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 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성 꼬리는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혜성 내부 물질이 증발·기화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혜성의 핵에서 방출된 먼지와 가스가 태양의 복사압과 태양풍에 의해 휩쓸려 나가면서 태양 반대 방향으로 꼬리를 형성하며, 먼지와 이온 기체는 각각 먼지 꼬리와 이온 꼬리를 이룬다. 먼지 꼬리는 태양 반대편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온 꼬리는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거의 직선으로 뻗어 나간다. 혜성 꼬리의 크기는 혜성 핵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클 수 있으며, 꼬리의 자기권과 태양풍의 상호작용, 나트륨 꼬리, 꼬리의 분열 현상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금성과 달에서도 혜성과 유사한 꼬리 현상이 관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혜성 꼬리 | |
---|---|
개요 | |
정의 | 태양풍에 의해 혜성에서 불어 나오는 먼지 또는 가스이며, 눈에 보이는 흔적을 남김. |
형성 위치 | 태양계 내행성 |
구성 요소 | |
먼지 꼬리 | 태양풍에 의해 혜성에서 불어 나오는 먼지 입자로 형성된 꼬리. |
이온 꼬리 (가스 꼬리, 플라스마 꼬리) | 태양풍의 흐름에 의해 형성된 이온화된 가스 꼬리. |
먼지 레일 (반꼬리) |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먼지 입자의 궤적. |
관련 이미지 | |
![]() | |
![]() |
2. 꼬리의 형성
혜성은 외태양계에서 얼어붙은 상태로 크기가 작아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지만, 내태양계로 접근하면 태양 복사로 인해 혜성 내의 휘발성 물질이 증발하고 핵에서 쏟아져 나오면서 먼지를 함께 운반한다.[1][2][3][4] 이렇게 방출된 우주 먼지와 가스는 혜성 주변에 거대하고 매우 희박한 대기인 코마를 형성한다. 태양의 복사압(광압)과 태양풍이 코마에 힘을 가하면 태양 반대 방향으로 거대한 꼬리가 만들어진다.
먼지와 가스는 각자 꼬리를 이뤄 약간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5]
2. 1. 먼지 꼬리 (II형 꼬리)
혜성이 내태양계로 접근하면 태양풍의 영향으로 혜성 핵의 휘발성 물질이 증발하면서 표면의 먼지를 함께 끌어올린다. 이렇게 방출된 먼지는 혜성 주위를 둘러싸 코마를 형성하고, 태양풍의 작용으로 밀려나 태양 반대편으로 꼬리가 만들어진다.[21]먼지 꼬리는 혜성 궤도에 남아 종종 반대 꼬리라고 불리는 휘어진 형태를 띠는데, 이는 태양을 향하는 것처럼 보일 때만 나타난다. 먼지 꼬리는 주로 태양 반대쪽으로 호를 그리며 퍼져 나간다.[5]

2. 2. 이온 꼬리 (I형 꼬리)
태양풍과 상호작용하여 혜성 핵에서 방출된 가스가 이온화된 후, 태양 자기장에 이끌려 형성되는 것이 이온 꼬리이다. 이온 꼬리는 태양풍의 방향에 강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태양 반대편으로 거의 직선으로 뻗어 나간다. 먼지 꼬리보다 폭이 좁고 푸른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21]이온 꼬리는 태양풍의 자기장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궤도 궤적보다는 자기장 선을 따라 항상 태양풍의 유선과 같은 방향을 가리킨다.[5]
2. 3. 반꼬리
혜성 궤도상에 남은 먼지는 시점에 따라 태양 방향으로 향한 것처럼 보이는 반꼬리를 만든다.[21] 혜성의 궤도에 남겨져 종종 반꼬리라고 하는 곡선 꼬리는 태양을 향하는 것처럼 보일 때만 나타난다.[5]
3. 꼬리의 크기
혜성 핵 자체의 크기는 30km 이하로 작지만, 코마는 태양보다 커지기도 하며, 이온 꼬리는 3.8AU까지 뻗어나간 경우가 관측되었다.[22][6]
관측된 혜성 꼬리 중 가장 긴 것은 백악 혜성 (C/1996 B2)의 꼬리로, 길이가 5.7억km에 달한다. 이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Longest measured comet tail"로 등재되었다. 그 외에도 핼리 혜성은 최소 2200만km (0.15AU), 헤일-밥 혜성은 8000만km~9000만km (0.6AU), 맥노트 혜성은 2.24억km (1.5AU)로 꼬리가 매우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꼬리의 자기권 및 태양풍과의 상호작용
