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달은 지구의 유일한 자연 위성이자 밤하늘에서 태양 다음으로 밝게 보이는 천체이다. 달의 지형은 바다, 고지, 크레이터, 산, 산맥, 계곡 등으로 구분되며, 특히 남극-에이트켄 분지는 달에서 가장 큰 크레이터이다. 달의 내부는 지각, 맨틀, 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핵은 달 전체 질량의 2% 미만을 차지한다. 달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조석 작용을 일으키며 지구의 자전 속도를 늦추는 등 지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달의 기원에 대해서는 거대 충돌 가설이 가장 유력하며, 달 탐사는 미국, 구소련, 한국, 인도,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달은 인류 문화와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쳐, 시간 측정, 종교, 신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 정보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천문학 정보 - 토성
    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거대 가스 행성이며, 아름다운 고리, 많은 위성, 물보다 낮은 밀도, 빠른 자전으로 인한 편구체 형태, 북극의 육각형 구름, 그리고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로 특징지어진다.
  • 달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달 - 달 궤도
    달 궤도는 달을 공전하는 궤도를 의미하며, 소련의 루나 1호 발사 시도로 달 궤도 탐사가 시작되었고, 달의 질량 집중으로 인해 궤도가 불안정하며, 다양한 궤도 전이 방식과 라그랑주점을 이용한 궤도가 사용된다.
  • 위성 - 준위성
    준위성은 행성과 궤도를 공유하며 특정 궤도 공명 관계를 갖는 천체로, 말굽형 궤도가 대표적이며, 태양계 행성 및 왜행성 주위에서 발견되고, 물리적 특성 연구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위성 - 위성 전화
    위성 전화는 위성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로, 재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높은 통화 비용과 보안 문제, 법적 제한 등의 문제점도 있다.
달 기본 정보
밤하늘 어둠 속의 보름달. 밝은 톤의 영역과 더 어둡고 불규칙한 얼룩이 섞여 있고, 밝은 방출물 광선으로 둘러싸인 다양한 원이 흩어져 있습니다: 충돌 분화구.
달의 앞면, 달의 북극이 위에 있음
천체 이름
다른 이름루나
셀레네(시적)
신시아(시적)
형용사달의
셀레니아의(시적)
신시아의(시적)
달과 같은(시적)
위성 대상지구
궤도 정보
근지점362,600 km (356,400–370,400 km)
원지점405,400 km (404,000–406,700 km)
궤도 긴반지름384,399 km (1.28 광초, 0.00257 천문단위)
궤도 이심률0.0549
공전 주기27.321661일 (27일 7시간 43분 11.5초)
삭망월29.530589일 (29일 12시간 44분 2.9초)
평균 공전 속도1.022 km/s
궤도 경사황도에 대해 5.145°, 지구 적도에 대해 18.29°에서 28.58° 사이
승교점 경도18.61년 동안 한 번 회전하면서 후퇴
근점 경도8.85년 동안 한 번 회전하면서 진행
물리적 특성
납작률0.0012
적도 반지름1738.1 km (지구의 0.2725배)
극 반지름1736.0 km (지구의 0.2731배)
평균 반지름1737.4 km (지구의 0.2727배)
둘레10921 km (적도)
표면적3.793 × 107 km2 (지구의 0.074배)
부피2.1958 × 1010 km3 (지구의 0.02배)
질량7.346 × 1022 kg (지구의 0.0123배)
밀도3.344 g/cm3 (지구의 0.606배)
표면 중력1.622 m/s2 (0.165 g)
관성 모멘트 계수0.3929 ± 0.0009
탈출 속도2.38 km/s (8600 km/h)
자전 주기29.530589일 (29일 12시간 44분 2.9초; 삭망일; 조석 고정)
항성일27.321661일 (조석 고정)
자전 속도4.627 m/s
자전축 기울기황도에 대해 1.5424°
궤도면에 대해 6.687°
지구 적도에 대해 24°
기준 시대J2000
북극 적경17시 47분 26초
266.86°
북극 적위65.64°
알베도0.136
표면 온도
적도 최소 온도100 K
적도 평균 온도250 K
적도 최대 온도390 K
북위 85도 평균 온도150 K
북위 85도 최대 온도230 K
기타 정보
표면 등가 선량률1.369 mSv/d (57.0 μSv/h) (달 낮 시간 동안)
표면 흡수 선량률13.2 μGy/h (달 낮 시간 동안)
겉보기 등급-2.5에서 -12.9까지
-12.74 (평균 보름달)
절대 등급0.2
시직경29.3에서 34.1 각분
대기미량
표면 압력10-7 Pa (1 피코바) (낮)
10-10 Pa (1 펨토바) (밤)
대기 구성 성분헬륨
아르곤
네온
나트륨
칼륨
수소
라돈

2. 지형

달 표면은 크게 바다, 고지, 크레이터, 산과 산맥, 계곡 등으로 구분된다.

아폴로 17호가 찍은 사진.


아폴로 17호 우주비행사 해리슨 슈미트와 "트레이시의 바위(Tracy's Rock)"라고 불리는 큰 달의 바위

  • 바다: 현무암용암대지로 이루어져 검은색과 회색을 띤다.
  • 고지: 바다를 제외한 밝은 색조를 띠는 곳으로, 사장석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크레이터: 운석 충돌이나 화산 폭발로 생긴다.
  • 산과 산맥: 달 표면이 솟아오른 지형이다.
  • 계곡: 달 표면이 움푹 파인 곳이다.


높은 곳에서 본 회색의 많은 능선이 있는 표면. 가장 큰 특징은 높은 벽으로 둘러싸인 원형 고리 구조와 낮은 중앙 봉우리입니다. 지평선까지의 전체 표면은 더 작고 겹치는 유사한 구조로 가득 차 있습니다.
달의 뒷면에 있는 직경 의 큰 크레이터 데달루스의 모습


70km 길이의 월면 소용돌이, 라이너 감마의 광각 이미지


 
달의 지구를 바라보는 면 달의 뒷면



단층 절벽의 발견은 달이 지난 10억 년 동안 약 90m 정도 수축했음을 시사한다.[94] 수성에서도 유사한 수축 특징이 존재한다. 북극 근처에 있는 분지인 마레 프리고리스(Mare Frigoris)는 오랫동안 지질학적으로 죽은 것으로 여겨졌지만, 갈라지고 이동했다. 달에는 판구조론적 활동이 없기 때문에 지각 활동이 느리고, 열을 잃으면서 균열이 생긴다.[95]

과학자들은 1969년 아폴로 11호 착륙 지점에서 멀지 않은 고요의 바다 근처 달에 동굴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무너진 용암 튜브의 진입 지점으로 확인된 이 동굴은 너비 약 45미터, 길이 최대 80미터이다. 이 분석은 2010년 NASA의 달 정찰 궤도선이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동굴의 안정적인 온도는 극심한 온도, 태양 복사, 미소 운석으로부터 보호하여 미래 우주비행사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접근성과 눈사태 및 동굴 붕괴 위험과 같은 과제가 있다. 이 발견은 미래의 달 기지 또는 비상 대피소에 대한 잠재력을 제공한다.[96]

월면 소용돌이는 달 표면에서 발견되는 수수께끼 같은 지형이다. 이들은 높은 반사율을 특징으로 하며, 광학적으로 미성숙한 모습을 보이며, 종종 구불구불한 모양을 하고 있다. 그 모양은 밝은 소용돌이 사이를 감싸는 낮은 반사율 영역에 의해 더욱 두드러진다. 이들은 표면 자기장이 강화된 곳에 위치하며, 많은 소용돌이는 주요 충돌의 반대편 지점에 위치한다. 잘 알려진 소용돌이로는 라이너 감마 지형과 인게니움 바다가 있다. 이들은 태양풍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보호되어 우주 풍화작용이 느리게 진행된 지역일 것으로 추정된다.[128]

2. 1. 바다

현무암용암대지로 이루어진 달의 바다는 상대적으로 검은색과 회색을 띤다. 달의 앞면에서 31.2%의 면적을 차지하지만, 뒷면은 겨우 2.6%에 불과하다. 이 지역은 약 35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달에 바다가 있다고 착각하여 '달의 바다'라고 명명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대표적인 바다로는 고요의 바다, 위난의 바다 등이 있다.[97]

지구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주요 지형은 어둡고 비교적 특징 없는 달 평원으로, '마리아'(단수형 '마레')라고 부른다. 이는 "바다"를 뜻하는 라틴어로, 과거에는 물로 채워져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광대한 고대 현무암질 용암이 굳은 웅덩이이다. 지구의 현무암과 유사하지만, 달 현무암에는 철이 더 많고 물에 의해 변성된 광물은 없다.[98] 이러한 용암 퇴적물의 대부분은 충돌 분지와 관련된 함몰부로 분출되거나 흘러들어갔지만, 달에서 가장 큰 현무암 홍수 지역인 폭풍의 바다는 명확한 충돌 분지에 해당하지 않는다. 마리아의 용암 흐름의 서로 다른 시대는 표면 반사율의 변화와 뚜렷한 흐름 경계를 통해 종종 구분할 수 있다.[99]

마리아가 형성됨에 따라, 현무암질 용암의 냉각과 수축으로 일부 지역에 주름산맥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낮고 구불구불한 산맥은 수백 킬로미터까지 뻗어 있으며, 종종 마리아 내부에 매몰된 구조물의 윤곽을 나타낸다. 마리아 형성의 또 다른 결과는 가장자리를 따라 궁형 릴레라고 알려진 동심원형 함몰부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형은 마레 현무암이 자체 무게 아래로 안쪽으로 가라앉으면서 가장자리가 파열되고 분리될 때 발생한다.

눈에 보이는 마리아 외에도, 달에는 충돌에 의한 분출물로 덮인 마레 퇴적물이 있다. 암흑 마리아라고 불리는 이러한 숨겨진 마리아는 노출된 마리아보다 더 오래된 것 같다.[100] 반대로, 마레 용암은 많은 충돌 용융 시트와 웅덩이를 덮어 버렸다. 충돌 용융은 충돌로 인한 강한 충격파가 충돌 지점 주변의 영역을 기화시키고 녹일 때 형성된다. 여전히 노출된 곳에서는 분포, 반사율, 질감을 통해 충돌 용융을 마레 용암과 구분할 수 있다.[101]

달의 앞면 주요 화산 지형: 마리아(파란색)와 일부 분화구(갈색)


거의 모든 마리아는 달의 앞면에 있으며, 앞면 표면의 31%를 덮고 있다. 반면 뒷면은 2%에 불과하다.[103] 이는 앞면 지각 아래의 열 발생 원소의 농축 때문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로 인해 하부 맨틀이 가열되고, 부분적으로 녹아 표면으로 상승하여 분출되었을 것이다.[104][105]

임브리움의 바다의 오래된 굳은 용암 흐름이 주름산맥을 형성함

2. 2. 고지

달 표면에서 바다를 제외한 밝은 색조를 띠는 곳을 고지라고 부른다. 고지에는 분화구들이 빽빽하게 모여 있다. 고지를 이루는 광물은 주로 칼슘알루미늄이 많이 함유된 사장석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밝게 보인다. 약 45억 년 전쯤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3. 크레이터

크레이터는 달 표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형이다. 대부분의 크레이터는 운석 충돌로 생겨났지만,[119] 지름 1km 정도의 작은 분화구는 화산 폭발로 생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달의 앞면보다 뒷면에 크레이터가 더 많다. 티코, 케플러, 코페르니쿠스처럼 밝은 빛줄기가 나타나는 광조 크레이터도 있다.

