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기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광기술원은 2001년 설립된 광기술 분야 연구기관이다. 광주광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광기술 관련 연구 개발, 시험, 인증, 기술 사업화 등을 수행한다.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및 교정기관 자격을 획득하고, 다양한 기술 개발 사업과 정부 표창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현재는 광융합 기술 전문 연구소로 지정되어, 광융합 기술 관련 연구와 기업 지원을 하고 있다.
1999년 9월 광주광산업육성계획이 승인된 후, 2001년 1월 한국광기술원 법인이 설립되었다. 3월에는 초대 원장으로 최상삼이 취임하였고, 4월에 한국광기술원이 개원하였다. 2002년 4월에는 청사 착공에 들어갔으며, 2004년 6월 제2대 원장으로 김태일이 취임한 후, 11월에 청사가 준공되었다.
2. 연혁
2005년 5월,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획득하고, 9월에는 시험생산센터 1동을 준공하였다. 2006년 5월에는 KOLAS 국제공인교정기관 자격을 획득하였으며, 6월에는 산업자원부로부터 기술이전 공식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6월, 유은영 3대 원장이 취임하였고, 10월에는 신조명(반도체조명)산업 기반구축 사업, 11월에는 LED 표준화 사업에 착수하였다. 12월에는 시험생산센터 2동을 준공하였다.
2008년 11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IT기술·창업지원단 지원기관 및 성능인증시험연구원으로 지정되었고, 시험생산센터 3동을 준공하였다.
2009년 1월, 광기반 융합기술 인프라 구축사업, 6월에는 LED조명실증 인프라 및 평가기술 개발사업에 착수하였다. 11월에는 UL 및 CE 인증 시험평가 시험소로 지정되었다.
2010년 6월, 산업용 레이저 핵심부품·모듈 기반구축 사업에 착수하고, 7월에는 김선호 4대 원장이 취임하였다. 10월에는 KS지정심사기관으로 지정되었다.
한국광기술원은 2011년 1월 한국선급공인시험기관 인증을 획득하고, 3월에는 적외선 광학렌즈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사업에 착수했다. 같은 해 5월, 경기도 시흥시에 경인지역고객지원센터를 개소하고, LED 표준화 KS 규격을 제정했다. 6월에는 신기술창업센터를 준공했으며, 9월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2012년 6월에는 LED 가로등 실증동과 LED 조명실증센터를 준공하고, 7월에는 3D 융합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8월에는 LED 융합산업 허브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9월에는 조달청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3년 7월, 제5대 원장으로 박동욱이 취임했다.
2014년 1월, TUV 시험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7월에는 차세대 광학모듈 핵심공정 및 시제품 제작기반 구축사업, 9월에는 OLED 조명 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착수했다. 11월에는 에너지 절약 및 효율 향상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2015년 9월, 수요자 연계형 LED 조명 글로벌 사업화 기반구축 사업에 착수하고, 10월에는 LED 융합산업 종합정보망을 개통했다. 11월에는 3D 융합상용화지원센터를 준공했다.
2016년 2월, 한국광기술원은 국내 최초로 자동차 등화부품분야 대체부품 시험기관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6월에는 광융복합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기반구축사업에 착수했다. 7월에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고, 9월에는 과학기술진흥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또한 9월에 제6대 원장으로 김영선이 취임하였다. 11월에는 극한환경 테스트 베드동을 준공하고,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발전협의회 회장기관으로 선임되었다.
2017년 1월에는 전자파 시험동을 준공했다. 2018년 4월에는 평판형 광도파로 기반산업 고도화 지원사업에 착수했고, 10월에는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주)티에스테크를 등록하여 미세먼지 측정장치 사업화에 나섰다. 2019년 3월에는 제2호 연구소기업 (주)웰트를 등록하여 태양광/열기반 스마트에너지 시스템 사업화를 추진했다. 6월에는 광융합산업 플랫폼 공동활용 사업화 사업에 착수했으며, 9월에는 자동차 등화장치 시험기관(튜닝부품)으로 지정되었다. 11월에는 제7대 원장으로 신용진이 취임하고, 제3호 연구소기업 (주)옵토마린을 등록하여 레이저 센서 및 검사장치 사업화를 시작했다.
