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일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일암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조선 숙종 39년(1713)부터 41년(1715) 사이에 인목대사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현재 건물은 1986년에 다시 지어졌다. 대웅전, 관음전, 칠성각 등의 건물을 갖추고 있으며, 섬 지역의 불교 문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2009년 화재로 대웅전 등이 소실되었으며, 매년 새해 첫날 해맞이 행사인 향일암일출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문화유산 - 율촌역
율촌역은 1930년 영업을 시작한 전라선의 역으로, 소화물 및 컨테이너 화물 취급 변화와 여객·화물 취급 중단 및 재개를 거쳐 2006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선로 이설로 이전,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역으로 운영 중이다. - 여수시의 문화유산 - 여수 진남관
여수 진남관은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객사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승리를 기념하며, 현존하는 지방 관아 건물 중 최대 규모이고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높아 국보로 지정된, 이주법과 다포계 및 익공계 수법이 혼용된 건축 양식이 특징인 건물이다. - 전라남도의 절 - 백련사 (전남 강진군)
백련사는 전라남도 강진군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고려 시대에 크게 번성했으나 왜구의 침략으로 황폐화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복원된 사찰이다. - 전라남도의 절 - 화엄사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때 연기조사가 창건하고 《화엄경》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중수되었고,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선교 양종의 대가람으로 현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도갑사
도갑사는 신라 시대에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조선 시대에 수미대사가 중창한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의 사찰로, 해탈문과 석조여래좌상 등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며 월출산 경관과 함께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방호정
방호정은 전라남도 구례군과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정자 건축물로, 구례군의 방호정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전통 정자이며 청송군의 방호정은 독특한 퇴적암 지층 위에 세워져 지질학적 경관을 자랑한다.
| 향일암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명칭 | 향일암 (向日庵) |
| 종교 | 한국 불교 |
|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향일암로 70-10 (율림리) |
| 창건자 | 원효 |
| 창건 시기 | 644년 |
![]() | |
| 문화재 정보 | |
| 지정 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40호 |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2. 역사
향일암은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숙종 때인 1713년부터 1715년까지 인목대사가 다시 지어 '향일암'이라 하였다. 현재 전하는 건물은 1986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향일암 경내에는 대웅전, 관음전, 칠성각, 취성루, 요사채 등이 있다. 현재 전하는 건물은 모두 1986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섬 지역에까지 전파된 불교문화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절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관음전, 칠성각, 취성루, 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또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관음전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1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비록 최근에 고쳐 지은 절이긴 하지만 섬 지역에까지 전파된 불교문화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예가 되고 있다.
3. 건물
3. 1. 대웅전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3. 2. 관음전
관음전은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1]
4. 문화적 의의
5. 화재 발생
6. 축제 및 행사
여수에서는 매년 새해 첫날 향일암에서 해맞이 행사인 향일암일출제를 연다.[5]
6. 1. 향일암일출제
향일암일출제는 향일암에서 매년 새해 첫날 거행되는 해맞이 행사로, 여수 시민 화합과 희망찬 여수 발전을 기원하기 위해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5]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yangiram Hermitage
https://www.koreatim[...]
2008-04-17
[2]
웹사이트
Yeosu Hyangiram Hermitage (향일암(여수))
http://english.visit[...]
2023-09-28
[3]
백과사전
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전라남도 > 향일암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사회 I·[...]
[4]
뉴스
여수 향일암 화재 미스터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2-03
[5]
서적
시정백서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