달 표면에 영향을 미친 주요 지질 과정은 충돌구 생성이다.[119] 소행성과 혜성이 달 표면에 충돌하면서 크레이터가 형성된다. 달 근지점에는 지름이 1km보다 큰 크레이터가 약 30만 개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20] 달 크레이터는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지름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기본 유형은 다음과 같다.[121]

유형특징
단순한 크레이터매끄러운 그릇 모양 내부, 뒤집힌 가장자리
복합 크레이터평평한 바닥, 계단식 벽, 중앙 봉우리
피크 링 분지피크 링
다중 고리 분지2개 이상의 동심원형 봉우리 고리



대부분의 충돌구는 원형이지만, 캔터와 얀센과 같이 일부는 기저부의 단층과 절리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윤곽을 가지고 있다. 메시에 쌍, 쉴러, 다니엘과 같은 크레이터들은 길쭉한데, 이는 매우 비스듬한 충돌, 이중 소행성 충돌, 표면 충돌 전 충돌체의 파편화 또는 밀접하게 간격을 둔 2차 충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122]

달 지질 시대는 넥타리스, 임브리움, 오리엔탈레와 같이 수백에서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직경을 가진 다중 고리 형성과 같은 가장 두드러진 충격 사건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사건들은 광범위한 방출 물질 퇴적물과 관련이 있으며, 지역 층서적 지평선을 형성한다. 대기, 날씨, 그리고 최근의 지질학적 과정이 부족하다는 것은 이러한 많은 크레이터가 잘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돌구는 거의 일정한 속도로 축적되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크레이터의 수를 세어 표면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2차 크레이터의 잠재적인 존재로 인해 크레이터 계수 기법을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충돌로 인한 방출 물질은 종종 클러스터 또는 사슬로 나타나는 2차 크레이터를 생성할 수 있지만, 충격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있는 고립된 형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이것들은 1차 크레이터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며, 심지어 작은 크레이터 개체군을 지배할 수도 있으므로, 식별되지 않은 존재는 나이 추정치를 왜곡할 수 있다.[123]

아폴로 계획 동안 수집된 충격 용융암의 방사성 동위원소 연령은 38억 년에서 41억 년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증가된 충돌의 후기 대폭격 시대를 제안하는 데 사용되었다.[124]

2010년대 달 정찰 궤도선의 고해상도 이미지는 이전에 추정되었던 것보다 현저히 높은 현대 크레이터 생성 속도를 보여준다. 원거리 방출 물질에 의한 2차 크레이터 생성 과정은 81,000년이라는 시간 척도에서 최상위 2센티미터의 레골리스를 교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25][126] 이 비율은 직접적인 미소 운석 충돌만을 기반으로 한 모델에서 계산된 비율보다 100배 빠르다.[127]

2. 4. 산과 산맥

지구의 산처럼 달의 표면이 솟아오른 것을 산이라고 하고, 그 산들이 모여있는 것이 산맥이다. 달은 조석력에 의해 약간 찌그러진 타원체이며, 충돌 분지로 인한 중력 이상으로 인해 장축이 지구를 향하는 방향에서 30° 어긋나 있다. 달의 모양은 현재의 조석력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길쭉하다. 이러한 '화석 팽창'은 달이 현재 지구와의 거리의 절반(약 지구 반지름의 32배, 현재는 60.3배)에서 공전할 때 고체화되었음을, 그리고 현재는 너무 차가워서 현재의 궤도 거리에서 정수압 평형 상태를 회복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47]

2. 5. 계곡

달 표면이 움푹 파인 곳을 계곡이라고 한다. 슈뢰터 계곡이 대표적이다.

3. 달의 내부 구조

달의 내부 구조.


달의 내부는 크게 표면, 맨틀, 핵으로 나뉜다. 아폴로 11호가 월진계를 설치한 이후 달의 내부 구조 연구가 본격화되었다.[1]

달 표면의 두께는 평균 70km이다. 고지대는 약 100km, 저지대나 바다는 약 60km이다. 핵의 반지름은 300km에서 425km 사이이며, 나머지 부분은 맨틀이다. 달의 평균 반지름은 1740km이므로, 달의 핵은 달 전체 질량의 2% 미만을 차지한다고 추측된다.[1]

달의 내부 구조: 고체의 내핵(철-금속), 용융 외핵, 굳은 맨틀 및 지각.


달은 지구화학적으로 구별되는 지각, 맨틀, 그리고 행성 핵을 가진, 행성 분화된 천체이다.[54] 달은 반지름이 약 240km 정도인 고체의 철이 풍부한 내핵과, 반지름이 약 300km인 액체 철로 주로 이루어진 유체 외핵을 가지고 있다. 핵 주위에는 약 500km의 반지름을 가진 부분적으로 용융된 경계층이 있다.[55][56] 이러한 구조는 약 45억 년 전 달이 형성된 직후 전 지구적 마그마 바다의 분별 결정작용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57]

이 마그마 바다의 결정화는 광물인 감람석, 단사휘석, 그리고 사방휘석의 침전과 침강으로부터 마그마 맨틀을 생성했을 것이다. 마그마 바다의 약 4분의 3이 결정화된 후, 밀도가 낮은 사장석 광물이 형성되어 상부에 지각을 형성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정화된 액체는 처음에는 지각과 맨틀 사이에 끼어 있었을 것이며, 비호환성 원소와 열을 발생시키는 원소가 풍부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과 일치하게, 궤도에서 이루어진 지구화학적 매핑은 대부분 사장암으로 이루어진 지각을 시사한다. 맨틀의 부분 용융으로 표면으로 분출된 월석 샘플은 지구보다 철이 더 풍부한 마그마 맨틀 조성을 확인시켜 준다. 지각은 평균적으로 약 50km 두께이다.

달은 이오 다음으로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밀도가 높은 위성이다. 그러나 달의 내핵은 반지름이 약 350km 이하로 달 반지름의 약 20% 정도로 작다. 그 조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소량의 황과 니켈과 합금된 금속 철일 것이다. 달의 시간에 따른 회전 변화 분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상태임을 시사한다.[58] 달의 핵에서의 압력은 5GPa으로 추정된다.[59]

4. 밝기

달은 람베르트 표면이 아니기 때문에, 달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그 밝기가 달라진다. 위상에 따라서도 밝기가 변하는데, 상현이나 하현달(-9.9등급)일 때 보이지 않는 부분은 보름달(-12.6등급)의 절반이지만, 실제 밝기는 보름달의 1/12로 줄어든다. 이처럼 보름달일 때가 다른 위상의 달보다 급격히 밝아지는 현상을 충효과라고 한다.[170]

지구 대기의 영향으로 달의 색깔이 변하는 모습


달은 매우 낮은 알베도를 가지고 있어, 마모된 아스팔트보다 약간 더 밝은 반사율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이며, 태양 다음으로 밝다. 이는 부분적으로 충돌 증가에 의한 밝기 향상 때문이다. 반달은 보름달의 절반이 아닌 1/10 정도의 밝기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시각 체계의 색채 항상성은 물체의 색과 주변 환경의 색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주변 하늘이 상대적으로 어둡기 때문에 햇빛을 받는 달은 밝은 천체로 인식된다. 보름달의 가장자리는 밝기 감소 없이 중앙과 같은 밝기로 보이는데, 이는 달 토양의 반사 특성 때문이다. 달 토양은 다른 방향보다 태양 방향으로 빛을 더 많이 역반사한다.

5. 달의 기원설

달의 기원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어 왔다. 과거에는 분리설, 동시생성설, 포획설 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여러 증거를 통해 거대충돌설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 분리설: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지구 일부가 떨어져 나가 달이 되었다는 설이다. 하지만 지구-달 계의 현재 총 각운동량을 설명하기 어렵다.
  • 동시생성설: 달과 지구가 같은 물질로 동시에 생성되었다는 설이다. 지구와 비교하여 달에 금속 철이 부족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 포획설: 다른 곳에서 형성된 달이 지구 중력에 포획되었다는 설이다. 아폴로 계획으로 채취된 달 암석 분석 결과, 지구 맨틀과 달 암석의 화학 조성 및 산소 동위체 비가 유사하여 설득력이 떨어진다.

거대충돌설은 지구와 다른 천체의 충돌로 흩어진 물질이 지구 주회 궤도에서 집적하여 달이 생성되었다는 설이다. 지구와 화성 크기의 천체인 테이아가 충돌하여 증발하고 흩어진 두 천체의 맨틀 물질 일부가 지구 주회 궤도에서 집적되어 달이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 이 가설은 달의 질량, 지구-달 계의 총 각운동량, 달의 비중, 휘발성 원소 부족, 달 코어의 크기 등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월석의 동위원소 비율은 거대충돌설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제기된다.

최근에는 달이 한 번의 대규모 충돌이 아니라, 미행성의 작은 충돌이 여러 번 반복되어 형성되었다는 다중 충돌설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충돌 때마다 원시 지구 주위에 데브리 원반이 형성되고, 원반 물질이 집적되어 소위성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위성들은 최종적으로 합쳐져 단일 달이 된다.[331][332] 다중 충돌설은 단일 충돌보다 지구에서 더 많은 물질을 끌어낼 수 있으며, 달 구성을 지구와 유사하게 만들기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331][332]

5. 1. 쌍둥이설 (동시 생성설)

원시 지구를 돌고 있던 많은 미행성들이 뭉쳐 지구와 달이 동시에 생성되었다는 설이다. 그러나 지구에 비해 달의 철분 함량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어 설득력이 떨어진다.[1]

5. 2. 포획설

다른 곳에서 생성된 달이 지구 중력에 의해 포획되었다는 설이다. 하지만 달과 지구의 구성 성분이 매우 유사하고 달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78]

5. 3. 분리설

지구가 아직 굳지 않았을 때 지금의 대양 부분이 떨어져 나가 달이 되었다는 설이다.[90]

5. 4. 충돌설 (거대충돌 가설)

지구 형성 초기에 화성 크기의 천체 테이아가 지구와 충돌하여 두 천체가 합쳐졌고, 그 충격으로 우주 공간으로 날아간 파편들이 지구 주위를 회전하며 기체와 먼지 구름을 형성했는데, 이것이 모여 달이 되었다는 가설이다.[29][30]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가설의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달 암석의 화학 조성이 지구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도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25][26] 특히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 각도가 45도를 이루어 지구와 달이 공존하는 결과를 만들어 지구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테이아는 외부 천체이기 때문에 지구와 구성 성분이 다를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된다.

주류 이론에 따르면 지구-달 시스템은 화성 크기의 천체인 테이아가 원시 지구와 충돌한 후 형성되었다. 이 충돌로 인해 물질들이 지구 궤도로 튕겨져 나갔고, 이 물질들이 지구의 로슈 한계 바깥에서 뭉쳐져 달을 형성했다.

