하여 관측 장비를 교체했으며, 이를 통해 지구근접소행성 추적 프로그램을 포함한 여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QUEST를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2003년 11월 14일에 (90377) 세드나를 발견하고 약 40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를 발견한 프로젝트가 있다. 이 카메라를 이용하는 또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슈리 카르카니의 감마선 폭발 탐색 프로젝트가 있다. 그 외에도 리처드 엘리스의 초신성을 이용한 우주 가속 팽창 테스트나 S. 조지 조르고프스키의 퀘이사 탐색 등도 진행되었다.

이 카메라는 112개의 모자이크 CCD로 슈미트 망원경의 전체 시야(4°×4°)를 커버하며, 현재 천문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자이크 CCD 중 가장 큰 것이다.

5. 대중 공개 및 교육

팔로마 천문대의 그린웨이 방문자 센터, 기념품점 포함


팔로마 천문대는 현재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설이지만, 낮 시간에는 천문대 일부 구역을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다. 방문객들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200인치 망원경을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천문대는 12월 24일과 25일, 그리고 악천후를 제외하고 연중무휴로 운영된다.[32] 4월부터 10월까지 주말(토요일과 일요일)에는 200인치 헤일 망원경 돔과 관측 구역의 안내 투어가 제공된다. 일반인을 위한 비하인드 투어는 지역 지원 그룹인 팔로마 천문대 도슨트(Palomar Observatory Docents)를 통해 제공된다.[32]

팔로마 천문대에는 천문대 및 천문학 관련 전시물과 기념품점[33]이 있는 그린웨이 방문자 센터[21]가 있으며, 정기적인 공개 행사를 개최한다.[34]

천문대에 직접 방문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팔로마 천문대는 현장의 모든 주요 연구 망원경과 그린웨이 센터에 대한 광범위한 가상 투어를 제공하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포함하고 있다.[35] 또한, 천문대는 일반인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광범위한 웹사이트[36]유튜브 채널[37]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천문대는 76호선을 따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샌디에이고 시내에서 차로 2시간, 로스앤젤레스 중심부(UCLA, LAX 공항)에서 차로 3시간 거리에 있다.[38] 근처 팔로마 캠프장에 머무는 사람들은 천문대 트레일을 따라 약 3.54km 하이킹을 통해 팔로마 천문대를 방문할 수 있다.[39]

6. 기후

팔로마 천문대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 중에서도 덥고 건조한 여름의 특징을 보인다.[40]

팔로마 천문대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38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F)약 27.8°C약 25.0°C약 27.8°C약 28.3°C약 32.8°C약 40.0°C약 37.8°C약 37.8°C약 37.8°C약 36.1°C약 26.7°C약 26.7°C-
평균 최고 기온 (°F)약 17.4°C약 17.7°C약 20.8°C약 24.5°C약 27.8°C약 31.5°C약 33.8°C약 33.3°C약 31.3°C약 27.2°C약 21.9°C약 18.2°C약 34.6°C
평균 기온 (°F)약 10.8°C약 10.6°C약 13.3°C약 16.3°C약 20.7°C약 25.8°C약 29.1°C약 29.1°C약 26.3°C약 20.6°C약 14.6°C약 10.4°C약 18.9°C
평균 최저 기온 (°F)약 2.8°C약 2.3°C약 3.7°C약 5.4°C약 9.1°C약 13.9°C약 17.7°C약 18.1°C약 15.3°C약 10.4°C약 5.8°C약 2.6°C약 8.9°C
최저 기온 기록 (°F)약 -13.3°C약 -11.1°C약 -8.9°C약 -7.2°C약 -4.4°C약 -2.2°C약 2.2°C약 2.2°C약 -1.1°C약 -7.8°C약 -8.3°C약 -13.3°C-
강수량 (인치)약 15.06cm약 18.64cm약 11.71cm약 5.08cm약 2.26cm약 0.43cm약 0.74cm약 1.73cm약 1.22cm약 3.07cm약 5.71cm약 11.58cm약 77.24cm
강설량 (인치)약 15.75cm약 26.92cm약 7.87cm약 8.89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0.00cm약 1.02cm약 6.10cm약 66.55cm
평균 강수일6.57.35.93.92.30.41.11.31.32.03.25.8-
평균 강설일1.22.10.91.10.00.00.00.00.00.00.31.5-

[40]

7. 기타

남부 캘리포니아 주변 지역의 상당 부분은 팔로마 천문대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공해를 줄이기 위해 차폐 조명을 채택했다.[11]

팔로마 천문대와 관련된 서적은 다음과 같다.

