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랑은 강수량에 의해 표토가 침식되어 형성되는 좁고 얕은 골을 의미하며, 농경지, 산림, 건설 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한다. 릴 침식은 토양 유실을 일으키고, 농약 등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을 초래하여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산지가 많고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어 릴 침식 발생 위험이 높으며, 농경지 관리, 산림 관리, 토목 공학적 대책 등을 통해 릴 침식을 방지하고 관리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양 침식 - 걸리
걸리는 급경사 지형에서 물에 의한 침식으로 형성되는 지형적 특징으로, 토양 침식 등을 통해 형성되며 농지 생산성 감소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 관리 기술 등을 통해 침식을 방지하고 복원한다. - 토양 침식 - 풍식
풍식은 바람의 작용으로 지구 표면의 흙, 모래, 암석 등이 깎이거나 운반, 퇴적되는 침식, 이동, 퇴적 작용을 의미하며, 식생이 빈약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나 다양한 풍식 지형을 만들고 과거 기후와 풍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관개 운하 - 북크림 운하
북크림 운하는 드니프로강의 카호우카 저수지에서 크림반도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된 402.6km 길이의 운하로, 건설 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분쟁과 댐 붕괴로 인해 물 공급에 영향을 받고 있다. - 관개 운하 - 비세 다옌
비세 다옌은 물 관리 기술 개발로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친환경 관개 방법을 연구하여 토양과 수질 오염을 줄이는 데 힘쓴 인물이다. - 용수로 - 노리아
노리아는 물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로,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사용된 후 이슬람 황금시대를 거쳐 관개 및 수도 공급에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재생 에너지와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 용수로 - 구거 (토목)
구거는 물을 대거나 빼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개거와 암거로 나뉘며 농업, 배수, 경계, 군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현대에는 도시 배수 시스템, 환경 관리, 습지 조성 등에도 활용된다.
| 도랑 | |
|---|---|
| 지리 정보 | |
| 정의 | 물에 의해 깎여 만들어진 얕은 통로 |
| 형성 과정 | 유수에 의한 침식 |
| 특징 | 좁고 길게 이어짐 |
| 크기 | 작은 규모의 수로 |
| 관련 지형 | 계곡, 협곡, 하천 |
| 활용 | |
| 농업 | 물을 끌어들이는 용도로 사용 |
| 토목 | 배수 시설로 활용 |
| 기타 | 침식 과정 연구에 활용 |
2. 릴 침식의 발생 과정

릴 침식은 강수량이 지표면의 침투 능력을 초과하여 생긴 지표수가 집약되어 흐르면서, 지표면을 선상으로 파서 좁은 골을 만드는 현상이다. 릴이 수지상으로 형성되면 집수 효율이 좋아져 파인 토사류가 빠르게 운반된다. 이러한 작용을 릴 침식(세구 침식)이라고 한다.
골은 산비탈의 표토가 화재로 인해 침식되면서 생성되며, 계절별 기상 패턴에 따라 비가 많이 오는 달에 더 자주 나타난다.[1] 골은 표면 유출수의 전단 응력이 토양의 전단 강도를 초과할 때 형성된다. 즉, 물이 토양 입자를 분리하여 경사면 아래로 운반하는 힘이 토양 자체의 결속력보다 강해질 때 침식이 시작된다.[2] 모래질이나 양토질 토양은 골 형성에 특히 취약한 반면, 밀집된 점토는 골 형성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3]
2. 1. 릴의 형성 조건
릴은 경사면에서 지표수 유출로 인해 보호받지 못하는 토양이 침식되어 생기는 좁고 얕은 수로이다. 릴은 진행 중인 침식 문제의 첫 징후인 경우가 많으며, 토양 보전 조치가 없으면 골짜기나 황무지 같은 더 큰 침식 지형으로 발전할 수 있다.[1]골은 표면 유출수의 전단 응력이 토양의 전단 강도를 초과할 때 형성된다. 즉, 유출수가 토양 입자를 분리하는 힘이 토양이 이에 저항하는 힘보다 클 때 침식이 시작된다.[2] 모래나 양토질 토양은 점토질 토양보다 골 형성에 취약하다.[3]

릴 형성은 언덕 경사면의 경사도와 관련이 깊다. 중력은 물의 힘을 결정하고, 이는 침식 환경을 만드는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릴 형성은 주로 언덕 경사면에 의해 제어된다. 경사면은 릴의 깊이를, 경사면 길이는 절개 수를 제어한다. 각 토양 유형은 물의 속도가 토양 입자를 제거할 수 없는 임계 경사 각도를 가진다.[4] 예를 들어, 비점착성 경사면에서 이 임계값은 약 2도이며, 전단 속도는 3cm/s~3.5cm/s이다.[5]
