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헨리 드레이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드레이퍼는 1837년 미국의 의사이자 천체사진술의 선구자이다. 그는 뉴욕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벨뷰 병원에서 의사로 근무했으며, 뉴욕대학교 의학 교수 및 학장을 역임했다. 천체사진술 연구에 매진하여 항성 스펙트럼을 촬영하고 오리온 대성운을 최초로 사진 촬영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금성의 태양면 통과를 촬영하기 위한 탐험대를 이끌었으며, 헨리 드레이퍼 천문대를 설립했다. 사후 그의 미망인은 헨리 드레이퍼 메달과 망원경을 기금으로 조성하였으며, 달의 크레이터와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계 미국인 - 모레나 바카링
    모레나 바카링은 브라질 출신의 배우로, 영화 《향수》로 데뷔하여 드라마 《파이어플라이》와 영화 《세레니티》에서 이름을 알렸으며, 《데드풀》 시리즈에서 바네사 칼라일 역을 연기하며 난민 지원 활동도 펼친다.
  • 브라질계 미국인 - 조대나 브루스터
    파나마 출생의 미국 배우 조다나 브루스터는 예일대학교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 미아 토레토 역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 중이다.
  • 1882년 사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82년 사망 - 민겸호
    민겸호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명성황후를 지지하고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임오군란 때 살해된 후 충숙공의 시호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미국의 의사 - 로럴 클라크
    로럴 클라크는 미국의 의사이자 해군 대령, NASA 우주비행사로서, STS-107 미션에 참여하여 우주에서 생물학 실험 등을 수행하였으나, 컬럼비아호가 지구 대기권 재진입 중 공중분해되어 사망 후 다수의 훈장이 추서되었다.
  • 미국의 의사 - 조지 리처드 마이넛
    조지 리처드 마이넛은 간 추출물을 이용한 악성빈혈 치료법을 윌리엄 P. 머피와 함께 개발하여 1934년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의사이자 의학 연구자이다.
헨리 드레이퍼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와 업적

헨리 드레이퍼


헨리 드레이퍼는 저명한 과학자이자 의사였던 존 윌리엄 드레이퍼(John William Draper)의 아들로, 아버지처럼 의학을 공부하고 뉴욕대학교 교수 및 학장을 역임했다.[1][3]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는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4] 1867년 메리 애나 팔머와 결혼 후 그녀의 도움을 받아 천문학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는 천체사진술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1872년 항성 스펙트럼의 흡수선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1873년 교수직을 사임하고 연구에 전념하여 1874년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 탐험대를 이끌었고, 1880년에는 오리온 대성운을 세계 최초로 촬영했으며[1] 같은 해 목성의 스펙트럼도 사진으로 기록했다. 이러한 연구는 뉴욕주 헤이스팅스온허드슨의 헨리 드레이퍼 천문대(Henry Draper Observatory)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드레이퍼는 국립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1]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았으나, 급성 늑막염으로 비교적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후, 부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Mary Anna Draper)는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 기금을 기부하여 헨리 드레이퍼 메달(Henry Draper Medal) 제정과 항성 스펙트럼 분류 연구를 지원했으며, 이는 방대한 헨리 드레이퍼 목록(Henry Draper Catalog) 편찬으로 이어졌다. 의 드레이퍼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헨리 드레이퍼의 아버지는 저명한 의사이자 화학자, 식물학자였던 존 윌리엄 드레이퍼(John William Draper)이다. 그는 뉴욕대학교 교수였으며, 1840년 망원경을 이용해 달 사진을 최초로 촬영한 인물이기도 하다.[1] 어머니는 브라질 황제의 주치의였던 안토니우 리베이루 드 파이바(António Ribeiro de Paiva)의 딸, 안토니아 카에타나 드 파이바 페레이라 가드너(Antonia Caetana de Paiva Pereira Gardner)였다. 그의 조카딸인 안토니아 메이리(Antonia Maury) 역시 천문학자로 활동했다.[2]

헨리 드레이퍼는 1857년, 20세의 나이로 뉴욕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3] 졸업 후 벨뷰 병원에서 의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모교인 뉴욕대학교(NYU)에서 의학 교수이자 학장으로 활동했다.

1862년 5월 31일, 그는 미국 남북 전쟁 중 뉴욕 제12 보병 연대 S 중대에 외과의로 입대했으며, 그의 형 존 크리스토퍼(John Christopher)는 조수 외과의로 함께 복무했다.[4] 이들은 같은 해 10월 8일까지 복무했다.[4]

1867년, 드레이퍼는 부유한 사교계 인사인 메리 애나 팔머와 결혼했다. 그녀는 이후 드레이퍼의 천문학 연구를 돕는 중요한 조력자가 되었다.

2. 2. 천문학 연구와 천체 사진술



드레이퍼는 천체사진술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 1872년, 그는 흡수선을 보여주는 항성 스펙트럼을 촬영하였다. 조셉 프라운호퍼, 루이스 모리스 러더퍼드, 안젤로 세키 등 다른 사람들도 그와 같은 목표를 추구한 바 있었다.

그는 1873년 독자적인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 의학과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그는 1874년 금성의 태양면 통과를 촬영하기 위한 탐험대를 이끌었으며, 1880년 9월 30일 오리온 대성운을 최초로 사진 촬영하였다. 그는 11인치 클락 형제 사진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50분간 노출하여 촬영하였다. 그는 1880년 목성의 스펙트럼을 사진 촬영하였다.