거대 충돌은 초기 태양계에서 흔했던 현상으로 여겨진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달의 핵 질량과 지구-달 시스템의 각운동량과 일치한다. 초기 시뮬레이션에서는 달의 대부분이 충돌체인 테이아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으나,[31] 2007년 이후의 모델들은 달의 상당 부분이 원시 지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32][33][34][35]

화성이나 베스타와 같은 다른 천체들은 지구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산소와 텅스텐 동위원소 조성을 가지고 있지만, 지구와 달은 거의 동일한 동위원소 조성을 보인다. 이는 충돌 후 기화된 물질이 혼합되어 동위원소가 균등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지만, 이 부분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36]

충돌로 인해 발생한 에너지는 지구 지각과 분출물을 모두 녹여 마그마 바다를 형성했을 것이다. 액체화된 분출물은 다시 지구-달 시스템으로 합쳐졌을 수 있다.[37] 새로 형성된 달 역시 자체적인 달 마그마 바다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 충돌 이론은 많은 증거를 설명하지만, 달의 구성과 관련된 몇 가지 의문점은 여전히 남아있다.[38] 2022년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거대 충돌이 달과 유사한 질량과 철 함량을 가진 위성을 지구의 로슈 한계 바깥쪽 궤도에 즉시 배치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40]

2023년 11월 1일, 과학자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테이아의 잔해가 여전히 지구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41][42]

6. 지구와의 관계

달은 지구와 약 45도 각도로 충돌하여 지구 중력에 끌려 위성이 되었고,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달은 지구에게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실제로 태양만큼이나 지구에 없어서는 안되는 소중한 천체이다. 달이 없다면 지금 지구의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으며 달로 인해 생명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되었다.[326]

달은 태양계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운 자연 천체이며, 인류가 도달한 유일한 지구 밖 천체이다. 지구에서 보이는 천체 중 태양 다음으로 밝게 빛나 보이며, 흰색으로 보이는데, 이는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광을 반사한 것이다.

지구에서 달을 관찰하면 지평선 또는 수평선 근처에서 크게 보이고, 하늘 높이 위치할 때는 작게 보이는 등 달의 크기가 변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사람 눈의 착시 현상 때문이다. 실제 달의 시직경은 팔을 뻗어 든 오엔 동전 구멍의 크기와 거의 같다.

태양광이 비치지 않는 부분도 육안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지구조'''(earthshine)라고 불리는 것으로, 지구에서 반사된 태양광이 달을 비추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달은 대기나 구름이 없고 암석뿐이며, 보름달이 밝게 보인다고 해도 달의 알베도(태양광을 반사하는 비율)는 약 7%이다. 그에 비해 지구는 면적으로 약 16배 크고, 알베도가 20-30%(구름이나 눈이 빛을 잘 반사한다)이며, 지구 쪽이 훨씬 강한 빛을 방출하고 있다.

달의 출몰 시에 붉은 달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아침노을이나 저녁노을과 같은 원리로,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기 때문에 달에서 오는 빛이 대기 중을 오랫동안 통과하여 붉은색 이외의 산란해 버리기 때문이다. 월식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달의 공전 궤도는 지구의 공전 궤도에 대해 약 5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이 기울기가 주기적으로 월식·일식을 일으키고 있다.[327]

6. 1. 달의 궤도

달은 지구에서 약 38만 5천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만유인력 때문에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고 있다. 태양이나 다른 행성의 인력은 무시해도 될 정도로 작다. 달 궤도의 반지름은 38만 4,400km이며, 이것이 달과의 평균 거리가 된다.

지구, 달, 그 사이의 거리를 실제 축척으로 표현한 그림. 노란 선의 진행은 빛의 속도를 나타낸다.


달 궤도의 이심률(離心率, e)은 0.05488이며, 지구와 달의 거리는 36만 3,300km에서 40만 5,500km 범위에서 변화한다.

달의 궤도면은 황도에 대해 5°9′ 기울어져 있다. 이로 인해 태양의 우력(偶力)이 작용하여 궤도면이 18.61년 주기로 방향을 바꾼다. 천구상에서 달의 궤도를 백도라고 한다.

달은 매년 지구로부터 3.8cm씩 멀어지고 있다.[359]

6. 2. 상대적인 크기

달은 지구 지름의 약 1/4, 질량의 약 1/81이다.[360] 태양계에서 행성과 위성의 크기 비가 가장 큰 위성이지만,[361] 지구-달은 이중행성계보다는 지구-위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지구와 달의 무게중심이 지구 표면 아래 1700 km(지구 반지름의 1/4)에 위치하기 때문이다.[362]

6. 3. 지구에서 본 모습

달은 석탄과 비슷한 반사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작은 알베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은 태양 다음으로 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물체이다.[360] 이것은 부분적으로 반대효과(opposition effect)의 밝기 향상 때문이다. 달이 1/4일 때, 보름달일 때의 1/10 정도의 밝기이며 반달의 1/2 정도의 밝기이다.[363] 부가적으로 시각계에서 색의 항상성은 물체와 그 물체 주위의 색깔 관계를 재조정한다. 따라서 둘러싸고 있는 하늘이 비교적 어둡기 때문에 햇빛 비치는 달을 밝은 물체로 인식한다. 주연 감광 없이 보름달의 끝부분은 달의 중심만큼 밝아 보인다. 이는 어느 방향보다도 태양 쪽으로 더 많은 빛을 반사하는 달의 토양의 반사적인 특징 때문이다. 달은 지평선에 가까워질 때 더 커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BC 7세기에 처음으로 묘사된 달의 착시라고 알려진 단순한 정신적 작용이다.[364]

달은 매우 낮은 알베도를 가지고 있어서, 마모된 아스팔트보다 약간 더 밝은 반사율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이며, 태양 다음으로 밝다. 이는 부분적으로 충돌 증가에 의한 밝기 향상 때문이다. 반달은 만월의 절반이 아닌 1/10 정도의 밝기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시각 체계의 색채 항상성은 물체의 색과 주변 환경의 색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주변 하늘이 상대적으로 어둡기 때문에 햇빛을 받는 달은 밝은 천체로 인식된다. 만월의 가장자리는 밝기 감소 없이 중앙과 같은 밝기로 보이는데, 이는 달 토양의 반사 특성 때문이다. 달 토양은 다른 방향보다 태양 방향으로 빛을 더 많이 역반사한다. 달의 색깔은 달이 반사하는 빛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다시 달 표면과 특징, 예를 들어 크고 어두운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달 표면은 갈색을 띤 회색 빛을 반사한다.[170]

때때로 달은 붉거나 파랗게 보일 수 있다. 월식 중에는 태양빛의 붉은 스펙트럼이 지구 대기에 의해 달에 굴절되기 때문에 붉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붉은색 때문에 월식은 때때로 블러드 문이라고도 불린다. 달은 또한 저각도에서 두꺼운 대기를 통과하여 나타날 때 붉게 보일 수 있다. 공기 중에 특정 입자,[170] 예를 들어 화산 입자[171]가 존재할 때 파랗게 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루 문이라고 부를 수 있다.

"붉은 달"과 "푸른 달"이라는 단어는 1년 중 특정 보름달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항상 붉거나 푸른 달빛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태양계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운 자연 천체이며, 인류가 도달한 유일한 지구 밖 천체이기도 하다. 지구에서 보이는 천체 중 태양 다음으로 밝게 빛나 보이며, 흰색으로 보이는데, 이는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광을 반사한 것이다.

6. 4. 달의 위상변화

달과 지구는 태양 빛을 받고 있기 때문에 달의 모양은 지구와 태양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달리 보인다. 이렇게 달이 달라 보이는 것을 위상 변화라고 한다. 이러한 변화는 달, 지구, 태양의 상대 위치가 바뀌면서 달이 지구 쪽으로 반사하는 태양 빛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생긴다. 달, 지구, 태양의 상대 위치가 규칙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달의 위상변화도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초저녁 서쪽하늘에 오른쪽만 밝은 얇은 초승달로 시작해서 점점 커져서 반달이 되고 보름달이 된다. 그 후에 새벽에 동쪽하늘에 왼쪽만 밝은 가느다란 그믐달이 된다.[365]

태양광선 방향과 지구에서 바라보는 시선 사이의 각도가 매달 변화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달의 위상(북반구에서 관측). 지구-달 거리는 축척에 맞춰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달 표면의 절반은 항상 태양에 의해 밝게 비춰진다(달이 월식을 할 때를 제외하고). 지구 또한 달에 빛을 반사하는데, 태양에 의해 비춰지지 않는 달의 앞면 영역에서 지구로 반사되어 돌아올 때 지구조명으로 관측될 수 있다.

달의 황도면에 대한 자전축 기울기가 1.5427°이기 때문에, 매 용년(346.62일)마다 태양은 달의 적도에서 1.5427° 북쪽에 위치한 곳에서 1.5427° 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다시 돌아온다. 마치 지구에서 태양이 매 태양년마다 북회귀선에서 남회귀선으로 이동한 후 다시 돌아오는 것과 같다. 따라서 달의 극지방은 용년의 절반 동안 어둠 속에 잠기거나(또는 태양의 일부만 보이는 경우) 절반 동안 밝게 비춰진다. 극지방 근처의 수평면에 떨어지는 햇빛의 양은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이러한 "계절"은 적도 지역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달의 위치가 다르면 달의 여러 영역이 태양에 의해 다르게 비춰진다.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이렇게 달의 여러 영역이 비춰지는 모습은 삭망월 동안 다양한 달의 위상을 만들어낸다. 위상은 태양에 의해 밝게 비춰지는 보이는 달 구의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면적 또는 ''조도''는 (1-\cos e)/2=\sin^2(e/2)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e는 이각(즉, 달, 지구 관측자, 그리고 태양 사이의 각도)이다.

달의 밝기와 겉보기 크기는 지구 주위를 도는 타원형 궤도 때문에 변화한다. 근지점(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는 달이 원지점(가장 먼 지점)보다 최대 14% 가까이 지구에 접근하기 때문에, 최대 30% 더 큰 입체각을 이룬다. 따라서 같은 위상이라도 달의 밝기는 원지점과 근지점 사이에서 최대 30%까지 변한다.[164] 이러한 위치에 있는 보름달(또는 신월)을 슈퍼문이라고 한다.[165][166][167]

지구에서 보아 태양과 달이 같은 방향에 있는 순간을 '''삭'''(朔) 또는 '''신월'''(新月)이라고 한다. 일본과 중국의 음력에서 사용된 태음력·태음태양력에서는 삭을 포함하는 날을 초하루(제1일)로 한다.[334][335]

삭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일 단위로 나타낸 수치를 '''월령'''(月齢)이라고 한다. 삭의 순간을 월령 0으로 하고, 삭을 포함하는 날(삭일)을 「1일」(一日)로 하기 때문에, 일본에서 사용되는 음력의 날짜는 그날 자정의 월령에 1을 더한 것이 된다.[336]

달에는 월상(달의 차고 기움)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다. 먼저, 천문학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으로는 「삭(朔), 상현(上弦), 망(望), 하현(下弦)」의 네 가지가 있다. 태양과 달의 황경차가 각각 0도인 상태를 삭, 90도를 상현, 180도를 망, 270도를 하현이라고 한다.

월상대략적인 월령달이 뜨는 횟수주요 명칭
0·삭(朔)01신월(新月)
112이일월(二日), 기삭(既朔)
223삼일월(三日月)
반달(弦月)7.57반달, 칠일월(七日月), 궁장월(弓張月)
121213십삼일월(十三日月), 십삼야월(十三夜月)
131314십사일월(十四日月), 소망월(小望月), 기망(幾望), 대소의 달(待宵の月)
14·망(望)1415십오일월(十五日月), 십오야(十五夜), 망월(望月), 보름달
151516십육야(十六夜), 십육일월(十六日月), 기망(既望)
161617십칠일월(十七日月), 입대월(立待月)
171718십팔일월(十八日月), 거대월(居待月)
181819십구일월(十九日月), 침대월(寝待月), 와대월(臥待月)
191920이십일월(二十日月), 갱대월(更待月)
21·반달(弦月)22.523반달, 이십삼일월(二十三日月), 궁장월(弓張月)


6. 5. 개기월식과 부분월식

개기월식


월식은 달이 보름달일 때,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이다. 이때 달 전체가 가려지면 개기월식, 달의 일부만 가려지면 부분월식이라고 한다. 개기월식 때 태양빛이 달에 반사되어 붉게 보이는 현상을 레드문(또는 옐로문)이라고 한다.