릴이 형성된 후에는 측벽 붕괴 등 다양한 침식력의 영향을 받는다. 물이 릴을 통해 흐르면서 벽을 파고들어 붕괴를 유발하고, 벽의 토양으로 스며들어 약화시킨다. 이러한 침식은 릴의 크기와 배출량을 증가시킨다.[6]
드물지만, 산성 강수량과 유출수에 의한 용해 작용으로 석회암 등 가용성 암석 표면에 릴과 유사한 특징이 형성되기도 한다.[7]
2. 2. 릴의 성장과 발달
한번 형성된 릴은 측벽의 대량 이동이나 붕괴에 영향을 받는다. 물이 릴을 통해 흐르면서 벽을 파고들어 붕괴를 유발하며, 물이 벽의 토양으로 스며들면서 약해져 벽 붕괴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릴의 크기가 커지고 배출량이 증가한다.[6]산성 강수량과 유출수에 의한 용해 작용으로 석회암 및 기타 가용성 암석 표면에 릴과 유사한 특징이 만들어지기도 한다.[7]
3. 릴 침식의 영향
릴 침식은 토양 유실을 유발하여 농경지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하천과 호수의 수질을 오염시킨다. 또한, 산사태나 토석류 발생 가능성을 높여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릴 침식은 작지만, 매년 상당한 양의 토양을 이동시킨다. 도랑의 흐름은 도랑이 없는 지역보다 거의 10배의 운반 능력을 가지고 있다.[8] 완만한 강우량에도 도랑의 흐름은 지름이 최대 9cm에 달하는 암석 조각을 경사면 아래로 운반할 수 있다. 1987년 벨기에 훌덴베르크 들판에서 수행된 실험에서는 완만한 강우량 동안 도랑 침식으로 최대 200kg(수중 무게)의 암석이 제거된다는 것이 밝혀졌다.[8]
토목 공학에서는 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수로 공사로 집수하고 하천으로 유도하며, 계곡 등에는 사방댐을 설치하여 토사 유출을 줄인다. 붕괴 흔적에는 침식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불안정한 사면에는 지하수 배제 공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모든 것을 망라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보전의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여 대책을 시행한다.
3. 1. 농업에 미치는 영향
릴 침식은 비옥한 토양의 표토층을 유실시켜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농약 등 오염 물질을 하천으로 유입시켜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9] 특히, 한국의 경사지 농경지는 릴 침식에 취약하여 심각한 토양 유실 문제를 겪고 있다.3. 2. 산림에 미치는 영향
산림 벌채 후 방치된 지역은 릴 침식에 취약하며, 이는 산사태나 토석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특히 조림지는 뿌리가 깊게 뻗지 않아 적절한 간벌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 과거 일본에서는 자연 보호 단체의 운동으로 인해 나무를 베는 것이 금기시되었고, 환경 부하를 고려한 산출 방식은 채산성이 맞지 않아 릴 침식과 산림 황폐화가 심화된 사례가 있다.[3] 이와 관련하여, NGO나 NPO는 이익이 되지 않는 활동에는 소극적인 경향을 보인다.[3]3. 3. 기타 영향
릴 침식은 고고학 유적지를 훼손할 수 있으며[8], 건설 현장에서도 발생하여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속적인 농업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고갈시켜 토양 침식을 가속화한다. 트랙터와 같은 농업 기계는 토양을 다져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기 어렵게 만들고, 트랙터 바퀴 자국은 물길을 만들어 도랑 형성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이는 경작지 토양 침식의 주요 원인이 된다.[9]
적절한 밭 관리를 통해 도랑을 작게 유지하고 등고선 경작으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이는 도랑이 커지는 것을 막고, 장기적으로 지형 침식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10]
4. 릴 침식 방지 및 관리 대책
릴 침식은 농지나 산림 벌채 후 노출된 토양, 건설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침식 문제의 첫 징후인 경우가 많다.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골짜기나 황무지와 같은 더 큰 침식 지형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릴 침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토양 오염, 수질 오염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4. 1. 농경지 관리