그가 달의 훌륭한 사진을 촬영했던 헨리 드레이퍼 천문대는 뉴욕주 헤이스팅스온허드슨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 그 건물은 헤이스팅스온허드슨 역사협회(Hastings-on-Hudson Historical Society)로 사용되고 있다.

2. 3. 교수직 사임과 사망

그는 독자적인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 1873년 뉴욕대학교 의학과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교수직 사임 후 그는 천체사진술 연구에 더욱 집중하여, 1874년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 탐험대를 이끌었고, 1880년에는 오리온 대성운을 최초로 촬영했으며 같은 해 목성의 스펙트럼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헨리 드레이퍼는 이른 나이에 급성 늑막염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사후, 부인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Mary Anna Draper)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천체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공헌에 수여하는 헨리 드레이퍼 메달(Henry Draper Medal) 제정과 망원경 구입을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 이 망원경은 항성 스펙트럼 목록인 헨리 드레이퍼 목록(Henry Draper Catalog) 작성에 사용되었다.

2. 4. 수상 경력 및 회원 자격

헨리 드레이퍼는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과 명예 학위를 받았으며, 여러 주요 학회에서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 '''명예 학위'''
  • 뉴욕대학교 명예 법학박사(LL.D.)
  •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명예 법학박사(LL.D.)

  • '''훈장'''
  • 1874년 금성의 태양면 통과 촬영을 위한 미국 원정대를 성공적으로 이끈 공로로 미국 의회 훈장을 받았다.

  • '''주요 학회 회원 자격'''
  • 미국 국립과학원
  • 천문학회(Astronomische Gesellschaft)
  • 미국 사진 협회(American Photographic Society)
  • 미국 철학 학회(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 미국 과학 발전 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 유산

헨리 드레이퍼가 이른 나이에 급성 늑막염으로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Mary Anna Draper)는 그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노력했다. 그녀는 천체물리학에 대한 뛰어난 공헌을 기리는 헨리 드레이퍼 메달(Henry Draper Medal) 제정을 위한 기금을 마련했으며, 항성 스펙트럼의 헨리 드레이퍼 목록(Henry Draper Catalog) 작성을 위해 망원경 구입 자금을 지원했다. 이 역사적인 헨리 드레이퍼 망원경은 현재 폴란드 피브니체에 있는 토룬 천문 센터(Toruń Centre for Astronomy)(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교)에 있다. 또한 의 작은 크레이터인 드레이퍼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헨리 드레이퍼 메달

헨리 드레이퍼가 이른 나이에 급성 늑막염으로 사망하자, 그의 부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는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공헌을 기리기 위해 헨리 드레이퍼 메달을 제정하였다. 또한 그녀는 망원경 구입을 위한 기금도 마련했는데, 이 망원경은 항성 스펙트럼을 정리한 헨리 드레이퍼 목록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3. 2. 헨리 드레이퍼 목록

헨리 드레이퍼가 이른 나이에 급성 늑막염으로 사망한 후, 그의 아내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Mary Anna Draper)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기금을 마련했다. 이 기금은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헨리 드레이퍼 메달(Henry Draper Medal) 제정과 망원경 제작에 사용되었다. 이 망원경은 항성 스펙트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기록한 헨리 드레이퍼 목록(Henry Draper Catalog)을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목록은 이후 항성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이 헨리 드레이퍼 망원경은 현재 폴란드 피브니체에 위치한 토룬 천문 센터(Toruń Centre for Astronomy)(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교)에 보존되어 있다.

3. 3. 헨리 드레이퍼 천문대와 드레이퍼 크레이터

헨리 드레이퍼가 의 훌륭한 사진을 촬영했던 헨리 드레이퍼 천문대(Henry Draper Observatory)는 뉴욕주 헤이스팅스온허드슨에 있었다. 오늘날 이 건물은 헤이스팅스온허드슨 역사협회(Hastings-on-Hudson Historical Society)로 사용되고 있다.

그의 사후, 미망인인 메리 애나 드레이퍼(Mary Anna Draper)는 헨리 드레이퍼 망원경을 기증하였으며, 이 망원경은 항성 스펙트럼의 헨리 드레이퍼 목록(Henry Draper Catalog)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역사적인 헨리 드레이퍼 망원경은 현재 폴란드 피브니체에 있는 토룬 천문 센터(Toruń Centre for Astronomy)(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교)에 있다.

에 있는 작은 크레이터인 드레이퍼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저서

연도저서명비고
1858비장 내 혈구의 변화 (The Changes of Blood-Cells in the Spleen)논문
1866화학 교과서 (A Text-Book on Chemistry)아버지 존 윌리엄 드레이퍼가 1846년에 집필한 교과서를 개정한 판본.
1866다른 거주 가능한 세계가 있을까? (Are there other inhabited worlds?)
1866분광기와 그 계시 (The spectroscope and its revelations)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5권 2호(17-18쪽)에 게재.
1873의학의 망상, 부적, 탈리스만, 부적, 점성술, 최면술 (Delusions of Medicine, Charms, talismans, amulets, astrology, and mesmerism)
1877사진술을 이용한 태양에서의 산소 발견 (The Discovery of Oxygen in the Sun by Photography)미국 과학 예술 저널 게재.


참조

[1] 서적 The Orion Nebula: Where Stars Are Born Harva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Vasser Encyclopedia: Antonia Maury http://vcencyclopedi[...] Vassar College 2012-09-04
[3] 웹사이트 Henry Draper (1837–1882) https://web.archive.[...] 2007-01-05
[4] 서적 Catchers of the Light, Volume 1 - Catching Space https://books.google[...] ArtDeCiel Publishing
[5] 서적인용 The Orion Nebul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