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뮴은 자연에서 홀뮴-165(165Ho) 한 종류만 안정 동위 원소로 존재하며, 질량수가 140에서 175 사이의 여러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갖는다. 홀뮴-163(163Ho)은 반감기가 4570년이며, 전자 포획을 통해 디스프로슘-163(163Dy)으로 붕괴한다. 홀뮴-166m1(166m1Ho)은 반감기가 1200년으로 베타 붕괴를 통해 어븀-166(166Er)으로 붕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홀뮴 동위 원소
핵종 정보
홀뮴-163
na: 합성 반감기: 약 4570년 붕괴 방식: 전자 포획 (Dy-163)
홀뮴-164
na: 합성 반감기: 28.8분 붕괴 방식: 전자 포획 (Dy-164) β− 붕괴 (Er-164)
홀뮴-165
na: 100% 반감기: 안정
홀뮴-166
na: 합성 반감기: 26.812시간 붕괴 방식: β− 붕괴 (Er-166)
홀뮴-166m1
na: 합성 반감기: 1132.6년 붕괴 방식: β− 붕괴 (Er-166)
홀뮴-167
na: 합성 반감기: 3.1시간 붕괴 방식: β− 붕괴 (Er-167)
2. 동위 원소
홀뮴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안정한 동위원소인 홀뮴-165(165Ho)와 더불어 질량수 140에서 175 사이에 여러 방사성 동위원소를 갖는다.[1] 홀뮴-165는 100%의 자연존재비를 갖는 관측 안정 동위 원소이다.[1] 홀뮴-163(163Ho)은 반감기가 4570년으로, 전자 포획을 통해 디스프로슘-163(163Dy)으로 붕괴한다. 다른 방사성 홀뮴 동위원소들은 다양한 반감기를 가지며, 대부분 베타 붕괴(β−)를 통해 어븀의 안정된 동위원소들(166Er, 167Er, 168Er, 170Er)로 붕괴하거나, 전자 포획 또는 베타 붕괴(β+)를 통해 디스프로슘의 안정된 동위원소들(156Dy, 158Dy, 160Dy, 161Dy, 162Dy, 163Dy, 164Dy)로 붕괴한다.
홀뮴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안정한 동위 원소인 홀뮴-165(165Ho)와 질량수 140에서 175 사이의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갖는다.[1] 홀뮴-165는 관측적으로 안정하며, 자연에 존재하는 홀뮴의 100%를 차지한다. 홀뮴-163(163Ho)은 반감기가 4570년으로, 전자 포획을 통해 163Dy으로 붕괴한다. 홀뮴-166m1(166m1Ho)은 반감기가 1200년으로 매우 길며, β− 붕괴를 통해 166Er으로 붕괴한다.
[1]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61Tb
[2]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3]
문서
약어
[4]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5]
문서
α 붕괴를 통해 161Tb으로 붕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