농경지에서는 도랑이 심각한 토양 유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약간의 비에 의한 골은 쉽게 평평하게 할 수 있지만, 강우량이 많으면 인위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사면 위에 조성된 경작지는 척박한 토지가 되기 쉽고, 토지 열화에 따라 방치된 농지는 침식이 진행되기 쉽다. 최근 토양 유실로 문제시되는 것은 DDT 등 잔류성 농약을 살포한 토양 오염이며, 산간부에서 방치된 농경지의 오염 물질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4. 2. 산림 관리
산림은 릴 침식(도랑 침식)의 발달을 막고 사면 붕괴, 토석류, 유목 재해를 막는 데에도 기여한다. 특히 조림지는 뿌리가 깊게 뻗지 않으므로 적절한 간벌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4. 3. 토목 공학적 대책
일반적으로 수로 공사를 통해 물을 모아 하천으로 유도하고, 계곡 등에는 사방댐을 설치하여 토사 유출을 줄인다.[4] 붕괴 위험 지역에는 침식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불안정한 사면에 대해서는 지하수 배제 공사를 실시한다.[4]5. 한국의 릴 침식 현황 및 관리 노력
한국은 산지가 많고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어 릴 침식 발생 위험이 높다. 특히, 경사지 밭농사 지역과 산림 벌채 지역에서 릴 침식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릴 침식은 농지의 토양을 유실시켜 농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하천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릴 침식을 포함한 토양 유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농업 육성, 산림 복원 사업, 사방댐 건설 등 사방 사업을 추진해 왔다. 반면,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은 이러한 정책들이 과도한 규제와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고 비판한다.
일본의 경우 과거 자연 보호 단체의 운동으로 인해 산림 관리가 소홀해져 릴 침식이 심해진 사례가 있는데, 이는 적절한 산림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토목 공학에서는 릴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 공사, 사방댐 설치, 지하수 배제 공사 등을 실시하지만, 비용 효과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시행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릴 침식으로 인한 토양 오염 및 수질 오염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5. 1. 관련 사례
과거 DDT 등 잔류성 농약을 살포한 농경지가 방치되면, 토양 오염 물질이 릴 침식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심각한 수질 오염 문제를 일으킨다.[9] 일본에서는 이러한 토양 오염과 수질 오염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참조
[1]
간행물
Rill Erosion on Arable Loamy Sands in the West Midlands of England
Catena Verlag
1987
[2]
간행물
Threshold Conditions for Incipient Rilling
Catena Verlag
1987
[3]
간행물
Resistance to Rill Erosion: Observations on the Efficiency of Rill Erosion on a Tilled Clay Soil Under Simulated Rain and Run-On Water
Catena Verlag
1987
[4]
간행물
Rill Development in a Wet Savannah Environment
Catena Verlag
1987
[5]
간행물
The Initiation of Rills on Plane Beds of Non-Cohesive Sediments
Catena Verlag
1987
[6]
간행물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Rill Development Processes at the Huldenberg Experimental Site
Catena Verlag
1987
[7]
간행물
A Review of Dissolutional Rills in Limestone and Other Soluble Rocks
Catena Verlag
1987
[8]
간행물
Transport of Rock Fragments by Rill Flow—A Field Study
Catena Verlag
1987
[9]
간행물
Rill Erosion of Arable Loamy Sands in the West Midlands of England
Catena Verlag
1987
[10]
웹사이트
The Erosion Process
http://dhn.iihr.uiow[...]
201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