2020년 1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광융합기술 전문연구소로 지정되었다. 3월에는 제4호 연구소기업 (주)엘케이텍을 등록하여 자동차 스마트전조등 사업화를 진행했다. 4월에는 광기반기술연계 광융합산업 고도화 사업에 착수했고, 7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국가연구시설 지능형광학모듈연구센터로 지정받았다. 9월에는 경기광융합기술센터를 경기 안양에 설치했다. 10월에는 제5호 연구소기업 대보하이테크(주)를 등록(GaAs 기반 Epi-wafer 사업화)하고, 제6호 연구소기업 (주)효림을 등록(UVC 휴대용 살균 기술 사업화)했다. 11월에는 행정안전부로부터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장관상을 수상하고, 제7호 연구소기업 (주)현서테크를 등록(광자극 뇌파안정 기술 사업화)했다. 12월에는 제8호 연구소기업 (주)엘텍을 등록(광학식 가스센서 대기측정 장치 사업화)하고, 제9호 연구소소기업 (주)디에이치오션을 등록(해양 기상환경 모니터링 기술 사업화)했다.
2021년 4월, 개원 2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카메라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사업에 착수했다. 10월에는 계량측정산업발전유공 대통령 단체표창을 수상했다. 11월에는 제10호 연구소기업 (주)에코프렌들리를 등록(친환경살균 폐기물 처리 기술 사업화)했다. 12월에는 제11호 연구소기업 (주)서브뮬레드를 등록(3D 구조 적층형 LED디스플레이 기술 사업화)하고, 제12호 연구소기업 훈네트(주)를 등록(개인 맞춤형 스마트미러 기술 사업화)했으며, 국가연구시설 우수사례 20선에 선정되었다. 2022년 4월에는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화 지원을 위한 인프라 및 기술개발 사업과 XR 전방산업 선도형 핵심 광학 부품·모듈 시험제작 서비스 지원 사업에 착수했다.
2. 1. 설립 초기 (1999년 ~ 2004년)
1999년 9월 광주광산업육성계획이 승인된 후, 2001년 1월 한국광기술원 법인이 설립되었다. 3월에는 초대 원장으로 최상삼이 취임하였고, 4월에 한국광기술원이 개원하였다. 2002년 4월에는 청사 착공에 들어갔으며, 2004년 6월 제2대 원장으로 김태일이 취임한 후, 11월에 청사가 준공되었다.
2. 2. 기술 개발 및 인증 (2005년 ~ 2010년)
2005년 5월,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획득하고, 9월에는 시험생산센터 1동을 준공하였다. 2006년 5월에는 KOLAS 국제공인교정기관 자격을 획득하였으며, 6월에는 산업자원부로부터 기술이전 공식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6월, 유은영 3대 원장이 취임하였고, 10월에는 신조명(반도체조명)산업 기반구축 사업, 11월에는 LED 표준화 사업에 착수하였다. 12월에는 시험생산센터 2동을 준공하였다.
2008년 11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IT기술·창업지원단 지원기관 및 성능인증시험연구원으로 지정되었고, 시험생산센터 3동을 준공하였다.
2009년 1월, 광기반 융합기술 인프라 구축사업, 6월에는 LED조명실증 인프라 및 평가기술 개발사업에 착수하였다. 11월에는 UL 및 CE 인증 시험평가 시험소로 지정되었다.
2010년 6월, 산업용 레이저 핵심부품·모듈 기반구축 사업에 착수하고, 7월에는 김선호 4대 원장이 취임하였다. 10월에는 KS지정심사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 3. 사업 확장 및 수상 (2011년 ~ 2015년)
한국광기술원은 2011년 1월 한국선급공인시험기관 인증을 획득하고, 3월에는 적외선 광학렌즈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사업에 착수했다. 같은 해 5월, 경기도 시흥시에 경인지역고객지원센터를 개소하고, LED 표준화 KS 규격을 제정했다. 6월에는 신기술창업센터를 준공했으며, 9월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2012년 6월에는 LED 가로등 실증동과 LED 조명실증센터를 준공하고, 7월에는 3D 융합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8월에는 LED 융합산업 허브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9월에는 조달청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3년 7월, 제5대 원장으로 박동욱이 취임했다.
2014년 1월, TUV 시험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7월에는 차세대 광학모듈 핵심공정 및 시제품 제작기반 구축사업, 9월에는 OLED 조명 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착수했다. 11월에는 에너지 절약 및 효율 향상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2015년 9월, 수요자 연계형 LED 조명 글로벌 사업화 기반구축 사업에 착수하고, 10월에는 LED 융합산업 종합정보망을 개통했다. 11월에는 3D 융합상용화지원센터를 준공했다.