7. 달 탐사

1957년 스푸트니크 1호 인공위성이 궤도를 돌고 난 이후, 미국과 소련은 달 탐사를 목표로 우주 개발 경쟁을 벌였다. 이후 한동안 달 탐사가 중지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일본,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다시 재개되었다.

달에서 본 지구


냉전의 영향으로 미국과 소련은 유인 달 탐사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우주 개발 경쟁)했다. 초기에는 소련이 루나 계획을 통해 루나 1호를 달 근방에 접근시키고, 루나 2호를 달 표면에 충돌시켰으며, 루나 3호로 달의 뒷면을 촬영했다. 루나 9호는 최초로 달 연착륙에 성공했고, 루나 10호는 최초로 달 궤도에 진입했다.

미국은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고요의 바다에 착륙시켜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디뎠다. 아폴로 계획1972년 아폴로 17호까지 계속되었으나, 아폴로 13호는 사고로 달 착륙에 실패했다.

아폴로 계획은 막대한 비용 문제로 17호를 끝으로 중단되었다. 소련은 소유즈 L3 계획을 중단하고, 1970년부터 1976년까지 루나 16호, 루나 20호, 루나 24호로 달 토양 표본을 지구로 가져왔다.

2004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2020년까지 유인 달 탐사 재개를 발표했으나, 콘스텔레이션 계획은 예산 문제로 중단되었다.

2020년부터 여러 국가들이 달 유인 기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의 디트리히 뵈르너 국장은 달 정거장 건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중국헬륨-3 채굴을 목표로 창어 4호를 달 뒷면에 착륙시키는 등 달 탐사에 적극적이다. 일본은 SELENE(가구야) 계획으로 달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장기적으로 달 기지 건설 구상도 진행 중이다.

7. 1. 미국

1958년 미국은 달을 목표로 파이어니어 1호를 발사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여러 차례의 실패를 거듭했다. 1964년 레인저 7호가 텔레비전 카메라로 달 표면을 관측하고 4,308장의 사진을 전송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1966년에는 서베이어 1호가 달 표면에 연착륙했고, 루나 오비터 1호는 달 궤도를 도는 위성이 되었다. 1967년 서베이어 6호는 연착륙 후 다시 이륙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1961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아폴로 계획을 통해 달 탐사를 진행했다. 1968년 아폴로 7호는 지구 궤도를 돌며 우주선 성능을 시험했고, 아폴로 8호는 최초로 사람을 태우고 달 주위를 돌았다.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고,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디뎠다.

지구돋이, 달에서 인간이 촬영한 최초의 컬러 지구 이미지로, 아폴로 8호(1968) 기간 중에 촬영되었다. 유인 우주선이 지구 궤도를 벗어나 다른 천체에 도달한 최초의 사례이다.


'''아르테미스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미국 항공 우주국을 중심으로 유럽 우주국,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캐나다 우주국이 협력하여 유인 달 탐사와 유인 화성 탐사를 목표로 하는 계획이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2022년 아르테미스 1호 미션에서 SLS 로켓으로 오리온 우주선을 무인 발사하여 성능을 확인했다. 2024년에 아르테미스 2호 유인 발사 미션이 예정되어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달의 극 지점에 영구 기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7. 2. 구소련

1959년 1월 2일 구소련이 발사한 루나 1호는 달 표면에서 약 6000km 떨어진 곳을 통과했고, 같은 해 9월 12일 발사한 루나 2호는 인공 물체로는 최초로 달 표면에 충돌했다.[196] 같은 해 10월 4일 발사한 루나 3호는 그 때까지 인간이 관측한 적이 없는 달의 뒷면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지상으로 전송했다.

1965년 5월 9일 발사한 루나 5호는 달 표면에 관측선을 연착륙시키려 했으나 실패하여 달에 충돌했다. 1966년 1월 31일 지구를 출발한 루나 9호는 최초로 달 표면에 연착륙하여 텔레비전 카메라 등으로 관측하고 3일간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같은 해 3월 31일 구소련이 발사한 루나 10호는 최초로 달 주위를 도는 위성이 되어 상공에서 달 표면을 탐사했다.

1968년 9월 15일 구소련이 발사한 존드 5호는 달을 순회하고 6일 후 인도양으로 귀환하여 구소련의 유인 달 비행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구소련은 끝내 달에 유인 우주선을 보내지 못했다.

이후 루나 16호, 루나 20호, 루나 24호가 달 암석 표본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했다.

7. 3. 한국

2022년 다누리를 발사하여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함으로써,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 달 탐사 국가가 되었다.[366]

7. 4. 인도

2008년 10월 22일 인도는 달 탐사를 위한 찬드라얀 1호를 발사했고,[367] 2009년 9월 26일에는 달에서 물을 발견하였다.[368] 인도2018년경 달 착륙을 목표로 한 찬드라얀 2호를 계획하고 있으며,[370] 2020년에는 유인 우주선의 달 착륙을 계획하고 있다.[371]

7. 5. 중국

2007년 10월 25일 중국은 창어 계획의 일환으로 달 탐사용 위성인 창어 1호를 발사하였다.

7. 6. 일본

2007년 9월 14일 일본은 달 탐사용 위성 셀레네 (가구야)를 발사했다.[369]

7. 7. 관련 법률

소비에트 연방과 미국은 달 표면에 상징적인 깃발을 꽂았지만, 어느 나라도 달 표면의 일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는다. 러시아와 미국은 달을 공해와 같이 여기는 우주 조약(Outer Space Treaty)에 가입하고 있다.[372] 이 조약은 달을 평화적인 용도로 사용하도록 제한하며, 군사 시설이나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 살상 무기 설치를 금지한다.

달의 자원을 어느 한 국가가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달 조약(Moon Treaty)이 제안되었으나, 우주 개발에 참여하는 국가는 참여하지 않았다.

1967년 우주 조약은 달과 모든 우주를 "모든 인류의 영역"으로 정의한다. 이 조약은 달의 사용을 평화적인 목적으로 제한하고, 군사 시설과 대량살상무기를 명시적으로 금지한다. 대부분의 국가가 이 조약의 당사국이다. 1979년 달 협정은 달 자원 착취를 제한하고 국제 규제 체제에 맡기기 위해 만들어졌으나,[250] 2020년 1월 기준 18개국만이 서명 및 비준했으며, 그중 유인 우주 비행 능력을 가진 국가는 없다.

2020년 이후 여러 국가들이 미국에 합류하여 아르테미스 협정에 참여했다. 미국은 대통령 행정 명령("우주 자원 회수 및 사용에 대한 국제적 지원 장려")에서 "미국은 우주를 '세계 공유지'로 보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달 협정을 "자유 기업을 억제하려는 실패한 시도"라고 비판한다.[251][252]

호주는 1986년 달 조약과 2020년 아르테미스 협정에 모두 서명 및 비준하면서 두 조약을 조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253] 이러한 맥락에서 달 조약의 단점을 보완하고 아르테미스 협정과 같은 다른 법률 및 협정과 조화시켜 더 널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달 조약의 ''이행 협정''이 제안되었다.[254][255]

8. 관련 문화

달은 인류의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을 밝혀주는 가장 밝은 빛이자 차고 기우는 주기를 가지고 있다. 음력은 달을 기준으로 하며, 양력(월)의 명칭과 기간, 월요일(Monday영어)의 명칭도 달에서 기원하였다.[177]

일부 학자들은 최대 4만 년 전(기원전)의 동굴벽화에 그려진 황소와 기하학적 무늬,[177] 또는 2만~3만 년 전의 tally stick(셈돌)이 달의 위상을 관찰하고, 달의 삭망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믿는다.

네브라 하늘 원반(기원전 1800~1600년경)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낙사고라스는 태양과 달이 모두 거대한 구형 암석이며, 달은 태양의 빛을 반사한다고 추론했다.[185]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4세기 사이에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18년 주기의 사로스 주기를 기록했고,[186] 인도 천문학자들은 달의 월별 신장을 설명했다. 중국 천문학자 석신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달이 변화하는 원소(흙, 물, 공기, 불)의 영역과 에테르의 불멸의 별들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 지배적인 철학이었다.[187]

한나라 시대 중국인들은 달이 '기(氣)'와 같은 에너지라고 믿었고, 달의 빛이 태양의 반사라는 것을 인식했다. 경방은 달의 구형임을 언급했다.

터키, 파키스탄, 몰디브,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 국기에는 초승달이 그려져 있다.

팔라우 국기는 밝은 파란색 바탕에 황금색 보름달을 그려 넣었다.

8. 1. 일반적인 인식

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조선 초기에 저술된 《천문류초》에서는 달을 대음(大陰)의 정수이자 '음'의 우두머리로, 해와 짝을 이루는 존재로 설명한다. 달의 궤도는 황도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청도, 적도, 백도, 흑도로 구분되었다.
  • 미얀마에는 달의 여신의 자비를 받은 홀아비 할아버지가 쌀겨를 먹여 기른 토끼와 함께 달에서 산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일본에는 대나무에서 태어난 아이가 성장하여 달로 돌아간다는 '다케토리 이야기(竹取物語)'가 전해진다.
  • 원시 시대의 남자들은 달을 유혹자라고 상상하기도 했다. 달은 월경이 있는 밤마다 자신들이 여성과의 쾌락을 포기하고 있는 사이에 여성과 잠자리를 같이 한다고 생각했다. 여성들은 달을 수호신으로서 숭배했다. 달이 그녀들에게 남성의 금욕 기간을 주었기 때문이다.[374]
  • 달과 관련된 다양한 전설이 있으며, 달의 바다와 육지가 만들어내는 모양에 대한 상상도 다양하다.[373]
  • 달의 위상을 관찰하고, 달의 삭망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 선사 시대부터 인간은 달을 묘사하고, 나중에는 달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자신과 우주론에 대한 중요성을 기술해 왔다. 달은 정령이나 신, 또는 그 측면이나 점성술에서의 측면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특징지어지고 연관되어 왔다.
  • 현대에는 텔레비전이나 잡지 등에서 월령이 인간의 생리적, 정신적 현상(예를 들어 출산, 자살, 살인, 교통사고의 발생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나오곤 하지만, 정확한 데이터나 명확한 근거는 없다.
  • 월령과 폭력 행위의 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2007년 초 폴란드의 과학자 Michal Zimecki가 확인했다고 알려졌지만, 시드니대학교와 뉴사우스웨일스주 맨리 병원의 연구자들이 1998년 심리학 전문지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에 발표한 내용에서는 "양자 간에 특별한 관련성은 없다"라고 밝혔다. 2007년 6월 5일, 영국 남부 서식스 주 경찰의 한 경찰서가 "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범죄가 증가한다"고 발표하고, 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경찰관을 더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했으나,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339]

8. 1. 1. 동아시아

달은 계수나무 밑에서 절구를 찧는 토끼로 비유되거나, 와 함께 하늘에서 쫓겨난 항아가 불사약을 먹고 두꺼비가 되어 숨은 곳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43] 한국에는 남매가 해와 달이 되었다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가 전해진다.

