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군 갑은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49년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수원군 지역이 화성군으로 개칭됨에 따라 수원군 갑 선거구가 화성군 갑 선거구로 변경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화성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인태, 손도심, 박상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정치 - 화성시장 선거
화성시장 선거는 화성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화성군수 선거를 시작으로 2002년부터 화성시장 선거로 치러졌으며, 우호태, 최영근, 채인석, 서철모, 정명근 등이 역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 화성시의 정치 - 화성시 병
화성시 병은 경기도 화성시에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봉담읍, 기배동, 화산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을 관할하며 권칠승 의원이 20대 총선부터 22대 총선까지 3선 의원을 지내고 있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읍면동 분할이라는 최초의 사례를 기록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화성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화성군 갑 |
의회 | 국회 |
연도 | 1950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수원군 갑 |
이후 선거구 | 화성군 시흥군·부천군·옹진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9년,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으며 수원군의 잔여 지역은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수원군 갑 선거구가 화성군 갑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1949년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수원군의 잔여 지역은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수원군 갑 선거구가 화성군 갑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군 갑, 을 선거구가 합쳐지며 화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또한 1963년 1월, 화성군 일왕면이 시흥군에 편입되어 시흥군 의왕면이 됨에 따라 해당 지역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군 갑, 을 선거구가 합쳐져 화성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1963년 1월에는 화성군 일왕면이 시흥군에 편입되어 의왕면이 됨에 따라 해당 지역도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화성군 갑 선거구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김인태 | 무소속 | 7,479표 | 29.00%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손도심 | 자유당 | 16,667표 | 48.89%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손도심 | 자유당 | 19,086표 | 50.67%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박상묵 | 무소속 | 9,248표 | 23.10% |
자세한 결과는 각 선거별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김인태 | 무소속 | 7,479표 | 29.00% | |
이승재 | 무소속 | 5,444표 | 21.11% | |
나창근 | 대한청년당 | 4,378표 | 16.97% | |
이각래 | 사회당 | 3,153표 | 12.22% | |
최홍식 | 무소속 | 1,982표 | 7.68% | |
한영만 | 무소속 | 1,291표 | 5.00% | |
홍녹후 | 무소속 | 741표 | 2.87% | |
김구배 | 무소속 | 726표 | 2.81% | |
민태정 | 무소속 | 591표 | 2.29% | |
합계 | 25,785표 | 100% |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손도심 | 자유당 | 16,667 | 48.89 |
홍사혁 | 무소속 | 7,073 | 20.74 |
이승재 | 무소속 | 4,372 | 12.82 |
박상묵 | 무소속 | 3,376 | 9.90 |
홍봉진 | 무소속 | 2,602 | 7.63 |
합계 | 34,090 | 100 |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손도심 후보가 50.6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김인태 후보는 49.32%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상묵 | 무소속 | 9,248 | 23.10 |
홍봉진 | 민주당 | 4,753 | 11.87 |
나상근 | 무소속 | 4,197 | 10.48 |
홍은승 | 무소속 | 3,454 | 8.63 |
한상갑 | 무소속 | 3,153 | 7.87 |
임래재 | 무소속 | 2,965 | 7.40 |
이규래 | 무소속 | 2,822 | 7.05 |
김정철 | 무소속 | 2,655 | 6.63 |
최희덕 | 무소속 | 2,383 | 5.95 |
예영창 | 무소속 | 1,583 | 3.95 |
홍경선 | 무소속 | 1,533 | 3.83 |
이창호 | 사회대중당 | 1,272 | 3.17 |
합계 | 40,018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