혜성의 이온 꼬리는 태양풍의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혜성 코마에 내리쬐는 자외선이 전자를 방출시켜 이온화된 입자는 플라스마가 되어 혜성 주변에 자기권을 형성한다. 혜성을 중심으로 유도된 자기권은 태양풍 입자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혜성은 태양풍에 대해 초음속으로 운동하므로 혜성의 앞쪽, 즉 태양 방향에 활모양충격파가 발생한다. 충격파 지역에서는 혜성에서 나온 이온이 대량으로 모여 플라스마로 태양 자기장을 "적재"하는 역할을 하며, 자기력선이 혜성 주위에 "드리워져" 이온 꼬리를 형성한다.[26][10]
2007년 2월 3일, 탐사선 율리시스는 우연히 맥노트 혜성에 1.7 au까지 근접했다. 연구 결과, 혜성의 꼬리에서 태양풍의 속도가 통상 700km/s에서 400km/s 이하로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혜성의 핵에서 방출된 이온화된 가스와 태양풍 속의 고속 입자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율리시스는 백악 혜성 부근도 탐사했는데, 각 혜성 부근에서 태양풍 입자가 느려진 기간을 조사한 결과, 백악 혜성은 2.5일이었던 반면 맥노트 혜성은 18일로 길어 광범위하게 태양풍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 제3의 꼬리 (나트륨 꼬리)
헤일-밥 혜성에서는 혜성의 세 번째 꼬리인 나트륨 꼬리가 발견되었다. 다른 혜성에서도 나트륨 방출이 관측된 적은 있지만, 꼬리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나트륨 꼬리는 이온이 아닌 중성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천만 km까지 뻗어 있다.
나트륨 꼬리는 가늘고 긴 좁은 나트륨 꼬리 (narrow sodium tail)와 넓게 확산된 확산 나트륨 꼬리 (diffuse sodium tail)로 나뉜다. 좁은 나트륨 꼬리는 중성 나트륨 원자에 복사압이 가해져 발생하고, 확산 나트륨 꼬리는 먼지와 함께 나트륨 원자가 방출되어 발생한다. 이 두 꼬리는 생성 원인이 다를 수도 있다.
6. 꼬리의 분열 (단절 현상)
이온 꼬리에서 간혹 분열 현상, 즉 단절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코로나 질량 방출(CME)과 같은 태양 활동으로 인해 혜성 주변 자기장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이 충돌하여 자기 재결합이 일어날 때 발생한다. 자기 재결합으로 발생한 막대한 에너지가 이온 꼬리를 끊어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6]
이 현상은 여러 차례 관측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7년 4월 20일 엥케 혜성이 코로나 질량 방출을 통과하며 꼬리가 완전히 절단된 사건.[27] 이 ঘটনা는 STEREO 탐사선이 관측하였다.[28]
- 2010년 5월 26일 맥노트 혜성 (C/2009 R1)에서도 단절 현상이 관측되었다.[29]
7. 유사 현상
유럽 우주국(ESA)은 2013년 1월 29일 금성의 전리층이 혜성 꼬리와 유사하게 태양 반대 방향으로 팽창하는 현상을 관측했다.[30][31] MESSENGER 임무를 통해 수성에서 마그네슘과 나트륨이 행성 뒤쪽으로 이어지는 자기장선을 따라 흐르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수성 자기권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16]
7. 1. 금성의 전리층 꼬리
유럽 우주국(ESA)은 2013년 1월 29일에 금성의 전리층이 혜성의 꼬리처럼 태양 반대 방향으로 팽창하는 현상을 관측했다고 발표했다.[30][31][14][15] 이는 지구와 달리 지자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 금성이 자체적인 자기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금성은 태양풍과 금성 대기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유도 자기권 때문에 혜성과 유사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7. 2. 달의 나트륨 꼬리
달에도 혜성과 같은 나트륨 꼬리가 존재한다. 달의 나트륨 꼬리는 스퍼터링이나 천체 충돌 등으로 나트륨이 외기권으로 흩어져 태양의 복사압을 받아 혜성처럼 태양과 반대 방향으로 꼬리를 형성한다.[14]참조
[1]
논문
The Discovery of Halley-sized Kuiper Belt Objects Using the Hubble Space Telescope
[2]
논문
