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포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 포획은 원자핵이 궤도 전자를 포획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유형이다. 이 과정은 1934년에 처음 제안되었으며, 1937년 루이스 월터 알바레즈에 의해 바나듐에서 처음 관측되었다. 전자 포획은 원자핵 내에서 양성자 수가 과잉되어 불안정한 핵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원자 번호가 1 감소하고 중성자 수가 1 증가한다. 이 붕괴 과정에서 X선과 오제 전자가 방출되며, 화학 결합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전자 포획의 빈도가 달라질 수 있다. 전자 포획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데, 미량 유기물 정량, 선량계, 연대 측정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화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화학 - 핵폭발
핵폭발은 원자핵 반응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핵무기에 이용되거나 평화적 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폭풍, 열복사, 방사선, 전자기 펄스 등으로 피해를 야기하고 핵겨울을 초래할 수 있다. - 방사능 -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윌러드 리비가 1949년에 발견한 유기 물질 연대 측정 방법으로, 탄소-14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하여 최대 6만 년까지의 연대를 측정하며, 고고학 유물 연대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 방사능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물리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전자 포획 | |
---|---|
개요 | |
명칭 | 전자 포획 |
설명 | 양성자가 풍부한 핵종이 내부 원자 전자를 흡수하는 과정 |
관련 입자 | 양성자 전자 중성자 전자 중성미자 |
반응식 | 양성자 + 전자 → 중성자 + 전자 중성미자 |
상세 정보 | |
핵반응 유형 | 방사성 붕괴 |
관련 과정 | 베타 붕괴 양전자 방출 |
발견자 | 로스 앨버트 다이어 |
발견 연도 | 1934년 |
이용 분야 | 핵물리학 질량분석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특징 | 양성자 수가 하나 감소한다. 중성자 수가 하나 증가한다. 원자 번호가 하나 감소한다. 질량수는 변하지 않는다. 에너지 방출 중성미자 방출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K-포획 (K-shell capture) |
내부 전자 | 주로 K껍질의 전자 포획 |
에너지 | 특정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와 중성미자의 에너지는 원자마다 다름 |
X선 | 원자에서 빠진 자리를 채우는 전자 전이에 따라 특정 X선 방출 |
중성미자 | 중성미자의 에너지 측정으로 전자 포획 확인 가능 |
역반응 | 양전자 방출은 전자 포획과 경쟁 관계 핵융합 과정에서 핵자들이 전자 포획 과정을 통해 중성자로 변환 |
질량분석 | 전자 포획은 질량분석기에서 이온을 부서뜨리는 데 사용 |
가스크로마토그래피 | 전자 포획 검출기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검출기로 사용 |
2. 역사
전자 포획 이론은 1934년 잔 카를로 위크(Gian-Carlo Wick)의 논문에서 처음 논의되었고, 이후 유가와 히데키(Hideki Yukawa)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3] K-전자 포획은 1937년 루이스 월터 알바레즈(Luis Walter Alvarez)가 바나듐(48)에서 처음 관측하여 보고하였다.[3][4][5] 알바레즈는 이후 갈륨(67) 및 다른 핵종에서 전자 포획을 연구하였다.[3][6][7]
전자 포획은 원자핵 내 양성자가 궤도 전자(주로 K-껍질 전자)와 상호작용하여 중성자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전자 중성미자(νe)가 방출된다.[8] 쿼크 수준에서는 업 쿼크(u)가 전자(e-)와 반응하여 다운 쿼크(d)와 전자 중성미자(νe)로 변환된다.
양전자 방출(β⁺붕괴)은 모핵과 딸핵의 에너지 차이가 전자와 양전자의 정지 에너지 이상이어야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붕괴의 예가 많았다. 1935년에 유카와 히데키(湯川秀樹)는 원자핵이 궤도 전자를 포획한다는 또 다른 과정을 제안했고, 1937년에 루이 알바레(ルイ・アルヴァレ)에 의해 K껍질 전자의 포획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3. 반응 메커니즘
전자 포획으로 인해 내부 전자 궤도에 빈자리가 생기면, 외부 전자 궤도의 전자가 이 자리로 전이하면서 특성 X선을 방출한다. 이 에너지를 받아 원자 외부로 방출되는 오제 전자도 관측된다.
전자 포획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반응식 |
---|
전자 포획은 β+붕괴(양전자 방출)와 경쟁하는 경우가 많지만, 모핵과 딸핵의 에너지 차이가 1.022MeV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자 포획만이 일어난다.
3. 1. 화학 결합 및 외부 환경의 영향
전자 포획 빈도는 화학 결합이나 압력 등 외부 환경에 따라 약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릴륨-7은 금속 상태와 플루오르화물 상태에서 반감기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풀러렌(C60) 내부에 가두면 반감기가 짧아진다는 보고가 있다.[10]4. 발생 조건
전자 포획은 양성자 수가 과잉되어 불안정한 원자핵에서 일어나기 쉽고, β+붕괴(양전자 붕괴)와 경쟁하는 경우가 많지만, 모핵과 딸핵의 에너지 차이가 1.022MeV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자 포획만이 일어난다.[8]
주기율표 중간의 원소 주변에서는 동일한 원소의 안정 동위원소보다 가벼운 동위원소가 전자 포획을 통해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전자 포획은 질량 변화가 가장 작고 양전자 방출이 항상 가능하지 않은 더 무거운 중성자 결핍 원소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 핵 반응에서 질량 손실이 0보다 크지만 2mec2보다 작으면 양전자 방출은 불가능하지만, 전자 포획은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이 붕괴에서는 중성자 수가 1개 증가하고 양성자 수가 1개 감소하므로, 질량수는 변하지 않고 원자번호가 1 감소한다.
