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개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산개구리는 한국에서 가장 작은 갈색 개구리로, 과거에는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형태학적 및 유전적 분석 결과 별개의 종으로 간주된다. 최근에는 중국 쿤위산에서 발견된 Rana kunyuensis와 동일한 종으로 밝혀졌다. 침엽수림, 혼합림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습지, 늪 등 습한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서식지 파괴로 지역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위협받는 종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기재된 양서류 - 도롱뇽
도롱뇽은 대한민국에서 보호받는 야생 동물로 포획이 금지되어 있으며, 과거 고속철도 공사로 인해 환경 단체와 법적 분쟁이 있었으나 공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판결을 받았다. - 1928년 기재된 양서류 - 제주도롱뇽
제주도롱뇽은 도롱뇽과 관련된 생물이다. - 개구리속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개구리속 - 북방산개구리
- 중국의 양서류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중국의 양서류 - 물두꺼비
한국산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ana coreana |
명명자 | Okada, 1928 |
이명 | Rana temporaria coreana Okada, 1928 Rana amurensis coreana (Okada, 1928) Rana kunyuensis Lu and Li, 2002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_참조 | IUCN SSC 양서류 전문가 그룹, 2019 |
2. 분류 및 계통
한국산개구리는 과거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R. a. coreana'')으로 분류되었으나, 형태 및 유전적 분석 결과 별개의 종으로 인정되었다.[3] 그러나 아무르산개구리와의 종 경계는 불분명하다.[1] 최근에는 중국 산둥 성 쿤위 산에서 발견된 ''Rana kunyuensis''가 한국산개구리와 같은 종으로 밝혀졌다.[2][4]
2. 1. 과거 분류
한국산개구리는 이전에는 주로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며, ''R. a. coreana''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형태학적 및 유전적 분석 결과, ''R. amurensis''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별개의 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이 뒷받침되었다.[3] 이 두 종 간의 경계는 불분명하다.[1]최근까지 한국산개구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분자 및 형태학적 증거에 따르면 중국 산둥 성 쿤위 산에서 발견된 ''Rana kunyuensis''는 한국산개구리와 동일한 종이며, 후행 동의어이다.[2][4]
2. 2. 최신 분류
한국산개구리는 이전에는 주로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며, ''R. a. coreana''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형태학적 및 유전적 분석 결과, ''R. amurensis''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별개의 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이 뒷받침되었다.[3] 이 두 종 간의 경계는 불분명하다.[1]최근까지 한국산개구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분자 및 형태학적 증거에 따르면 중국 산둥 성 쿤위 산에서 발견된 ''Rana kunyuensis''는 한국산개구리와 동일한 종이며, 후행 동의어이다.[2][4]
2. 3. ''Rana kunyuensis''와의 관계
한국산개구리는 이전에는 주로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며, ''R. a. coreana''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형태학적 및 유전적 분석 결과, ''R. amurensis''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별개의 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이 뒷받침되었다.[3] 이 두 종 간의 경계는 불분명하다.[1]최근까지 한국산개구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분자 및 형태학적 증거에 따르면 중국 산둥성 쿤위산에서 발견된 ''Rana kunyuensis''는 한국산개구리와 동일한 종이며, 후행 동의어이다.[2][4]
3. 특징
한국산개구리는 한국에 서식하는 갈색 개구리 중 가장 작으며, 수컷은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38mm, 암컷은 44mm까지 자란다.[5]
4. 서식지 및 보전
한국산개구리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지역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지만, 흔한 종이라 전반적으로는 위협받지 않는다.[1] 과거 한국산개구리의 동의어로 간주되던 ''Rana kunyuensis''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자료 부족"으로 평가되었다.[6]
4. 1. 서식지
한국산개구리는 침엽수림, 혼합림, 활엽수림, 관목지, 초원에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습지, 늪, 강둑, 범람원 등 개방적이고 습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얕은 호수, 연못, 도랑, 큰 웅덩이, 늪에서 번식한다. 겨울잠을 자는 개구리는 연못과 웅덩이 바닥의 진흙에서 대량으로 발견될 수 있다.[1]한국산개구리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지역적으로 위협을 받을 수 있지만, 이 흔한 종은 전체적으로 위협받지 않는다.[1]
4. 2. 보전 상태
한국산개구리는 침엽수림, 혼합림, 활엽수림, 관목지,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주로 습지, 늪, 강둑, 범람원과 같이 개방적이고 습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얕은 호수, 연못, 도랑, 큰 웅덩이, 늪에서 번식한다.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는 연못이나 웅덩이 바닥의 진흙 속에서 대량으로 발견되기도 한다.[1]한국산개구리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지역에 따라 위협받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흔하게 발견되어 멸종 위기에 처해있지 않다.[1]
한편, 과거 한국산개구리의 동의어로 여겨졌던 ''Rana kunyuensis''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자료 부족" 종으로 평가되었다.[6]
참조
[1]
IUCN
Rana coreana
2021-11-12
[2]
웹사이트
Rana coreana Okada, 1928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6-01-08
[3]
저널
Distinct specific status of the Korean brown frog, Rana amurensis coreana (Amphibia: Ranidae)
http://repository.ku[...]
[4]
저널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for Rana kunyensis as a junior synonym of Rana coreana (Anura: Ranidae)
[5]
웹사이트
Rana coreana
http://amphibiaweb.o[...]
Berkeley, California: AmphibiaWeb
2016-01-08
[6]
IUCN
Rana kunyuensis
[7]
웹사이트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s://species.nibr[...]
[8]
웹사이트
서울동물원 - 한국산개구리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