The Calibration of the Hubble Space Telescope Kuiper Belt Object Search: Setting the Record Straight
[3]
논문
An Analysis of the Statistics of the Hubble Space Telescope Kuiper Belt Object Search
[4]
논문
The Mauna Kea-Cerro-Tololo (MKCT) Kuiper Belt and Centaur Survey
[5]
웹사이트
Chasing an Anti-Tail
http://www.asod.info[...]
Astronomy Sketch of the Day
2008-05-20
[6]
웹사이트
Comet
http://www.nasa.gov/[...]
World Book
[7]
뉴스
A chance encounter with a comet
http://www.astronomy[...]
Astronomy
2007-10-02
[8]
논문
Encounter of the Ulysses Spacecraft with the Ion Tail of Comet MCNaught
http://www.iop.org/E[...]
[9]
논문
The plasma tails of comets and the interplanetary plasma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Wesley
[11]
웹사이트
The Sun Rips Off a Comet's Tail
https://science.nasa[...]
Science@NASA
2007-10-01
[12]
논문
The Heliospheric Imagers Onboard the STEREO Mission
http://orbi.ulg.ac.b[...]
[13]
웹사이트
Comet C/2009 R1 (McNaught) - Animation & Images
http://remanzacco.bl[...]
Remanzacco Observatory
2010-05-30
[14]
웹사이트
When A Planet Behaves Like A Comet
http://www.esa.int/O[...]
ESA
2013-01-29
[15]
웹사이트
Venus Can Have 'Comet-Like' Atmosphere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1-30
[16]
문서
McClintock 2009, p. 610–611
[17]
논문
The Discovery of Halley-sized Kuiper Belt Objects Using the Hubble Space Telescope
[18]
논문
The Calibration of the Hubble Space Telescope Kuiper Belt Object Search: Setting the Record Straight
[19]
논문
An Analysis of the Statistics of the Hubble Space Telescope Kuiper Belt Object Search
[20]
논문
The Mauna Kea-Cerro-Tololo (MKCT) Kuiper Belt and Centaur Survey
[21]
웹인용
Chasing an Anti-Tail
http://www.asod.info[...]
Astronomy Sketch of the Day
2008-05-20
[22]
웹인용
Comet
http://www.nasa.gov/[...]
World Book
[23]
뉴스
A chance encounter with a comet
http://www.astronomy[...]
Astronomy
2007-10-02
[24]
논문
Encounter of the Ulysses Spacecraft with the Ion Tail of Comet MCNaught
http://www.iop.org/E[...]
[25]
논문
The plasma tails of comets and the interplanetary plasma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27]
웹인용
The Sun Rips Off a Comet's Tail
https://science.nasa[...]
Science@NASA
2007-10-01
[28]
논문
The Heliospheric Imagers Onboard the STEREO Mission
http://orbi.ulg.ac.b[...]
[29]
웹인용
Comet C/2009 R1 (McNaught) - Animation & Images
http://remanzacco.bl[...]
Remanzacco Observatory
2010-05-30
[30]
웹인용
When A Planet Behaves Like A Comet
http://www.esa.int/O[...]
ESA
2013-01-29
[31]
웹인용
Venus Can Have 'Comet-Like' Atmosphere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