2. 4. 글로벌 경쟁력 강화 (2016년 ~ 현재)
2016년 2월, 한국광기술원은 국내 최초로 자동차 등화부품분야 대체부품 시험기관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6월에는 광융복합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기반구축사업에 착수했다. 7월에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고, 9월에는 과학기술진흥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또한 9월에 제6대 원장으로 김영선이 취임하였다. 11월에는 극한환경 테스트 베드동을 준공하고,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발전협의회 회장기관으로 선임되었다.
2017년 1월에는 전자파 시험동을 준공했다. 2018년 4월에는 평판형 광도파로 기반산업 고도화 지원사업에 착수했고, 10월에는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주)티에스테크를 등록하여 미세먼지 측정장치 사업화에 나섰다. 2019년 3월에는 제2호 연구소기업 (주)웰트를 등록하여 태양광/열기반 스마트에너지 시스템 사업화를 추진했다. 6월에는 광융합산업 플랫폼 공동활용 사업화 사업에 착수했으며, 9월에는 자동차 등화장치 시험기관(튜닝부품)으로 지정되었다. 11월에는 제7대 원장으로 신용진이 취임하고, 제3호 연구소기업 (주)옵토마린을 등록하여 레이저 센서 및 검사장치 사업화를 시작했다.
2020년 1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광융합기술 전문연구소로 지정되었다. 3월에는 제4호 연구소기업 (주)엘케이텍을 등록하여 자동차 스마트전조등 사업화를 진행했다. 4월에는 광기반기술연계 광융합산업 고도화 사업에 착수했고, 7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국가연구시설 지능형광학모듈연구센터로 지정받았다. 9월에는 경기광융합기술센터를 경기 안양에 설치했다. 10월에는 제5호 연구소기업 대보하이테크(주)를 등록(GaAs 기반 Epi-wafer 사업화)하고, 제6호 연구소기업 (주)효림을 등록(UVC 휴대용 살균 기술 사업화)했다. 11월에는 행정안전부로부터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장관상을 수상하고, 제7호 연구소기업 (주)현서테크를 등록(광자극 뇌파안정 기술 사업화)했다. 12월에는 제8호 연구소기업 (주)엘텍을 등록(광학식 가스센서 대기측정 장치 사업화)하고, 제9호 연구소소기업 (주)디에이치오션을 등록(해양 기상환경 모니터링 기술 사업화)했다.
2021년 4월, 개원 2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카메라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사업에 착수했다. 10월에는 계량측정산업발전유공 대통령 단체표창을 수상했다. 11월에는 제10호 연구소기업 (주)에코프렌들리를 등록(친환경살균 폐기물 처리 기술 사업화)했다. 12월에는 제11호 연구소기업 (주)서브뮬레드를 등록(3D 구조 적층형 LED디스플레이 기술 사업화)하고, 제12호 연구소기업 훈네트(주)를 등록(개인 맞춤형 스마트미러 기술 사업화)했으며, 국가연구시설 우수사례 20선에 선정되었다. 2022년 4월에는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화 지원을 위한 인프라 및 기술개발 사업과 XR 전방산업 선도형 핵심 광학 부품·모듈 시험제작 서비스 지원 사업에 착수했다.
3. 조직
3. 1. 이사회
3. 2. 원장
3. 3. 감사
감사실은 기관운영 전반에 대한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이다.
3. 4. 대외협력본부
wikitext
3. 5. 선임연구본부
한국광기술원에는 미래사업부, 광원연구본부, 광영상정보연구본부, 광ICT융합연구본부, 조명·에너지연구본부가 있다. 광원연구본부에는 광전융합소자연구센터, 레이저연구센터, 나노광소자연구센터, 마이크로LED디스플레이연구센터가 있다. 광영상정보연구본부에는 광학렌즈소재연구센터, 지능형광학모듈연구센터, 공강광정보연구센터가 있다. 광ICT융합연구본부에는 광정밀계측연구센터, 지능형광IoT연구센터, 광의료바이오연구센터가 있다. 조명·에너지연구본부에는 조명소재부품연구센터,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 스마트조명연구센터, AI에너지연구센터가 있다.
3. 6. 기업지원본부
wikitable
기업지원본부 |
---|
기업협력부 |
장비공정센터 |
융합조명시험센터 |
광ICT시험센터 |
기술사업화센터 |
3. 7. 경영지원본부
경영지원본부는 경영기획실, 인재경영실, 재무자산실, 연구지원실, 정보전산실, 안전시설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