동아시아에서는 달의 바다를 토끼가 떡을 찧고 있는 모습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떡방아). 달과 토끼의 유래는 인도 불교 설화집 『자타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중국에서는 달을 옥토(玉兎)라고 불렀다. 옥토 외에도 선녀(항아)나 두꺼비(두꺼비) 전설도 있다.

중국 전설에서는 달에 계수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우강이라는 남자가 베려고 한다고 전해진다. 또, 남편 를 배신한 항아가 변한 두꺼비(두꺼비)가 살고 있다고도 한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는 달의 무늬를 토끼의 모습으로 보았다. 또한, 달의 통로를 따라 28개의 별자리를 만들어 "이십팔수"라 부르며, 달은 하루에 이 별자리를 하나씩 방문하여 천공을 여행한다고 생각했다. 태국에는 달의 마을이라고 불리는 찬타부리가 있으며, 그 군문장에는 달과 토끼가 그려져 있다.

달은 음의 상징이 되어 여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었다. 『고사기』에서는 황천에서 돌아온 이자나기가 몸을 씻을 때 오른쪽 눈을 씻은 물에서 태어난 츠쿠요미(月読の命)가 달의 신격으로, 밤을 다스린다고 여겨진다. 동시에 왼쪽 눈에서 태어난 것이 아마테라스로, 태양의 여신이다.

이야기』에서는 대나무에서 태어난 절세의 미녀 '''카구야히메'''는 달에서 왔다고 밝히고, 달로 돌아갔다. 그 외에 『금석고집』의 인도 부분에 기록된 "세 마리 짐승, 보살의 도를 수행하며, 토끼가 몸을 태우는 이야기"라는 설화의 결말에서 제석천이 불 속에 뛰어든 토끼를 달 속으로 옮겼다고 되어 있으며, 일본에도 달에는 토끼가 산다는 전승이 있다.

; 달맞이

주로 가을에 달을 감상하는 행사로, 대표적인 것은 추석 보름달이다. 추석 보름달은 반드시 만월은 아니다. 음력 8월(그레고리력 9월경)은 건조하여 달이 선명하게 보이고, 달이 뜨는 높이도 적당하며, 기후적으로도 쾌적하기 때문에 달맞이에 좋은 계절로 여겨졌다.

; 계절어로서의 달

하이쿠 세계에서 단순히 "달"이라고 할 경우, 가을의 달을 가리키며, 그 외 계절의 달은 "봄달", "여름달", "장마달", "번달", "겨울달" 등으로 불러 구별한다. 가을의 달은 에 대해 겨울과 함께 설월화라고 불리는 "3대 계절어" 중 하나이다. "'''나무 사이로 비치는 달빛을 보니 마음 깊은 가을이 왔구나'''" 익명(『고킨와카슈』), "'''달을 보니 여러 가지 일이 슬프구나 나의 몸 하나의 가을은 아니지만'''" 오에노센리(같은 책) 등, 가을의 달을 칭송하고, 달을 바라보며 생각하는 마음은 예로부터 와카에 지어져 내려왔다.

  • 다른 이름
  • * 상현
  • * 하현(かげん・げげん)
  • * 궁장월(편할월·현월·반월)
  • * 달의 배
  • * 달의 활
  • * 뜨는 달
  • * 지는 달(내리는 달·망くだり)
  • * 유명(유명월)
  • * 아침달(아침달밤(아사즈쿠요))

8. 1. 2. 유럽

아리스토텔레스는 달이 에테르로 구성된 하늘과 4원소가 변환되는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라고 생각했다. 그리스 신화아르테미스는 달의 여신이다.[373][374]

9. 달의 명칭

지구의 자연 위성에 대한 일반적인 영어 고유 명사는 단순히 ''Moon''(M 대문자)이다.[11] ''moon''이라는 명사는 고대 영어 mōnaang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모든 게르만어족 동족어와 마찬가지로) 원게르만어 ''*mēnōn''[12]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다시 원인도유럽어 ''*mēnsis'' '달'(이전의 ''*mēnōt'', 소유격 ''*mēneses'')에서 유래하며, 시간을 '측정하는' 동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때때로, '''Luna'''라는 이름이 과학 논문,[14] 특히 과학 소설에서 지구의 달을 다른 달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시에서는 "Luna"가 달의 의인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15] '''Cynthia'''는 또 다른 시적인 이름이지만, 드물게 달을 여신으로 의인화하여 사용된다.[16] 반면 '''셀레네'''(문자 그대로 '달')는 달의 그리스 여신이다.

달과 관련된 영어 형용사는 ''lunar''인데, 달을 의미하는 라틴어 lūnala에서 유래했다. ''Selenian''[17]은 천체가 아닌 세계로서 달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형용사이지만,[18] 사용은 드물다. 이는 달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σελήνηel에서 유래했으며, 그 동족어인 ''selenic''은 원래 드문 동의어[19]였지만 이제 거의 항상 화학 원소 셀레늄을 가리킨다.[20] 원소 이름 ''selenium''과 접두사 ''seleno-''(예: 달의 물리적 특징에 대한 연구인 ''셀레노그래피'')는 이 그리스어에서 유래한다.[21]

아르테미스는 그리스의 황야와 사냥의 여신으로, 달의 여신(셀레네)으로도 여겨졌으며, 킨토스 산 출생지에 따라 킨티아라고 불리기도 했다.[22] 그녀의 로마 신화에 해당하는 신은 디아나이다. Luna, Cynthia, Selene이라는 이름은 ''apolune'', ''pericynthion'', ''selenocentric''과 같은 달 궤도에 대한 전문 용어에 반영되어 있다.

달의 천문 기호는 초승달/그믐달(-- --)이며, 예를 들어 ''M'' '달 질량'(또는 ''ML'')에서 볼 수 있다.

9. 0. 1. 동아시아

달은 태양(太陽)과 대비되는 태음(太陰)으로 여겨졌지만 해와 달리 태음이라고 불리지는 않는다.

한자의 달 월


참고로, 한자의 「月」은 움푹 들어간 달의 모양을 그린 상형 문자이다.[297][298]

9. 0. 2. 유럽

Σελήνη|셀레네el (Artemis|아르테미스el), Luna|루나la (Diana|디아나la), Moon|문영어, Mond|몬트de, Lune|륀프랑스어이라고 한다.

9. 0. 3. 기타

스와힐리어로는 'mwezi', 에스페란토로는 'luno'라고 한다.[177]

독일어에서는 Mondde(몬트), 프랑스어에서는 Lune프랑스어(뤼느), 영어에서는 Moon영어(문), 라틴어에서는 Lunala(루나), 산스크리트어에서는 चंद्रsa(찬드라), 그리스어에서는 Σελήνηel(셀레네)라고 한다. 옛날에는 태양에 대하여 '''달'''이라고도 했다. 일본어에서는 「ツキ(츠키)」라고 하지만 나라 시대 이전에는 「ツク(츠쿠)」라는 어형이었다고 추정된다.

참고로, 한자의 「月」은 움푹 들어간 달의 모양을 그린 상형 문자이다.[297][298]

또한 「月」은 넓은 의미로는 「어떤 행성에서 보아 그 주위를 도는 위성」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포보스화성의 달이다」라고 표현한다.