:
쿼크 수준에서는
:
궤도에 생긴 빈자리에는 그 바깥쪽 전자 궤도에서 전자가 전이하여, 궤도의 에너지 차이에 상당하는 파장의 X선(특성 X선)이 방출된다. 또한, 더 높은 준위의 궤도 전자가 이 에너지를 받아 원자 외부로 방출되는 오제 전자도 관측된다.
전자 포획의 빈도는 화학 결합이나 압력 등의 외부 영향을 받아 약간 변한다. 예를 들어 베릴륨-7은 금속 상태의 반감기와 비교하여, 플루오르화물에서는 0.074% 길어진다. 또한, 베릴륨-7 원자를 풀러렌(C60)의 내부에 가두면 반감기가 0.83% 짧아진다는 보고가 있다.[10]
화학 결합은 또한 핵에 대한 전자의 근접성에 따라 전자 포획 속도에 약간의 영향을 미친다(일반적으로 1% 미만). 예를 들어, 7Be에서 금속 환경과 절연 환경의 반감기 차이가 0.9% 관찰되었다.[9] 이 비교적 큰 효과는 베릴륨이 작은 원자이며 핵에 가까운 원자가 전자를 사용하고 궤도 각운동량이 없는 궤도에 있는 사실 때문이다. '''s''' 궤도(껍질이나 주요 양자수에 관계없이)의 전자는 핵에서 확률 배강을 가지므로 '''p''' 또는 '''d''' 전자(핵에서 확률 마디를 가짐)보다 전자 포획을 받기 훨씬 더 쉽다.
5. 전자 포획의 예시
포획되는 전자는 원자 자체의 전자 중 하나이며, 아래 반응식에서 암시하는 것처럼 새로운 유입 전자가 아니다. 전자 포획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전자 포획에 의해서만 붕괴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방사성 동위원소는 다음과 같다.
핵종 | 반감기 |
---|---|
베릴륨-7 (⁷Be) | 53.28일 |
아르곤-37 (³⁷Ar) | 35.0일 |
칼슘-41 (⁴¹Ca) | 1.03 × 10⁵년 |
티타늄-44 (⁴⁴Ti) | 60년 |
바나듐-49 (⁴⁹V) | 337일 |
크롬-51 (⁵¹Cr) | 27.7일 |
망간-53 (⁵³Mn) | 3.7 × 10⁶년 |
철-55 (⁵⁵Fe) | 2.6년 |
코발트-57 (⁵⁷Co) | 271.8일 |
니켈-59 (⁵⁹Ni) | 7.5 × 10⁴년 |
갈륨-67 (⁶⁷Ga) | 3.260일 |
저마늄-68 (⁶⁸Ge) | 270.8일 |
셀레늄-72 (⁷²Se) | 8.5일 |
전체 목록은 핵종표를 참조하면 된다.
6. 응용 분야
전자포획형 검출기와 광자극 루미네선스(OSL)는 원자핵의 전자 포획과는 다른 현상을 이용한다. 광자극 루미네선스(OSL)는 광루미네선스와 열루미네선스의 범주에 속한다. 전자 포획을 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핵의학에서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된다. (예: 갈륨-67, 요오드-123) 또한 전자 포획은 기초 과학에서 원자핵 구조 및 붕괴 과정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6. 1. 대한민국의 응용 사례
전자 포획 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는 시료에 포함된 미량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의 센서 부분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패류 중 트리부틸주석 화합물의 정량,[11] 잔류 농약 측정[12] 등에 사용된다.또한, 광자극 루미네선스(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한 기술들이 활용된다. 섬광체에 자외선이나 방사선을 조사한 후 빛을 조사하면 강한 형광을 발하는 현상(OSL)이 발생하는데,[13][14] 이 형광 발광 현상을 이용한 외부 피폭 개인용 선량계가 실용화되었다.[15] OSL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지질 시대의 측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16][17][18]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 Reines-Cowan experiments: Detecting the poltergeist
http://library.lanl.[...]
[3]
서적
Discovering Alvarez: Selected works of Luis W. Alvarez, with commentary by his students and colleag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웹사이트
Luis Alvarez, biography
http://nobelprize.or[...]
2009-10-07
[5]
논문
Nuclear K Electron Capture
[6]
논문
Electron Capture and Internal Conversion in Gallium 67
[7]
논문
The capture of orbital electrons by nuclei
[8]
논문
Manipulation of Nuclear Lifetimes in Storage Rings
http://www.ca.infn.i[...]
[9]
논문
Change of the 7Be electron capture half-life in metallic environments
[10]
논문
Enhanced Electron-Capture Decay Rate of 7Be Encapsulated in C60 Cages
[11]
논문
電子捕獲型検出器を用いるガスクロマトグラフィーによる魚介類中のトリブチルスズ化合物の定量
https://doi.org/10.2[...]
[12]
논문
電子捕獲ガスクロマトグラフィーによる米粒中のBHCの定量 農薬の残留分析に関する研究(第4報)
https://doi.org/10.2[...]
[13]
웹사이트
放射線診療技術研修支援システム
http://www.020329.co[...]
日本獣医師会
[14]
간행물
外部被ばく個人線量測定用OSL線量計の諸特性
https://jopss.jaea.g[...]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15]
웹사이트
OSL線量計(InLight、Albedo、nanoDot)
https://www.nagase-l[...]
長瀬ランダウア株式会社
[16]
논문
石英・長石を試料とした光励起ルミネッセンス年代測定法の基礎研究
https://doi.org/10.3[...]
[17]
논문
光ルミネッセンスと熱ルミネッセンスを利用した活断層破砕帯の年代測定法
https://doi.org/10.5[...]
[18]
논문
浅海成堆積物のOSL年代測定
https://doi.org/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