}

|-

| 1987 || 리처드 프레스턴 || ''퍼스트 라이트'' ||

|-

| 1994 || 로널드 플로렌스 || ''완벽한 기계'' ||

|-

| 2010 || 마이클 E. 브라운 || ''내가 명왕성을 죽인 방법 그리고 그럴 만한 이유'' ||

|-

| 2020 || 린다 슈바이처 || ''우주 오디세이'' ||

|-

| || 로널드 플로렌스 || ''The Perfect Machine: Building the Palomar Telescope'' ||

|-

| || D. O. 우드베리 || 『파로마의 거대 망원경〈상〉』 ||

|-

| || D. O. 우드베리 || 『파로마의 거대 망원경〈하〉』 ||

|-

| || 리처드 프레스턴 || 『빅 아이』 ||

|}

참조

[1] 웹사이트 Dept. of Astronomy https://astro.yale.e[...]
[2] 웹사이트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ies http://english.nao.c[...]
[3] 웹사이트 Zwicky Transient Facility Website https://www.ztf.calt[...]
[4] 웹사이트 Gattini IR https://sites.astro.[...]
[5] 웹사이트 George Ellery Hale American astronomer https://www.britanni[...] 2020-03-20
[6] 잡지 Super Camera of the Skie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42-04-00
[7] Podcast 60th Anniversary of Hale Telescope http://365daysofastr[...] 2009-01-26
[8] 웹사이트 Palomar Observatory: Facts & Discoveries https://www.space.co[...] 2020-04-06
[9] 웹사이트 Palomar Observatory observatory, California, United States https://www.britanni[...] 2020-04-06
[10] 웹사이트 Palomar, After 50 Years https://sandiegohist[...] 2020-04-06
[11] 웹사이트 Sky Glow Effect on Existing Large Telescopes http://data.nextrion[...]
[12]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The 200-inch Hale Telescope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13]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The 60-inch Telescope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14] 웹사이트 Welcome to SED Machine's documentation! https://www.astro.ca[...] 2020-07-29
[15] 논문 The SED Machine: A Robotic Spectrograph for Fast Transient Classification https://ui.adsabs.ha[...] 2018-03-00
[16]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Samuel Oschin Telescope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17]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Discoveries from Palomar Observatory's 48-inch Samuel Oschin Telescope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18] 논문 The Zwicky Transient Facility Camera https://authors.libr[...] 2016-00-00
[19] 논문 Design requirements for the Wide-field Infrared Transient Explorer (WINTER) https://ui.adsabs.ha[...] 2020-00-00
[20]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The 18-inch Schmidt Telescope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21] 웹사이트 Greenway Visitor Center https://sites.astro.[...]
[22]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Palomar Testbed Interferometer (PTI) http://www.astro.cal[...] Caltech Astronomy 2014-12-09
[23] 웹사이트 Caltech Astronomy – Sleuth: The Palomar Planet Finder http://palomarskies.[...] Palomar Skies 2014-12-09
[24] 서적 The Urban Astronomer's Guide: a Walking tour of the Cosmos for City Sky Watchers https://books.google[...]
[25] 웹사이트 The Second Palomar Observatory Sky Survey (POSS II) http://www.astro.cal[...]
[26] 웹사이트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MAST) http://archive.stsci[...]
[27] 웹사이트 New Sky Survey Begins at Palomar Observatory http://pr.caltech.ed[...] 2003-07-29
[28] 웹사이트 The Big Picture http://bigpicture.ca[...]
[29] 웹사이트 Planet-Hunting Method Succeeds at Last http://www.jpl.nasa.[...] 2009-05-28
[30] 웹사이트 Hale Telescope Observing Runs http://www.palomar.c[...]
[31] 논문 The SED Machine: A Robotic Spectrograph for Fast Transient Classification https://iopscience.i[...] 2018-00-00
[32] 웹사이트 Docents https://sites.astro.[...]
[33] 웹사이트 Palomar Observatory Gift and Book Store https://store.paloma[...]
[34] 웹사이트 Greenway Talk Series https://sites.astro.[...]
[35] 웹사이트 Virtual Tour https://sites.astro.[...]
[36] 웹사이트 Welcome to Palomar Observatory https://sites.astro.[...]
[37] 웹사이트 Palomar Observatory – YouTube https://www.youtube.[...]
[38] 웹사이트 Driving Directions to Palomar Observatory https://sites.astro.[...]
[39] 웹사이트 Observatory Trail in Cleveland National Forest https://www.hikespea[...] Hikespeak 2017-03-28
[40] 웹사이트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2-08-13
[41] 웹사이트 팔로마천문대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출판 연도저자제목비고
1983이탈로 칼비노팔로마 씨{{lang|it|Mr. Palo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