참조

[1] 논문 Topography of the Moon from the Clementine lidar 1997-01-01
[2] 서적 Top 10 of Everything Octopus Publishing Group Ltd
[3] 서적 The Moon and How to Observe It https://books.google[...] Springer
[4] 서적 Lednorf's Dilemma AuthorHouse
[5] 논문 Determination of selenographic positions
[6] 논문 via usgs.gov http://astropedia.as[...] 2018-09-26
[7] 학회자료 Two-Phase Thermal Switching System for a Small, Extended Duration Lunar Surface Science Platform 2010-01-01
[8] 논문 First measurements of the radiation dose on the lunar surface
[9] 웹사이트 Encyclopedia - the brightest bodies https://promenade.im[...] 2023-06-01
[10] 뉴스 Is the 'full moon' merely a fallacy? https://www.nbcnews.[...] 2023-05-30
[11] 웹사이트 Naming Astronomical Objects: Spelling of Name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4-06
[12] 서적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https://archive.org/[...] Brill 2020-03-05
[13] 웹사이트 Late Proto-Indo-European Etymological Lexicon https://indo-europea[...] 2020-05-22
[14] 서적 Moons of the Solar System Springer International 2016
[15] 사전 Luna
[16] 사전 Cynthia
[17] 사전 selenian
[18] 사전 selenian
[19] 사전 selenic
[20] 사전 selenic
[21] 사전 σελήνη
[22] 서적 When the Bad Bleeds: Mantic Elements in English Renaissance Revenge Tragedy https://books.google[...] V&R unipress GmbH
[23] 웹사이트 The two-faced Moon https://www.planetar[...] 2022-03-14
[24] 웹사이트 Exploring the Planets: Chapter 4. The Moon https://explanet.inf[...]
[25] 논문 Early Moon formation inferred from hafnium-tungsten systematics 2019-07-01
[26] 뉴스 The Moon is older than scientists thought https://www.universe[...]
[27] 논문 Early formation of the Moon 4.51 billion years ago 2017
[28] 논문 Origin of the moon–The collision hypothesis 1987
[29] 뉴스 Asteroids Bear Scars of Moon's Violent Formation http://news.national[...] 2015-04-16
[30] 논문 Scaling in global tidal dissipation of the Earth-Moon system 2017-07-01
[31] 논문 Origin of the Moon in a giant impact near the end of Earth's formation 2001
[32] 잡지 Earth-Asteroid Collision Formed Moon Later Than Thought http://news.national[...] 2010-10-28
[33] 논문 2008 Pellas-Ryder Award for Mathieu Touboul http://digitalcommon[...] 2008
[34] 논문 Late formation and prolonged differentiation of the Moon inferred from W isotopes in lunar metals 2007
[35] 잡지 Flying Oceans of Magma Help Demystify the Moon's Creation http://news.national[...] 2015-04-08
[36] 간행물 Moonwalk (summary of meeting at Meteoritical Society's 72nd Annual Meeting, Nancy, France) http://www.geolsoc.o[...] 2009-00-00
[37] 논문 Magma ocean formation due to giant impacts 1993-00-00
[38] 논문 Impact Theory Gets Whacked 2013-10-11
[39] 논문 Zirconium isotope constraints on the composition of Theia and current Moon-forming theories 2016-09-01
[40] 논문 Immediate Origin of the Moon as a Post-impact Satellite 2022-10-04
[41] 뉴스 A 'Big Whack' Formed the Moon and Left Traces Deep in Earth, a Study Suggests - Two enormous blobs deep inside Earth could be remnants of the birth of the moon. https://www.nytimes.[...] 2023-11-01
[42] 논문 Moon-forming impactor as a source of Earth's basal mantle anomalies https://www.nature.c[...] 2023-11-01
[43] 웹사이트 Earth-Moon Dynamics https://www.lpi.usra[...]
[44] 논문 Early evolution of the Earth-Moon system with a fast-spinning Earth 2015-08-00
[45] 잡지 NASA: The Moon Once Had an Atmosphere That Faded Away https://time.com/497[...] 2017-10-09
[46] 웹사이트 Lunar Far Side Highlands https://sci.esa.int/[...] 2006-07-14
[47] 논문 The tidal-rotational shape of the Moon and evidence for polar wander https://escholarship[...]
[48] 논문 Moons are planets: Scientific usefulness versus cultural teleology in the taxonomy of planetary science 2021-00-00
[49] 웹사이트 Space Topics: Pluto and Charon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50] 웹사이트 How big is the Moon? https://theconversat[...] 2019-07-18
[51] 웹사이트 Five Things to Know about the Moon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solarsystem.[...] 2021-07-28
[5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Moon https://www.astronom[...] 2023-09-07
[53] 웹사이트 Global Island Explorer https://rmgsc.cr.usg[...]
[54] 논문 Interpretation of lunar potential fields 1977-03-31
[55] 웹사이트 NASA Research Team Reveals Moon Has Earth-Like Core http://www.nasa.gov/[...] 2011-01-06
[56] 논문 Seismic Detection of the Lunar Core http://www.earth.nor[...] 2011-01-21
[57] 논문 Timing of crystallization of the lunar magma ocean constrained by the oldest zircon 2009-00-00
[58] 논문 Lunar laser ranging science: Gravitational physics and lunar interior and geodesy 2006-00-00
[59] 논문 The Case Against an Early Lunar Dynamo Powered by Core Convection 2018-01-00
[60] 잡지 How Neil Armstrong's Moon Spacesuit Was Preserved for Centuries to Come https://time.com/542[...] 2018-10-12
[61] 잡지 How Do You Pick Up Something on the Moon? https://www.wired.co[...] 2013-12-09
[62] 논문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1968-00-00
[63] 논문 The Mystery of Our Moon's Gravitational Bumps Solved? 2013-04-12
[64] 논문 Recent gravity models as a result of the Lunar Prospector mission http://techreports.j[...] 2001-00-00
[65] 논문 The end of the lunar dynamo
[66] 웹사이트 Magnetometer / Electron Reflectometer Results http://lunar.arc.nas[...] Lunar Prospector (NASA) 2001-00-00
[67] 논문 Formation of magnetic anomalies antipodal to lunar impact basins: Two-dimensional model calculations 1991-00-00
[68] 웹사이트 Lunar horizon glow from Surveyor 7 https://www.planetar[...] 2016-05-06
[69] 웹사이트 NASA Mission To Study Mysterious Lunar Twilight Rays https://science.nasa[...] 2013-09-03
[70] 논문 Lunar Dust Levitation https://ascelibrary.[...] 2009-01-01
[71] 웹사이트 The zodiacal light, seen from the moon https://earthsky.org[...] 2014-04-24
[72] 서적 Space Settlements: A Design Study NASA 1977
[73] 논문 Lunar Outgassing, Transient Phenomena and The Return to The Moon, I: Existing Data http://www.astro.col[...] 2008
[74] 웹사이트 NASA's LADEE Spacecraft Finds Neon in Lunar Atmosphere http://www.nasa.gov/[...] 2015-08-17
[75] 논문 Recent outgassing from the lunar surface: the Lunar Prospector alpha particle spectrometer 2005
[76] 뉴스 Lopsided Cloud of Dust Discovered Around the Moon http://news.national[...] 2015-06-17
[77] 논문 A permanent, asymmetric dust cloud around the Moon 2015-06-18
[78] 웹사이트 Risk of Adverse Health Effects from Lunar Dust Exposure https://humanresearc[...] 2009-01
[79] 웹사이트 Radioactive Moon https://science.nasa[...] 2005-09-08
[80] 웹사이트 We Finally Know How Much Radiation There Is on The Moon, And It's Not Great News https://www.sciencea[...] 2020-09-26
[81] arXiv Prospective Lava Tubes at Hellas Planitia 2020-04-27
[82] 웹사이트 Radiation on Mars 'Manageable' for Manned Mission, Curiosity Rover Reveals https://www.space.co[...] 2013-12-09
[83] 논문 The Moon's physical librations and determination of their free modes https://doi.org/10.1[...] 2011
[84] 웹사이트 Temperature on the Moon – Surface Temperature of the Moon http://planetfacts.o[...] 2012-05-21
[85] 웹사이트 Diviner News http://www.diviner.u[...] UCLA 2009-09-17
[86] 웹사이트 The Smell of Moondust https://science.nasa[...] NASA 2006-01-30
[87] 서적 Lunar Sourcebook, a user's guide to the Mo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88] 논문 Megaregolith thickness, heat flow, and the bulk composition of the Moon 1985
[89] 논문 A Lunar Microbial Survival Model for Predicting the Forward Contamination of the Moon 2019-06
[90] 논문 Topography of the South Polar Region from Clementine Stereo Imaging 1998-01
[91] 논문 Mineralogy of the Mafic Anomaly in the South Pole-Aitken Basin: Implications for excavation of the lunar mantle 1997
[92] 논문 The Biggest Hole in the Solar System http://www.psrd.hawa[...] 1998-07-17
[93] 논문 Forming the south-pole Aitken basin – The extreme games 1997-03
[94] 웹사이트 NASA's LRO Reveals 'Incredible Shrinking Moon' http://www.nasa.gov/[...] NASA 2010-08-19
[95] 논문 Shallow seismic activity and young thrust faults on the Moon 2019-06
[96] 웹사이트 Cave on the Moon: What this discovery means for space exploration https://indianexpres[...] 2024-07-18
[97] 서적 Observing the Mo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0
[98] 웹사이트 The Oldest Moon Rocks http://www.psrd.hawa[...] Hawai'i Institute of Geophysics and Planetology 2004-04-21
[99] 논문 FeO and TiO2 Variations in Mare Imbrium https://adsabs.harva[...]
[100] 논문 Global Distribution and Volume of Cryptomare and Visible Mare on the Moon From Gravity and Dark Halo Craters
[101] 웹사이트 Mapping Melts on the Moon https://www.smithson[...]
[102] 논문 Lunar Gruithuisen and Mairan domes: Rheology and mode of emplacement http://www.agu.org/p[...] 2003
[103] 논문 The Composition and Geologic Setting of Lunar Far Side Maria 1996
[104] 논문 Global Elemental Maps of the Moon: The Lunar Prospector Gamma-Ray Spectrometer 1998-08-11
[105] 논문 A New Mo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psrd.hawa[...] 2000-08-31
[106] 논문 Long Live the Moon! https://www.science.[...] 2014-10-14
[107] 웹사이트 Volcanoes Erupted 'Recently' on the Moon http://news.discover[...] Discovery News 2014-10-14
[108] 웹사이트 NASA Mission Finds Widespread Evidence of Young Lunar Volcanism http://www.nasa.gov/[...] NASA 2014-10-12
[109] 논문 Recent volcanic eruptions on the moon https://www.science.[...] 2014-10-12
[110] 논문 Evidence for basaltic volcanism on the Moon within the past 100 million years 2014
[111] 논문 Young viscous flows in the Lowell crater of Orientale basin, Moon: Impact melts or volcanic eruptions? 2013
[112] 논문 Evidences of relatively new volcanic flows on the Moon 2014
[113] 논문 Lunar mare deposits associated with the Orientale impact basin: New insights into mineralogy, history, mode of emplacement, and relation to Orientale Basin evolution from Moon Mineralogy Mapper (M3) data from Chandrayaan-1 2011
[114] 논문 Young mare volcanism in the Orientale region contemporary with the Procellarum KREEP Terrane (PKT) volcanism peak period 2 b.y. ago 2012
[115] 웹사이트 Majestic Mountains http://sse.jpl.nasa.[...] NASA 2007-04-12
[116] 논문 Early Earth may have had two moons : Nature News http://www.nature.co[...] 2012-11-01
[117] 웹사이트 Was our two-faced moon in a small collision? http://theconversati[...] Theconversation.edu.au 2012-11-01
[118] 논문 Near/far side asymmetry in the tidally heated Moon 2019-09
[119] 서적 Impact cratering: A geologic proc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20] 웹사이트 Moon Facts http://planck.esa.in[...] European Space Agency 2010-05-12
[121] 웹사이트 Impact Cratering Notes (LPI) https://www.lpi.usra[...]
[122] 논문 The shape and appearance of craters formed by oblique impact on the Moon and Venus https://onlinelibrar[...] 2003
[123] 논문 Problems determining relative and absolute ages using the small crater population https://www.uni-muen[...] 2012
[124] 논문 Possible long-term decline in impact rates: 2. Lunar impact-melt data regarding impact history 2007
[125] 웹사이트 The moon has hundreds more craters than we thought https://www.newscien[...] 2016-10-13
[126] 논문 Quantifying crater production and regolith overturn on the Moon with temporal imaging 2016-10-13
[127] 웹사이트 Earth's Moon Hit by Surprising Number of Meteoroids https://www.nasa.gov[...] NASA 2016-10-13
[128] 논문 Reflectance spectra of seven lunar swirls examined by statistical methods: A space weathering study 2019-11
[129] 논문 Past Orientation of the Lunar Spin Axis 1975-08-01
[130] 웹사이트 Ice on the Moon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2007-04-12
[131] 논문 Direct evidence of surface exposed water ice in the lunar polar regions 2018-08
[132] 뉴스 Water ice 'detected on Moon's surface' https://www.bbc.co.u[...] 2018-08-21
[133] 뉴스 Beyond the Shadow of a Doubt, Water Ice Exists on the Moon https://www.scientif[...] 2018-08-21
[134] 뉴스 Water Ice Confirmed on the Surface of the Moon for the 1st Time! https://www.space.co[...] 2018-08-21
[135] 논문 Molecular water detected on the sunlit Moon by SOFIA https://www.nature.c[...] 2020-10-26
[136] 논문 Micro cold traps on the Moon https://www.nature.c[...] 2020-10-26
[137] 뉴스 Pair of studies confirm there is water on the moon – New research confirms what scientists had theorized for years — the moon is wet. https://www.washingt[...] 2020-10-26
[138] 뉴스 There's Water and Ice on the Moon, and in More Places Than NASA Once Thought – Future astronauts seeking water on the moon may not need to go into the most treacherous craters in its polar regions to find it. https://www.nytimes.[...] 2020-10-26
[139] 웹사이트 It's International Moon Day! Let's talk about Cislunar Space. https://medium.com/t[...] 2023-07-20
[140] 뉴스 How Long is a Day on the Moon? https://www.universe[...] 2017-07-10
[141] 웹사이트 Libration of the Moon https://www-istp.gsf[...] 2020-02-11
[142] 논문 Global influences of the 18.61 year nodal cycle and 8.85 year cycle of lunar perigee on high tidal levels https://api.research[...] 2019-09-24
[143] 웹사이트 Is the Moon maintaining Earth's magnetism? https://www.skyatnig[...] 2020-11-16
[144] 논문 Moonquakes and lunar tectonism 1972
[145] 웹사이트 Feynman's Lectures on Physics - The Law of Gravitation https://www.youtube.[...] 2024-12-05
[146] 논문 Ocean Tides for and from TOPEX/POSEIDON 1995
[147] 논문 A new determination of lunar orbital parameters, precession constant and tidal acceleration from LLR measurements 2002
[148] 뉴스 Why the Moon is getting further away from Earth https://www.bbc.co.u[...] 2015-09-18
[149] 논문 Secular tidal changes in lunar orbit and Earth rotation https://doi.org/10.1[...] 2022-07-30
[150] 웹사이트 Ocean Tides and the Earth's Rotation http://bowie.gsfc.na[...] IERS Special Bureau for Tides 2010-03-17
[151] 논문 Measurement of the Earth's rotation: 720 BC to AD 2015 2016
[152] 논문 Addendum 2020 to 'Measurement of the Earth's rotation: 720 BC to AD 2015' 2021
[153] 웹사이트 When Will Earth Lock to the Moon? https://www.universe[...] 2022-01-05
[154] 서적 Solar System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55] 서적 From the Big Bang to Planet X Camden House 1993
[156] 웹사이트 Earth's Moon Destined to Disintegrate http://www.space.com[...] Tech Media Network 2010-06-01
[157] 웹사이트 Moonlight helps plankton escape predators during Arctic winters https://www.newscien[...] 2016-01-16
[158] 웹사이트 Can the Moon be upside down? https://www.planetar[...] The Planetary Society 2022-01-02
[159] 웹사이트 Is the Moon seen as a crescent (and not a "boat") all over the world? http://curious.astro[...] Curious About Astronomy 2015-09-28
[160] 서적 The Moon illusion Routledge 1989
[161] 웹사이트 Dark Side of the Moon http://www.badastron[...] Bad Astronomy: Misconceptions 2010-02-15
[162] 논문 The Weak Friction Approximation and Tidal Evolution in Close Binary Systems 1973
[163] 뉴스 Moon used to spin 'on different axis' https://www.bbc.com/[...] 2016-03-23
[164] 웹사이트 Supermoon November 2016 http://www.space.com[...] Space.com 2016-11-14
[165] 웹사이트 Super Full Moon https://science.nasa[...] NASA 2011-03-19
[166] 뉴스 Full moon tonight is as close as it gets http://www.pe.com/lo[...] 2011-03-19
[167] 뉴스 'Super moon' to reach closest point for almost 20 years https://www.theguard[...] 2011-03-19
[168] 논문 Recent Gas Escape from the Moon http://www.psrd.hawa[...] 2007-04-04
[169] 논문 Lunar activity from recent gas release 2006
[170] 웹사이트 Colors of the Moon https://science.nasa[...] 2022-04-09
[171] 웹사이트 Why is the sky blue? http://math.ucr.edu/[...] 2015-11-04
[172] 웹사이트 Solar Eclipses for Beginners http://www.mreclipse[...] MrEclip 2010-03-17
[173] 웹사이트 Moon near Perigee, Earth near Aphelion http://www.fourmilab[...] Fourmilab 2013-12-25
[174] 웹사이트 Saros Cycle http://sunearth.gsfc[...] NASA 2010-03-17
[175] 간행물 The Square Degree as a Unit of Celestial Area 1947
[176] 웹사이트 Total Lunar Occultations http://occsec.wellin[...]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New Zealand 2010-03-17
[177] 웹사이트 Ancient humans used the moon as a calendar in the sky https://www.sciencen[...] 2019-07-09
[178] 웹사이트 Lunar maps https://www.knowth.c[...] 2019-09-18
[179] 웹사이트 Carved and Drawn Prehistoric Maps of the Cosmos http://www.spacetoda[...] Space Today 2006-00-00
[180] 웹사이트 Nebra Sky Disc https://www.landesmu[...]
[181] 웹사이트 Under the Moonlight: Depictions of the Moon in Art https://www.thecolle[...] 2022-01-02
[182] 논문 The Nebra Sky Disc – astronomy and time determination as a source of power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21-00-00
[183] 비디오 미디어 Concepts of cosmos in the world of Stonehenge https://www.youtube.[...] 2022-00-00
[184] 서적 Big History https://www.worldcat[...] DK (publisher) 2016-02-00
[185] 웹사이트 Anaxagoras of Clazomenae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1999-02-00
[186] 학술지 Saros Cycle Dates and Related Babylonian Astronomical Texts 1991-00-00
[187] 서적 The Discarded Imag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4-00-00
[188] 뉴스 Discovering How Greeks Computed in 100 B.C. https://www.nytimes.[...] 2008-07-31
[189] 학술지 The Heliocentric System in Greek, Persian and Hindu Astronomy 1987-00-00
[190] 서적 The History and Practice of Ancient Astr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0-00
[191] 백과사전 Aryabhata 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0-00
[192] 서적 The Aryabhatiya of Aryabhata: An Ancient Indian Work on Mathematics and Astronom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0-00-00
[193] 서적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2008-00-00
[194] 웹사이트 The Moon http://galileo.rice.[...] Galileo Project 1995-00-00
[195] 학술지 Astronomy, Science Fiction and Popular Culture: 1277 to 2001 (And beyond) 1996-00-00
[196] 웹사이트 Russia's unmanned missions toward the Moon http://www.russiansp[...] 2009-00-00
[197] 웹사이트 Record of Lunar Events, 24 July 1969 https://history.nasa[...] NASA 2010-04-13
[198] 웹사이트 Manned Space Chronology: Apollo_11 http://www.spaceline[...] Spaceline.org
[199] 웹사이트 Apollo Anniversary: Moon Landing "Inspired World" http://news.national[...]
[200] 서적 Apollo by the Numbers: A Statistical Reference https://history.nasa[...] NASA 2004-09-00
[201] 보도자료 NASA news release 77-47 page 242 http://www.nasa.gov/[...] 1977-09-01
[202] 뉴스 NASA Turns A Deaf Ear To The Moon http://www.ast.cam.a[...] OASI Newsletters Archive 1977-00-00
[203] 학술지 Lunar laser ranging: a continuing legacy of the Apollo program 1994-00-00
[204] 웹사이트 Rocks and Soils from the Moon http://curator.jsc.n[...] NASA
[205] 웹사이트 Hiten-Hagomoro http://solarsystem.n[...] NASA
[206] 웹사이트 Clementine information http://nssdc.gsfc.na[...] NASA 1994-00-00
[207] 웹사이트 Lunar Prospector: Neutron Spectrometer http://lunar.arc.nas[...] NASA 2001-00-00
[208] 웹사이트 SMART-1 factsheet http://www.esa.int/S[...] European Space Agency 2007-02-26
[209] 웹사이트 Chang'e 1 https://solarsystem.[...] NASA 2019-00-00
[210] 웹사이트 Mission Sequence http://www.isro.org/[...]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2008-11-17
[211] 웹사이트 Lunar CRater Observation and Sensing Satellite (LCROSS): Strategy & Astronomer Observation Campaign http://lcross.arc.na[...] NASA 2010-04-13
[212] 웹사이트 China Outlines New Rockets, Space Station and Moon Plan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5-03-17
[213] 뉴스 China's Chang'e-5 brought 1,731 grams of samples from the moon https://www.thehindu[...] 2020-12-20
[214] 보도자료 President Bush Offers New Vision For NASA http://www.nasa.gov/[...] NASA 2004-12-14
[215] 웹사이트 NASA's Artemis Program https://www.space.co[...] 2019-07
[216] 뉴스 Japan makes contact with 'Moon Sniper' on lunar surface https://www.bbc.co.u[...] 2024-01-19
[217] 웹사이트 Japan's SLIM moon lander defies death to survive 3rd frigid lunar night (image) https://www.space.co[...] 2024-04-24
[218] 웹사이트 Intuitive Machines' 'Odysseus' becomes first commercial lander to reach the Moon – Spaceflight Now https://spaceflightn[...]
[219] 트윗 China's Chang'e-6 sample return mission (a first ever lunar far side sample-return) is scheduled to launch in May 2024, and expected to take 53 days from launch to return module touchdown. Targeting southern area of Apollo basin (~43º S, 154º W) 2023-04-25
[220] 웹사이트 China's Chang'e-6 is carrying a surprise rover to the moon https://spacenews.co[...] 2024-05-06
[221] 웹사이트 China's Chang'e-6 probe arrives at spaceport for first-ever lunar far side sample mission https://spacenews.co[...] 2024-01-10
[222] 웹사이트 NASA plans to send first woman on Moon by 2024 https://www.asianage[...] 2019-05-15
[223] 웹사이트 Russia, China agree on joint Moon exploration https://tass.com/sci[...] 2019-09-17
[224] 간행물 Russia Plans Ambitious Robotic Lunar Mission http://www.aviationn[...] 2006-06-04
[225] 웹사이트 Streaming and texting on the Moon: Nokia and NASA are taking 4G into space https://www.cnn.com/[...] 2024-04-24
[226] 웹사이트 DARPA moon tech study selects 14 companies to develop a lunar economy https://www.space.co[...] 2023-12-08
[227] 웹사이트 A CubeSat is Flying to the Moon to Make Sure Lunar Gateway's Orbit is Actually Stable https://www.universe[...] 2022-05-14
[228] 웹사이트 Queqiao: The bridge between Earth and the far side of the moon https://phys.org/new[...] 2021-06-11
[229] 웹사이트 Will people go to space—and then colonize it? https://qz.com/17341[...] 2019-10-24
[230] 웹사이트 Cold as (lunar) ice: Protecting the moon's polar regions from contamination https://www.space.co[...] 2020-08-21
[231] 웹사이트 #SpaceWatchGL Opinion: An ecofeminist approach to the sustainable use of the Moon https://spacewatch.g[...] 2022-07-01
[232] 웹사이트 As Chinese Rocket Strikes Moon This Week We Need To Act Now To Prevent New Space Junk Around The Moon Say Scientists https://www.forbes.c[...] 2022-02-27
[233] 논문 Waste Management for Lunar Resources Activities: Toward a Circular Lunar Economy Mary Ann Liebert Inc 2021-08-27
[234] 논문 1985lbsa.conf..423B Page 423 https://adsabs.harva[...]
[235] 웹사이트 Navajo Nation President Asks for Delay of Moon Mission Carrying Human Remains https://www.smithson[...] 2024-01-05
[236] 웹사이트 Celestis Memorial Spaceflights http://celestis.com/[...] 2011-08-08
[237] 웹사이트 The Trash We've Left on the Moon https://www.theatlan[...] 2012-12-19
[238] 웹사이트 China's Chang'e 3 lunar lander still going strong after 7 years on the moon https://www.space.co[...] 2020-09-23
[239] 논문 Earth observations from the Moon's surface: dependence on lunar libration Copernicus GmbH 2023-03-24
[240]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Future of Telescopes on the Moon https://www.astronom[...] 2020-06-03
[241]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First Moon-Based Telescope https://www.nasa.gov[...] 2019-07-15
[242] 웹사이트 Far Ultraviolet Camera/Spectrograph http://www.lpi.usra.[...] Lpi.usra.edu
[243] 웹사이트 Mission Design for Setting up an Optical Telescope on the Moon http://www.ugcs.calt[...]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999-09
[244] 웹사이트 MIT to lead development of new telescopes on moon http://web.mit.edu/n[...] 2008-02-15
[245] 웹사이트 NASA Scientists Pioneer Method for Making Giant Lunar Telescopes http://www.nasa.gov/[...]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8-04-06
[246] 웹사이트 Liquid Mirror Telescopes on the Moon https://science.nasa[...] NASA 2008-10-09
[247] 웹사이트 Mission Report: Apollo 17 – The Most Productive Lunar Expedition http://history.msfc.[...] NASA
[248] 웹사이트 Moon Dust Could Be a Problem for Future Lunar Explorers https://www.space.co[...] 2019-10-21
[249] 웹사이트 Chinese lunar lander's cotton seeds spring to life on far side of the moon https://www.scmp.com[...] 2019-01-15
[250] 웹사이트 The Space Review: Is outer space a de jure common-pool resource? https://www.thespace[...] 2021-10-25
[251] 웹사이트 Space Law at the Crossroads: Contextualizing the Artemis Accords and the Space Resources Executive Order http://opiniojuris.o[...] 2020-07-22
[252] 보도자료 Administration Statement on Executive Order on Encourag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https://spaceref.com[...] White House 2020-04-06
[253] 웹사이트 Australia Between the Moon Agreement and the Artemis Accords https://www.internat[...] 2021-06-02
[254] 웹사이트 The Space Review: The Artemis Accords: repeating the mistakes of the Age of Exploration https://www.thespace[...] 2020-06-29
[255] 웹사이트 The Space Treaty Institute – Dedicated to Peace and Sustainability in Outer Space. Our Mission: To give people Hope and Inspiration by helping the nations of Earth to build a Common Future http://www.spacetrea[...]
[256] 웹사이트 'One Small Step' Act Encourages Protection of Human Heritage in Space https://science.hows[...] 2021-01-12
[257] 웹사이트 Moonkind – Human Heritage in Outer Space https://www.forallmo[...]
[258] 논문 The Eighth Continent: An Ethnography of Twenty-First Century Euro-American Plans to Settle the Moon https://www.academia[...] 2020-01-01
[259] 웹사이트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Moon https://www.earthlaw[...] Australian Earth Laws Alliance 2021-02-11
[260] 학술지 Moon, Inc.: The New Zealand Model of Granting Legal Personality to Natural Resources Applied to Space https://www.liebertp[...] 2018-12-01
[261] 웹사이트 Hear Ye! Hear Ye! A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Moon http://eos.org/featu[...] 2021-07-20
[262] 서적 The time falling bodies take to light : mythology, sexuality, and the origins of culture https://www.worldcat[...] St. Martin's Press 1981
[263] 웹사이트 Ancient humans used the moon as a calendar in the sky https://www.sciencen[...] 2019-07-09
[264] 학술지 Ishango revisited: new age determinations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1987
[265] 서적 The Calendar https://archive.org/[...] Fourth Estate Ltd. 1998
[266] 서적 The Seven Day Circle: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Wee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7]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Oarses-Zygia https://books.google[...] J. Walton 1849
[268] 서적 Thesaurus graecae linguae https://books.google[...] Didot 1846
[269] 사전
[270] 사전
[271]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72] 사전
[273] 사전
[274] 학술지 Lunar Crescent Visibility Criterion and Islamic Calendar 1994-03
[275] 웹사이트 Mid-Autumn Festival Celebration https://www.confuciu[...] 2022-08-30
[276] 웹사이트 Cylinder vase https://collections.[...] 1987-05-20
[277]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78]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Greenwood 1998
[279] 서적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he British Museum Press
[280] 서적 Hellas and Rome: The Classical World in Pictures Kessinger Publishing 2006
[281] 서적 The Colors of Clay: Special Techniques in Athenian Vase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04-28
[282]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83] 웹사이트 Crescent (symbol of Islam) https://referencewor[...] 2022-04-08
[284] 학술지 Gold and silver: perfection of metal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alchemy https://riviste.fupr[...] 2022-04-08
[285] 백과사전 Muhammad 2007
[286] 웹사이트 The Moon of Science or the Moon of Lovers? https://thereader.mi[...] 2021-11-01
[287] 웹사이트 Imagining the Moon https://www.nytimes.[...] 2021-11-04
[288] 학술지 Moon on the mind: two millennia of lunar literature 2019-07-09
[289] 잡지 Space: The Final Frontier of Environmental Disasters? https://www.wired.co[...] 2022-04-09
[290] 웹사이트 Polycentricity for Governance of the Moon as a Commons https://www.openluna[...] 2022-04-09
[291] 웹사이트 International Moon Day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11-08
[292] 서적 理科年表 第80冊 丸善株式会社 2007
[293]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 Earth's Moon: Facts & Figures http://solarsystem.n[...] NASA 2011-11-06
[294] 웹사이트 太陽系の模型 https://www.hysly.cz[...] 2021-03-24
[295] 서적 Mathematical Astronomy Morsels Willmann-Bell 1997
[29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988
[297] 서적 《文源》評注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7
[298] 서적 古漢字通解500例 中華書局 2022
[299] 웹사이트 月
[300] 서적 神道の本 八百万の神々がつどう秘教的祭祀の世界 学研
[301] 서적
[302] 웹사이트 地球型惑星(固体) - 東京大学 地球惑星科学専攻 宇宙惑星科学講座 http://www-space.eps[...] 2014-07-17
[303] 웹사이트 「惑星」の新たな定義案が発表される 数値的な定義と分かりやすさを両立 https://sorae.info/a[...] sorae 2024-07-26
[304] 웹사이트 Apollo Laser Ranging Experiments Yield Results From LPI Bulletin, No. 72, August, 1994 http://eclipse.gsfc.[...] 1994-08
[305] 웹사이트 アポロから35年。今も続く実験。(三菱電機サイエンスサイト・2004年7月) https://www.mitsubis[...] 2004-07
[306] 서적 天文年鑑2013 誠文堂新光社
[307] 기타
[308] 웹사이트 40億年前の月自転軸は数十度ずれていた https://web.archive.[...] 九州大学 2014-06-28
[309] 웹사이트 月地下溶岩チューブの天窓 / 宇宙科学の最前線 https://www.isas.jax[...] 2023-12-08
[310] 웹사이트 磁場で捉えた月のダイナモと極移動の痕跡 / 宇宙科学の最前線 https://www.isas.jax[...] JAXA 2017-06-17
[311] 웹사이트 もっと知りたい! 「月」ってナンだ!? https://www.jaxa.jp/[...] JAXA 2015-12-23
[312] 웹사이트 月の満ち欠け/周期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 2015-12-23
[313] 웹사이트 学術誌『Science Express』webサイト版 http://www.sciencema[...] 2009-09-24
[314] 뉴스 月面、水が存在か 今も太陽側で生成? 3探査機観測 http://www.asahi.com[...] 2009-10-16
[315] 웹사이트 SELENE(かぐや)搭載カメラによる月面の縦穴発見 http://www.isas.ac.j[...] 宇宙科学研究所 2009-11-05
[316] 뉴스 月面に天然橋、LROが発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317] 논문 Molecular water detected on the sunlit Moon by SOFIA
[318] 웹사이트 NASA’s SOFIA Discovers Water on Sunlit Surface of Moon https://www.nasa.gov[...] NASA 2020-10-27
[319] 방송 月のミステリー 奇妙な発光現象の正体は? https://web.archive.[...] NHK
[320] 간행물 月面の環境(レゴリスを中心に) http://edu.jaxa.jp/h[...] JAXA 宇宙教育センター
[321] 간행물 小型衛星によるLTPおよび高速衝突発光現象観測の提案 http://www.isas.ac.j[...] ISAS 2005-03
[322] 웹사이트 謎の発光現象-TLP http://www.ies.or.jp[...] 環境科学技術研究所
[323] 뉴스 400年来の謎、月面の発光現象解明へ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ニュース 2009-03-02
[324] 간행물 天文月報2004年7月号 https://www.asj.or.j[...] 国立天文台
[325] 서적 (제목 미상)
[326] 서적 天文学入門 星とは何か 丸善出版
[327] 서적 天文学入門 星とは何か 丸善出版
[328] 웹사이트 月の誕生について、巨大衝突説(ジャイアントインパクト説)は本当に正しいのでしょうか?その根拠はどのようなものなのでしょうか? http://moonstation.j[...] 月探査情報ステーション 2014-09-14
[329] 뉴스 「月の起源は地球のマグマ?日米グループの新設に注目」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21
[330] 논문 Terrestrial magma ocean origin of the Moon https://www.nature.c[...]
[331] 뉴스 月の起源、「巨大衝突」ではなかった? 定説覆す論文発表 https://www.afpbb.co[...] AFP通信 2017-01-10
[332] 논문 A multiple-impact origin for the Moon
[333] 뉴스 Early Earth may have had two moons http://www.nature.co[...] nature
[334] 설명 로마력의 날짜 계산법
[335] 설명 유대력의 날짜 계산법
[336] 설명 삭일
[337] 웹사이트 名月必ずしも満月ならず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 2022-07-09
[338] 설명 일본 표준시 정오 시점의 월령
[339] 뉴스 満月の日には犯罪が増える?英警察発表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7-06-06
[340] 서적 ヨーロッパをさすらう異形の物語:中世の幻想・神話・伝説 上 柏書房
[341] 서적 一番わかりやすい はじめての西洋占星術 日本文芸社
[342] 서적 CD-ROM付き いちばんやさしい西洋占星術入門 ナツメ社
[343] 서적 今昔物語集 平凡社
[344] 논문 SPACESHIPS OF FICTION http://efanzines.com[...] 1950-04
[345] 설명 대포를 이용한 우주여행 개념
[346] 서적 星世界旅行 千万無量 世界蔵 1882-06
[347] 서적 夢幻現象政海之破裂 1888
[348] 서적 月世界探検 大学館 1906
[349] 서적 怪飛行艇月世界旅行 萬巻堂 1915
[350] 웹사이트 未解析だったアポロ熱流量観測データ https://www.wakusei.[...] 日本惑星科学会誌 2007-10-20
[351] 웹사이트 OPEN LUNAR FOUNDATION https://www.openluna[...] 2023-09-25
[352] 간행물 月を開発の無法地帯にしてはいけない CCCメディアハウス 2023-06-27
[353] 웹사이트 月面クレータ、ジョルダノ・ブルーノの形成年代に関する研究成果 http://web-ext.u-aiz[...]
[354] 서적 月のかぐや 新潮社 2009
[355] 뉴스 小惑星「2024 PT5」2024年9月末から2か月限定で “第2の月” になると判明 https://sorae.info/a[...] sorae 2024-09-23
[356] 웹사이트 http://www.onasch.de[...]
[357] 웹인용 Moon Fact Sheet http://nssdc.gsfc.na[...]
[358] 웹인용 Moon http://www.nasa.gov/[...] World Book Online Reference Center, NASA 2004-04-12
[359] 뉴스 왜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고있는가 뉴사이언티스트 2009-06-01
[360] 웹사이트 Moon http://www.nasa.gov/[...] World Book Online Reference Center, NASA 2007-04-12
[361] 웹사이트 Space Topics:Pluto and Charon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0-04-06
[362] 웹사이트 Planet Definition Questions & Answers Sheet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0-03-24
[363] 웹사이트 How Bright is the moon? http://www.asterism.[...] Ameteur Astromers, Inc. 2010-03-16
[364] 서적 The Moon illusion Routledge 1989
[365] 서적 그림으로 보는 테마 백과1 우리의 지구 교원 1999-09-20
[366] 웹인용 다누리호 (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https://www.kari.re.[...] 2023-02-25
[367] 뉴스 印 달탐사선 ‘찬드라얀 1호’ 발사 성공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8-10-23
[368] 뉴스 imbc 뉴스 보도 http://imnews.imbc.c[...] imbc 2009-11-22
[369] 뉴스 2020년 「달탐사 위성 쏜다」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즈 2007-11-21
[370] 뉴스 chandrayaan-2-planned-to-be-launched-during-2017-18 http://zeenews.india[...] indiatimes 2015-05-08
[371] 뉴스 인도, 항공우주 강국으로 비약 http://www.asiaecono[...] 매일경제 2008-10-17
[3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Law http://www.unoosa.or[...] UN 우주사무국
[373] 뉴스 보름달 숨은 그림찾기 http://www.dongascie[...] 동아사이언스 2006-09-27
[374] 서적 세계풍속사(상) 도서출판 까치 1991-01-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